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346B1 -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346B1
KR101307346B1 KR1020100028463A KR20100028463A KR101307346B1 KR 101307346 B1 KR101307346 B1 KR 101307346B1 KR 1020100028463 A KR1020100028463 A KR 1020100028463A KR 20100028463 A KR20100028463 A KR 20100028463A KR 101307346 B1 KR101307346 B1 KR 10130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ighting
optical signal
container
visib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716A (ko
Inventor
김유진
육지현
박성희
김인수
강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1002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조명 제어 장치는, 용기(container)의 상태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발산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광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light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VLC)}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과 같은 저장 용기와 연동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이의 조명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국광기술원의 사업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 과제명: RGB LED 네트워크 융합기술 개발].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통신을 이용한 조명기기 제어 기술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적외선통신(Infrared; Ir) 또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 RF)를 이용한 무선 통신 또는 버스(BUS)방식의 유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조명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최근 들어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광원으로 이용한 조명기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기존의 백열 전등에 비하여 전기 절감 효과가 높고, 기존의 형광등에 비하여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보급으로 인하여 기존의 조명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과 더불어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기기가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기술이 등장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객체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 연동을 수행하면서 조명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이러한 조명 제어 장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는, 용기의 상태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발산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광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용기의 상태에 따라 용기로부터 발산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은, 식음자(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저장 용기의 상태를 가시광 통신을 통해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의 조명색 또는 조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식음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가 쉽게 서비스 요청을 인지하여 효율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 용기의 발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저장 용기에 저장된 저장물의 양에 따라 출력되는 광 신호의 파형 특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저장 용기의 발광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제어 시스템(10)은 조명 제어 장치(100),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및 저장 용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용기(300)는 발광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LS)에 따라 저장 용기(300)와 조명 제어 장치(100)는 가시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조명 제어 장치(100)는 저장 용기(300)의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LS)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제어 신호(CNT)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어 신호(CNT)를 이용하여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중에서 특정한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 제어 장치(100)는 수신부(110), 조명 제어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저장 용기(300)의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LS)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 신호(LS)에 포함된 데이터(LD)를 조명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포토 다이오드 또는 핀드 포토 다이오드 등과 같은 수광 소자일 수 있다.
여기서, 광 신호(LS)에 포함된 데이터(LD)는 저장 용기(300)의 정보, 광 신호(LS)의 세기 또는 파장 크기 및 저장 용기(300)로부터 센싱된 센싱 데이터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 신호(LS)는 프레임 헤더, 정보 데이터 및 프레임 엔드로 구성된 통신 프레임 구조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헤더는 데이터 시작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프레임 엔드는 데이터 종료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데이터는 저장 용기(300)의 발광 장치(400)가 수집한 다양한 정보들, 예컨대 상술한 저장 용기(300)의 정보 또는 센싱 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들이나 출력되는 광 신호(LS)의 세기 또는 파장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제어부(120)는 수신부(11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LD)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CNT)를 생성할 수 있다.
조명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CNT)를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로 출력하여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중에서 특정한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CNT)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가 표출하는 조명색을 변경시키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가 표출하는 조명의 조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CNT)를 표시부(130)로 출력하여 표시부(130)에 특정한 문자(문구) 또는 그림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표시된 문자 또는 그림을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여 그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130)는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조명 제어 장치(100)는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각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은 특정 공간에 설치되어 빛, 즉 조명을 발산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10)이 푸드 서비스 지역 등과 같은 식음료 서비스 매장에 설치된 경우에,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각각은 매장의 테이블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테이블에 빛을 발산시키는 장치로써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각각은 상술한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각각이 테이블마다 하나씩 설치된 경우에, 조명 제어 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특정 테이블에 설치된 조명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색, 즉 조명색을 변화시켜 발산하거나 또는 특정 테이블에 설치된 조명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강도, 즉 조도를 변화시켜 발산할 수 있다.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각각은 다양한 색상의 발광 다이오드로 조합된 조명 장치일 수 있으며,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발광 다이오드가 조합된 조명 장치일 수 있다.
저장 용기(300)는 음식물 등과 같은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예로써 컵 등과 같은 음료(320)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용기(3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저장 용기(300)는 음료(320)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310) 및 발광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용기(300)는 발광 장치(400)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장치(400)는 저장부(310)의 저면에 음료(320)와 접촉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광을 발산시킬 수 있다.
발광 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410), 발광부(420) 및 발광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410)는 저장 용기(300)에 저장된 음료(320)의 온도를 측정하여 센싱 데이터(SS)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센서(410)는 사람, 예컨대 음료(320)를 섭취하고자 하는 사람에 의하여 발생되는 저장 용기(300)의 움직임, 즉 저장 용기(300)의 이동 또는 기울임 등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SS)를 출력하는 동작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일 수 있다.
발광 제어부(43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저장 용기(300)에 대한 정보(ID), 예컨대 저장 용기(300)의 종류 및 저장된 음료(320)의 종류 등과 같은 정보(ID)와 센서(410)로부터 출력된 센싱 데이터(SS)를 논리합하여 광 신호(LS)를 생성할 수 있다.
발광 제어부(430)는 생성된 광 신호(LS)를 발광부(420)로 출력하고, 발광부(420)는 광 신호(LS)에 따라 광을 발산시킬 수 있다. 발광부(420)는 발광 다이오드 등과 같은 발광 소자일 수 있다.
한편,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LS)는 저장 용기(300)에 저장된 음료(320)의 양에 따라 그 강도(세기) 또는 파장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저장 용기에 저장된 저장물의 양에 따라 출력되는 광 신호의 파형 특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저장 용기(300)에 음료(320)가 충분히 많은 양으로 채워져 있는 경우에,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LS)는 제1 강도(△P1) 또는 제1 파장 크기(△W1)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LS)가 저장 용기(300)에 많은 양으로 채워진 음료(320)를 투과하면서 그 강도 및 파장 크기가 크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조명 제어 장치(100)는 상기 광 신호(LS)의 강도 또는 파장 크기를 분석하여 제1 강도(△P1) 또는 제1 파장 크기(△W1)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CNT)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저장 용기(300)에 음료(320)가 적은 양 또는 없는 경우에,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LS)는 제2 강도(△P2) 또는 제2 파장 크기(△W2)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LS)가 저장 용기(300)에 적은 양으로 채워진 음료(320)를 투과하면서 그 강도 및 파장 크기가 미소하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조명 제어 장치(100)는 상기 광 신호(LS)의 강도 및 파장 크기를 분석하여 제2 강도(△P2) 또는 제2 파장 크기(△W2)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CNT)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조명 제어 장치(100)는 저장 용기(300)의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된 광 신호(LS)를 수신하고(S10), 수신된 광 신호(LS)를 분석할 수 있다(S20).
예컨대, 조명 제어 장치(100)는 광 신호(LS)에 포함된 데이터(LD)를 추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 장치(100)는 앞서 도 3a 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신호(LS)의 강도 또는 파장 크기를 분석할 수 있다.
조명 제어 장치(100)는 광 신호(LS)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CNT)를 생성할 수 있다(S30).
예컨대, 조명 제어 장치(100)는 도 3a에서와 같이 제1 강도(△P1) 및 제1 파장 크기(△W1)를 가지는 광 신호(LS)를 분석하여, 조명 장치의 조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조명색을 따뜻한 색, 예컨대 적색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CNT)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제어 장치(100)는 도 3b에서와 같이 제2 강도(△P2) 및 제2 파장 크기(△ㅉ2)를 가지는 광 신호(LS)를 분석하여, 조명 장치의 조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조명색을 차가운 색, 예컨대 청색으로 변경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CNT)를 출력할 수 있다.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중에서 특정한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 예컨대 저장 용기(300)가 위치하는 테이블 등에 설치된 조명 장치는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NT)에 따라 그 조도 및 조명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S40).
또한, 제어 신호(CNT)는 조명 제어 장치(100)의 표시부(130)로 출력될 수 있으며, 표시부(130)는 제어 신호(CNT)에 따라 문자 또는 그림 등을 표시할 수 있다(S50).
한편, 제어 신호(CNT)는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각각의 동작 구간 중에서 제어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 중에서 하나의 조명 장치, 즉 제1 조명 장치(200_1)는 시간축(t) 상에서 조명 구간과 제어 구간으로 동작될 수 있으며, 이들은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컨대, 시간축(t)의 시간 t0-t1에서 제1 조명 장치(200_1)는 제1 광, 예컨대 제1 조명색과 제1 조도를 가지는 제1 광(L1)을 발산시키는 조명 구간과,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NT)를 수신하는 제어 구간을 포함하여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시간축(t)의 시간 t1-t2에서 제1 조명 장치(200_1)는 제2 광, 예컨대 제2 조명색과 제2 조도를 가지는 제2 광(L2)을 발산시키는 조명 구간과,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NT)를 수신하는 제어 구간을 포함하여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시간축(t)의 시간 t2-t3에서 제1 조명 장치(200_1)는 제3 광, 예컨대 제3 조명색과 제3 조도를 가지는 제3 광(L3)을 발산시키는 조명 구간과,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NT)를 수신하는 제어 구간을 포함하여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L1), 제2 광(L2) 및 제3 광(L3) 각각은 서로 동일한 조명색 또는 조도를 가질 수 있고,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NT)에 따라 서로 다른 조명색 또는 조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저장 용기(300)의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LS)는 시간축(t) 상에서 다수의 펄스 신호들로 나타날 수 있다.
조명 제어 장치(100)는 저장 용기(300)의 발광 장치(400)로부터 출력되는 광 신호(LS)를 수신하여 소정의 시간, 예컨대 제1 조명 장치(200_1)의 각각의 동작 구간 중에서 제어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에 제어 신호(CNT)를 생성하여 제1 조명 장치(200_1)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간축(t)의 시간 t0-t1에서 조명 제어 장치(100)는 수신한 광 신호(LS)로부터 제1 조명 장치(200_1)의 제어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에 제어 신호(CNT)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조명 장치(200_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조명 장치(200_1)는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NT)에 응답하여 시간축(t)의 시간 t1-t2에서 조명 구간 동안 발산하는 제2 광(L2)의 조명색 또는 조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간축(t)의 시간 t1-t2에서 조명 제어 장치(100)는 수신한 광 신호(LS)로부터 제1 조명 장치(200_1)의 제어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에 제어 신호(CNT)를 생성하고, 이를 제1 조명 장치(200_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조명 장치(200_1)는 조명 제어 장치(100)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NT)에 응답하여 시간축(t)의 시간 t2-t3에서 조명 구간 동안 발산하는 제3 광(L3)의 조명색 또는 조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명 제어 장치(100)가 저장 용기(300)에 설치된 발광 장치(400)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면서, 저장 용기(300)의 상태, 예컨대 저장된 음료의 양 또는 저장 용기(300)의 움직임 등에 해당하는 상태에 따라 다수의 조명 장치들(200_1, 200_2, … 200_N)의 조명색 또는 조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조명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조명 제어 장치(100)가 저장 용기(300)의 발광 장치(400)와 가시광 통신을 수행하면서 저장 용기(300)의 상태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디스플레이 하고, 서비스 제공자는 그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음료 식음자, 즉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조명 제어 장치: 100 수신부: 110
조명 제어부: 120 표시부: 130
조명장치: 200 저장 용기: 300
발광 장치: 400 센서: 410
발광부: 420 발광 제어부: 430

Claims (18)

  1. 용기(container)의 상태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발산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광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광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광 신호의 파장 크기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의 세기는 상기 용기에 저장된 저장물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색 또는 조도를 제어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는 조명 구간과 제어 구간으로 분할되어 반복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상기 제어 구간 동안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는 상기 용기의 온도 또는 기울기에 따라 센싱된 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를 투과하여 상기 광 신호를 외부로 발산시키는 발광부;
    상기 용기의 온도 또는 기울기를 센싱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광 신호를 상기 발광부로 제공하는 발광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음료가 저장된 컵인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11. 용기(container)의 상태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발산되는 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광 신호로부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광 신호의 세기에 따라 제어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광 신호의 파장 크기에 따라 제어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의 세기는 상기 용기에 저장된 저장물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색 또는 조도를 제어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는 조명 구간과 제어 구간으로 분할되어 반복적으로 동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구간 동안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조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음료가 저장된 컵이고,
    상기 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로부터 상기 음료를 투과하여 발산되는 상기 광 신호를 수신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1020100028463A 2009-08-24 2010-03-30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KR101307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237 2009-08-24
KR20090078237 2009-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16A KR20110020716A (ko) 2011-03-03
KR101307346B1 true KR101307346B1 (ko) 2013-09-11

Family

ID=43929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8463A KR101307346B1 (ko) 2009-08-24 2010-03-30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3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790A (ko) 2017-03-22 2018-10-04 주식회사 넷커스터마이즈 광대역 양방향 통신용 스마트 조명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15833A1 (en) * 2012-05-08 2015-04-3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eungnam University Control of light having multiple light sources
CN103795465B (zh) * 2013-07-31 2015-04-15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基于多阶幅度调制的可见光信号的编码和解码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138A (ja) * 2004-10-28 2006-05-18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用自動販売機、飲料販売システム、及び飲料販売方法
KR20080046341A (ko) * 2006-11-22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위한 광 수신기와 그를 이용한 광 통신시스템
KR20080110215A (ko) * 2007-06-15 2008-12-18 강호중 컴퓨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무선 스마트 컵 및 컴퓨터와스마트 컵을 활용한 데이터 송수신 자동화 시스템
KR20090032371A (ko) * 2007-09-27 2009-04-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등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교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7138A (ja) * 2004-10-28 2006-05-18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用自動販売機、飲料販売システム、及び飲料販売方法
KR20080046341A (ko) * 2006-11-22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위한 광 수신기와 그를 이용한 광 통신시스템
KR20080110215A (ko) * 2007-06-15 2008-12-18 강호중 컴퓨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무선 스마트 컵 및 컴퓨터와스마트 컵을 활용한 데이터 송수신 자동화 시스템
KR20090032371A (ko) * 2007-09-27 2009-04-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등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교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790A (ko) 2017-03-22 2018-10-04 주식회사 넷커스터마이즈 광대역 양방향 통신용 스마트 조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16A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146B2 (en)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JP6310457B2 (ja) 1又は複数の制御可能な装置を有するシステムの制御
US9635730B2 (en) Color emphasis and preservation of objects using reflection spectra
US8248214B2 (en) Adjustable lighting for displaying products
US7652236B2 (en) Lighting system for color control
US81890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systems
KR101974366B1 (ko)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내 각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를 제공받는 가시광 통신 단말
JP5264714B2 (ja) 物理的対象物の選択に関する光フィードバック
JP4944879B2 (ja) 光およびフレグランス制御のため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雰囲気装置
KR101414083B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727549B1 (ko) 무선 조명 제어 시스템
US20100045205A1 (en) Remote color control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101307346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제어 방법
US6517003B2 (en) Least partially colored optical code reader
US20120273372A1 (en) System Including a Bottle for Beverages and a Stand for Supporting the Bottle
US10588191B2 (en) Fresh lamp, mobile terminal, an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oduct information
US10314149B2 (en) Lighting control device and lighting system
KR101985851B1 (ko) 응원용 조명의 무선 제어 시스템
JP6081620B2 (ja) 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
CN219225875U (zh) 一种led显示控制系统
US20190290036A1 (en) Illuminated color of liquid contents
KR20170025191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고유정보 설정장치 및 방법
KR101702030B1 (ko) 스마트 단말과 연동되는 오르골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988612A (zh) 图像显示设备用远程控制器及利用它的照度控制方法
JP2005301818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