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345B1 -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345B1
KR101310345B1 KR1020100140486A KR20100140486A KR101310345B1 KR 101310345 B1 KR101310345 B1 KR 101310345B1 KR 1020100140486 A KR1020100140486 A KR 1020100140486A KR 20100140486 A KR20100140486 A KR 20100140486A KR 101310345 B1 KR101310345 B1 KR 101310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tensity
image
displacement
test piece
im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8251A (ko
Inventor
김정엽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4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3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8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345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강도를 이용하여 타겟패턴의 이동변위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험편과, 상기 시험편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하는 이미지센서부와, 상기 이미지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미지 강도로부터 변위 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이미지 강도와 변위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동변위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 측정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이미지 강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동안 운동하고 있는 박막의 시험편의 변위를 측정하며, 피로시험과 같이 시험 하중의 변화가 빠른 경우에도 시험편의 변형을 측정하고, 이미지 측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시험결과의 측정감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Recoding media saving program for displacement measurement by image intensity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이미지 강도를 이용하여 타겟패턴의 이동변위를 측정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s) 또는 NEMS(Nano 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MEMS/NEMS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마이크로 또는 나노 정도의 크기를 갖는 박막 소재의 기계적 물성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레이저 간섭무늬를 이용한 모아레(moire) 측정법과 ISDG(Interferometric Strain/Displacement Gage)법과 같은 비접촉식 측정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정법은 측정 해상도(감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지만, 측정 속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어 인장시험과 같은 정적 시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이미지 상관도(digital image correlation, DIC)를 이용한 측정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시험편 이미지의 시간에 따른 상관도를 계산하여 변위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측정법으로 해상도가 높고 시스템이 단순하며, 측정법 또한 매우 간단하며 편리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측정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외에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면서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정전용량형(capacitance type) 변위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시험편의 변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시험편 그립(grip)간의 변위를 측정하여 시험편의 변위로 환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측정속도가 빠르며 시험편의 변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변위 측정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미지 강도가 대비되는 무늬가 새겨진 시험편의 이미지 강도 변화를 이용하여 정지상태의 시험편 및 일정시간 운동하는 시험편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피로시험과 같이 시험 하중의 변화가 빠른 경우에도 시험편의 변형을 측정할 수 있는 변위측정 방법,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이미지 측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시험결과의 측정감도를 높일 수 있는 변위측정 방법, 그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험편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하는 이미지센서부와, 상기 이미지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미지 강도로부터 변위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이미지 강도와 변위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상기 시험편은 표면에 명암이 대비되는 흑백의 타겟패턴을 가지며, 흑색과 백색의 경계선이 시험편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부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부는 제어부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센서의 노출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미지센서가 노출된 시간 동안 각 픽셀에서의 이미지 강도는 백색에 노출된 시간에 비례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센서부로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여 이미지센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이미지센서부에서 측정된 이미지 강도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임의의 시간 t에서 시험편의 변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01
)를
Figure 112010088086072-pat00002
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미지센서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시험편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이동하는 시험편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강도로부터 시험편의 변위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또 다른 일 실시예로 제안한다.
상기 이미지센서 노출 단계에서는 제어부의 트리거 신호에 따라 측정하고자 하는 시간 동안 시험편의 이동에 맞추어 이미지센서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이미지강도 측정 단계에서는 상기 시험편의 흑백패턴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미지센서에 남는 잔상으로 이미지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변위 값을 연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미지강도 측정 단계에서 출력된 이미지 강도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 값을 연산하는 단계에서는 임의의 시간 t에서 시험편의 변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03
)를
Figure 112010088086072-pat00004
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미지 강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정지 및 일정시간 동안 운동하고 있는 시험편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피로시험과 같이 시험 하중의 변화가 빠른 경우에도 시험편의 변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측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시험결과의 측정감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시험편의 타겟패턴 이미지를 도시하고, 도 3은 상기 타겟패턴의 이미지 강도 분포를 도시한다.
도 4는 타켓패턴의 이동거리-시간 곡선을 도시한다.
도 5는 시간에 따른 이미지강도의 변화와 이미지센서에 측정된 이미지 강도의 분포를 도시한다.
도 6은 이미지센서에서 측정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제 측정된 이미지의 강도분포를 도시한다.
도 8은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록매체'라 함은 비휘발성의 메모리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데이터 CD, USB 메모리, 메모리 스틱, 메모리 카드 등의 포터블 메모리(portable memory)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정적 메모리(static memory, SRAM)등의 넌 포터블 메모리(non-portable memory)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의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장치는 시험편(10), 이미지센서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연산부(140)를 포함한다.
시험편(10)은 변위를 측정할 대상물로써, 표면에 명암이 대비되는 흑백의 타겟패턴을 가지며, 흑색과 백색의 경계선은 시험편(10)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부(110)는 상기 시험편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떨어진 곳에 설치하며, 시험편의 이동에 맞추어 타겟패턴의 이미지강도를 측정한다.
상기 이미지센서부(110)는 '촬영소자'라고도 하며,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이미지센서부로 보내는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를 제어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시험편의 이동에 맞추어 측정하고자 하는 시간동안 이미지센서부(110)의 노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상기 이미지센서부(110)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변위 계산 및 연산을 위해 연산부(14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 및 별도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121)와 시험편의 변위 값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23)를 포함하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PDA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상기 이미지센서부(110)로부터 측정된 이미지 강도를 저장하거나, 연산부(140)로부터 도출된 시험편의 변위 값을 저장한다.
연산부(140)는 상기 이미지센서부(11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계산 및 연산하여 시험편의 변위 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변위 계산 및 연산은 몇 가지 수학식에 따라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의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장치에서 이미지센서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연산부(140)는 카메라모듈이 구비된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센서부(110)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과 제어부(120)와 저장부(130) 및 연산부(140)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각각 구현되어 직/병렬포트나 USB 커넥터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연산부(140)에서 시험편의 변위 값을 계산 및 연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시험편의 타겟패턴 이미지를 도시하고, 도 3은 상기 타겟패턴의 이미지 강도 분포를 도시한다.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 측정 장치에 있어서 시험편은 명암이 대비되는 흑백의 타겟패턴을 가진다. 또한, 정지된 상태의 상기 흑백패턴을 이미지센서에 노출시키면 그 이미지 강도는 도 3과 같이 백색부분은 최고의 강도를 가지고, 흑색부분은 최저의 강도를 가지며, 백색과 흑색의 경계선에서 이미지 강도의 단차가 발생한다.
상기 흑백의 타겟패턴이 작성된 시험편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때 시험편이 도 4와 같은 흑백패턴의 경계선위치-시간 곡선을 따라 움직인다고 가정하면, 시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05
가 증가함에 따라 흑백패턴의 경계선은 이미지센서상에서
Figure 112010088086072-pat00006
(n은 1 이상의 정수)로 이동한다. 이때, 각 위치
Figure 112010088086072-pat00007
에서의 이미지 강도는 도 5의 하단 그래프와 같다.
흑백의 타겟패턴이
Figure 112010088086072-pat00008
에서
Figure 112010088086072-pat00009
으로 이동하는 동안 이미지센서를 노출시키면 상기 이미지센서는 흑백의 타겟패턴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미지를 센싱하고, 상기 이미지센서는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0
에 위치한 픽셀에서는 이미지센서의 노출시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1
중에는 항상 백색에 노출되며,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2
의 픽셀에서는 흑백패턴의 경계선이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3
의 위치에 오기까지의 시간, 즉 0 ~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4
의 시간 동안은 흑색에 노출되고, 그 이후에는 시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5
~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6
동안 백색에 노출된다. 또한,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7
의 픽셀에서는 시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8
동안 항상 흑색에 노출된다.
따라서, 이미지센서가 노출된 시간 동안 각 픽셀에서의 이미지 강도는 백색에 노출된 시간에 비례하게 된다.
상기 도 5의 점선은 이미지센서의 각 픽셀에서 백색에 노출된 시간을 의미하며, 상기 픽셀의 위치에 따른 이미지 강도는 도 5의 상단과 같다.
도 5의 상단에서 보듯, 0 ~
Figure 112010088086072-pat00019
에 위치한 픽셀에서는 항상 백색에 노출되므로 이미지 강도가 가장 크고,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0
~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1
에서는 점차 어두워지므로 이미지 강도가 감소하며,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2
부터는 항상 흑색이므로 가장 작은 이미지 강도를 보이게 된다.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3
영역에서는, 이미지센서의 각 픽셀에서 측정되는 이미지 강도는 백색에 노출되는 시간에 비례하게 되므로,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4
에 있는 픽셀의 이미지 강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5
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6
상기 수학식 1에서 c는 조리개의 열린 정도에 비례하는 비례상수이며,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7
는 흑백 경계선이 백색에 노출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시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8
에서의 흑백 경계선의 위치
Figure 112010088086072-pat00029
는 다음의 수학식 2로부터 수학식 3을 도출하여 구한다.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0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1
상기 수학식 3을 통하여 흑백 경계선의 위치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2
를 구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3
는 정규화된 이미지 강도를 나타내며,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내어진다.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4
상기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5
는 흑백 경계선이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6
에서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7
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이미지 강도이며,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8
는 흑백 경계선이
Figure 112010088086072-pat00039
에서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0
까지 이동하였을때의 이미지 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3에 의하면 시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1
에서의 흑백 경계선의 위치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2
는 이미지 강도의 분포곡선, 즉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3
곡선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도 6은 이미지센서에서 측정된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x축 방향의 이미지 강도의 분포를 보여주는 이동거리(x)-정규화된 이미지 강도(J) 곡선으로, 흑백 경계선의 이동이 없는 좌우측에서는 일정한 강도를 가지며, 흑백 경계선의 이동구간인 중간부에서는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강도의 변곡점 위치로부터 시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4
중에 흑백 경계선의 이동거리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5
를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제 측정된 이미지의 강도분포를 도시한다.
상기 도 7에서 x, y축은 도 5에서와 같은 이미지센서의 좌표축을 나타내고 있으며, z축은 이미지 강도 I를 나타낸다.
상기 도 7과 같이 이미지센서를 일정시간 노출하게 되면 많은 노이즈가 실제 측정 데이터에 포함하게 되고, 이러한 노이즈는 변위측정 감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도 7에서 보듯이, 이미지에 포함된 노이즈는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로 정규분포를 하며, 이와 같은 노이즈는 통계적으로 m개의 데이터를 평균하면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6
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도 7에서 시험편의 폭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변위가 균일하다면, x축 방향의 이미지 강도의 변화는 y축 방향으로 같게 된다. 따라서, y축 방향 픽셀의 이미지 강도를 합산하여 평균을 내면 효과적으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시험편의 폭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변위가 균일한 경우에 y축 방향의 이미지 강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7
의 값이 같으므로, 그 평균값은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8
상기 수학식 5에서 m은 y축 방향의 픽셀수이며, 상기 수학식 5와 같이 이미지 강도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8은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순서도의 각 단계는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장치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보듯,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이 시작되면, S11 단계에서는 제어부(122)로부터 트리거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트리거 신호는 제어부의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입력되며, 측정하고자 하는 시간 동안 이미지센서의 노출을 제어한다.
상기 S11 단계에서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S12 단계에서 이미지센서를 노출시키며, 상기 S11 단계에서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트리거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S13 단계에서는 시험편을 상기 시험편 표면의 흑색과 백색의 경계선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S14 단계에서는 이미지센서부(110)에서 시험편의 이동에 맞추어 픽셀별 이미지 강도를 측정하여 저장한다.
S15 단계에서는 상기 S14 단계에서 측정된 이미지 강도를 합산평균하여 노이즈를 제거한 이미지 강도를 저장부(130)에 저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노이즈를 제거하는 S15 단계는 생략 가능하다.
S16 단계에서는 상기 S15 단계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이미지 강도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른 시험편의 변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49
를 도출하여 저장한다.
상기 S16 단계에서 도출된 시간에 따른 시험편의 변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50
는 S17 단계에서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 시험편 110 : 이미지센서부 120 : 제어부
130 : 저장부 140 : 연산부

Claims (13)

  1. 시험편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하는 이미지센서부와;
    상기 이미지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미지 강도로부터 변위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이미지 강도와 변위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센서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시간 동안 시험편의 이동에 맞추어 이미지센서의 노출 여부를 제어하며, 이미지센서가 노출된 시간 동안 각 픽셀에서의 이미지 강도는 백색에 노출된 시간에 비례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편은,
    표면에 명암이 대비되는 흑백의 타겟패턴을 가지며, 흑색과 백색의 경계선이 시험편의 이동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부는,
    CCD(charge-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지센서부로 트리거 신호를 송신하여 이미지센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이미지센서부에서 측정된 이미지 강도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임의의 시간 t에서 시험편의 변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51
    )를 다음 식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장치.
    Figure 112010088086072-pat00052

    (단, c는 조리개의 열린 정도에 대한 비례상수이고, J는 정규화된 이미지강도이다.)
  9. 이미지센서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시험편을 상기 시험편의 경계선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시험편의 흑백패턴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미지센서에 남는 잔상으로 시험편의 이미지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강도로부터 시험편의 변위 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서 노출 단계는,
    제어부의 트리거 신호에 따라 측정하고자 하는 시간 동안 시험편의 이동에 맞추어 이미지센서를 노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강도 측정 단계에서 출력된 이미지 강도의 평균값을 계산함으로써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임의의 시간 t에서 시험편의 변위(
    Figure 112010088086072-pat00053
    )를 다음 식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Figure 112010088086072-pat00054

    (단, c는 조리개의 열린 정도에 대한 비례상수이고, J는 정규화된 이미지강도이다.)

KR1020100140486A 2010-12-31 2010-12-31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 KR101310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486A KR101310345B1 (ko) 2010-12-31 2010-12-31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486A KR101310345B1 (ko) 2010-12-31 2010-12-31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251A KR20120078251A (ko) 2012-07-10
KR101310345B1 true KR101310345B1 (ko) 2013-09-23

Family

ID=4671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486A KR101310345B1 (ko) 2010-12-31 2010-12-31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3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322A (ja) 2000-01-21 2001-07-27 Japan Tobacco Inc 非接触伸び計ターゲットおよび非接触伸び計
JP2009216494A (ja) * 2008-03-10 2009-09-24 Shimadzu Corp 標線位置測定装置、標線位置測定用プログラム、および標線マー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322A (ja) 2000-01-21 2001-07-27 Japan Tobacco Inc 非接触伸び計ターゲットおよび非接触伸び計
JP2009216494A (ja) * 2008-03-10 2009-09-24 Shimadzu Corp 標線位置測定装置、標線位置測定用プログラム、および標線マーク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2008.11 *
논문 2010.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251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y et al. Digital image correlation for whole field out-of-plane displacement measurement using a single camera
JP6485454B2 (ja) 情報処理装置
US8497995B2 (e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surface shape and roughness
Hassan et al. Digital image correlation with dynamic subset selection
US20080061220A1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s having multiple tracking modes
US20160156899A1 (en)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JP505883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Blaysat et al. On the propagation of camera sensor noise to displacement maps obtained by DIC-an experimental study
Ferrer et al. Targetless image-based method for measuring displacements and strains on concrete surfaces with a consumer camera
JP6278512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10345B1 (ko) 이미지 강도에 의한 변위측정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변위측정 장치
JP2020046382A (ja) タイヤ試験装置
WO2019235409A1 (ja) 変位量測定装置、変位量測定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10718607B2 (en) Determining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surfaces
JP6248706B2 (ja) 応力分布計測装置及び応力分布計測方法
US11365963B2 (en) State determination apparatus, state determin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Van Mieghem et al. Benchmarking of depth of field for large out-of-plane deformations with single camera digital image correlation
WO2020255231A1 (ja) 変位測定装置、変位測定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942235B1 (ko) 판유리 두께측정방법
KR101862013B1 (ko) 핸드헬드 측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JP4496149B2 (ja) 寸法測定装置
Tu et al. Calibration of coherent optical fiber bundle with LCD screen for deformation measurements
US11629951B2 (en) Determining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reflective surfaces and transparent materials
Brillaud et al. Digital correlation of grainy shadow images for surface profile measurement
KR100936282B1 (ko) 판유리의 굴절률 측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