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429B1 -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429B1
KR101310429B1 KR1020130041174A KR20130041174A KR101310429B1 KR 101310429 B1 KR101310429 B1 KR 101310429B1 KR 1020130041174 A KR1020130041174 A KR 1020130041174A KR 20130041174 A KR20130041174 A KR 20130041174A KR 101310429 B1 KR101310429 B1 KR 101310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frame
toil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명
Original Assignee
조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명 filed Critical 조재명
Priority to KR102013004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restr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8Edge-protecting devices for 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에 있어서, 상기 문틀 및 문짝은 발포수지로 압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실 및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은 발포제와 합성수지제 원료가 배합된 발포수지 원료를 압출 성형하여 발포 보드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습기가 높은 화장실 환경하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door and the frame for a bathroom }
본 발명은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샤워실 및 화장실의 출입구 또는 그 샤워실 및 화장실의 1인용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등의 공간 구획용 문틀 및 문짝을 발포수지로 압출 성형하여 제작함으로써 습기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고 그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견고하며 목재에 비해 경량인 샤워실 및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외의 샤워실 및 화장실에는 조립식 판재를 이용해 세면대 등과 같은 공통 공간 외에 별도의 좌변기나 샤워 부스가 구비된 1인용 공간을 갖도록 칸막이의 조립에 의해 공간을 분할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화장실용 칸막이로 사용되는 조립식 판재는 주로 톱밥을 압축하여 제조되는 판재의 양면에 합성수지를 코팅하거나 필름을 부착하여서 제조되지만, 주재료가 톱밥으로 제조됨에 따라 무겁고, 많은 양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판재를 제조함에 따라 유독성이 높아 발암을 유발하거나 새집 증후군의 원인이 된다.
또한, 톱밥 압축물로 이루어져 있어, 습도가 높은 화장실에서 칸막이 또는 도어로 이용하기에는 부적절하여 주로 물을 사용하여 청소하게 되는 화장실의 경우, 세균과 곰팡이의 번식을 유발시켜 악취를 발생시키는 한편, 내구성이 저하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판재의 하단부를 바닥면에서 5 ~ 15cm 정도 띄워 설치하게 되므로, 공중 화장실 등의 경우 개인적인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등록실용신안 제20-0311968호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화장실용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화장실 내에 별도로 조립 설치되어 공간을 분할하도록 하는 화장실 칸막이에 있어서, 금속제로 된 직사각 형상의 판체 외곽 단부를 일측으로 직각 절곡하고 내측으로 재차 직각 절곡하여 소정의 두께가 형성되도록 하되, 표면에 불소수지층을 코팅하여서 된 전, 후면판을 상호 대칭으로 밀착시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되, 공간 내측에 MDF(합판)과 허니콤(Honeycomb)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보강부재를 삽입하고, 전, 후면판을 견고히 밀착시키도록 전, 후면판의 외곽에 테두리 프레임을 끼워 고정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제안된 화장실용 칸막이는 MDF와 허니콤을 전, 후면판 사이에 삽압하여 외곽에 테두리 프레임을 끼워 제작함에 따라 다수의 구성이 필요해 구조 및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단가 역시 높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MDF를 사용함에 따라 습기가 테두리 등을 통해 침투하는 경우 미생물의 번식 및 부서짐 등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샤워실 및 화장실의 출입구 또는 샤워실 및 화장실 내부의 1인용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등의 공간 구획용 문틀 및 문짝을 발포수지로 압출 성형하여 습기에 따른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그 제작이 간단한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를 위한 시트 또는 코팅 등이 필요 없어 그 제작이 간단하고 견고하며 경량인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에 있어서, 상기 문틀 및 문짝은 발포수지로 압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실 및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문틀은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문틀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짝은 제1문틀과 제2문틀 사이에 여닫이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문짝은 일측단부가 상기 제1문틀에 경첩으로 연결되고, 상기 문짝의 타측단부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문틀에는 상기 문짝의 걸림턱에 대응되는 지지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짝의 일측단부에는 제1돌출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문틀에는 상기 문짝의 제1돌출턱에 대응되는 제2돌출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문짝과 제1 및 제2문틀의 양면에는 마감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문틀의 지지턱에는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의 완충부재가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문짝과 제1 및 제2문틀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문틀과 문짝의 상하측 테두리에 마감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은 발포제와 합성수지제 원료가 배합된 발포수지 원료를 압출 성형하여 발포 보드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습기가 높은 샤워실 및 화장실 환경하에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아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워실 및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은 방수를 위한 시트 또는 코팅 등의 후공정이 필요없이 압출 성형하는 과정만을 통해서 제조되므로 습기에 강하고 설치가 간단하며, 기존의 합판이나 MDF의 재질의 판넬에 비해 가벼워 설치가 용이하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판넬을 제작하므로 발암이나 새집 증후군의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을 이용한 샤워 부스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용 문틀(100) 및 문짝(200)은 공지(公知)의 압출 성형 장치(미도시됨)를 이용해 발포제와 합성수지제 원료가 배합된 발포수지 원료를 고열로 용융 및 발포하여 압출 성형된 발포 보드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문틀(100) 및 문짝(200)은 발포수지로 제조됨에 따라 통상의 MDF나 HDF 등에 비해 가볍고 대량 생산에 유리하다.
이때, 상기 문틀(100)은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문틀(110,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문틀(110)과 제2문틀(120) 사이에는 여닫이식으로 문짝(200)이 구비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문짝(200)은 일측단부가 상기 제1문틀(110)에 경첩(300)으로 연결되어 상기 문짝(200)의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문짝(200)이 회전시에 상기 문짝(200)의 타측단부가 상기 제2문틀(120)을 향해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상기 경첩(300)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문짝의 사이즈 등과 같은 조건에 따라 3개 이상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짝(200)의 타측에는 잠금쇠(310)가 설치되고, 상기 제2문틀(120)에는 상기 잠금쇠(310)가 체결되는 걸림쇠(3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잠금쇠(310)는 손으로 잡아 돌리는 노브형 또는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일자형 슬라이더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공지의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잠금쇠(310) 및 걸림쇠(320)는 샤워실 및 화장실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문틀(100) 및 문짝(200)의 내측면에 설치되거나, 샤워실 및 화장실 내부의 1인용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등의 공간 구획용 문틀 및 문짝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공중 화장실 등에는 옷이나 가방 등을 걸어 놓을 수 있는 후크(330)를 문짝(200)의 상측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문틀(110, 120)과 문짝(200)은 발포수지로 제조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압출 성형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문짝(200)의 타측단부에는 걸림턱(20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문틀(120)에는 상기 문짝(200)의 걸림턱(202)에 대응되는 지지턱(122)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문짝(200)을 닫더라도 걸림턱(202)이 지지턱(122)에 지지가 됨으로써 문짝(200)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지지가 됨으로써, 문짝(2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짝(200)의 일측단부에는 제1돌출턱(20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문틀(110)에는 상기 문짝(200)의 제1돌출턱(204)에 대응되는 제2돌출턱(112)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문짝(200)에 제1돌출턱(204)과 걸림턱(202)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1문틀(110)과 제2문틀(120)에는 제2돌출턱(112)과 지지턱(122)이 구비되어 문짝(200)을 닫은 경우 문틈이 생기지 않게 되어 외부에서 샤워실 및 화장실 내부를 직접적으로 볼 수 없어 개인적인 사생활 보호를 충실히 할 수 있다.
상기 문짝(200)과 제1 및 제2문틀(110, 120)은 발포수지로 압출 성형하게 되므로 후가공이 필요 없고, 문짝(200)의 제1돌출턱(204) 및 걸림턱(202)과 제1문틀(110)과 제2문틀(120)의 제2돌출턱(112)과 지지턱(122)을 문짝(200)과 제1 및 제2문틀(110, 120)을 압출 성형시 함께 형성되므로 그 제조가 간단하고 경량이며, 방수를 위해 문짝(200)과 제1 및 제2문틀(110, 120)의 테두리를 별도로 마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상기 제1문틀(110)과 제2문틀(120)은 발포수지로 압출 성형된 발포 보드로 이루어지는 벽체(130, 132)에 고정되거나 또는 화장실 출입구에 직접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문짝(200)과 제1 및 제2문틀(110, 120)의 양면에는 다양한 색상의 필름을 부착하거나 인쇄 등을 통해 마감층(206, 116, 126)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2문틀(120)의 지지턱(122)에는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 등의 완충부재(140)를 일체로 부착한다. 물론, 상기 지지턱(122)을 따라 상하로 길게 완충부재(140)를 부착하거나 일정길이로 재단된 완충부재(140)를 지지턱(122)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부착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완충부재(140)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문짝(200)이 회전하여 문짝(20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202)이 제2문틀(120)의 지지턱(122)에 접촉되는 경우 소음발생을 차단하고, 강한 충격으로 인한 제2문틀(120)이나 문짝(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완충부재(140)는 제2문틀(120)의 지지턱(122)에 구비하지 않고, 문짝(200)의 걸림턱(202)에 일체로 부착함도 가능하다. 이 같은 완충부재(140)의 부착 위치의 변경은 단순 상업적 변형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범주 내의 것임은 자명하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의하면, 상기 문짝(200)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207)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중공부(207)를 형성함으로써, 문짝(200)의 제조에 사용되는 발포수지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문짝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물론, 상기 문짝(200) 이외에도 제1 및 제2문틀(110, 120) 역시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117, 127)를 형성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다수의 중공부(117, 127, 207)가 형성된 제1 및 제2문틀(110, 120)과 문짝(200)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문틀(110, 120)과 문짝(200)의 상하측 테두리에 테이프나 필름 등과 같은 마감재(118, 128, 208)를 더 부착하여 다수의 중공부(117, 127, 207)를 마감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문틀 및 문짝은 샤워실 및 화장실용으로 조립할 수 있고, 일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 내부의 샤워공간(S)을 구획하기 위한 샤워부스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문틀 및 문짝은 욕조(1)와 세면대(2) 및 변기(3)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공간분할이 가능하도록 시공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 예들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문틀 107: 중공부
110: 제1문틀 112: 제2돌출턱
117: 중공부 120: 제2문틀
122: 지지턱 127: 중공부
140: 완충부재 200: 문짝
202: 걸림턱 204: 제1돌출턱
300: 경첩 310: 잠금쇠
320: 걸림쇠 330: 후크

Claims (8)

  1. 화장실용 문틀(100) 및 문짝(200)에 있어서,
    상기 문틀(100) 및 문짝(200)은 발포수지로 압출 성형 되되, 상기 문틀(100)은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문틀(110,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문짝(200)은 제1문틀(110)과 제2문틀(120) 사이에 여닫이식으로 구비되고;
    상기 문짝(200)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제1문틀(110)에 경첩(300)으로 연결되되 상기 문짝(200)의 일측단부에는 제1돌출턱(20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문틀(110)에는 상기 문짝(200)의 제1돌출턱(204)에 대응되는 제2돌출턱(11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문짝(200)의 타측단부에는 걸림턱(20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문틀(120)에는 상기 문짝(200)의 걸림턱(202)에 대응되는 지지턱(12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문짝(200)과 제1 및 제2문틀(110,120)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200)과 제1 및 제2문틀(110,120)의 양면에는 마감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문틀(120)의 지지턱(122)에는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의 완충부재(140)가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문틀(110,120)과 문짝(200)의 상,하측 테두리에 마감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30041174A 2013-04-15 2013-04-15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KR101310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74A KR101310429B1 (ko) 2013-04-15 2013-04-15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74A KR101310429B1 (ko) 2013-04-15 2013-04-15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429B1 true KR101310429B1 (ko) 2013-09-24

Family

ID=4945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174A KR101310429B1 (ko) 2013-04-15 2013-04-15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4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273A (ko) * 1996-05-21 1997-03-27 박상현 문짝틀재
KR200189773Y1 (ko) 1998-02-16 2000-08-01 이준 일체형 도어프레임
KR200228920Y1 (ko) * 2001-01-19 2001-07-19 박호직 도어 및 문틀구조
KR20070006101A (ko) * 2005-07-07 2007-01-11 박홍열 여닫이와 미닫이 기능이 복합된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273A (ko) * 1996-05-21 1997-03-27 박상현 문짝틀재
KR200189773Y1 (ko) 1998-02-16 2000-08-01 이준 일체형 도어프레임
KR200228920Y1 (ko) * 2001-01-19 2001-07-19 박호직 도어 및 문틀구조
KR20070006101A (ko) * 2005-07-07 2007-01-11 박홍열 여닫이와 미닫이 기능이 복합된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1921B2 (en) Stop bead for panel-based siding,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20190127972A1 (en) Acoustic tile frame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1310429B1 (ko) 화장실용 문틀 및 문짝
KR20180005936A (ko) 도어용 보드
US20230383543A1 (en) Flood Resistant Wall
KR200368928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KR101953406B1 (ko) 창호의 단열보강구조
KR101772001B1 (ko) 화장실용 칸막이패널
KR100784982B1 (ko) 고층용 창호
KR101688570B1 (ko) 조립식 욕실용 하이브리드 벽판넬 시공구조
KR101263956B1 (ko) 조립식 가변형 문틀
RU142648U1 (ru) Алюминиевый короб invisible
EP2105567A1 (en) Window assembly with cover panel assembly to cover window opening
JP6683420B2 (ja) 建築物の開口部構造
JP2002168052A (ja)
JP2010084397A (ja) 建具
RU95016U1 (ru) Дверное полотно
JP2004052271A (ja) 建具
KR200494552Y1 (ko) 소음 차단성이 향상된 도어
JP3485855B2 (ja) リフォーム用内部建具枠及び内部建具枠のリフォーム方法
KR200384079Y1 (ko)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테이프
KR100870240B1 (ko) 덧판을 가진 문틀 및 창틀 구조
JP2006241711A (ja) ドア
JPH07158249A (ja) 建築用造作部材
JP5624407B2 (ja) 金属板の屋内へ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