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342B1 - Atsc 디지털 텔레비전(dtv) 수신기 - Google Patents

Atsc 디지털 텔레비전(dtv)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342B1
KR101308342B1 KR1020117030528A KR20117030528A KR101308342B1 KR 101308342 B1 KR101308342 B1 KR 101308342B1 KR 1020117030528 A KR1020117030528 A KR 1020117030528A KR 20117030528 A KR20117030528 A KR 20117030528A KR 101308342 B1 KR101308342 B1 KR 10130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s
tap
tab
tabs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593A (ko
Inventor
어니스트 추이
시바 시마나폴리
레이 샤오
Original Assignee
인텔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1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012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 H04L25/03019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 H04L25/03057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operating in the time domain adaptive, i.e. capable of adjustment during data reception with a recursiv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컴퓨터 시스템은 등화를 수행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등화기를 포함한다. 등화기는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 플랫폼 잡음 탭 및 프리커서 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등화기는 등화기의 피드백 경로 내의 포스트커서 탭, 크로스 텀 탭 및 포터블 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기는 피드백 경로 내의 포터블 탭을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과 정렬할 수 있다. 플랫폼 잡음 탭은 주요 탭에 위치하는 주요부(principal)에 대한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상쇄하여, 컴퓨터 시스템이 심각한 플랫폼 잡음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은 플랫폼 잡음 및 AGWN이 존재할 수 있는 스태틱 및 포터블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ATSC 디지털 텔레비전(DTV) 수신기{A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DIGITAL TELEVISION (DTV) RECEIVER}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등의 표준에 기초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 및 잡음을 추가하고 송신 신호를 왜곡할 수 있는 채널을 통해 송신된 송신 신호와 가능한 한 가까운 신호를 재생하는데 사용된다. 수신기는 채널에 의해 발생된 시변 다경로 채널 및 간섭의 영향을 반전시키거나 역일 수 있는 등화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ATSC DTV 수신기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 및 주변 장치 내의 높은 클록 주파수에 의해 발생된 전자기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확산 스펙트럼 클록 발생(spread spectrum clock generation; SSCG)이 사용된다. SSCG는 유리하게 클록 신호를 변조하여 전자기 간섭(EMI)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확산 스펙트럼 클록은 간섭을 유발한다. 40 내지 80 MHz (LCD 픽셀 클록), 33.33 MHz(PCI 클록), 100 MHz (PCI-e) 클록, 데이터 버스 및 비디오 신호 등의 기저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확산 클록의 고조파에 의해 발생된 간섭은 플랫폼 잡음(platform noise; PFN)이라 할 수 있다.
플랫폼 잡음(PFN)은 랩탑 컴퓨터 시스템, 넷북, 모바일 인터넷 장치, 및 개인 휴대 단말기 등의 포터블(portable) 환경에서 주요한 관심사이다.
여기에 기재된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소자들은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명료화를 위하여, 임의의 소자의 치수는 다른 소자에 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하다면, 대응 또는 유사 소자를 나타내는 참조 번호가 도면에서 반복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포함하는 수신기(1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상쇄하고 신호 대 간섭비(SIR)를 증가시키는 피드포워드 및 피드백 경로 내의 계수 또는 탭(tap)을 결정하는 등화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상쇄하고 SIR을 향상시키는 피드포워드 및 피드백 경로 내의 제로가 아닌 값의 탭의 포지션을 결정하고 선택하는 기술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랫폼 잡음 및 스태틱 다경로 및 포터블(portable) 채널의 영향을 상쇄하고 SIR을 향상시키는 피드포워드 및 피드백 경로 내의 다양한 탭의 포지션을 나타내는 선도(400).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등화기를 위한 정규화 주파수의 변화를 참조하여 플로팅된 크기 및 위상의 그래프(500).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등화기의 성능의 실질적인 개선을 나타내는 그래프(600).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심각한 플랫폼 잡음 환경 하에서, 그리고 스태틱 및 포터블 채널을 갖는 등화기의 성능의 실질적인 개선을 나타내는 그래프(700).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ATSC DTV 수신기를 지원하는 컴퓨터 시스템(800)을 나타내는 도면.
다음의 설명은 ATSC DTV 수신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로직 구현, 자원 분할 또는 공유, 또는 복제 구현, 시스템 구성요소의 타입 및 상관성, 및 로직 분할 또는 통합 선택 등의 다양한 특정 세부사항은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세부사항없이 실행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이 모호해지지 않도록 제어 구조, 게이트 레벨 회로 및 전체 소프트웨어 명령어 시퀀스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는다.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 없이 포함된 설명으로 적절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 "실시예" "예시적 실시예"는 기재된 실시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하지만, 모든 실시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어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실시예와 결합되어 기재될 때, 명백히 기재되든 그렇지 않든 간에, 다른 실시예와 결합하는 그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의 지식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될 수 있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임의의 메카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장치, 전기, 광, 음향 또는 다른 유사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펌웨어, 소프트웨어, 루틴 및 명령어는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액션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이러한 액션은 컴퓨팅 장치, 프로세서, 제어기 및 펌웨어, 소프트웨어, 루틴 및 명령어를 실행하는 다른 장치로부터 기인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ATSC DTV 수신기(100)의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100)는 무선 주파수 튜너(110), 동기 검출기(120), 동기 및 타이밍 블록(140), 등화기(150), 위상 추척기(170) 및 디코더(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100)는 채널(105)을 통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널(105)은 무선 또는 에어 채널을 나타낼 수 있고 송신된 신호는 잡음 및 다른 간섭에 의해 채널(105)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널(105)은 출몰 타입 채널로서 모델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RF) 튜너(110)는 채널(105)을 통해 송신된 상이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100)의 전단(front end)으로서 동작하는 RF 튜너(110)는 채널(105)로부터 극초단파(UHF) 또는 초단파(VHF)의 6MHz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서, 디지털 신호는 스크램블링되고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신호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튜너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링될 수 있다. 위상 동기 루프 회로는 6MHz 신호 내의 파일럿 톤(tone)으로부터 캐리어를 회복할 수 있고, 동기 검출기(120)는 VSB(vestigial side-band) 신호의 동기 검출에 사용되어 복합 베이스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기 검출기(120)는 8-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포맷의 복합 신호를 수신하고 복합 신호를 처리하여 동상(I) 및 직교(Q) 컴포넌트 또는 데이터 스트림을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상(I) 데이터 스트림 및 직교(Q) 데이터 스트림은 등화기(150)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수 8-PAM 신호(x(t))는 직교 컴포넌트가 동상 컴포넌트의 힐베르트(Hilbert) 변환인 분석 신호(xa(t)=x(t)+jxh(t))로 변환될 수 있고, 분석 신호는 -fs/4에 의해 스펙트럼으로 시프트할 수 있고, 여기서, fs는 VSB 심볼 레이트이다.
디지털 신호는 세그먼트 동기 시퀀스, 데이터 필드 동기, 및 PN(511) 등의 PN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 및 타이밍 블록(140)은 타이밍 동기를 위한 세그먼트 동기 시퀀스(77.3 마이크로초의 매 세그먼트의 시작에서, 패턴 1 -1 -1 1)를 사용하여, 적절히 페이징된 10.76 MHz 심볼 클록을 회복한다. 동기 및 타이밍 블록(140)은 상관 기술을 이용하여 타이밍 동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다경로/에코를 억제할 수 있고 다양한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의 전달 함수는 채널(105)의 전달 함수(H(Z))의 역수인 H- 1(Z)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의 역전달 함수는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본래의 신호의 회복 또는 적어도 실질적인 회복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주요부(principal)에 대한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상쇄하고 등화기가 스태틱 및 포터블 환경에서 신속하게 수렴하도록 하는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TOV(threshold of visibility) SIR을 M db로부터 X db(예를 들어, M은 13 db이고 X는 6 db일 수 있다)로 개선할 수 있고, 이는 K db(=M-Xdb)의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주요 탭 세트(principal tap set)를 갖는 수신된 데이터를 1 유닛의 진폭으로 적절히 스케일링함으로써 TOV SIR를 Y db로 더 개선할 수 있다. 일 예에서, Y는 -15db이고, 등화기(150)는 21 db의 총 이득을 제공할 수 있다(6 db로부터 -15 db까지의 차).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간섭 전력을 포함하지 않고 주 경로 신호 전력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상호 상관 결과를 이용하여 임계치를 개선, 정규화 및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계치보다 높은 피크는 경로를 나타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최대 진폭을 갖는 피크는 주요 탭을 나타내고, 주요부 이전에(즉, 왼쪽에) 존재하는 제1 피크(주요 탭보다 짧은 경로를 이동함)는 프리커서(pre-cursor)(프리-에코)를 나타내고, 주요부 이후에(즉, 오른쪽에) 존재하는 제1 피크(주요 탭보다 긴 경로를 이동함)는 포스트커서(포스트-에코)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채널 추정에 기초하여 주요부, 프리커서, 포스트커서 및 크로스 텀 탭(cross term tap)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플랫폼 잡음(PFN) 탭의 포지션을 결정하여, 주요 탭 상의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피드백 경로에서 포터블 탭의 포지션을 결정하여 시변 출몰 타입의 채널(105)에 의해 발생된 지연된 수신 카피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프리커서, 포스트커서, PFN 탭, 크로스 텀 탭, 포터블 탭, 및 주요부 등의 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채널(105)의 역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H(z)가 채널(105)의 전달 함수이면, 등화기(150)는 채널(105)의 전달 함수의 역을 수행할 수 있고, 이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01
주요 신호 x(t)에 대하여, 진폭 및 시간 선행을 갖는 프리커서는 x(t+ )이고, 진폭 및 시간 지연을 갖는 포스트커서는 x(t- )이기 때문에, 수신 신호 y(t)는 이하의 수학식 2와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02
일 실시예에서, E(Z)는 이하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03
여기서,
Figure 112011101527248-pct00004
는 프리커서이고,
Figure 112011101527248-pct00005
는 포스트커서이다. 수학식 3으로부터, 주요 탭(즉, 1), 프리커서 탭(즉,
Figure 112011101527248-pct00006
) 및 포스트커서 탭(즉,
Figure 112011101527248-pct00007
), 크로스 텀 탭(즉,
Figure 112011101527248-pct00008
)이 계산될 수 있고 2차 및 그보다 높은 차수의 탭은 진폭(α,β)에 따라 무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의 피드포워드 경로는 프리커서를 처리하고 PFN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FN을 처리하기 위하여, 추가의 D 수의 탭이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부의 우측에 추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의 피드백 경로는 포스트커서를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상 추척기(170)는 등화기(15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내의 고주파 잡음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상 동기 루프 회로가 좁은 대역폭에서 동작함에 따라 고주파 잡음 컴포넌트는 등화기(150)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존재할 수 있고, 채널(105)을 통해 수신된 신호 내의 고주파 잡음을 억제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180)는 임펄스 잡음 및 다른 간섭에 대하여 신호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180)는 트렐리스(Trellis) 및 리드 솔로몬(Reed-Solomon; RS)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지원할 수 있는 ATSC DTV 등화기(150)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다. 일 실시에에서, 등화기(150)는 결정 피드백 등화기(decision feedback equalizer; DFE)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8-PAM VSB 신호와 등가인 컴플렉스 64 스태거 QAM(SQAM)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프로세싱 유닛(201) 및 등화 유닛(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채널 추정, 등화기 길이 및 초기화, 등화기 훈련 및 다른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주 경로 신호 전력을 이용하여, 주요 탭의 진폭 또는 값이 1이도록 수신된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기(150)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PN 시퀀스를 추출하고 데이터 필드 동기의 시작에 존재하는 PN 시퀀스(예를 들어, PN(511))를 이용하여 주 경로 신호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필드 동기 내의 수신된 PN 시퀀스는 이상적인 또는 표준 PN 시퀀스와 상호 상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상관 잡음을 상쇄하고 임계치를 정규화하여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주요부, 프리커서 및 포스트커서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주요부로부터의 프리커서 및 포스트커서의 편차에 기초하여 주요 경로 및 등화기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채널 추정에 기초하여 탭이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등화기(150)를 초기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등화 유닛(202)은 피드포워드 필터(FFF)(210), 슬라이서(250) 및 피드백 필터(FBF)(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FFF(210)는 10.76 MHz에서 동작할 수 있고, FBF(260)는 5.38 MHz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드포워드 필터(FFF)(210)는 지연 소자(205-1 및 205-2); 가중치 업데이트 블록(WU)(210), IIF 탭 블록(215) 및 QIF 탭 블록(220)을 포함하는 동상(I) 부분; 및 IQF 탭 블록(225) 및 QQF 탭 블록(235) 및 가중치 업데이트 블록(WU)(240)을 포함하는 직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WU(210)은 슬라이서(250)의 동상 에러 "eI" 출력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IIF 탭(215) 및 QIF 탭(22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IIF 탭(215) 및 QIF(220)의 출력은 합산기 블록(222)에 입력으로서 제공되고, 합산기(222)의 출력은 가산기(228)에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산기(228)는 피드백 필터(260)의 동상 부분으로부터 다른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가산기(228)의 출력은 슬라이서(250)에 제1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WU(240)는 슬라이서(250)의 직교 에러 "eQ" 출력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IQF 탭(225) 및 QQF탭(235)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QF 탭(225) 및 QQF 탭(235)의 출력은 합산기 블록(242)에 입력으로서 제공되고 합산기(242)의 출력은 가산기(248)에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산기(248)는 피드백 필터(260)의 직교 부분으로부터 다른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가산기(248)의 출력은 슬라이서(250)에 제2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FFF(210)는 한번에 (I0+jQ0, I1+jQ1) 등의 2개의 샘플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심볼의 프로세싱은 입력에서 지연 소자(205-1 및 205-2)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시간 인스턴스 n=0, 1에서, DFE 동상 및 직교 출력은 각각 I0 및 I1의 추정치일 수 있다. wfi=wIfi+jwQfi(i=0, 1, ..., Nf-1)가 FFF 가중치이면, 동상 경로 내의 IIF 탭(215) 및 직교 경로 내의 QQF 탭(235)이 동일하고(wIfi), FFF(210)의 동상 경로 내의 QIF 탭(220) 및 직교 부분 내의 IQF 탭(225)이 동일할 수 있다(wQfi).
일 실시예에서, FBF(260)은 동상 부분 및 직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WU(260)는 슬라이서(250)의 동상 에러 "eI" 출력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IIF 탭(270) 및 QIF 탭(280)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IF 탭(270) 및 QIF 탭(280)의 출력은 합산기 블록(255)에 입력으로서 제공되고 합산기(255)의 출력은 가산기(228)에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WU(285)는 슬라이서(250)의 직교 에러 "eQ" 출력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IQF 탭(265) 및 QQF 탭(275)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QF 탭(265) 및 QQF 탭(275)의 출력은 합산기(256)에 입력으로서 제공되고 합산기(256)의 출력은 가산기(248)에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서(250)는 가산기(228 및 248)로부터의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FBF(260)는 한번에 (I0-jI1) 또는 (-J2+jI3) 등의 각각의 SQAM 심볼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09
이 FBF 가중치이면, 동상 부분 내의 IIF 탭(270) 및 직교 부분 내의 QQF 탭(275)는 동일하고(wIbi), FBF(260)의 동상 부분 내의 QIF 탭(280) 및 직교 부분 내의 IQF 탭(265)은 동일할 수 있다(wQbi). 일 실시예에서, 지연 소자(290-1 및 290-2)(z-2)(2의 거듭제곱은 5.38 MHz 레이트를 나타낸다)가 제공되어 FBF(260)이 과거의 심볼만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SQAM 인스턴트 n=3에서, 동상 FBF 출력은 지연된 FBF 입력 I0, I1에 기초할 수 있고; 직교 출력에 대하여, I2는 이전의 샘플 인스턴트 n=2에 있기 때문에, 지연된 입력 I0, I1 또는 I2, I1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서(250)는 송신된 심볼을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서(250)는 동상(I) 심볼 및 동상 에러(eI) 심볼 및 직교(Q) 심볼 및 직각 에러(eQ) 심볼을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서(250)는 동상(I) 심볼을 지연 소자(290-2)를 통해 IQF 탭(265) 및 IIF 탭(27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상 에러(eI) 컴포넌트는 가중치 업데이트 유닛(210 및 260)에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서(250)는 직교(Q) 심볼을 지연 소자(290-1)를 통해 QQF 탭(275) 및 QIF 탭(28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직교 에러(eQ) 컴포넌트는 가중치 업데이트 유닛(240 및 285)에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AWGN(additive white Guassian noise)의 존재시 스태틱 포터블 환경에서 플랫폼 잡음을 상쇄하는 등화기(150)의 동작의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다. 일 예로서, 등화기(150)는 25 dB SNR, 0을 중심으로 확산된 1 MHz에 대한 32 kHz 변조 주파수의 PFN, [-25 47] sec의 스태틱 다경로, [-10 -10] dB, 200 nsec 지연의 출몰 다경로(포터블 채널 모델), 0.1 sec에서 -20 dB로부터 -3 dB로의 램핑 업, 0.1 sec 동안 정상 상태, 및 이후에 0.1 sec에서 램핑 다운, 20 Hz 도플러 등의 복합 환경에 대하여 설계될 수 있다.
저전력 등화기 설계에 대하여, 포터블 스태틱 및 PFN에 대한 요구사항을 고려하면, 등화기(150) 설계는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607개의 탭, 피드백 경로 내의 253개의 탭을 포함할 수 있고,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위치(270)의 주요 탭, 주요 탭의 각 측 상의 5개의 탭 및 피드포워드 경로의 양단(주요 탭의 좌측으로의 프리커서 및 주요 탭의 우측으로의 PFN 탭)은 제로가 아니며, 피드백 단부에서의 3개의 탭 및 크로스 텀 위치(탭 115 내지 122)는 제로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플로우챠트(300)는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플로우챠트(300)는 피드포워드 및 피드백 경로 내의 탭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을 나타낸다.
블록(310)에서, 수신기(100)는 통신 채널(105) 상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8-PAM VSB 포맷일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8-PAM 포맷의 신호는 I 및 Q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분석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블록(320)에서, 수신기(100)는 프리커서의 포지션에 기초하여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지연 값 λβ=25μsec에 기초하여 주요 탭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요 탭은 프리커서의 발생보다 25μsec 후에 발생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주요 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샘플링 레이트는 10.76 MHz이고, 피드백 경로 내의 샘플링 레이트는 5.38 MHz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심볼 "T" sec(=1/5.38e6)은 피드백 경로 내의 샘플링 주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심볼 T/2(=1/10.76e6=92.9e-9)초가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샘플링 주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요 탭의 포지션은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10
일 실시예에서, 피드포워드 경로에서, 탭의 포지션은 1에서 N까지이고, N은 양의 정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커서의 위치 또는 포지션은 "1"에 있을 수 있고, 주요 탭은 270의 탭 포지션에서 발생할 수 있다(주요 탭의 위치 + 프리커서의 포지션 = 269+1 = 270). 일 실시예에서, 프리커서의 위치 및 주요 탭의 위치는 각각 도 4의 마커(410) 및 마커(430)로 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주요 탭의 포지션에 기초하여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플랫폼 잡음(PFN) 탭의 포지션을 결정하여, PFN 탭이 주요 탭에서의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상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시스템 및 주변 장치 내의 높은 클록 주파수에 의한 전자기 간섭은 확산 스펙트럼 클록 발생 기술을 이용하여 클록 신호를 넓힘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버스, 비디오 신호 뿐만 아니라 40 내지 80 MHz (LCD 픽셀 클록), 33.33 MHz (PCI 클록), 100 MHz (PCIe 클록) 등의 기저 주파수를 갖는 다수의 확산 클록의 고조파에 의해 생성된, 플랫폼 잡음(PFN)이라 부를 수 있는 간섭은 포터블 환경, 즉, 노트북 및 넷북에서, 특히 낮은 SNR에서 중요하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확산 클록의 다수가 약 32 kHz의 변조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고 확산(FM 신호 대역폭)은 1 MHz로부터 3 MHz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FM 발생에 기초한 관련 신호 베이스밴드 모델은 하기의 수학식 5로 주어질 수 있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11
여기서, "fsc"는 확산 중심 주파수(중간이면 fsc=0.25fs이고, fs=1/T=10.76 MHz는 ATSC 심볼 레이트임), fm은 변조 주파수(30 내지 60 kHz)이고 Bfm은 확산(1 내지 3 MHz)이다.
fsc=0에서, p(nT-(1/fm)T)=p(nT)는 (1/fm)T에서의 피드포워드 탭이 주요부에서의 PFN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fsc=0인 동안, p(nT)는 주기적 신호를 나타내어 주요부에서의 PFN의 영향은 주요부보다 1/fm 시간만큼 먼저 또는 나중에서 PFN의 영향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요부에서의 PFN의 영향은 주요부보다 1/fm 시간만큼 먼저에서의 PFN의 영향의 지연 카피로서 여겨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요부에서의 수신 신호는 PFN 및 소망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망의 신호가 유지될 수 있도록 주요부에서의 PFN을 상쇄하기 위하여, 수신된 신호는 주요부로부터 (1/fm)만큼 떨어진 시간에서 설정된 PFN 탭을 갖지만 반대 부호를 갖는 등화기(150)의 피드포워드 경로를 통과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FN 탭은 주요 탭으로부터 (1/fm) 떨어진 시점에서 설정되어, PFN 탭이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 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프리커서(410)는 주요 탭(430)의 이전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리커서(410)가 주요부의 왼쪽에 있으면, PFN 탭은 주요부의 오른쪽에서 하기와 같이 결정될 수 있는 주요부로부터의 거리에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5 내에 fsc=0를 대입하면, 하기의 수학식 6이 산출된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12
일 실시예에서, kT=1/fm이 되도록 다른 새로운 탭 인덱스(k)가 도입되어, 상기 수학식 6에서 1/fm에 대하여 kT를 대입함으로써, 하기의 수학식 7이 도출된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13
그러므로, fc~0에서, p(nT-1/fm)=p(nT)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수학식 5 내지 (7)로부터, (1/fm)에서의 피드포워드 탭은 주요부에서의 PFN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고 결론이 내려질 수 있다. ATSC 시스템에서, 베이스밴드 샘플링 레이트는 10.76 MHz (2로 오버샘플링)일 수 있고, T/2의 값은 92.9e-9초((1/10.76e6))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kT=1/fm이면, k=(1/fm)/T=(1/32e3)/92.9e-9=336.3이고, 이는 336과 337 사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PFN 탭(450)은 주요 탭으로부터 337개의 위치만큼 떨어져 주요 탭(430)의 오른쪽 상에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FN 탭의 위치는 607(= 주요 탭의 위치 + k의 값 = 270+337 =607)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치(607)에서 PFN 탭을 설정하면 등화기(150)가 프리커서(410)의 영향 및 주요부 상의 PFN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블록(340)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프리커서(410)로부터 시작하는 제1 수(L)의 탭, 주요 탭(430) 주변의 제2 수(M)의 탭 및 PFN 탭(450)에서 종료하는 제3 수의 탭(S)을 제로가 아닌 실수 또는 복소 값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L) 및 제3 수(S)는 5이고, 위치(1)에서 프로커서(410)로부터 시작하는 탭(2, 3, 4, 5 및 6) 및 위치(607)에서 PFN 탭(450)으로 종료하는 탭(602, 603, 604, 605 및 606)은 제로가 아닌 실수 또는 복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심 위치(270)에서의 주요 탭(430)을 갖는 탭(267, 268, 269, 271, 272 및 273)(제2 수의 탭(S))은 제로가 아닌 실수 또는 복소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블록(350)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제1, 제2 및 제3 탭 이외의 탭 또는 나머지 탭을 제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머지 탭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면 제로가 아닌 탭의 총수(=L+M+S)는 실질적으로 감소할 수 있고, 적응 상수(μ)는 제로가 아닌 탭의 총수에 반비례한다. 결과적으로, 제로가 아닌 탭의 총수가 작으면, 등화기(150)는 신속하게 수렴할 수 있고 이동 채널을 효과적으로 트랙킹할 수 있다.
블록(360)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포스트커서의 래그(lag) 또는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피드백 경로 내의 포스트커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드백 경로 내의 샘플링 레이트는 5.38 MHz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T"의 값은 (=1/5.38e6)일 수 있고 피드백 경로 내의 샘플링 주기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스트커서 탭의 포지션은 하기의 수학식 8에 의해 결정된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14
일 실시예에서, 포스트커서 탭(460)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53이다.
블록(365)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프리커서(410) 및 포스트커서(460)와 관련된 지연 값
Figure 112011101527248-pct00015
을 이용하여 피드백 경로 내의 크로스 텁 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로스 텀은
Figure 112011101527248-pct00016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λβ=25마이크로초, λα=47마이크로초, λβα=(25-47)=-22마이크로초이고, 크로스 텀 위치는 237 T/2 간격 또는 118.5 T 간격일 수 있다. 피드백 경로 내의 샘플링 레이트가 T(=1/5.38e6)이면, 크로스 텀 탭(470)은 위치(119)에 위치할 수 있다.
블록(370)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크로스 텀 탭(470)의 포지션을 참조하고 포터블 채널 지연에 기초하여 포터블 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터블 채널 지연 또는 다경로 지연은 200 나노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하기의 수학식 9에서 주어진 바와 같이 포터블 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1101527248-pct00017
따라서, 포터블 탭(490)은 주요 탭(430)으로부터 시프트된 1의 위치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터블 탭은 포터블 채널(105) 상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카피 내의 컴포넌트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된 카피의 컴포넌트는 출몰 타입 채널(105)의 시변 특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탭 값은 수신된 카피의 강도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블록(380)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포터블 탭(490)으로부터 시작하는 제5 수(A)의 탭(495), 크로스 텀 탭(470) 주변의 제6 수(B)의 탭(475) 및 포스트커서 탭(460)에서 종료하는 제7 수(C)의 탭(465)을 제로가 아닌 양의 실수 또는 복소 값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탭(495)은 피드백 경로 상에 탭(2, 3 및 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탭(475)은 중심 위치에서 크로스 텀 탭(470)을 갖는 116, 117, 118, 120, 121 및 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탭(465)은 250, 251 및 25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390)에서, 프로세싱 유닛(201)은 제5, 제6 및 제7 탭 이외의 탭 또는 나머지 탭을 제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나머지 탭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면, 제로가 아닌 탭의 총수(=A+B+C)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적응 상수(ADP)는 제로가 아닌 탭의 총수에 반비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로가 아닌 탭의 총수가 적으면, 등화기(150)는 신속하게 수렴하고 효과적으로 모바일 채널을 트랙킹할 수 있다.
32 kHz의 주파수(fm)의 변조 신호를 이용하면서 등화기(150)의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그래프는 도 5에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510)은 진폭의 변화 대 정규화 주파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520)은 위상의 변화 대 정규화 주파수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510 및 520)은 더 적은 범위로 소망의 신호에 영향을 주고 더 큰 범위로 주기적 플랫폼 잡음 주파수 스파이크에 영향을 주는 개선된 응답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510)의 주파수 응답은 간섭 또는 플랫폼 잡음에서 하나 이상의 노치(notch)를 나타내고, 노치의 폭은 플랫폼 잡음의 확산에 의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520)은 0.14 (대략) 및 1.88(대략) 유닛의 정규화 주파수에서 각각 노치(511 및 512)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1.0의 정규화 주파수는 5.38 MHz를 의미하고, 0.14 및 1.88 유닛에서의 노치는 등화기(150)가 0.753 MHz (=0.14×5.38MHz) 및 10.11MHz (=1.88×5.38MHz)에서 각각 플랫폼 잡음 또는 간섭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등화기(150)의 신호대 간섭비(SIR) 대 신호대 에러비(SER)의 플롯을 나타내는 그래프는 도 6에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SIR은 x축(601) 상에 플로팅되고, SER(또는 ESR)은 y축(602) 상에 플로팅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610)은 SIR이 6 에서 26 db로 변화할 때 SER이 거의 약 27 db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상적인 등화기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플롯(630)은 피드포워드 경로 내에, 플랫폼 잡음 하에서 TOV(threshold of visibility)를 개선할 수 있는 주요 탭(430)으로부터 카운팅된 337개의 탭(또는 607에서 PFN 탭(450))이 제공될 수 있는 드문(sparse) 등화기(150)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종래의 등화기의 플롯(640)의 13 db의 TOV와 비교하여 플롯(630)에 대한 TOV는 6 db에 있을 수 있다. 또한, 플롯(630)은, 확산 클록의 존재시에 종래의 등화기의 플롯(640)의 SER에 비교하여 신호대 에러비(SER)가 균일하게 더 높을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630)은 SER이 종래의 등화기의 플롯(640)보다 균일하게 약 1.5 내지 2 db 더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결정 규제된 이득 제어(decision directed gain control)를 갖는 수신 신호의 적절한 스케일링은, SIR에서 20 dB(대략) 이득을 제공하면서 6 dB로부터 -15 dB로 감소할 수 있는 TOV SIR에서 실질적인 개선을 유발할 수 있다.
PFN+AGWN 채널(105)에 스태틱 및 포터블 환경을 추가한 등화기(150)의 신호대 간섭비(SIR) 대 신호대 에러비(SER)의 플롯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 7에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SIR은 x축(701) 상에서 플로팅되고 SER(또는 ESR)은 y축(702) 상에 플로팅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710)은 SIR이 6 에서 26 db로 변화할 때 SER이 거의 약 27 db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이상적인 등화기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롯(730)은 13 db로부터 6 db로의 TOV의 개선 및 균일하게 더 높은 SER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종래의 등화기는 스태틱 다경로 및 포터블 채널이 모두 존재하는 동안 25 db SIR하에서도 수렴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750)은 PFN 및 AGWN에 더하여 스태틱 및 포터블 환경에서 동작하는 드문 등화기(150)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플롯(750)은 일반적인 PFN 조건을 초과하는 효율적인 등화 조건을 제공할 수 없는 종래의 등화기와 비교하여 등화기(150)가 심각한 PFN 조건하에서도 등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컴퓨터 시스템(800)은 단일 명령어 멀티플 데이터(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SIMD)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범용 프로세서(802) 및 그래픽 프로세서 유닛(GPU)(80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02)는 다양한 다른 태스크를 수행하는 것에 더하여 강화 동작을 수행하거나 일련의 명령어를 저장하여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825) 내의 강화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일련의 명령어는 메모리(820)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별도의 그래픽 프로세서 유닛(805)이 도 8에 도시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802)는 또 다른 예로서 강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800)을 동작하는 프로세서(802)는 로직(830)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코어일 수 있다. 로직(830)은 컴퓨터 시스템(800)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I/O 장치(88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직(830)은 일 실시예에서 칩셋(chipset) 로직일 수 있다. 로직(830)은 광, 자기 또는 반도체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종류의 저장장치일 수 있는 메모리(820)에 결합된다. 그래픽 프로세서 유닛(805)은 프레임 버퍼(810)를 통해 디스플레이(840)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시스템(80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8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IC(860)는 송신기(875) 및 수신기(879)를 포함할 수 있는 트랜시버(870)를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879)는 상술한 수신기(100)와 유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879)는 등화기(150) 등의 드문 등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879)는 PFN 및 AGWN의 존재에 더하여 스태틱 및 포터블 환경에서 신뢰성있는 등화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879)는, 심각한 PFN 조건하에서 등화기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PFN 탭(430) 등의 PFN 탭 및 포터블 탭(490) 등의 포터블 탭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작은 수의 탭만이 제로 값이 아니면, 이러한 등화기의 수렴은 신속할 수 있고 이러한 등화기를 채용하는 수신기(879)의 복잡성 및 전력 소비는 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879)의 등화기는 TOV SIR에서의 실질적인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등화 기술은 그래픽 프로세서(805) 또는 범용 프로세서(802)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860) 내에 제공되는 주문형 통신 칩에 의해 지원되는 다양한 하드웨어 아키텍쳐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여기에 기재된 등화 기술은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825)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의 세트로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등화 기술은 모바일 전화, 개인 휴대 단말기, 모바일 인터넷 장치 및 다른 시스템 등의 다양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특징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명은 제한적 의미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자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Claims (30)

  1. 수신기에서 등화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통신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의 위치, 플랫폼 잡음 탭의 위치 및 프리커서 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등화기의 피드백 경로 내의 포스트커서 탭의 위치, 크로스 텀 탭의 위치 및 포터블 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피드백 경로 내의 포터블 탭을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과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의 위치 및 상기 포터블 탭의 위치는 상기 주요 탭에 위치하는 주요부(principal)에 대한 플랫폼 잡음의 영향 및 포터블 채널의 영향을 상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은 상기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 후에 위치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은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 후의 시점에 위치하고, 상기 시점은 확산 스펙트럼 클록들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변조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시작 탭으로서 상기 프리커서 탭을 갖는 제1 탭 세트, 종료 탭으로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을 갖는 제2 탭 세트 및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중심에서 상기 주요 탭을 갖는 제3 탭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프리커서 탭, 상기 주요 탭 및 상기 플랫폼 잡음 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및 상기 제3 탭 세트를 제로가 아닌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및 상기 제3 탭 세트 이외의 탭들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등화기의 피드백 경로 내의 크로스 텀 탭 및 포스트커서 탭의 위치 전에 존재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크로스 텀 탭 전의 시점에 위치하고, 상기 시점은 상기 통신 채널에 의해 유발된 다경로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주요 탭의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종료 탭으로서 상기 포스트커서 탭을 갖는 제4 탭 세트, 시작 탭으로서 상기 포터블 탭을 갖는 제5 탭 세트 및 상기 피드백 경로 내의 중심에서 상기 크로스 텀 탭을 갖는 제6 탭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커서 탭, 상기 크로스 텀 탭 및 상기 포터블 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를 제로가 아닌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 이외의 탭들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상기 제3 탭 세트,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의 총수는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상기 제3 탭 세트,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 이외의 탭들과 비교하여 적고, 제로가 아닌 탭들의 총수의 역수인 적응 상수는 상기 등화기가 더 빠르게 수렴하도록 하는 방법.
  10. 수신기에서 등화를 수행하는 복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명령어는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로 하여금,
    통신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의 위치, 플랫폼 잡음 탭의 위치, 및 프리커서 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등화기의 피드백 경로 내의 포스트커서 탭의 위치, 크로스 텀 탭의 위치, 및 포터블 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피드백 경로 내의 포터블 탭을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과 정렬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의 위치는 상기 주요 탭에 위치하는 주요부에 대한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상쇄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은 상기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 후에 위치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은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 후의 시점에 위치하고, 상기 시점은 확산 스펙트럼 클록들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변조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3. 제10항에 있어서,
    시작 탭으로서 상기 프리커서 탭을 갖는 제1 탭 세트, 종료 탭으로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을 갖는 제2 탭 세트 및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중심에서 상기 주요 탭을 갖는 제3 탭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프리커서 탭, 상기 주요 탭 및 상기 플랫폼 잡음 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및 상기 제3 탭 세트를 제로가 아닌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및 상기 제3 탭 세트 이외의 탭들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등화기의 피드백 경로 내의 크로스 텀 탭 및 포스트커서 탭의 위치 전에 존재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크로스 텀 탭 전의 시점에 위치하고, 상기 시점은 상기 통신 채널에 의해 유발된 다경로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주요 탭의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13항에 있어서,
    종료 탭으로서 상기 포스트커서 탭을 갖는 제4 탭 세트, 시작 탭으로서 상기 포터블 탭을 갖는 제5 탭 세트 및 상기 피드백 경로 내의 중심에서 상기 크로스 텀 탭을 갖는 제6 탭 세트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포스트커서 탭, 상기 크로스 텀 탭 및 상기 포터블 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를 제로가 아닌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 이외의 탭들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게 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상기 제3 탭 세트,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의 총수는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상기 제3 탭 세트,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 이외의 탭들과 비교하여 적고, 제로가 아닌 탭들의 총수의 역수인 적응 상수는 상기 등화기가 더 빠르게 수렴하도록 하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등화를 수행하는 수신기로서,
    통신 채널에 결합되고 상기 통신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튜너;
    상기 무선 주파수 튜너에 결합되고 펄스 진폭 변조 신호를 직교 진폭 변조 신호로 변환하는 동기 검출기;
    상기 동기 검출기에 결합되고 프로세싱 유닛 및 등화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등화기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의 위치, 플랫폼 잡음 탭의 위치 및 프리커서 탭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등화기의 피드백 경로 내의 포스트커서 탭의 위치, 크로스 텀 탭의 위치 및 포터블 탭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피드백 경로 내의 포터블 탭을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과 정렬하고,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의 위치는 상기 주요 탭에 위치하는 주요부에 대한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상쇄하는 수신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은 상기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 후의 시점에 위치하고, 상기 시점은 확산 스펙트럼 클록들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변조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수신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시작 탭으로서 상기 프리커서 탭을 갖는 제1 탭 세트, 종료 탭으로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을 갖는 제2 탭 세트 및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중심에서 상기 주요 탭을 갖는 제3 탭 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프리커서 탭, 상기 주요 탭 및 상기 플랫폼 잡음 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및 상기 제3 탭 세트를 제로가 아닌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및 상기 제3 탭 세트 이외의 탭들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는 수신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등화기의 피드백 경로 내의 크로스 텀 탭 및 포스트커서 탭의 위치 전에 존재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크로스 텀 탭 전의 시점에 위치하고, 상기 시점은 상기 통신 채널에 의해 유발된 다경로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수신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주요 탭의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는 수신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종료 탭으로서 상기 포스트커서 탭을 갖는 제4 탭 세트, 시작 탭으로서 상기 포터블 탭을 갖는 제5 탭 세트 및 상기 피드백 경로 내의 중심에서 상기 크로스 텀 탭을 갖는 제6 탭 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포스트커서 탭, 상기 크로스 텀 탭 및 상기 포터블 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를 제로가 아닌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 이외의 탭들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는 수신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상기 제3 탭 세트,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의 총수는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상기 제3 탭 세트,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 이외의 탭들과 비교하여 적고, 제로가 아닌 탭들의 총수의 역수인 적응 상수는 상기 등화기가 더 빠르게 수렴하도록 하는 수신기.
  26.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버스들을 포함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송신기 및 수신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통신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펄스 진폭 변조 신호를 직교 진폭 변조 신호로 변환하고,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의 위치, 플랫폼 잡음 탭의 위치 및 프리커서 탭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등화기의 피드백 경로 내의 포스트커서 탭의 위치, 크로스 텀 탭의 위치 및 포터블 탭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피드백 경로 내의 포터블 탭을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과 정렬하고,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의 위치는 상기 주요 탭에 위치하는 주요부에 대한 플랫폼 잡음의 영향을 상쇄하는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은 상기 등화기의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 후에 위치하고,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은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주요 탭 후의 시점에 위치하고, 상기 시점은 확산 스펙트럼 클록들을 발생하는데 사용되는 변조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시작 탭으로서 상기 프리커서 탭을 갖는 제1 탭 세트, 종료 탭으로서 상기 플랫폼 잡음 탭을 갖는 제2 탭 세트 및 상기 피드포워드 경로 내의 중심에서 상기 주요 탭을 갖는 제3 탭 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프리커서 탭, 상기 주요 탭 및 상기 플랫폼 잡음 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및 상기 제3 탭 세트를 제로가 아닌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탭 세트, 상기 제2 탭 세트 및 상기 제3 탭 세트 이외의 탭들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는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등화기의 피드백 경로 내의 크로스 텀 탭 및 포스트커서 탭의 위치 전에 존재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포터블 탭은 상기 크로스 텀 탭 전의 시점에 위치하고, 상기 시점은 상기 통신 채널에 의해 유발된 다경로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종료 탭으로서 상기 포스트커서 탭을 갖는 제4 탭 세트, 시작 탭으로서 상기 포터블 탭을 갖는 제5 탭 세트 및 상기 피드백 경로 내의 중심에서 상기 크로스 텀 탭을 갖는 제6 탭 세트를 식별하고,
    상기 포스트커서 탭, 상기 크로스 텀 탭 및 상기 포터블 탭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를 제로가 아닌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4 탭 세트, 상기 제5 탭 세트 및 상기 제6 탭 세트 이외의 탭들을 제로 값으로 설정하는 시스템.
KR1020117030528A 2009-06-30 2010-06-30 Atsc 디지털 텔레비전(dtv) 수신기 KR101308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95,594 2009-06-30
US12/495,594 US8275028B2 (en) 2009-06-30 2009-06-30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digital television (DTV) receiver
PCT/US2010/040680 WO2011002940A2 (en) 2009-06-30 2010-06-30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digital television (dtv)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593A KR20120014593A (ko) 2012-02-17
KR101308342B1 true KR101308342B1 (ko) 2013-09-17

Family

ID=4338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528A KR101308342B1 (ko) 2009-06-30 2010-06-30 Atsc 디지털 텔레비전(dtv) 수신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75028B2 (ko)
EP (1) EP2449768A2 (ko)
JP (1) JP5220960B2 (ko)
KR (1) KR101308342B1 (ko)
CN (1) CN101938436B (ko)
BR (1) BRPI1015926A2 (ko)
SG (1) SG175957A1 (ko)
WO (1) WO201100294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5028B2 (en) 2009-06-30 2012-09-25 Intel Corporatio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digital television (DTV) receiver
US8274566B2 (en) * 2009-10-09 2012-09-25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Modulation analyzer and level measurement device
US8549057B1 (en) * 2010-10-04 2013-10-01 Xilinx, Inc. Signal level control
US8737459B2 (en) * 2011-07-08 2014-05-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tter equalizer optimization
JP6282216B2 (ja) * 2014-11-20 2018-02-21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US11665029B2 (en) * 2021-07-01 2023-05-30 Nvidia Corporation Feed forward filter equalizer adaptation using a constrained filter tap coefficient val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0587A1 (en) 2002-10-31 2004-05-27 Kim Woo Chan Channel equalizer in digital TV receiver
US20070058081A1 (en) 2002-12-14 2007-03-15 Lg Electronics Inc. Channel equalizer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9550A (en) * 1978-05-17 1979-11-22 Toshiba Corp Automatic equalizer
US5414733A (en) * 1993-12-20 1995-05-09 Adtran Decision feedback equalizer employing fixed ratio postcursor taps for minimizing noise and intersymbol interference in signals conveyed over high speed data service loop
US5777910A (en) * 1996-11-19 1998-07-07 Thomson Multimedia S.A. Sparse equalization filter adaptive in two dimensions
GB2355629B (en) * 1999-10-18 2004-02-11 Mitel Corp Precursor decision feedback equalizer (PDFE)
US7006564B2 (en) * 2001-08-15 2006-02-28 Intel Corporation Adaptive equalizer
US6961373B2 (en) * 2002-07-01 2005-11-01 Solarflar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equalization
US8275028B2 (en) 2009-06-30 2012-09-25 Intel Corporation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ATSC) digital television (DTV) recei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0587A1 (en) 2002-10-31 2004-05-27 Kim Woo Chan Channel equalizer in digital TV receiver
US20070058081A1 (en) 2002-12-14 2007-03-15 Lg Electronics Inc. Channel equalizer and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593A (ko) 2012-02-17
JP2012531839A (ja) 2012-12-10
BRPI1015926A2 (pt) 2016-04-26
EP2449768A2 (en) 2012-05-09
CN101938436B (zh) 2014-06-04
US20100329309A1 (en) 2010-12-30
JP5220960B2 (ja) 2013-06-26
SG175957A1 (en) 2011-12-29
US8275028B2 (en) 2012-09-25
WO2011002940A3 (en) 2011-03-24
CN101938436A (zh) 2011-01-05
WO2011002940A2 (en)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342B1 (ko) Atsc 디지털 텔레비전(dtv) 수신기
Fevrier et al. Reduced complexity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for multipath channels with large delay spreads
US7688888B2 (en) CIR estimating decision feedback equalizer with phase tracker
US8711918B2 (en) Adaptive known signal canceller
US200903040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eculative Signal Equalization
KR101241824B1 (ko) Ofdm 통신 시스템의 수신 장치 및 그의 위상 잡음 완화 방법
US8582635B2 (en) Sparse and reconfigurable floating tap feed forward equalization
KR10046928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추정 장치
WO2022242573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9667449B1 (en) Channel estimator, demodulator and method for channel estimation
US73828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a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eng et al. Collaborative blind equalization for time-varying OFDM applications enabled by normalized least mean and recursive square methodologies
Tong Joint blind signal detection and carrier recovery over fading channels
Wu et al. An efficient iterative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for ATSC DTV receiver
Soni et al. Analysis and synthesis of adaptive equalization techniques under various modulation techniques
US8537884B2 (en) Single path detection and equalizer optimization
Fan et al. Efficient fast blind equalization with two‐stage single/multilevel modulus and DD algorithm for 64/256/1024qam wired cable communications
KR100528969B1 (ko) 나눗셈이 없는 주파수 영역 채널 보상회로
Heo et al. Adaptive sparse equalizer robust to fast fading and long delay spread for ATSC DTV
Gamage et al. A simple equalization technique to minimize ICI in OFDMA-based femtocell networks
Maoudj et al. Constant modulus algorithm based on fourth order moments initialization
Sun et al. A novel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algorithm for SC-FDE system
RAMYA et al. IMPLEMENTATION OF MIMO-OFDM SYSTEM USING DECISION FEEDBACK EQUALIZER (DFE)
KR20040006448A (ko) 디지털 송수신 시스템의 채널 응답 추정 및 등화기 계수초기화 방법
Noune et al. A novel frequency-domain implementation of Tomlinson-Harashima Precoding for SC-FD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