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580B1 -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580B1
KR101309580B1 KR1020120034434A KR20120034434A KR101309580B1 KR 101309580 B1 KR101309580 B1 KR 101309580B1 KR 1020120034434 A KR1020120034434 A KR 1020120034434A KR 20120034434 A KR20120034434 A KR 20120034434A KR 101309580 B1 KR101309580 B1 KR 10130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fixing
tilt
tilt plate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티
Priority to KR102012003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25J15/0683Details of suction cup structure, e.g. grooves or 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with air blasts producing partial vacu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8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 H01L21/677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with angular orientation of the work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9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with angular orientation of work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업툴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픽업툴 고정장치에 있어서, 픽업툴의 기울임 각도 및 기울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10), 브라켓(10)에 지지되는 작동축(20), 작동축(20)의 하단에 설치되는 툴고정축(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툴고정축(30)의 하단에 픽업툴(50)을 장착하게 한 픽업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20)의 하부에 접촉되는 상면을 경사면(61)으로 조성한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부에 접촉되는 저면을 경사면(71)으로 조성한 제2 틸트플레이트(70)가 서로 겹쳐져 상기 작동축(20) 및 툴고정축(30)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여유있게 관통하여 하단을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단에 고정한 툴고정축 장착수단을 상기 작동축(20)에서 탄성적으로 당기게 장착한다.

Description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DEVICE FOR PICKUP-TOOL WITH TILT ADJUSTIONG MEANS}
본 발명은 픽업툴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픽업툴 고정장치에 있어서, 픽업툴의 기울임 각도 및 기울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툴 고정장치는 제품을 조립하는 공정에서 각종 부품을 들어올리고 내려놓는 데 사용되는 픽업툴을 장착하는 장치로서, 자동 생산 라인에서 부품을 제품의 적소에 장착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픽업툴의 예를 들면, 반도체 소자를 흡착 및 흡착 해제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이러한 픽업툴을 장착한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반도체 소자를 회로 기판 상의 적소에 실장할 수 있다.
이러한 픽업툴 고정장치에 관련된 종래기술들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261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8697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98806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었으며, 이들 종래기술들에 의한 픽업툴 고정장치를 살펴보면, 브라켓, 브라켓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작동축, 작동축의 하단에 고정되는 툴고정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툴고정축의 하단에 픽업툴을 설치하게 한다. 그리고, 작동축을 회전 또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픽업툴이 설치되는 툴고정축의 기울임 각도 및 기울임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지 아니하여서, 픽업툴이 장착되는 툴고정축과 부품이 설치되는 면 간의 상대 위치 및 누름 방향에 따라 제품의 불량 여부가 결정되는 조립 공정에서는 어려움을 갖게 된다.
툴고정축의 기울임 각도 및 기울임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이유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소형의 카메라모듈을 필수적으로 장착하는 데, 이러한 카메라모듈의 수광소자에 필터용 또는 각기 다른 용도의 쇼크마운트를 픽업하여 부착할 때에, 쇼크마운트 전체를 균일한 압력으로 눌러주지 못하면 불량 처리되므로 쇼크마운트 전체를 수광소자 측에 균일한 압력으로 눌러줘야 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들로는 이러한 쇼크마운트를 픽업툴로 눌러줄 때에 픽업툴의 중심 위치 및 기울임 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89347호에서처럼 중심점을 조절하는 기술도 종래에 있었으나, 번거롭게 부가적인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며, 툴고정축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술은 제시하지도 아니하였다. 다시 말해서, 픽업툴을 장착한 픽업툴 고정 장치를 조립 공정 라인에 설치한 상태에서 조립 공정 라인의 상황에 맞게 툴고정축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균입한 면압으로 부품을 눌러줄 수 있는 픽업툴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더욱이, 실제 조립 공정 라인에서 사용되는 픽업툴 고정장치의 경우에, 툴고정축의 기울임 각도의 조절로 픽업툴의 중심점 이동을 적어도 수십 내지 수백 ㎛ 단위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툴고정축의 기울임을 고정밀도로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KR 10-2009-0122614 A 2009.12.01. KR 10-2010-0068697 A 2010.06.24. KR 10-0798806 B1 2008.01.22. KR 10-2010-0089347 A 2010.08.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픽업툴이 고정되는 툴고정축의 기울임 각도 및 기울임 방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툴고정축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수단을 장착하되, 픽업툴 고정장치의 구조변경을 최소화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추고 픽업툴 고정장치의 크기 증가도 최소화하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브라켓(10), 브라켓(10)에 지지되는 작동축(20), 작동축(20)의 하단에 설치되는 툴고정축(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툴고정축(30)의 하단에 픽업툴(50)을 장착하게 한 픽업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20)의 하부에 접촉되는 상면을 경사면(61)으로 조성한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부에 접촉되는 저면을 경사면(71)으로 조성한 제2 틸트플레이트(70)가 서로 겹쳐져 상기 작동축(20) 및 툴고정축(30)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여유있게 관통하여 하단을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단에 고정한 툴고정축 장착수단을 상기 작동축(20)에서 탄성적으로 당기게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경사면(61, 71)은,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가 서로 접촉되는 면에 조성하는 방식,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각각의 상면에 조성하는 방식, 및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각각의 저면에 조성하는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툴고정축 장착수단은, 하부에 수나사(42)를 구비하고 상부에 볼트머리(41)를 구비한 볼트(40)로 구성되어서, 볼트머리(41)를 잡아주는 플레이트(24)를 상기 작동축(20)의 하부에 고정하고,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면에 암나사홈(32)을 조성하여 수나사(42)를 나사체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24)는, 볼트(40) 몸체를 여유있게 관통시키는 볼트삽입구(241); 및 상면에서 볼트삽입구(241)의 주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머리(41)를 여유있게 삽입하는 볼트머리안착홈(242)를 구비하고, 눌림에 대해 팽창하려는 복원력을 갖는 신축성 오링(80)을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에 삽입하여 볼트머리(41)에 눌리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은, 상기 오링(80)이 삽입되는 부위를 테이퍼(taper) 형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머리(41) 및 볼트머리안착홈(242)에 걸쳐져 형성되는 핀삽입홈(243, 43)이 형성되어, 핀(44)를 상기 핀삽입홈(243, 43)에 삽입하여 볼트의 회전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24)와 제1 틸트플레이트(60) 간의 접촉면 또는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 간의 접촉면에 오링홈을 조성하여 상기 오링홈에 오링(81, 82)을 삽입하되, 상기 오링홈은 깊이에 비해 폭이 넓고, 상기 오링(81, 82)은 오링홈의 깊이에 비해 큰 두께값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픽업툴(50)이 고정되는 툴고정축(30)의 기울임 각도 및 기울임 방향을 제1,2 틸트플레이트(60, 70)의 회전만으로 용이하고 조절할 수 있으며, 제1,2 틸트플레이트(60, 70)에 조성되는 경사면(61, 71)의 경사각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툴고정축(30)의 기울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40)를 이용하여 툴고정축(30)을 장착하고, 오링(80)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발휘하게 하여서 간단한 구조이면서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므로, 종래 픽업툴 고정장치의 구조변경을 줄이며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링(80)을 이용한 탄성력의 발휘, 및 오링(80)이 안착되는 부위의 테이퍼(taper) 처리로 인하여, 툴고정축(30)에 나사체결된 볼트가 기울어지더라도 오링(80)의 탄성력을 볼트머리의 둘레에 최소 편차로 전달하므로, 제1,2 틸트플레이트(60, 70)의 회전에 따른 툴고정축(30)의 기울임을 부드럽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24)와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사이 및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사이에 설치되는 오링(81, 82)으로 회전을 방지하는 마찰력을 가하므로, 픽업툴(50)을 이용한 부품을 반복적으로 픽업하는 조립 공정에서 기울기를 재차 조절하지 않고 연속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의 분리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는 물체를 픽업하는 픽업툴(50)를 하단에 장착하는 툴고정축(30), 툴고정축(30)을 상부에서 잡아주는 작동축(20), 작동축(20)을 지지하는 브라켓(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픽업툴 고정장치의 사용 예를 들면, 브라켓(10)를 이동수단(미도시)에 고정한 상태에서 부품을 픽업툴(50)로 흡착하여 제품 조립 라인에 옮겨 장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상기 도 1은, 픽업툴(50)이 진공흡착수단으로 구성된 예를 보여주며, 툴고정축(30)의 측면에 진공흡입구(52)를 구비하여 진공흡입구(52)와 픽업툴(50) 사이를 툴고정축(30)의 내부통로로 연통되게 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고정축(30)의 위치를 센서(미도시)로 감지하여 정확한 위치를 잡게 하는 기준플레이트(51) 및 하부를 조명하거나 위치를 감지하는 장치(53)와 같은 부가적인 구성도 툴고정축(30)에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픽업툴(50) 및 부가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사용되는 생산 공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브라켓(10)에 상하 방향의 관통구(11)를 형성하고 관통구(11)에 베어링(12)을 설치하며, 작동축(20)을 관통구(11)에 관통시킨 후에 작동축(20)의 상단에 조성된 수나사(22)에 너트(23)를 나사체결하여서 작동축(20)을 브라켓(10)에 장착한다. 이에 따라, 브라켓(10)의 하부로 돌출된 작동축(20)의 하단에 상기한 툴고정축(30)를 설치한 상태에서 작동축(20)을 회전함으로써 툴고정축(30)의 하단에 장착한 픽업툴(50)을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축(20)의 회전구조는 본 발명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조는 아니고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작동축(20)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축(20)의 하단에 장착되는 툴고정축(30)의 기울기 및 기울임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툴고정축(30)의 기울기 및 기울임 방향을 조절하는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작동축(20)과 툴고정축(30)의 사이에 개재하고,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개재한 상태에서 툴고정축(30)이 작동축(20)을 향해 탄성력을 받아 당겨지게 하는 툴고정축 장착수단이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프플레이트(70)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아울러, 툴고정축 장착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플레이트(24)도 상기 작동축(20)의 하단에 구비된다.
제1 틸트플레이트(60), 제2 틸트플레이트(70), 툴고정축 장착수단, 및 플레이트(24)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분리 단면도이다.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는 전체적으로 보면 원판에 가깝게 형성되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작동축(20)과 툴고정축(30)의 사이에 개재되되, 툴고정축 장착수단에 의해 여유있게 관통되어 약간의 유동을 갖으며 회전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상면은 경사면(61)으로 조성되어 상기 작동축(20)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플레이트(24)에 접촉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저면도 경사면(71)으로 조성되어 툴고정축(30)의 상단(후술하는 제2 플랜지, 31)에 접촉된다.
여기서 경사면(61, 71)이라 함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에서 일면을 경사지게 절삭하여 타면과의 두께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한 면을 말한다. 그리고, 경사면(61, 71)이 도면에서 가시적으로 보이지 아니하는 것은, 툴고정축(30)의 기울기 조절로 픽업툴(50)의 위치를 수십 내지 수백㎛ 단위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경사면(60, 71)의 경사각을 매우 작게 조성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경사면(61, 71)을 갖는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겹쳐서 작동축(20)과 툴고정축(30)의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회전 위치에 따라 툴고정축(30)의 기울기 및 기울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작동축(20)에서 상기 툴고정축 장착수단을 이용하여 툴고정축(30)을 탄성적으로 당겨지게 하므로, 작동축(20)의 플레이트(24)와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사이,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사이, 제2 틸트플레이트(70)와 제2 플랜지(31)의 사이가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툴고정축 장착수단이 관통되는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관통구(62, 72)에 여유가 있으므로, 툴고정축(30)이 기울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툴고정축 장착수단을 탄성적으로 당긴다는 의미는, 툴고정축 장착수단을 하부로 당겨 약간씩 하향 이동할 수 있으나 하부로 당기면 상부로 이동하게 하는 탄성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가 안정적으로 겹쳐지게 하기 위해서,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저면에서 관통구(62)를 중심으로 원의 단면을 갖는 돌출부(63)를 형성하고,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상면에서 관통구(72)를 중심으로 원의 단면을 갖는 삽입홈(73)을 조성하여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가 겹쳐질 때에 돌출부(63)가 삽입홈(73)에 끼워지게 한다. 이때, 삽입홈(73)의 지름은 관통구(72)의 지름보다 크게 하여 여유 공간을 마련하고, 이와 같이 마련된 여유 공간에 오링(81)을 삽입한다.
상기 삽입홈(73)에 삽입되는 오링(81)은 삽입홈(73)의 깊이보다 큰 두께를 갖게 하여서,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서로 밀착시킬 때에 눌리게 한다. 이에 따라,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는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오링(81)에 의한 마찰력을 받으므로, 억지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상면 및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저면에 각각 경사면(61, 70)을 조성하였으나, 경사면의 조성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가 서로 접촉되는 면에 조성하는 제1 방식,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상면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상면에 조성하는 제2 방식,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저면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저면에 조성하는 제3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상기한 제1,2,3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용하고,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저면 돌출부(63)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상면 삽입홈(73)을 조성할 경우에는,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상대적 회전 시에 돌출부(63)를 삽입홈(73)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하고 동시에 테두리쪽의 접촉면도 밀착하는 조건을 만족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상면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저면에 경사면을 조성하는 것이 제작상 유리하다. 부연하면,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저면에 경사면을 조성할 때에 돌출부(63)의 저면에만 경사면을 조성하여 삽입홈(73)의 바닥에 밀착시키고 테두리쪽은 경사면을 조성하지 아니하면, 제1 틸트플레이트(60)에 대해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회전으로 테두리쪽의 이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회전시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하려면, 테두리쪽에도 돌출부(63)와 동일하게 경사를 조성해야하는 데, 이러한 테두리쪽의 경사면 조성은 매우 번거롭기 때문이다.
상기 툴고정축 장착수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에 수나사(42)를 구비하고 상부에 볼트머리(41)를 구비한 볼트(40)로 구성되어서, 상기 작동축(20)의 하단에 장착되는 플레이트(24)에 의해 볼트머리(41)를 잡힌 상태에서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면에 나사체결로 고정된다.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단에는 접촉면적을 크게 하는 제2 플랜지(31)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40)의 수나사(42)에 나사체결되는 암나사홈(32)도 형성된다.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볼트(40)를 탄성적으로 당기게 장착되는 상기 플레이트(24)는, 전체적인 윤관만 보면 원판에 가깝고, 중심을 관통시켜 상기 볼트(40)를 삽입하는 볼트삽입구(241)와, 상면에서 볼트삽입구(241)의 주변을 홈 형상으로 파내어 상기 볼트(40)의 볼트머리(41)를 삽입할 수 있게 하는 볼트머리안착홈(24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볼트삽입구(241)는 볼트(40) 몸체의 외경보다는 크게 하여 볼트(40)를 여유있게 관통시키고,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도 볼트머리(41)의 최대 외경보다는 크게 하여 여유를 갖게 하고,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의 깊이를 볼트머리(41)의 높이보다 크게 하여 볼트머리(41)가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24)를 작동축(20)의 하단에 고정하기 위해서 작동축(20)의 하단에 외향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21)를 상기 플레이트(24)의 크기에 맞추어 형성하고, 제1 플랜지(21)를 관통하는 볼트(25)를 상기 플레이트(24)의 테두리에 나사체결한다.
툴고정축 장착수단인 상기 볼트(40)를 탄성적으로 당기기 위한 방식은, 수축에 대해 신장하려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코일형 압축스프링을 볼트머리안착홈(242)의 바닥면과 볼트머리(41) 사이에 개재하는 방식, 아니면, 신장에 대해 수축하려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코일형 인장스프링을 볼트머리(41)의 상부에 설치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하지만,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에 차지하는 장착공간이 커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링(80)을 사용한다.
상기 오링(80)은 눌림에 대해 눌림 이전으로 팽창하려는 복원력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볼트머리안착홈(242)의 바닥면과 볼트머리(41)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수나사(42)로 툴고정축(30)의 암나사홈(32)에 고정된 볼트(40)는 제1,2 틸트플레이트(60, 7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약간씩 유동하며 기울어지더라도 오링(80)에 의해서 상부의 작동축(20)을 향해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어 제1,2 틸트플레이트(60, 70)를 작동축(20)의 플레이트(24) 및 툴고정축(30)의 제2 플랜지(31)로 상하에서 누르듯이 압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에 있어서 상기 오링(80)이 끼워지는 부분은 테이퍼(taper) 형태로 절삭된다. 부연하면,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에서 볼트삽입구(241)의 주변을 테이퍼 형태로 절삭하여 하부로 갈수록 내경을 점차 작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테이퍼 형태로 조성한 부위에 상기 오링(80)을 안착함으로써 툴고정축(30)의 기울임에 따라 같이 기울어지는 볼트(40)에 안정적으로 탄성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4)의 저면에는 오링(82)을 삽입할 오링홈(245)을 조성하되, 오링홈(245)의 깊이는 오링(82)의 두께보다 작게 하고 오링홈(245)의 폭은 오링(82)의 두께보다 크게 하여서, 상기 플레이트(24)의 저면에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1)를 밀착한 상태에서 오링홈(245)에 삽입되는 오링(82)이 압착되게 한다. 이와 같이 압착되는 오링은 회전하려는 힘에 마찰력을 가하게 한다.
이러한, 오링(82)은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접촉면에 구비한 오링(81)과 동일하게 억지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회전 각을 조절한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오링홈(245)을 상기 플레이트(24)에 조성하였으나 제1 틸트플레이트(60)의 상면에 조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접촉면에서는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삽입홈(73)이 오링홈의 역할을 하지만,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접촉면에서 별도의 오링홈을 조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작동축(20)의 플레이트(24)와 툴고정축(30)의 제2 플랜지(31) 사이에 제1,2 틸트플레이트(60, 70)를 개재한 상태로 볼트(40)로 고정한 후에, 제1 틸트플레이트(60) 또는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회전시키면 나사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된 볼트(40)와 툴고정축(30)도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볼트(40)와 툴고정축(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머리(41)와 볼트머리안착홈(242)에 걸쳐서 형성되는 핀삽입홈(243, 43)이 형성되어, 핀(44)을 핀삽입홈(243, 43)에 삽입함에 따라 볼트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핀(44)의 일부분을 끼우기 위한 볼트머리(41) 측의 핀삽입홈(43)과 핀(44)의 타부분을 끼우기 위한 볼트머리안착홈(242) 측의 핀삽입홈(243)을 형성하고, 볼트를 회전시켜 볼트머리(41) 측의 핀삽입홈(43)과 볼트머리안착홈(242) 측의 핀삽입홈(243)이 서로 마주하게 하고 핀(44)을 삽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핀삽입홈(243, 43)은 상부에서 핀(44)을 삽입하게 형성하고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 측의 삽입홈(243)은 내측면에 홈형상으로 형성하되 상부가 열린 형태로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작동축(20)의 수직방향 중심축에 대한 툴고정축(30)의 기울임 정도 및 기울임 방향을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회전으로 조절 가능하여서, 픽업툴을 사용하는 실제 생산공정에서 픽업툴에 의해 흡착되어 적소에 장착되는 부품의 기울임을 정밀하게 조정함으로써 기울임의 오차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적합한 부품 장착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회전각을 맞춘 후 조립 생상공정을 수행할 시에, 오링(81, 82)에 의해서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가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회전각 조절(툴고정축의 기울임 조절)도 반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작동축(20)을 향해 툴고정축(30)으로 누르게 하는 볼트(40)의 장착구조가 단순하고 차지하는 필요공간도 작아서 전체적으로 크기를 줄이고 조립하기에도 용이하며, 볼트(40)의 상하이동 및 기울임을 원활하게 하여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회전으로 툴고정축(30)의 기울임을 조절하는 작업도 용이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종래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픽업툴 고정장치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브라켓 11 : 관통구 12 : 베어링
20 : 작동축 21 : 제1 플랜지 22 : 수나사
23 : 너트 24 : 플레이트 241 : 볼트삽입구
242 : 볼트머리안착홈 243 : 플레이트측 핀삽입홈 244 : 테이퍼부
30 : 툴고정축 31 : 제2 플랜지 32 : 암나사홈
40 : 볼트 41 : 볼트머리 42 : 수나사
43 : 볼트측 핀삽입홈 44 : 핀 50 : 픽업툴
60 : 제1 틸트플레이트
61 : 경사면 62 : 관통구 63 : 돌출부
70 : 제2 틸트플레이트
71 : 경사면 72 : 관통구 73 : 삽입홈
80, 81, 82 : 오링

Claims (7)

  1. 브라켓(10), 브라켓(10)에 지지되는 작동축(20), 작동축(20)의 하단에 설치되는 툴고정축(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툴고정축(30)의 하단에 픽업툴(50)을 장착하게 한 픽업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20)의 하부에 접촉되는 상면을 경사면(61)으로 조성한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부에 접촉되는 저면을 경사면(71)으로 조성한 제2 틸트플레이트(70)가 서로 겹쳐져 상기 작동축(20) 및 툴고정축(30)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를 여유있게 관통하여 하단을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단에 고정한 툴고정축 장착수단을 상기 작동축(20)에서 탄성적으로 당기게 장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경사면(61, 71)은,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가 서로 접촉되는 면에 조성하는 방식,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각각의 상면에 조성하는 방식, 및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 및 상기 제2 틸트플레이트(70)의 각각의 저면에 조성하는 방식 중에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툴고정축 장착수단은, 하부에 수나사(42)를 구비하고 상부에 볼트머리(41)를 구비한 볼트(40)로 구성되어서, 볼트머리(41)를 잡아주는 플레이트(24)를 상기 작동축(20)의 하부에 고정하고, 상기 툴고정축(30)의 상면에 암나사홈(32)을 조성하여 수나사(42)를 나사체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4)는, 볼트(40) 몸체를 여유있게 관통시키는 볼트삽입구(241); 및 상면에서 볼트삽입구(241)의 주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머리(41)를 여유있게 삽입하는 볼트머리안착홈(242)를 구비하고,
    눌림에 대해 팽창하려는 복원력을 갖는 신축성 오링(80)을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에 삽입하여 볼트머리(41)에 눌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안착홈(242)은, 상기 오링(80)이 삽입되는 부위를 테이퍼(taper) 형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41) 및 볼트머리안착홈(242)에 걸쳐져 형성되는 핀삽입홈(243, 43)이 형성되어, 핀(44)를 상기 핀삽입홈(243, 43)에 삽입하여 볼트의 회전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4)와 제1 틸트플레이트(60) 간의 접촉면 또는 상기 제1 틸트플레이트(60)와 제2 틸트플레이트(70) 간의 접촉면에 오링홈을 조성하여 상기 오링홈에 오링(81, 82)을 삽입하되, 상기 오링홈은 깊이에 비해 폭이 넓고, 상기 오링(81, 82)은 오링홈의 깊이에 비해 큰 두께값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KR1020120034434A 2012-04-03 2012-04-03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KR10130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34A KR101309580B1 (ko) 2012-04-03 2012-04-03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434A KR101309580B1 (ko) 2012-04-03 2012-04-03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580B1 true KR101309580B1 (ko) 2013-09-17

Family

ID=4945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434A KR101309580B1 (ko) 2012-04-03 2012-04-03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5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3230A (zh) * 2016-12-16 2017-08-18 宁波美康盛德生物科技有限公司 吸盘式抓手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2247A (en) 1987-06-17 1989-08-01 Emhart Industries, Inc. Suction pick-up apparatus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JP2005138241A (ja) 2003-11-07 2005-06-02 Daihatsu Motor Co Ltd ピッキング用ツールおよび該ツールを備えたピッキング装置
US7591495B2 (en) 2006-08-18 2009-09-22 King Yuan Electronics Co., Ltd. Pick-up head device with a pushing mechanism
KR20110091081A (ko) * 2010-02-05 2011-08-11 디엔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픽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2247A (en) 1987-06-17 1989-08-01 Emhart Industries, Inc. Suction pick-up apparatus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JP2005138241A (ja) 2003-11-07 2005-06-02 Daihatsu Motor Co Ltd ピッキング用ツールおよび該ツールを備えたピッキング装置
US7591495B2 (en) 2006-08-18 2009-09-22 King Yuan Electronics Co., Ltd. Pick-up head device with a pushing mechanism
KR20110091081A (ko) * 2010-02-05 2011-08-11 디엔씨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진공 흡착패드를 이용한 픽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3230A (zh) * 2016-12-16 2017-08-18 宁波美康盛德生物科技有限公司 吸盘式抓手结构
CN107053230B (zh) * 2016-12-16 2023-07-04 宁波美康盛德生物科技有限公司 吸盘式抓手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2701B2 (en) Toolessly adjustable cupola and photocontrol receptacle assembly
EP2153105A1 (en) An adjustable support head for optical or video/photographic equipment
JP6676340B2 (ja) 位置決め装置
US8710342B2 (en) Steplessly adjustable cymbal locating device
CN205562927U (zh) 一种不同直径光学元件的调整夹具
KR101309580B1 (ko) 기울기 조절형 픽업툴 고정장치
JP6444983B2 (ja) 三脚のボウルクランプ装置
CN104451588A (zh) 大口径透镜镀膜夹具旋转盘
CN215807465U (zh) 调节结构及快拆装置
US10006839B2 (en) Method for flattening sample in optical metrology
KR20120102965A (ko) 핸드폰 거치대
TWI640058B (zh) 基板處理裝置的水平調整裝置及利用此水平調節裝置的水平調節方法
US10717161B2 (en) Rotating axis supporting device
KR101135487B1 (ko) 카메라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 장치
US20050284990A1 (en) Object stand
US6394440B1 (en) Dual orientation leveling platform for semiconductor apparatus
US8419343B2 (en) Sound film adsorption device
KR102156510B1 (ko) 무공급 자동압력유지용 지그 작동방법
US7309177B2 (en) Camera riser with universal centering ring
KR101567149B1 (ko) 턴브로치 장치
KR20210001032A (ko) 반도체 칩 픽업 장치
WO2016011272A2 (en) Selectively orientable static bearing assembly
JP6683702B2 (ja) リテーナ(固定具)を有する光学デバイス及び、光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217577338U (zh) 吸附组件
CN219163378U (zh) 晶圆夹持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