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113B1 - 그룹 단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그룹 단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113B1
KR101310113B1 KR1020070028075A KR20070028075A KR101310113B1 KR 101310113 B1 KR101310113 B1 KR 101310113B1 KR 1020070028075 A KR1020070028075 A KR 1020070028075A KR 20070028075 A KR20070028075 A KR 20070028075A KR 101310113 B1 KR101310113 B1 KR 10131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coming
call
mod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6209A (ko
Inventor
박중건
신범수
송선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1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6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5Selective call encoders for paging networks, e.g. paging centr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그룹 단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룹 단말 제어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그룹의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매핑되는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가입자 관리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그룹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신 권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발신 권한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에 제공하여 발신 절차를 제어하는 발신 처리부;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그룹 사용자 단말로부터 착신 권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의 착신이 인지되는 경우 상기 착신 권한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에 제공하여 착신 절차를 제어하는 착신 처리부를 포함하여, 발신 권한 또는 착신 권한에 따라, 가입자가 원하는 단말을 이용하여 발신 또는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발신자가 지정하지 않은 단말을 통한 악의적인 발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착신을 거부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페이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일 전화번호, 복수 단말

Description

그룹 단말 제어 장치{Controlling Apparatus for Grouped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룹 단말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그룹 단말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그룹 단말 제어 장치 및 인증 센터에서 각각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의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 그룹 단말 제어 장치 310 : 제어부
320 : 가입자 관리부 330 : 발신 처리부
340 : 착신 처리부 350 : 통신망 인터페이스
360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및 착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들은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서비스 중 하나로,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를 들 수 있다.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는 장치 식별번호(CDMA 시스템의 경우Electronic Serial Number; ESN, WCDMA 시스템의 경우 Mobile Equipment Identifier(MEID)) 또는 가입자 식별 번호(CDMA 시스템의 경우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WCDMA 시스템의 경우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IMSI))는 상이하나 전화번호(CDMA 시스템의 경우 Mobile Directory Number; MDN, WCDMA 시스템의 경우 Mobile Station Integrated System Digital Network(MSISDN))가 동일한 복수의 단말을 이용하여, 가입자가 주로 위치하는 장소마다 전화번호 즉, MDN이 동일한 단말을 위치시켜 두어, 이동시마다 단말을 소지하지 않아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집, 사무실, 자동차마다 전화번호가 동일하되, 장치 식별번호(ESN) 또는 가입자 식별 번호(MIN)가 상이한 단말을 위치시켜 두면, 집에서 자동차로, 자동차에서 사무실로 이동하는 경우 단말을 휴대하고 이동하지 않아도, 매 위치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현재는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발신 또는 착신 제어 기술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따라서 전화번호가 동일한 복수의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효율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에서 사용자별로 원하는 발신 또는 착신 권한을 등록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발신 또는 착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그룹 단말 제어 장치는 장치 식별번호 또는 가입자 식별번호가 상이하고, 동일한 전화번호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그룹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로서,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그룹의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매핑되는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가입자 관리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그룹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신 권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발신 권한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에 제공하여 발신 절차를 제어하는 발신 처리부;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 그룹 사용자 단말로부터 착신 권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 그룹에 포함된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의 착신이 인지되는 경우 상기 착신 권한 관련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에 제공하여 착신 절차를 제어하는 착신 처리부;를 포함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그룹 단말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룹 단말 제어 시스템은 장치 식별번호 또는 가입자 식별번호가 상이하나 동일한 전화번호를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10-1~10-n)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그룹(10), 이동통신 단말 그룹(10)으로 음성 및/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20) 및 이동통신망(20)과 접속되어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발신 권한 및 착신 권한 관련 정보를 관리하며, 해당 가입자가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 권한을 참조하여 발신 절차를 제어하고, 착신이 인지되는 경우 착신 권한을 참조하여 착신 절차를 제어하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는 이동통신망(20)을 통해 가입자 정보, 발신 및 착신 권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며, 유선 통신망(50)을 통해 유선 통신 단말(40)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동통신망(20)은 기지국(22), 기지국 제어기(24), 교환기(26) 및 홈위치 등록기(28) 등을 포함하고,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는 홈위치 등록기(28)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 가입자로부터 발신이 요구되는 경우 또는 이동통신 단말로 착신이 인지되는 경우, 홈위치 등록기(28)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부터 전송받은 가입자 정보를 참조하여 발신을 요청한 단말 또는 착신이 인지된 단말이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인지 확인하고,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인 경우 발신 권한 또는 착신 권한을 확인하여 발신 또는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홈위치 등록기(28)와 접속되는 인증 센터(60)는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인증 절차시, 적법한 가입자인지 인증하기 위해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의 전화번호, 가입자 식별번호, 장치 식별번호 및 인증키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인증 센터(60)에서, 단말의 인증은 MDN과 인증키가 동일한 경우, 또는 MDN은 동일하나 인증키가 단말마다 다른 경우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MDN과 인증키가 동일한 경우에는 그룹 단말에 포함된 각각의 단말이 MIN 또는 ESN이 다르므로 MIN 또는 ESN을 입력값으로 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MDN은 동일하나 단말마다 인증키가 다른 경우에는 인증센터(60)에서 각 단말별로 인증키를 관리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키를 인증센터(6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키와 비교하여 단말을 인증한다.
아울러, 인증센터(60)는 단말의 MIN 또는 ESN별로 발호 내역 및 발호 카운트값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후 과금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그룹 단말 제어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는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10), 가입자 관리부(320), 발신 처리부(330), 착신 처리부(340), 유무선 통신망과의 프로토콜 변환을 위한 통신망 인터페이스(350) 및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한다.
가입자 관리부(320)는 이동통신망(20) 또는 유선통신망(50)을 통해,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 그룹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360)에는 하나의 전화번호(MDN)에 매핑되는 복수의 가입자 식별번호(MIN1~MINn) 및/또는 장치 식별번호(ESN1~ESNn)가 저장된다.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에 사용되는 단말은 전화번호(MDN)와 가입자 식별번호(MIN)는 동일하나 장치 식별번호(ESN)이 상이한 단말이 될 수도 있고, 전화번호(MDN)는 동일하나 가입자 식별번호(MIN)와 장치 식별번호(ESN)는 상이한 단말이 될 수도 있다.
발신 처리부(330)는 이동통신망(20) 또는 유선통신망(50)을 통해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별 발신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하는 한편, 해당 가입자가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발신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이동통신망(20)의 교환기(26) 또는 홈위치 등록기(28)에 제공하여 발신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발신 권한은 특번 발신 모드와 모든 단말 발신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특번 발신 모드는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 그룹(10)에 포함된 단말 중 어느 하나를 발신 전용으로 이용할 것을 발신 처리부(330)에 등록함에 따라 해당 단말을 통해서 발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드로서, 가입자는 발신 전용으로 사용할 단말의 식별번호(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발신 처리부(330)로 제공하여야 하고, 모든 단말 발신 모드는 모든 단말을 이용하여 발신이 가능한 모드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발신 권한은 가입자가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에 직접 접속하여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고, 홈위치 등록기(28)에 등록한 후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가 홈위치 등록기(28)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착신 처리부(340)는 이동통신망(20) 또는 유선통신망(50)을 통해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별 착신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하는 한편, 해당 가입자로의 착신이 인지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착신 권한과 관련된 정보를 이동통신망(20)으로 제공하여 착신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착신 권한은 모든 단말 착신 모드, 우선 순위 착신 모드, 특번 착신 모드, 최근 사용 단말 착신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모든 단말 착신 모드는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에게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이동통신 단말 그룹(10)을 구성하는 모든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우선 순위 착 신 모드는 가입자가 지정한 순서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 그룹을 구성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번호(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지정된 순서대로, 지정된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번 착신 모드는 가입자가 이동통신 단말 그룹을 구성하는 이동통신 단말 중 착신 전용으로 이용할 어느 하나의 단말 식별번호(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에 직접 또는 홈위치 등록기(28)를 통해 등록함에 따라 해당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최근 사용 단말 착신 모드는 가입자가 최근에 발신 또는 착신에 사용한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착신 모드가 예를 들어 우선 순위 착신 모드인 경우, 교환기(26)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의 제어에 의해 우선 순위에 따라 지정된 시간 동안 페이징을 수행하고, 지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가입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다음 우선 순위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며, 지정된 시간 내에 가입자가 페이징에 응답하는 경우에는 통화로를 형성하고 더 이상 다음 우선 순위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신 모드가 예를 들어 특번 착신 모드인 경우, 교환기(26)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의 제어에 따라 착신 전용으로 등록된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지정된 시간 내에 가입자가 응답하지 않으면, 이를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의 착신 처리부(340)로 보고한다. 이에 따라 착신 처리부(340)는 착신 권한을 모든 단말 착신 모드 또는 우선 순위 착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른 단말 정보를 교환기(26)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착신 처리부(340)는 이동통신망(20)으로부터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로의 착신 사실과 함께 부가정보(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기 등록된 착신 권한을 무시하고, 발신자가 지정한 이동통신 단말로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그룹 단말 제어 장치 및 인증 센터에서 각각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의 일 예시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의 데이터베이스(360)에는 전화번호(MDN), 이에 매핑되는 가입자 식별번호(MIN1~MINn), 장치 식별번호(ESN1~ESNn), 발신 권한, 착신 권한 및 기타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b는 인증 센터(60)에서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의 일 예시도이다.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이용자는 인증 방식 즉, 동일 인증키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독립 인증키를 사용하는 경우에 따라 각기 다른 인증키를 이용하여 가입자 인증이 이루어진다.
먼저, 전화번호와 인증키가 동일한 경우에는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인증키로 사용한다. 이 경우, 도 3b의 인증 방식 필드에는 동일 인증키를 사용하는 경우의 인증 방식임이 표시되게 되고, 각 인증키 필드는 널(Null)로 비워 둔다.
한편, 전화번호는 동일하나 인증키가 각기 다른 경우에는 단말마다 각기 다르게 부여되어 있는 인증키를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인증 센터의 인증키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키와 비교하는 과정에 의해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 경 우, 도 3b의 인증 방식 필드에는 독립 인증키를 사용하는 경우의 인증 방식임이 표시되게 되고, 인증키 필드에는 각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마다 각기 다르게 부여된 인증키가 기록되게 된다.
한편, 인증 센터(60)에서 관리하는 가입자 정보는 콜 히스토리 카운트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증 센터는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이용자가 발호 또는 착호 서비스를 이용함에 따라, 해당 발호 또는 착호 서비스가 이루어진 횟수를 각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 별로 카운트하고, 카운트 횟수를 해당 필드에 저장한다. 이러한 카운트 값은 이후 과금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홈위치 등록기가 교환기로 발신 금지 단말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두고, 발신 금지 단말로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이 발신을 요청한 경우 해당 단말의 발신을 금지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위하여,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에 가입함에 따라,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의 가입자 관리부(320)는 전화번호(MDN), 그리고 이에 매핑되는 가입자 식별번호(MIN) 또는 장치 식별번호(ESN)를 데이터베이스(360)에 등록하며(S101),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의 발신 처리부(330)는 발신 권한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한 후 홈위치 등록기(28)로 발신 권한 정보를 전송한다(S103, S105). 여기에서, 가입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발신 권한을 등록할 수 있다. 특히, 특번 발신 모드로 발신 권한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가입자가 발신 전용으로 사용할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번호(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와 특정 코드를 직접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 직접 전송하면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가 발신 권한 정보를 홈위치 등록기(28)로 전송할 수 있고, 또는 홈위치 등록기(28)를 통해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 전송함으로써 발신 권한을 등록할 수 있다.
이후, 홈위치 등록기(28)는 교환기(26)로 발신 금지 정보 즉, 단일 번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사용자가 특번 발신 모드로 발신 권한을 설정한 경우, 그룹 단말 중 발신 권한이 없는 단말 정보를 교환기(26)로 전송한다(S107).
이와 같이 등록된 상태에서,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가 발신을 시도함에 따라(S109), 발신 요청 메시지는 교환기(26)로 전송되고, 교환기(26)는 홈위치 등록기(28)로부터 기 수신한 발신 금지 정보를 참조하여, 발신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의 장치 식별번호 또는 가입자 식별번호가 발신 금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111).
확인 결과, 발신 금지 단말이 아닌 경우에는 이후의 발신 절차를 수행하고(S113), 발신이 금지된 단말인 경우에는 이를 이동통신 단말로 알려 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위치 등록기가 교환기로,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요청시 발신 권한을 확인하도록 하는 트리거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두고, 교환기의 질의에 따라 홈위치 등록기가 발신 권한을 확인하여 교환기로 제공한다.
단계 S201 내지 S205는 도 4의 단계 S101 내지 S105와 동일한 단계이므로 구 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홈위치 등록기(28)는 교환기(26)로,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요청시 발신 권한을 확인하도록 하는 트리거 정보를 미리 전송하고(S207),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S209) 교환기(26)는 발신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에 발신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지 홈위치 등록기로 질의한다(S211).
이에 따라 홈위치 등록기(28)는 단계 S205에서 수신한 발신 권한 정보와, 교환기(26)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권한을 확인한 후(S213), 확인 결과를 교환기(26)로 제공한다(S215).
그리고, 교환기(26)는 단계 S215에서 수신한 확인 결과에 따라, 발신 권한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이후의 발신 절차를 수행하고(S217), 발신이 금지된 단말인 경우에는 이를 이동통신 단말로 알려 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위치 등록기가 교환기로,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요청시 발신 권한을 확인하도록 하는 트리거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두고, 교환기의 질의에 따라 홈위치 등록기가 그룹 단말 제어 장치에 접속하여 발신 권한을 확인한 후 교환기로 제공한다.
단계 S221 및 S223은 도 4의 단계 S101 및 S103과 동일한 단계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홈위치 등록기(28)는 교환기(26)로,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요청시 발신 권한 을 확인하도록 하는 트리거 정보를 미리 전송하고(S225),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S227) 교환기(26)는 발신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에 발신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지 홈위치 등록기(28)로 질의한다(S229).
이에 따라 홈위치 등록기(28)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 발신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의 발신 권한을 조회해 줄 것을 요청한다(S231).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는 단계 S223에서 등록해 둔 발신 권한 정보와, 홈위치 등록기(28)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권한을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홈위치 등록기(28)로 제공한다(S233).
이를 수신한 홈위치 등록기(28)는 발신 권한 정보를 교환기(26)로 전송하고(S235), 교환기(26)는 단계 S235에서 수신한 확인 결과에 따라, 발신 권한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이후의 발신 절차를 수행하고(S237), 발신이 금지된 단말인 경우에는 이를 이동통신 단말로 알려 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위치 등록기가 교환기로,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요청시 발신 권한을 확인하도록 하는 트리거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두고, 교환기의 질의에 따라 홈위치 등록기가 교환기로, 그룹 단말 제어 장치에 접속하여 발신 권한을 확인하도록 한다.
단계 S241 내지 S245은 도 6의 단계 S221 내지 S225와 동일한 단계이므로 구 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S247) 교환기(26)는 발신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에 발신 권한이 부여되어 있는지 홈위치 등록기(28)로 질의한다(S249).
이에 따라 홈위치 등록기(28)는 교환기로,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 접속하여 발신 권한을 확인하도록 하는 접속 정보를 전송하고(S251), 이에 따라 교환기(26)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 발신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의 발신 권한을 조회해 줄 것을 요청한다(S253).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는 단계 S243에서 등록해 둔 발신 권한 정보와, 교환기(26)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권한을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교환기(26)로 제공한다(S255).
이를 수신한 교환기(26)는 발신 권한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이후의 발신 절차를 수행하고(S257), 발신이 금지된 단말인 경우에는 이를 이동통신 단말로 알려 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위치 등록기가 교환기로,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요청시 발신 권한을 확인하도록 하는 트리거 정보를 미리 전송하여 두고,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요청에 따라 교환기가 그룹 단말 제어 장치에 직접 접속하여 발신 권한을 확인한다.
단계 S261 내지 S265는 도 6의 단계 S221 내지 S225와 동일한 단계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S267) 교환기(26)는 단계 S265에서 수신한 트리거 정보에 따라, 그룹 단말제어 장치(30)로 발신을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의 발신 권한을 조회해 줄 것을 요청한다(S269).
이에 따라,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는 단계 S263에서 등록해 둔 발신 권한 정보와, 교환기(26)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발신 권한을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교환기(26)로 제공한다(S271).
이를 수신한 교환기(26)는 단계 S271에서 수신한 확인 결과에 따라, 발신 권한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이후의 발신 절차를 수행하고(S273), 발신이 금지된 단말인 경우에는 이를 이동통신 단말로 알려 준다.
도 4 내지 도 8에서, 해당 발신 단말이 발신 권한이 없는 단말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교환기(26)는 단말로 Origination_Indicator 메시지(WCDMA 시스템의 경우 Operator Determined Barring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신이 금지되었음을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 그룹 중 어느 하나를 발신 전용으로 등록하여 두고, 해당 단말로부터의 발신 요청만을 정상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등록되지 않은 단말을 통한 타인의 악의적인 발신 시도에 따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발신 권한은 가입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으며, 특번 발신 모드인 경우 발신 전용 단말 또한 가입자가 해당 단말을 통한 발신 권한 등록 요청(예를 들어, 특정 코드를 그룹 단말 제어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홈위치 등록기를 경유하여 그룹 단말 제어 장치로 전송)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착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위하여,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에 가입함에 따라,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의 가입자 관리부(320)는 전화번호(MDN), 그리고 이에 매핑되는 가입자 식별번호(MIN) 또는 장치 식별번호(ESN)를 데이터베이스(360)에 등록하며(S101),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의 착신 처리부(340)는 착신 권한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03). 여기에서, 가입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착신 권한을 등록할 수 있으며 특히, 특번 착신 모드로 착신 권한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가입자가 착신 전용으로 사용할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식별번호(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와 특정 코드를 직접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 직접 전송하거나, 홈위치 등록기(28)를 통해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 전송함으로써 착신 권한을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록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망(20)으로부터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 해당 가입자로의 착신 사실(발신번호, 착신번호 등)이 통보됨에 따 라(S301), 착신 처리부(340)는 해당 가입자의 착신 권한을 확인한다(S303).
확인 결과, 모든 단말 착신 모드인 경우, 착신 처리부(340)는 이동통신망(20)의 교환기(26)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 그룹에 포함된 모든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할 것을 지시한다(S305).
만약, 단계 S303의 확인 결과 우선 순위 착신 모드인 경우, 착신 처리부(340)는 교환기(26)로 최우선 순위의 단말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착신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며, 가입자가 이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교환기(26)가 이를 착신 처리부(340)로 보고함에 따라, 착신 처리부(340)는 다음 우선순위의 단말 식별번호를 교환기(26)로 제공하여 착신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S307). 보다 구체적으로, 착신 처리부(340)가 교환기(26)로 제 1 우선순위 단말 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지정된 시간 내에 가입자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 착신 처리부(340)로 이를 보고하여, 제 2 우선순위 단말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교환기가 제 2 우선순위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가입자가 응답하는 경우 통화로를 설정하고, 이후의 우선순위 단말로는 페이징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단계 S303의 확인 결과 특번 착신 모드인 경우, 착신 처리부(340)는 교환기(26)로 착신 전용으로 설정된 단말 식별번호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로의 창신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S309). 도시하지 않았지만, 착신 전용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한 후 가입자가 지정된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으면, 교환기(26)는 이를 착신 처리부(340)로 보고하며, 이에 따라 착신 처리부(340)가 착신 권한을 모든 단말 착신 모드 또는 우선 순위 착신 모드로 착신 권한을 변경하여, 호 접속 성공률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단계 S303의 확인 결과 최근 사용 단말 착신 모드인 경우, 착신 처리부(340)는 홈위치 등록기(28)로부터 해당 가입자가 가장 최근에 발신 또는 착신에 사용한 단말 식별번호를 수신하여 교환기(26)로 전송하며, 상기 식별번호로 착신 절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311). 이 경우에도 가입자가 지정된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으면, 상술한 모든 단말 착신 모드 또는 우선 순위 착신 모드로 착신 권한을 변경하여, 호 접속 성공률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신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발신자가 발신 번호에 부가 정보를 포함시켜 발신을 수행한 경우의 발신 제어 방법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부가정보는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 그룹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지정하기 위해 추가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S101 및 S105는 상술한 도 9의 절차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입자 정보 및 착신 권한이 등록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망(20)으로부터 그룹 단말 제어 장치(30)로 해당 가입자로의 착신 사실(발신번호, 착신번호, 부가정보 등)이 통보됨에 따라(S301), 착신 처리부(340)는 발신측이 입력한 정보에 부가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401).
단계 S401의 확인 결과 발신측이 입력한 정보에 부가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착신 처리부(340)는 부가정보가 지시하는 단말 식별번호(가입자 식별번호 또 는 장치 식별번호)를 교환기(26)로 전송하여 해당 단말로 착신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S403).
반면, 단계 S401의 확인 결과, 부가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도 9의 단계 S303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절차가 진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자가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 소유한 단말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의 위치에 따른 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가입자가 발신자와 통화가 불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무리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그룹 단말의 착신 및 발신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룹 단말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그룹 단말의 권한에 따라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전화번호/복수 단말 서비스 가입자가 지정한 발신 권한 또는 착신 권한에 따라, 가입자가 원하는 단말을 이용하여 발신 또는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신자가 지정하지 않은 단말을 통한 악의적인 발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착신을 거부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페이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동일한 전화번호를 가지나 서로 다른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가지는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상기 동일한 전화번호와 상기 서로 다른 가입자 식별번호 또는 장치 식별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가입자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발신이 가능한 단말이 지정된 발신 권한을 포함하는 발신 권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의 발신 시도가 있을 때, 상기 발신 권한에 따라 상기 하나의 단말의 발신을 처리하거나, 또는 금지시키도록 상기 발신 권한정보를 홈위치 등록기에 제공하는 발신 처리부;를 포함하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권한은 특번 발신 모드 또는 모든 단말 발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특번 발신 모드는 발신 전용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등록하여, 등록된 단말을 통해서 발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드이고,
    상기 모든 단말 발신 모드는 상기 복수의 단말 모두가 발신이 가능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들 중 착신이 이루어져야 하는 단말이 설정된 착신 권한을 포함하는 착신 권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에 대한 착신 시도가 있을 때, 상기 착신 권한에 따라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착신 권한 정보를 홈위치 등록기에 제공하는 착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권한은 모든 단말 착신 모드, 우선 순위 착신 모드, 특번 착신 모드 및 최근 사용 단말 착신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모든 단말 착신 모드는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복수의 단말 모두에 페이징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우선 순위 착신 모드는 상기 복수의 단말에 대해 지정된 순서대로, 지정된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특번 착신 모드는 착신 전용으로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등록하여, 등록된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모드이고,
    상기 최근 사용 단말 착신 모드는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최근에 발신 또는 착신이 이루어진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권한이 특번 착신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 전용으로 등록된 단말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상기 등록된 단말이 지정된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착신 처리부는 상기 착신 권한을 모든 단말 착신 모드 또는 우선 순위 착신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의 착신 사실과, 착신 단말을 지정하는 부가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착신 권한을 무시하고, 부가정보에 따라 지정된 단말로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룹 단말 제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070028075A 2007-03-22 2007-03-22 그룹 단말 제어 장치 KR10131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075A KR101310113B1 (ko) 2007-03-22 2007-03-22 그룹 단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075A KR101310113B1 (ko) 2007-03-22 2007-03-22 그룹 단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209A KR20080086209A (ko) 2008-09-25
KR101310113B1 true KR101310113B1 (ko) 2013-09-23

Family

ID=4002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075A KR101310113B1 (ko) 2007-03-22 2007-03-22 그룹 단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5131A (ko) 2010-12-10 2012-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단말 가상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2160697B1 (ko) * 2018-10-25 2020-09-28 주식회사 케이티 착신 그룹의 대표 모회선 번호를 이용한 그룹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074B1 (ko) * 1997-05-28 1999-08-16 이계철 통신망에서 단일번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방법
KR20000044310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원넘버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93595A (ko) * 2002-06-03 2003-12-11 황연희 단일번호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84365A (ko) * 2003-03-28 2004-10-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하나의이동전화번호로 이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6074B1 (ko) * 1997-05-28 1999-08-16 이계철 통신망에서 단일번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방법
KR20000044310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원넘버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93595A (ko) * 2002-06-03 2003-12-11 황연희 단일번호 호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84365A (ko) * 2003-03-28 2004-10-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하나의이동전화번호로 이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209A (ko)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1430B2 (ja) 無線電話サービスにおける加入者への呼のルーティング方法
CA2831149C (en) A method of and a support node for requesting registration of stationary user equipment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CN102057726B (zh) 处理移动设备到受限制区域的漫游的方法
JP2002505056A (ja) ターミナル装置の使用を制限する方法
WO2001031964A1 (en) Dynamically controlled group call services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20130119508A (ko)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국, 기지국, 게이트웨이 장치, 코어 네트워크 장치, 통신 방법
EP1264501A1 (en) Method and devices for improved location upda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691067A1 (en) Providing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310113B1 (ko) 그룹 단말 제어 장치
KR100848454B1 (ko) 가입자 통합 관리를 위한 사설 무선망 통합 서비스 시스템및 시그널링 처리 방법
KR101537392B1 (ko) 홈 기지국에서 시그널링 트래픽을 최소화하는 방법
KR20000039226A (ko) 로밍중인 이동 전화기의 서비스검색 방법
KR20110058433A (ko) 통신 시스템에서 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3406992B2 (ja) 移動端末の接続制御システム
KR20000013145A (ko) 이동망에서 가상 사설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11555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15714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불법 이동 단말기의 시스템 액세스 제한방법
KR100933871B1 (ko) 착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착신제어 방법
KR100233910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이동 단말기 분실에 따른 안내 방송서비스 방법
CN112533205A (zh) 基于非运营商无线网络实现智能通信的方法及系统
KR10032618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호 방향 전환 방법
KR20120028705A (ko) 해외로밍 가입자의 위치등록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645111B1 (ko) 착신 제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78430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9695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선택적 착신 거부 해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