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485B1 -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485B1
KR101306485B1 KR1020130021026A KR20130021026A KR101306485B1 KR 101306485 B1 KR101306485 B1 KR 101306485B1 KR 1020130021026 A KR1020130021026 A KR 1020130021026A KR 20130021026 A KR20130021026 A KR 20130021026A KR 101306485 B1 KR101306485 B1 KR 101306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tableware
mounting frame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평우
Original Assignee
이평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우 filed Critical 이평우
Priority to KR102013002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을 사육하는 우리에 식기가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동물 등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이탈되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우리의 일정 위치에 식기가 자리할 수 있도록 하며, 식기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SUPPORTER APPARATUS OF BOWL FOR ANIMAL}
본 발명은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을 사육하는 우리에 식기가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동물 등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식기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포함하는 동물들은 일정 크기를 갖는 우리 안에서 사육되며, 식기를 이용하여 사료 등의 먹이와 물 등을 제공받는다.
그러나, 종래에는 식기가 우리를 이루는 내부 바닥에 그대로 놓이기 때문에 동물들이 식기에 수용되는 먹이나, 물 등을 먹을 때 식기가 움직이거나, 뒤집히면서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물들이 바닥에 놓이는 식기를 장난감 등의 놀이수단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식기가 우리 내부에 나뒹굴면서 쉽게 파손되는 것은 물론, 파손에 의해 날카로워진 식기에 동물들이 부상을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15387호에 따르면, 식기가 임의 유동하거나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물용 식기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식기거치대 또한 우리를 이루는 내부 바닥에 바로 안착되기 때문에 우리의 내부공간 활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동물들이 식기에 수용되는 먹이나, 물 등을 밟고 지나가면서 우리 내부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15387호(2006. 04. 2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물을 사육하는 우리에 식기가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동물 등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식기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물이 사육되는 우리에 식기가 탈착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치장치로서, 상기 우리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식기가 상기 우리의 바닥면으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기 우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탈착부를 포함하는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기는, 상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식기가 인입되고, 상부에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어 거치되는 거치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프레임은, 전,후단부를 가지며, 상기 전단부는 상기 우리에 접하고, 상기 후단부는 곡면 형태를 이루며, 양단부 사이 양측부는 서로 평행을 이루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기는, 상기 거치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플랜지가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단부 및 상기 지지바에 접하면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는, 일단부가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우리는, 다수의 가로바와, 다수의 세로바가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 표면에 다수의 격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탈착부는, 하단부가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우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탈착프레임은,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격자공간을 이루는 가로바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탈착부는, 상기 우리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프레임; 및 상기 가압프레임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거치프레임을 상기 우리에 탈착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우리는, 다수의 가로바와, 다수의 세로바가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 표면에 다수의 격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탈착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가압프레임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결합구는, 타단부가 상기 우리에 형성되는 격자공간을 통해 상기 우리의 외측에 위치되며, 그 격자공간의 하부면을 이루는 가로바 의해 지지되며, 상기 가압프레임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구가 관통되는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구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조임 및 풀림에 따라 상기 가압프레임을 상기 거치프레임 방향으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며 상기 거치프레임을 상기 우리에 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프레임이 복수로 이루어지며, 그 복수의 거치프레임을 병렬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에 거치되는 상기 식기를 결속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수단은, 매미고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기는, 외주면에 거치돌기가 구비되되, 상기 거치돌기는, 상기 잠금수단의 결속시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기는,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가 인입되어 결속되는 한 쌍의 결속홈이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는, 상기 식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결속홈으로 인입되어 결속되거나, 상기 한 쌍의 결속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기가 동물을 사육하는 우리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동물들에 의해 이탈되어 파손되지 않는 것은 물론, 그 파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동물들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기가 우리를 이루는 바닥으로부터 공중에 뜬 상태로 그 우리의 일정 위치에 자리함으로써 우리의 내부공간 활용이 자유로운 것은 물론, 식기가 바닥에 놓이는 때보다 상대적으로 우리의 위생 상태가 좋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식기가 일정위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됨으로써 사육자의 접근이 수월한 것은 물론, 동물들에게 제공하는 먹이나, 물 등의 공급 및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서 거치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서 식기가 거치프레임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서 거치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서 탈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서 잠금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잠금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서 거치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1)는 동물이 사육되는 우리(200)에 식기(100)가 탈착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치장치로서, 상기 우리(200)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식기(100)가 상기 우리(200)의 바닥면으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거치되는 거치부(10) 및 상기 거치부(10)를 상기 우리(2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탈착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동물은 개,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우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동물을 사육할 수 있는 공간부(210)가 마련되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하부 중 적어도 한 곳이 개방되거나, 어느 한 곳도 개방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리(200)에는 동물 및 사육자를 위한 별도의 출입문(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우리(200)는 표면이 상기 공간부(210)와 연통되며, 다수의 가로바(221)와 다수의 세로바(222)가 격자 형태로 배치되어 다수의 격자공간(220)을 형성하는 망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기(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플랜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0)는 상기 식기(100)의 상단부가 외측으로 절곡 또는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1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구되는 거치프레임(11)을 포함하며, 상기 식기(100)는 상기 플랜지(110)가 상기 거치프레임(11)에 접하면서 거치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거치프레임(11)은 링 형태를 이루며, 원형이나,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우리(200)에 접하는 전단부는 평면 형태를 이루고, 후단부는 곡면 형태를 이루며, 전,후단부를 연결하는 양측부는 서로 평행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거치프레임(11)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지지바(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11)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부가 상기 식기(100)의 일측을 감싸 지지하며, 상기 지지바(12)는 상기 식기(100)의 타측을 지지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거치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는 상기 거치프레임(11)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0a) 및 상기 지지바(12)와 상기 지지프레임(10a)을 연결하는 보강바(1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a)은 상기 우리(200)에 접하면서 상기 거치프레임(11)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바(10b)는 상기 거치프레임(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로 인해, 상기 식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10)가 상기 거치프레임(11) 및 상기 지지바(12)에 접하면서 바닥으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상기 거치부(10)에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착부(20)는 하단부가 상기 거치프레임(11)에 고정되고, 상단부에는 걸림고리(22)가 형성되어 상기 우리(20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프레임(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착프레임(21)은 용접 등에 의해 상기 거치프레임(11)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걸림고리(22)는 상기 탈착프레임(21)의 상단부가 상기 거치프레임(11)이 위치되는 반대 방향으로 벤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고리(22)가 상기 우리(200)의 일측을 이루는 격자공간(220)으로 인입되어 그 격자공간(220)의 하측면을 이루는 가로바(221)에 안착되면서 상기 우리(2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걸림고리(22)가 가로바(221)와 이격되면서 상기 우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고리(22)는 상기 공간부(210)에서 상기 우리(2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다수의 격자공간(220) 중 어느 하나의 격자공간으로 인입되어 그 격자공간의 하측면을 이루는 가로바에 안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부(20)가 상기 우리(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 상기 우리(200)의 바닥으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서 식기가 거치프레임에 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식기(100)는 외주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120)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11)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20)가 인입되어 결속되는 한 쌍의 결속홈(13,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20)는 상기 식기(100)의 정 중앙부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식기(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으로 인입되어 결속되거나,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은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거치프레임(11)의 후단부 정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중 어느 하나의 결속홈(13)은 상기 거치프레임(11)의 측면부에 편심되어 위치되고, 다른 하나의 결속홈(14)은 곡면 형태를 이루는 상기 거치프레임(11)의 후면부에 편심되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식기(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20)가 각각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은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는 상기 거치프레임(11)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 중 어느 하나의 결속홈(14)은 일반부가 타단부보다 상,하폭이 좁게 형성되고, 다른 결속홈(13)은 이와 반대로 타단부가 일단부보다 상,하폭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속홈(14)으로는 결합돌기(120)가 타단부로 인입되어 일단부에서 결속되며, 상기 결속홈(13)으로는 결합돌기(120)가 일단부로 인입되어 타단부에서 결속된다.
또는,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거치프레임(11)의 상단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결속홈(13a,14a) 및 상기 제1결속홈(13a,14a)과 연통되며 상기 거치프레임(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2결속홈(13b,1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20)는 상기 제1결속홈(13a,14a)으로 인입된 뒤, 상기 식기(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결속홈(13b,14b)에 인입되어 결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20)가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으로의 인입이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식기(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20)가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에 결속된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1)는 상기 식기(1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20)가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한 쌍의 결속홈(13,14)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거치프레임(11)에 빠르고 간편하게 탈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서 거치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거치부(10)는 상기 거치프레임(11)이 복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거치프레임(11)을 병렬로 연결하는 연결부(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5)는 상기 복수의 거치프레임(11)의 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1연결프레임(16)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거치프레임(11)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2연결프레임(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5)는 일단부가 상기 제1연결프레임(16)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연결프레임(18) 및 상기 제2,3연결프레임(17,18)을 연결하는 제4연결프레임(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프레임(18)은 상기 탈착부(20)이 상기 우리(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우리(200)에 접하도록 위치되며, 동물들에 의한 가압 등에 의해 상기 거치부(1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프레임(17) 및 제4프레임(19)은 상기 복수의 거치프레임(11)이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복수의 거치프레임(11)에는 각각 상기 지지바(12)가 설치되며, 상기 탈착프레임(21)은 상기 거치프레임(11)에 고정, 설치되거나, 상기 제1연결프레임(18)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5)는 상기 제3연결프레임(18)에 설치되며, 상기 우리(200)에 결속되는 매미고리(18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미고리(18a)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우리(200)의 격자공간을 이루는 가로바(221)와의 결속에 의해 상기 제3연결프레임(18)의 유동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상기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1)는 상기 식기(100)가 바닥으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상기 복수의 거치프레임(11)에 각각 거치됨으로써 상기 우리(200)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복수의 상기 식기(100)를 사용하여 동물들에게 안정적으로 먹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서 탈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탈착부(20)는 상기 우리(200)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거치프레임(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프레임(23) 및 상기 가압프레임(23)을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여 상기 거치프레임(11)을 상기 우리(200)에 탈착하는 가압부재(24)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탈착부(20)는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는 상기 거치프레임(11)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압프레임(23)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구(25)는 타단부가 상기 우리(200)에 형성되는 격자공간(220)을 통해 상기 우리(200)의 일측을 관통하며, 그 격자공간(220)의 하부면을 이루는 가로바(221)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거치프레임(11)은 상기 복수의 결합구(25)가 상기 가로바(221)에 의해 지지되면서 하중에 의한 하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상기 우리(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25)는 볼트(25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볼트(25a)의 타단부가 상기 거치프레임(11)의 전단부를 통과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구(25)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공(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구(25)는 상기 거치프레임(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도 무방하나,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프레임(23)은 상기 복수의 결합구(25)가 관통되는 복수의 결합공(23a)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24)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나비너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결합구(25)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24)의 가압 및 가압해제의 의미는 상기 가압부재(24)의 조임 및 풀림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압프레임(23)은 상기 거치프레임(11)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우리(200)의 일측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한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프레임(11)은 상기 우리(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거나, 상기 우리(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1)는 상기 우리(200)에 상기 거치프레임(11)을 고정, 설치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24)를 풀림하여 상기 거치프레임(11)으로부터 상기 가압프레임(23)이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가압프레임(23)이 상기 거치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되면, 그 거치프레임(11)을 상기 공간부(210)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결합구(25)가 상기 우리(200)의 일측을 이루는 격자공간(220)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결합구(25)가 상기 우리(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분리된 상태의 상기 가압프레임(23)을 상기 복수의 결합구(25)에 재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가압부재(24)를 조임하여 상기 가압프레임(23)과 상기 거치프레임(11)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우리(200)의 일측을 가압한다.
이로 인해, 상기 거치프레임(11)은 상기 우리(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거치프레임(11)에 거치되는 상기 식기(100)는 바닥으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상기 거치프레임(11)에 거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에서 잠금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서 잠금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1)는 상기 거치프레임(11)에 거치되는 상기 식기(100)를 결속하기 위한 잠금수단(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30)은 일반적인 형태의 매미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프레임(11)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수단(30)은 상기 거치프레임(11)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식기(100)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결속한다.
이때, 상기 식기(100)는 외주면에 하나의 거치돌기(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돌기(130)는 상기 지지바(12)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식기(100)가 상기 거치프레임(11)으로부터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는, 상기 잠금수단(30)은 상기 거치프레임(11)의 후단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1)는 상기 거치돌기(130)가 상기 거치프레임(11)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식기(100)를 상기 거치프레임(11)에 거치한다.
상기 식기(100)가 상기 거치프레임(11)에 거치되면 상기 식기(100)를 회전시켜 상기 거치돌기(130)가 상기 지지바(1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식기(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거치돌기(130)가 상기 지지바(12)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잠금수단(30)을 잠금하여 상기 식기(100)를 상기 거치프레임(11)에 결속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잠금부(30)를 풀림한 상태에서 상기 식기(100)를 회전시키면 상기 거치돌기(130)가 상기 지지바(12)의 하부로부터 이탈되어 결속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거치프레임(1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로 인해, 상기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1)는 상기 식기(100)가 상기 거치프레임(11)에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거치프레임(11)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치장치 10 : 거치부
11 : 거치프레임 12 : 지지바
13,14 : 결속홈 15 : 연결부
16 : 제1연결프레임 17 : 제2연결프레임
18 : 제3연결프레임 19 : 제4연결프레임
20 : 탈착부 21 : 탈착프레임
22 : 걸림고리 23 : 가압프레임
24 : 가압부재 25 : 결합구
30 : 잠금수단 100 : 식기
110 : 플랜지 120 : 결합돌기
130 : 거치돌기 200 : 우리
210 : 공간부 220 : 격자공간
221 : 가로바 222 : 세로바

Claims (12)

  1. 동물이 사육되는 우리에 식기가 탈착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치장치로서,
    상기 우리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식기가 상기 우리의 바닥면으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기 우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하부가 개구되고, 전단부가 상기 우리에 접하며, 후단부가 곡면 형태를 이루고, 그 전,후단부 사이 양측부가 서로 평행을 이루는 거치프레임;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하며,
    상기 식기는,
    상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그 플랜지가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단부 및 상기 지지바에 거치되며,
    상기 우리는,
    다수의 가로바와, 다수의 세로바가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 표면에 다수의 격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는,
    하단부가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걸림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격자공간을 이루는 가로바에 결합되어 상기 우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식기는,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 한 쌍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가 인입되어 결속되는 한 쌍의 결속홈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결속돌기는,
    상기 식기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결속홈으로 인입되어 결속되거나, 그 한 쌍의 결속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2. 동물이 사육되는 우리에 식기가 탈착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치장치로서,
    상기 우리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식기가 상기 우리의 바닥면으로부터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상기 우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탈착부; 및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는 상기 식기를 결속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하부가 개구되고, 전단부가 상기 우리에 접하며, 후단부가 곡면 형태를 이루고, 그 전,후단부 사이 양측부가 서로 평행을 이루는 거치프레임; 및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식기는,
    상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그 플랜지가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단부 및 상기 지지바에 거치되며,
    상기 우리는,
    다수의 가로바와, 다수의 세로바가 격자 형태로 연결되어 표면에 다수의 격자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탈착부는,
    하단부가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걸림고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고리가 상기 격자공간을 이루는 가로바에 결합되어 상기 우리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매미고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프레임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상기 식기를 그 거치프레임에 결속하며,
    상기 식기는,
    외주면에 거치돌기가 구비되고, 그 거치돌기는 상기 잠금수단의 결속시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일단부가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바와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는 보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프레임이 복수로 이루어지며, 그 복수의 거치프레임을 병렬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30021026A 2013-02-27 2013-02-27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KR101306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026A KR101306485B1 (ko) 2013-02-27 2013-02-27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026A KR101306485B1 (ko) 2013-02-27 2013-02-27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485B1 true KR101306485B1 (ko) 2013-09-09

Family

ID=4945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026A KR101306485B1 (ko) 2013-02-27 2013-02-27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4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7556A (zh) * 2017-06-20 2017-08-25 湖南天爱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运动型肉鸡养殖设备
KR20180081324A (ko) * 2017-01-06 2018-07-16 (주)몬도미오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CN110637742A (zh) * 2019-10-23 2020-01-03 唐国竣 一种转轴固定式碗架
KR20200132233A (ko) 2019-05-16 2020-11-25 주식회사 스튜디오얼라이브 반려동물용 식기
KR20220059803A (ko) 2020-11-03 2022-05-10 임해원 반려동물별 맞춤형 식기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1951A (en) * 1976-02-02 1977-03-15 Boyer Richard J Bracket for small animal feeder
US5467733A (en) * 1994-08-15 1995-11-21 Messina; Anthony Feeder bowl for a bird in a c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1951A (en) * 1976-02-02 1977-03-15 Boyer Richard J Bracket for small animal feeder
US5467733A (en) * 1994-08-15 1995-11-21 Messina; Anthony Feeder bowl for a bird in a cag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324A (ko) * 2017-01-06 2018-07-16 (주)몬도미오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KR101894044B1 (ko) 2017-01-06 2018-09-04 (주)몬도미오 반려동물 급체방지용 식기세트
CN107087556A (zh) * 2017-06-20 2017-08-25 湖南天爱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运动型肉鸡养殖设备
KR20200132233A (ko) 2019-05-16 2020-11-25 주식회사 스튜디오얼라이브 반려동물용 식기
CN110637742A (zh) * 2019-10-23 2020-01-03 唐国竣 一种转轴固定式碗架
KR20220059803A (ko) 2020-11-03 2022-05-10 임해원 반려동물별 맞춤형 식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485B1 (ko) 동물용 식기 거치장치
US20060253979A1 (en) Playpen assembly
KR101364161B1 (ko) 문어 양식장치
KR20200012720A (ko) 애완동물용 음수기
US20100275853A1 (en) Pet Litter Receptacle
KR20130030527A (ko) 로얄제리 채취용 이충벌집광
JP6931546B2 (ja) トイレマットカバーおよびそれを有するペット用トイレ
US20120006273A1 (en) Assembling dog toilet
US3119372A (en) Bird cage feeder device
KR102241636B1 (ko)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받침대 분뇨투입 방지장치
KR101321982B1 (ko) 낚싯대꽂이 부착형 밑밥통
KR101901785B1 (ko) 양봉 계상통 내검기용 위치 조정구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KR101583336B1 (ko) 송아지용 사료통
KR101082374B1 (ko) 젖병 건조장치
KR20170117709A (ko) 애완동물용 집
JP6857913B2 (ja) 小動物用トイレ
KR200466987Y1 (ko) 비누케이스 조립체
JP2011036621A (ja) シャボンスタンド
KR100998438B1 (ko) 다용도 부화통
KR200406288Y1 (ko) 설치류용 와이어 케이지
KR102582999B1 (ko) 적층형 곤충알 산란장치
KR200405694Y1 (ko) 도마 받침대
KR200378559Y1 (ko) 멍게 모패용 트레이
KR102661673B1 (ko) 배변 패드를 고정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배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