KR101310709B1 - 협력 mimo를 위한 다중대역 안테나 - Google Patents

협력 mimo를 위한 다중대역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709B1
KR101310709B1 KR1020127000748A KR20127000748A KR101310709B1 KR 101310709 B1 KR101310709 B1 KR 101310709B1 KR 1020127000748 A KR1020127000748 A KR 1020127000748A KR 20127000748 A KR20127000748 A KR 20127000748A KR 101310709 B1 KR101310709 B1 KR 101310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mobile station
mimo
bas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6678A (ko
Inventor
나젠드라 나가라자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1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he output power of a terminal is based on a path parameter sent by anoth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특정 양상들은 협력 MIMO 시스템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협력 MIMO를 위한 다중대역 안테나{MULTIBAND ANTENNA FOR COOPERATIVE MIMO}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 다중대역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협력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협력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은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미래 세대들, 특히, 브로드캐스트 또는 피어 투 피어(P2P) 네트워크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을 위한 유망한 기술이다. 전통 MIMO 시스템에 비해 협력 MIMO 시스템의 주요 단점들 중 하나는 노드들 사이의 협력의 결과로 인한 추가의 간섭이다.
그러므로, 협력 MIMO 시스템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당업계에서 요구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전력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보다 작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일반적으로 협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이동국들 사이의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는 단계;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전력 값들을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로직;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직;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한 로직;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을 수신하기 위한 로직; 및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전력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보다 작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협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이동국들 사이의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로직;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로직;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로직;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로직;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최대 전력 값들을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전력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보다 작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협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이동국들 사이의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전력 값들을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product)을 제공하고,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고,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상기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명령들;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 기지국으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제 2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전력은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보다 작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하고,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하고,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상기 명령들은, 일반적으로, 협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이동국들 사이의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명령들;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전력 값들을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상기 언급된 특징들이 상세히 이해될 수 있도록, 상기 간략히 설명된 추가의 특정 설명은 양상들에 대한 참조로써 이루어지고, 이들 중 일부는 첨부된 도면들에서 설명된다. 하지만, 설명이 다른 균등 효과 양상들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첨부된 도면들은 이 개시물의 오직 특정 전형적 양상들을 설명하고, 그러므로, 자신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공간 분한 다중 액세스 MIMO 무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및 두 개의 사용자 단말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협력 MIMO 시스템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도 4a는 도 4에서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협력 MIMO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에 대한 예시적인 스케일링가능한(scalable)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의 셀들 내의 예시적인 협력 영역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협력 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국들 사이의 예시적인 통신들을 도시한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의 다양한 양상들은 아래에 설명된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이 매우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둘 모두가 단지 대표적인 사례일 뿐임이 명백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기반하여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에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양상들 중 둘 이상이 다양한 방식들로 결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들 중 하나 이상에 더하여 또는 그 외의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이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양상은 청구항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예시적인"은 "예시, 예 또는 일례의 역할을 함"을 의미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양상은 반드시 다른 양상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또는 이로운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용어 "레거시 스테이션들"은 일반적으로 IEEE 802.11 표준의 이전 버전들 또는 802.11n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중-안테나 전송 기술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공간 분할 다중 액세스(SDMA)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기술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은 상이한 (1) CDMA에 대한 직교 코드 채널들, (2) TDMA에 대한 시간 슬롯들 또는 (3) OFDM에 대한 서브-대역들을 통해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수신할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IS-2000, IS-95, IS-856, 와이드밴드-CDMA(W-CDMA) 또는 임의의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OFDM 시스템은 IEEE 802.11 또는 임의의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GSM 또는 임의의 다른 표준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표준들이 당업계에 알려진다.
예시적인 MIMO 시스템
도 1은 액세스 포인트들 및 사용자 단말들을 가진 다중-액세스 MIMO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간략화를 위해, 오직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110)가 도 1에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들과 통신하는 고정국이고 또한 기지국 또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고정식이거나 이동식일 수 있고, 또한 이동국, 스테이션(STA), 클라이언트, 무선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휴대 전화, PDA, 휴대용 디바이스, 무선 모뎀, 랩톱 컴퓨터, 개인 컴퓨터 등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상에서 임의의 주어진 순간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120)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즉, 순방향 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사용자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이고, 업링크(즉, 역방향 링크)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의 통신 링크이다. 사용자 단말은 또한 다른 사용자 단말과 피어-투-피어를 통신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130)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연결되고,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한다.
시스템(100)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수의 전송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이용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수(Nap)의 안테나들을 갖추고, 다운링크 전송들에 대해 다중-입력(MI) 및 업링크 전송들에 대해 다중-출력(MO)을 나타낸다.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120)의 세트(Nu)는 집합적으로 다운링크 전송들에 대한 다중-출력 및 업링크 전송들에 대한 다중-입력을 나타낸다. 특정 경우들에서, Nu 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이 코드, 주파수, 또는 시간으로 임의의 수단에 의해 멀티플렉싱되지 않는 경우 Nap≥Nu≥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이 CDMA의 경우 상이한 코드 채널들, OFDM의 경우 서브-대역들의 분리(disjoint) 세트들 등을 사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 있는 경우, Nu는 Nap보다 클 수 있다. 각 선택된 사용자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에 사용자-특정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사용자-특정 데이터를 수신한다. 일반적으로, 각 선택된 사용자 단말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즉, Nut≥1)을 가질 수 있다. Nu개의 선택된 사용자 단말들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MIMO 시스템(100)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 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TDD) 시스템일 수 있다. TDD 시스템의 경우,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공유한다. FDD 시스템의 경우,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한다. MIMO 시스템(100)은 또한 전송을 위해 단일 캐리어 또는 다수의 캐리어들을 활용할 수 있다. 각 사용자 단말은 단일 안테나(예를 들어, 비용 절감을 위해) 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예를 들어, 부가적인 비용이 지원될 수 있는 경우)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MIMO 시스템(100)에서 액세스 포인트(110) 및 두 개의 사용자 단말들(120m 및 120x)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Nap개의 안테나들(224a 내지 224ap)을 가진다. 사용자 단말(120m)은 Nut ,m 개의 안테나들(252ma 내지 252mu)을 가지고, 사용자 단말(120x)은 Nut ,x 개의 안테나들(252xa 내지 252xu)을 가진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다운링크에 대해서는 전송 엔티티이고 업링크에 대해서는 수신 엔티티이다. 각 사용자 단말(120)은 업링크에 대해서는 전송 엔티티 및 다운링크에 대해서는 수신 엔티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송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고, "수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첨자 "dn"은 다운링크를 의미하고, 첨자 "up"는 업링크를 의미하고, Nup 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업링크상에서 동시 전송을 위해 선택되고, Ndn 개의 사용자 단말들은 다운링크 상에서 동시 전송을 위해 선택되고, Nup 는 Ndn과 동일할 수 있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고, Nup 및 Ndn은 고정 값들일 수 있거나 각 스케줄링 간격에 대하여 변할 수 있다. 빔-스티어링 또는 임의의 다른 공간 프로세싱 기술이 액세스 포인트 및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업링크의 경우, 업링크 전송을 위해 선택되는 각 사용자 단말(120)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288)는 데이터 소스(286)로부터 트래픽 데이터 및 컨트롤러(28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88)는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선택되는 레이트와 연관되는 코딩 및 변조 방식들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dup ,m}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하고 데이터 심벌 스트림{Sup,m}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90)는 데이터 심벌 스트림{Sup ,m} 상에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Nut ,m개의 안테나들에 대하여 Nut ,m개의 전송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각 전송기 유닛(TMTR)(254)은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전송 심벌 스트림을 수신 및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Nut ,m개의 전송기 유닛들(254)은 Nut ,m개의 안테나들(252)로부터 액세스 포인트(110)로의 전송을 위해 Nut ,m개의 업링크 신호들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들의 수(Nup)는 업링크상에서 동시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들 각각은 자신의 데이터 심벌 스트림 상에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업링크상에서 전송 심벌 스트림들의 자신의 세트를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한다.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Nap개의 안테나들(224a 내지 224ap)은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는 모든 Nup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각 안테나(224)는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수신기 유닛(RCVR)(222)에 제공한다. 각 수신기 유닛(222)은 전송기 유닛(254)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상보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수신된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40)는 Nap개의 수신기 유닛들(222)로부터 Nap개의 수신된 심벌 스트림들 상에서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Nup개의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은 채널 상관 매트릭스 인버젼(CCMI), 최소 평균 제곱 에러(MMSE), 연속 간섭 제거(SIC) 또는 임의의 다른 기술에 따라 수행된다. 각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Sup,m}은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심벌 스트림{Sup,m}의 추정이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42)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스트림에 대하여 사용되는 레이트에 따라 각 복원된 업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Sup,m}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는 저장을 위해 데이터 싱크(244) 및/또는 추가의 프로세싱을 위해 컨트롤러(230)에 제공될 수 있다.
다운링크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110)에서,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데이터 소스(208)로부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하여 스케줄링되는 Ndn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컨트롤러(230)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그리고 가능하게 스케줄러(234)로부터 다른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양한 타입들의 데이터가 상이한 전송 채널들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선택된 레이트에 기반하여 각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트래픽 데이터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인터리빙 및 변조)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0)는 Ndn개의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Ndn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TX 공간 프로세서(220)는 Ndn개의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Nap개의 안테나들에 대하여 Nap개의 전송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각 전송기 유닛(TMTR)(222)은 다운링크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전송 심벌 스트림을 수신하고 프로세싱한다. Nap개의 전송기 유닛들(222)은 Nap개의 안테나들(224)로부터 사용자 단말들로 전송하기 위한 Nap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제공한다.
각 사용자 단말(120)에서, Nut ,m개의 안테나들(252)은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Nap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각 수신기 유닛(RCVR)(254)은 연관된 안테나(25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수신된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60)는 Nut ,m개의 수신기 유닛들(254)로부터 Nut ,m개의 수신된 심벌 스트림들에 대해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복원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Sdn,m}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은 CCMI, MMSE 또는 임의의 다른 기술에 따라 수행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복원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각 사용자 단말(120)에서, Nut ,m개의 안테나들(252)은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Nap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한다. 각 수신기 유닛(RCVR)(254)은 연관된 안테나(252)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수신된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공간 프로세서(260)는 Nut ,m개의 수신기 유닛들(254)로부터 Nut ,m개의 수신된 심벌 스트림들에 대해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복원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Sdn,m}을 제공한다. 수신기 공간 프로세싱은 CCMI, MMSE 또는 임의의 다른 기술에 따라 수행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복원된 다운링크 데이터 심벌 스트림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도 3은 시스템(100)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302)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예시이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액세스 포인트(110) 또는 사용자 단말(120)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무선 디바이스(3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또한 중앙 처리 유닛(CPU)으로 지칭될 수 있다. 판독-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306)는 프로세서(304)에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30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4)는 메모리(306)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반하여 로직 및 연산 동작들을 전형적으로 수행한다. 메모리(306)의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302)와 원격 위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30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기(310) 및 수신기(312)는 트랜시버(314)로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전송 안테나들(316)은 하우징(308)에 부착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트랜시버(314)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또한 (도시 안 된) 다수의 전송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무선 디바이스(302)는 또한 트랜시버(31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하고 정량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318)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318)는 총 에너지, 심벌당 서브캐리어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과 같은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는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3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3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데이터 버스 외에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는, 버스 시스템(322)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이 SDMA, OFDMA, CDMA, SDMA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중 액세스 방식들 중 임의의 타입을 이용하는 시스템들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협력 MIMO 를 위한 다중대역 안테나
협력 MIMO 시스템에서, 복수의 단일-안테나 디바이스들은 그룹을 형성하고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위해 자신들의 안테나들을 공유하는 반면, 종래의 MIMO 시스템에서, 단일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상에 물리적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협력 MIMO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단일 안테나 디바이스들은 다이버시티 및 공간 멀티플렉싱과 같은, MIMO의 이점들을 향유하기 위해 가상 MIMO 시스템을 형성한다.
협력 MIMO는 디바이스 상에서 안테나들의 수가 증가하는 것이 실현가능 하지 않을 때, 작은 풋프린트(footprint)들을 가진 디바이스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 상의 안테나들은 독립적인 채널들을 통해 동작하기 위해 일정 거리만큼 분리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바이스의 크기를 증가함이 없이 작은 풋프린트를 가진 디바이스에 추가의 안테나들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기지국 및 두 개의 이동국들을 포함하는 3-노드 협력 MIMO 시스템에서, 각 이동국(MS)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직접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 및 협력을 위해 이동국들 사이에서 전송되는 정보와 같은, 두 부류의 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협력을 위해 이동국들 사이의 추가의 정보의 전송은 시스템에 간섭을 부가할 수 있다. 무선 시스템들의 대부분은 제한된 양의 간섭을 용인할 수 있고, 그러므로, 협력에 기인한 시스템의 간섭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시스템의 간섭에 대한 협력 MIMO 기술에서의 협력의 영향들은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무시된다.
예를 들어, 각 이동국(MS)이 다른 MS에 대한 릴레이로서 동작할 수 있는, 두 개의 이동국들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3-노드 협력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들은 나머지 이동국 및 기지국에 자신들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멀티플렉싱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MS는 직접 경로 데이터 패킷들 및 협력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해 두 개의 분리된 시간 슬롯들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MS는 제 1 시간 슬롯에서 기지국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고, 제 2 MS는 제 2 시간 슬롯에서 기지국에 다른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두 이동국들은 제 3 시간 슬롯에서 동시에 자신들의 협력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동국들 사이에서 교환되는 협력 데이터 패킷들은 직접 경로 데이터 패킷들보다 작은 대역폭을 사용해야 한다.
시간-멀티플렉싱 방식에서, 제 3 시간 슬롯 동안 각 MS의 나머지 MS에 대한 간섭은 일반적으로 무시되고 시스템은 포인트 대 포인트인 것으로 가정된다. 하지만, 실제로, 시간-멀티플렉싱된 MIMO 시스템은 두 MS들이 동시에 전송하는, 제 3 시간 슬롯에서 동일-채널 간섭을 용인할 수 있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시스템의 성능은 간섭에 기인하여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시간-멀티플렉싱된 시스템은 몇 개의 알려진 단점들을 가진다. 모든 노드들(즉, 이동국들 및 기지국)은 시간-동기화되어야 한다. 시간-멀티플렉싱된 시스템은 비용 소모적인 시간-도메인 계산들을 요구할 수 있다. 또한, n개의 이동국들에 상기 시간-멀티플렉싱된 방식을 스케일링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n개의 이동국들로 구성되는 경우, 협력 데이터 패킷들은 n개의 시간 슬롯들 후에 기지국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는 시간-민감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하여 너무 느릴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주파수-기반 간섭 완화 기술은 협력 MIMO 시스템에서 협력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주파수-기반 간섭 완화 기술에서, 주파수 대역은 직접 전송에 대하여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외에 협력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협력에 대하여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은 '릴레이 대역' 또는 '협력 대역'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으로의 직접 전송을 위해 주파수 대역들의 그룹과 이동국들 사이의 협력을 위한 주파수 대역들의 그룹을 할당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전송의 전력 및 범위는 협력 주파수 대역에서 제한될 수 있다. MS의 총 전력의 오직 작은 부분이 협력 대역에 할당될 수 있고 대부분의 전력은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할당될 수 있다. 그러므로, 협력 대역을 통한 전송은 서로 물리적으로 가까운 오직 몇 개의 이동국들로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MS는 단일 듀얼-대역 안테나를 사용하여 직접 링크 대역 및 협력 대역 둘 모두에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듀얼-대역 안테나는 직접 경로 전송을 위한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한 제 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일 듀얼 대역 안테나는 두 개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협력 MIMO 전송들을 지원할 수 있다. 직접 경로 데이터 패킷들 및 협력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해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체 간섭은 감소될 수 있다. 협력 주파수 대역은 다중 액세스 또는 랜덤 액세스 채널을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복수의 이동국들은 기지국에 자신들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 이동국들은 서로에게 협력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단일 주파수 대역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국들은 목적지로의 자기 자신들의 데이터의 직접 전송을 위해 단일 또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을 이용할 수 있다. 협력 주파수 대역들은 시스템의 다이버시티를 증가시키기거나 시스템에 공간 멀티플렉싱을 부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협력 MIMO 시스템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동작들을 도시한다. 402에서, 기지국은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즉,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협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들 사이에서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즉,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 404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제 1 및 제 2 주파수 대역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406에서, 이동국은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다. 408에서, 이동국은 자신의 근처의 이동국들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한다. 410에서, 이동국은 자신의 근처의 이동국들 각각으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412에서, 기지국은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다. 414에서, 기지국은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협력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각 이동국에 최대 전력 값을 할당한다. 기지국은 전력 제어 방식을 사용하여 이동국 근처의 이동국들 모두로부터 수신된 전력 값들 및 하나의 임계치에 적어도 기반하여 최대 전력 값을 계산한다. 기지국은 협력 대역 및 직접 전송 대역에 대하여 분리된 전력 제어 방식들을 가질 수 있다. 협력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직접 전송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보다 훨씬 더 작다. 416에서, 기지국은 이동국에 협력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전력 값들을 전송한다.
418에서,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 협력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을 수신한다. 420에서, 이동국은 다중-대역 안테나를 사용하여 협력 주파수 대역 및 직접 전송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협력 MIMO 시스템에서 업링크 전송을 위한 예시적인 스케일링가능한 프레임 구조(500)를 도시한다. 각 협력 이동국은 업링크 전송에 대하여 스케일링가능한 프레임 구조(500)를 생성하기 위해 자신의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수신된 협력 데이터 패킷(504-508)과 자기 자신의 데이터 패킷(502)을 연쇄시킬 수 있다. 이동국은 직접 전송 주파수 대역을 통해 기지국에 프레임(500)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협력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전력은 기지국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전송 전력은 이동국 근처의 오직 몇 개의 이동국들이 이동국에 의해 전송되는 협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간섭은 감소될 수 있고, 시스템의 신호 대 간섭 비(SIR)는 증가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기지국은 협력하고자 하고 협력할 수 있는 모든 이동국들에 대해 알고 있을 수 있다. 기지국은 이동국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국들의 협력 그룹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600)의 셀들(602) 내에 예시적인 협력 영역들(604)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협력은 서로 물리적으로 가까운 몇 개의 이동국들 사이에 국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협력을 위해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은 셀 사이트 전역에서 그리고 셀들 사이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각 이동국에 의해 협력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을 위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협력 영역(604)에서 오직 이동국들만이 동일한 협력 영역에서 다른 이동국들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기지국은 이동국들 모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반하여 협력 대역에서 전송을 위해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 및 협력 영역들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협력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력 값에 관한 정보를 각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다. 기지국은 특정 영역들로 협력을 제한하기 위해 협력 주파수 대역에서 각 이동국으로부터의 최대 허용가능한 전송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미리 결정된 임계치 값들을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협력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을 위해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에 관하여 이동국들에 통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따라 협력 MIMO 시스템(700)의 복수의 이동국들 및 기지국 사이에서 예시적인 통신들을 도시한다. 기지국(702)은 직접 전송을 위해 할당된 주파수 대역들을 통해 이동국들(702-706)로부터 복수의 업링크 전송 신호들을 수신한다. 이동국들은 자신의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의 전력 값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한다. 기지국은 협력 대역에서 전송을 위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을 이동국들에 통지하기 위해 전력 제어 명령들을 이동국들에 전송한다. 이동국들은 자신의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에 정보를 전송하고 협력 대역을 통해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협력 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고 전력 레벨들(즉, 직접 경로 업링크 전송에 유사한 전력 레벨들)을 사용하여 자신의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에 협력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경우, 이동국은 시스템에 많은 양의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시스템의 간섭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협력은 특정 영역들에 국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동국들은 더 작은 전력 레벨들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데이터 패킷들을 다른 이동국들에 전송할 수 있다. 특정 협력 영역들로의 협력의 국한은 전체 간섭을 감소시키고 시스템의 SIR을 증가시킨다.
본 개시물의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기지국은 협력 MIMO 시스템의 이동국들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동국이 협력 그룹 또는 영역에 진입할 때 또는 떠날 때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협력 이동국들을 관찰할 수 있고 협력 영역당 협력 이동국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단은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되는 동작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동작들은 유사한 참조번호를 가진 상응하는 대응 수단-플러스-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블록들(402-420)은 도 4a에 도시된 회로 블록들(402A-420A)에 대응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결정"은 매우 다양한 동작들을 내포한다. 예를 들어, "결정"은 계산, 컴퓨팅, 프로세싱, 유도, 조사, 룩업(예를 들어, 테이블, 데이터 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룩업), 확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수신(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 액세스(예를 들어, 메모리의 데이터에 액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은 해결, 선택, 선정, 구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동작들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어블 로직 장치,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러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들과 같이 계산 장치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당업계에 알려질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일부 예시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탈착식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많은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여러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을 통해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 내부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서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특정되지 않은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정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상에서 하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시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마그네틱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마그네틱 저장소 장치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또는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CD), 레이져 디스크, 광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Blu-ray®)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disks)"은 대게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들(discs)"은 데이터를 레이져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그러므로, 특정 양상들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및/또는 인코딩)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에 대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이 또한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전파(radio),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DSL, 또는 적외선, 전파(radio),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전송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이 다운로드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렇지 않으면 적용가능하듯이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획득될 수 있음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연결하거나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물리 저장 매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술들을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이 상기 설명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양한 수정들, 변경들 및 변형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실시될 수 있다.

Claims (52)

  1.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복수의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보다 작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다중-대역 안테나를 사용하여 동시에 수행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신호들은 이동국 근처의 이동국들로부터 전송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다중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전송을 위한 상기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전송을 위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보다 작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국에 의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송을 위해 스케일링가능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상기 정보를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수신된 협력 정보와 연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8.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협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이동국들 사이의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전력 값들을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다중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제 1 전력 제어 방식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제 2 주파수 제어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해 이용되는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최대 전력 값보다 작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국 근처의 상기 이동국들 모두로부터 수신된 전력 값들 및 하나의 임계치에 적어도 기반하여 최대 전력 값을 계산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14.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로직;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로직;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한 로직;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을 수신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보다 작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다중-대역 안테나를 사용하여 동시에 수행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신호들은 이동국 근처의 이동국들로부터 전송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다중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전송을 위한 상기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전송을 위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보다 작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로직은,
    업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일링가능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상기 정보를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수신된 협력 정보와 연쇄시키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협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이동국들 사이의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로직;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로직;
    상기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로직;
    상기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최대 전력 값들을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다중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제 1 전력 제어 방식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제 2 전력 제어 방식을 이용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해 이용되는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최대 전력 값보다 작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이동국 근처의 상기 이동국들 모두로부터 수신된 전력 값들 및 하나의 임계치에 적어도 기반하여 최대 전력 값을 계산하기 위한 로직을 더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7.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보다 작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전송하는 것은 다중-대역 안테나를 사용하여 동시에 수행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신호들은 이동국 근처의 이동국들로부터 전송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다중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1.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2.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전송을 위한 상기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전송을 위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보다 작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3.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업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일링가능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상기 정보를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수신되는 협력 정보와 연쇄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4.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협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이동국들 사이의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전력 값들을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다중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제 1 전력 제어 방식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제 2 전력 제어 방식을 이용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해 이용되는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에 대해 이용되는 최대 전력 값보다 작은,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9.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이동국 근처의 상기 이동국들 모두로부터 수신된 전력 값들 및 하나의 임계치에 적어도 기반하여 최대 전력 값을 계산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0.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명령들은,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제 1 주파수 대역 및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신호들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의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을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송 전력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 값보다 작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다중-대역 안테나를 사용하여 동시에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신호들은 이동국 근처의 이동국들로부터 전송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다중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4.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5.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전송을 위한 상기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을 통한 전송을 위한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보다 작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6.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은,
    업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일링가능한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상기 정보를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수신되는 협력 정보와 연쇄시키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7. 협력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무선 통신들을 위한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명령들은,
    협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직접 전송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이동국들 사이의 협력을 위해 사용될 적어도 제 2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이동국 근처의 다른 이동국들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되는 전력 값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통신 시스템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최대 전력 값들을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다중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은 랜덤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0.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제 1 전력 제어 방식을 이용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제 2 전력 제어 방식을 이용하기 위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해 이용되는 최대 허용가능한 전력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에 대해 이용되는 최대 전력 값보다 작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2.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최대 전력 값을 이동국에 할당하기 위한 명령들은,
    상기 이동국 근처의 상기 이동국들 모두로부터 수신된 전력 값들 및 하나의 임계치에 적어도 기반하여 최대 전력 값을 계산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127000748A 2009-06-11 2010-06-10 협력 mimo를 위한 다중대역 안테나 KR101310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82,862 US8676221B2 (en) 2009-06-11 2009-06-11 Multiband antenna for cooperative MIMO
US12/482,862 2009-06-11
PCT/US2010/038235 WO2010144751A2 (en) 2009-06-11 2010-06-10 Multiband antenna for cooperative mim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678A KR20120016678A (ko) 2012-02-24
KR101310709B1 true KR101310709B1 (ko) 2013-09-25

Family

ID=43027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748A KR101310709B1 (ko) 2009-06-11 2010-06-10 협력 mimo를 위한 다중대역 안테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76221B2 (ko)
EP (1) EP2441305B1 (ko)
JP (1) JP5280584B2 (ko)
KR (1) KR101310709B1 (ko)
CN (1) CN102804869B (ko)
TW (1) TW201130246A (ko)
WO (1) WO20101447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8758B2 (en) * 2004-04-02 2009-06-16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in cellular systems
US9065624B2 (en) * 2010-05-03 2015-06-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cooperative terminal
US20130100865A1 (en) * 2010-06-21 2013-04-25 Sudhir Kumar Baghel Method and system of aggregating component carriers across frequency bands
US20120120890A1 (en) * 2010-11-12 2012-05-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data in multimedia service providing system
KR20150030661A (ko) * 2012-07-09 2015-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4187564A (ja) * 2013-03-25 2014-10-02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7506026A (ja) * 2014-01-07 2017-02-23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ユーザ装置間の協調通信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9497717B2 (en) * 2014-05-23 2016-11-15 Ruckus Wireless, Inc. Out-of-band acknowledge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US9992775B2 (en) 2015-01-3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Band preference in wireless networks
US10716120B2 (en) * 2017-08-25 2020-07-14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ccess mechanisms for multi-band operation
US11178726B2 (en) 2018-10-19 2021-11-16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ooperative multipoint reception and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4231B1 (en) * 1996-09-09 2010-07-27 Tracbeam Llc Wireless location using multiple mobile station location techniques
US6631123B1 (en) * 1999-09-14 2003-10-0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improving user access performance by adjusting power of user probe signal
US7751843B2 (en) * 2002-07-29 2010-07-06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interference with a multiple format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TWI360317B (en) 2003-05-28 2012-03-1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E0303602D0 (sv) * 2003-12-30 2003-12-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self-organizing cooperative network
WO2005081416A1 (en) * 2004-02-19 2005-09-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calable, cooperative, wireless networking for mobile connectivity
US7599420B2 (en) * 2004-07-30 2009-10-06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input distributed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US8224254B2 (en) * 2004-10-13 2012-07-17 Mcmaster University Operating environment analysis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000737B2 (en) * 2004-10-15 2011-08-16 Sky Cros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aptively controlling antenna parameters to enhance efficiency and maintain antenna size compactness
US7428268B2 (en) * 2004-12-07 2008-09-23 Adaptix, Inc. Cooperative MIMO in multicell wireless networks
US7542515B2 (en) * 2004-12-29 2009-06-02 Intel Corporation Training symbol format for adaptively power loaded MIMO
US8135362B2 (en) * 2005-03-07 2012-03-13 Symstream Technology Holdings Pty Ltd Symbol stream virtual radio organism method and apparatus
EP2041893A4 (en) * 2006-07-03 2014-01-22 Korea Electronics Telecomm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US8125897B2 (en) * 2006-08-22 2012-02-28 Embarq Holdings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optimizing network performance with user datagram protocol network performance information packets
EP3694262A1 (en) * 2006-10-03 2020-08-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mbined open loop/closed lopp (cqi-based) uplink transmit power control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for e-utra
KR20080037398A (ko) * 2006-10-26 200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협력 방법 및 그 시스템
JP4813402B2 (ja) 2007-02-28 2011-11-0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パケット信号復調回路、復調方法、及び受信装置
US7990912B2 (en) * 2007-04-02 2011-08-02 Go2Call.Com, Inc. VoIP enabled femtocell with a USB transceiver station
KR101173940B1 (ko) * 2007-06-01 2012-09-03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중계국을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송 수신 장치및 방법
US8200263B2 (en) * 2007-09-21 2012-06-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plink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16422A1 (en) * 2007-11-02 2009-05-07 Chia-Chin Chong Method and system for opportunistic hybrid relay selection scheme for downlink transmission
EP2081303A2 (en) * 2008-01-17 2009-07-22 NTT DoCoMo, Inc. Multicarrier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radio relay station, mobile station, and multicarrier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8280387B2 (en) * 2008-05-22 2012-10-02 Ntt Docomo, Inc. Femtocell channel assignment and power control for improved femtocell coverage and efficient cell search
US8095080B2 (en) * 2008-12-02 2012-01-10 Broadcom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unit for configurable receiver and transmitt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CN101414860B (zh) 2008-12-03 2013-02-06 重庆邮电大学 一种利用协作分集增强WiMAX上行性能的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DAYAT A ET AL;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wireless network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vol. 42, no. 10, 2004.10.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16002A1 (en) 2010-12-16
KR20120016678A (ko) 2012-02-24
CN102804869A (zh) 2012-11-28
EP2441305B1 (en) 2017-01-11
EP2441305A2 (en) 2012-04-18
US8676221B2 (en) 2014-03-18
WO2010144751A3 (en) 2011-04-07
TW201130246A (en) 2011-09-01
JP2012530393A (ja) 2012-11-29
WO2010144751A2 (en) 2010-12-16
CN102804869B (zh) 2015-03-11
JP5280584B2 (ja)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709B1 (ko) 협력 mimo를 위한 다중대역 안테나
JP4588766B2 (ja) マルチキャリア通信における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ブロック設定方法
KR101926005B1 (ko) 적응성 시스템 파라미터를 가진 확장 디지털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2878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9503932B2 (en) Enhancements to the MU-MIMO VHT preamble to enable mode detection
US116955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 multiple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10999368A (zh) 用于无线系统中的非零功率波束的技术
US2011028779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1026169B2 (en) Physical layer power save facility
CN104937873A (zh) 无线通信系统中的方法和节点
US11394434B2 (en) Subband precoding configuration based on a transmit power parameter for uplink communications
CN110612736B (zh) 通信装置,基站,方法和记录介质
US8432856B2 (en) Heuristic algorithm for calculating target SINR for MMSE beamforming
JP201223132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WO2012002403A1 (ja)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Bhatt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analysis LTE and A-WCDMA
JP2011193388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