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559Y1 - 멍게 모패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멍게 모패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559Y1
KR200378559Y1 KR20-2004-0036377U KR20040036377U KR200378559Y1 KR 200378559 Y1 KR200378559 Y1 KR 200378559Y1 KR 20040036377 U KR20040036377 U KR 20040036377U KR 200378559 Y1 KR200378559 Y1 KR 200378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ray body
seam
se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범
Original Assignee
유금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범 filed Critical 유금범
Priority to KR20-2004-0036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5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5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멍게 모패용 트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은 판상의 트레이몸체(12)와, 상기 트레이몸체(12)의 상면에 하부로 요입되게 다수개의 행과 열로 형성되고 저면과 하면에 해수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16)과 통공(18)이 각각 형성되고 멍게가 안착되는 멍게안착포켓(14)과, 상기 멍게안착포켓(14)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멍게안착포켓(14)에 안착된 멍게를 지지하는 지지돌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몸체(1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적층리브(22)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몸체(12)는 상기 적층리브(22)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레그(24)에 의해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에 지지됨과 동시에 다수의 층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멍게 모패용 트레이는 멍게가 세워진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어, 알과 유생의 채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멍게를 넣어 알과 유생을 채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멍게 모패용 트레이{Tray for sea squirt}
본 고안은 멍게 모패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멍게의 종자를 채취하기 위해 멍게를 소정 온도의 해수 내에 유지시킬 수 있는 멍게 모패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멍게는 대부분이 암수한몸이며 체외수정과 함께 체내수정(주로 군체멍게)도 한다. 체내수정의 경우, 배(胚)를 부화 직전까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보존하는 난태생 외에 어미로부터 영양공급을 받는 태생종도 드물게 있다. 알에서 태어난 유생은 타원체인 몸통의 뒤에 긴 꼬리부분을 가지며 꼬리부분의 활발한 움직임으로 보통 1일 이내의 짧은 부유기간을 지낸다.
멍게의 양식을 위해서는 상기 유생을 채취해서 양식장의 구조물에 부착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수조 내에 멍게가 알을 낳을 수 있는 분위기를 가지는 해수를 채워 유생을 채취한다.
종래에는 멍게의 양식에 필요한 유생을 채취하기 위해 해수가 채워진 수조 내에, 일반 소쿠리나 평평한 그릇을 놓고 이에 다수개의 멍게를 세워두었다. 이때, 상기 멍게들끼리 서로서로 의지하여 세워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멍게를 세워서 수조에 넣는 것은 입수공과 출수공을 통해 해수의 입수와 출수가 잘 될 수 있도록 하여 멍게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정해진 시간마다 멍게가 낳은 알이나 유생을 채취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수조의 해수를 주기적으로 빼고, 채워넣게 된다. 즉, 수조의 해수를 빼서 이에 섞인 알이나 유생을 채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수조 내에 해수를 넣고 빼는 과정에서 소쿠리나 평평한 그릇에 있던 멍게가 넘어진다. 이는 상기 멍게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구조가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하나의 멍게가 넘어지면 서로서로 의지하여 세워져 있는 멍게가 일제히 넘어지게 된다. 따라서, 해수를 빼고 넣는 과정에서 넘어진 멍게를 일일이 작업자가 일으켜 세워야 했고, 넘어진 멍게를 그냥 두면 폐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소쿠리나 평평한 그릇을 사용하여 멍게를 세워두면 수조내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어서, 하나의 수조 내에 넣을 수 있는 멍게의 개수가 한정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자의 채취를 위해 멍게를 세워서 해수내에 유지할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멍게를 동시에 수조 내에 넣을 수 있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판상의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상면에 하부로 요입되게 다수개의 행과 열로 형성되고 저면과 하면에 해수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과 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멍게가 안착되는 멍게안착포켓과, 상기 멍게안착포켓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멍게안착포켓에 안착된 멍게를 지지하는 지지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몸체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적층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몸체는 상기 적층리브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레그에 의해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에 지지됨과 동시에 다수의 층으로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적층리브는 각각 상기 지지레그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다.
상기 트레이몸체는 장방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멍게 모패용 트레이는 멍게가 세워진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어, 알과 유생의 채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멍게를 넣어 알과 유생을 채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멍게 모패용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멍게 모패용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트레이를 다수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트레이(10)는 그 트레이몸체(12)가 대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몸체(12)는 반드시 장방형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원판상으로 될 수도 있고, 다각형 판상으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레이몸체(12)는 소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트레이몸체(12)에는 멍게안착포켓(14)이 행과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멍게안착포켓(14)은 트레이몸체(12)의 상면에서 소정 깊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반구형상이다. 상기 멍게안착포켓(14)은 트레이몸체(12)의 하면으로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멍게안착포켓(14)의 저면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1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6)은 수조내의 해수를 빼는 과정에서 상기 멍게안착포켓(14) 내에 해수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멍게안착포켓(14)의 저면에 관통공(16)이 형성된 것과 별도로, 그 내면을 둘러서 다수개의 통공(18)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8) 역시 멍게안착포켓(14) 내에 해수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멍게안착포켓(14)에는 멍게의 입수공과 출수공 반대쪽, 즉 멍게가 바다에서 다른 물체에 부착되는 부분이 있는 쪽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입수공과 출수공을 통해 해수의 흡입과 배출이 원활하게 되어 멍게가 배란을 잘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트레이몸체(12)의 상면에 해당되는 상기 멍게안착포켓(14)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지지돌부(2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부(20)는 각각 멍게안착포켓(14)에 안착된 멍게의 4지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돌부(20)는 하나의 멍게안착포켓(14)에 대해 4개가 형성된다. 하지만, 하나의 지지돌부(20)가 최고 4개의 멍게안착포켓(14)에 대해 멍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돌부(20)의 정상부분에도 통공(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트레이(10)의 제작을 위한 금형구조상 통공(21)이 없는 지지돌부(20)도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지지돌부(20)의 정상에 통공(2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21) 역시 수조의 해수를 뺄 때, 해수가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트레이(10)는 다수개가 여러층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트레이몸체(12)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적층리브(2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적층리브(22)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트레이몸체(12)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적층리브(22)가 형성되는 부분은 하나의 멍게안착포켓(14)이 형성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적층리브(22)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상으로 되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사각통체 등 다각통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적층리브(22)는 트레이몸체(12)의 상면에 형성된 것과 하면에 형성된 것이 그 직경이 달리 될 수 있다. 즉, 어느 일측의 적층리브(22)는 그 내경이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레그(24)의 외주면이 압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타측 적층리브(22)는 그 외경이 지지레그(24)의 내주면이 압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트레이몸체(12)와 지지레그(24)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0)를 다수개 적층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레그(24)가 사용된다. 상기 지지레그(24)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 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상기 적층리브(22)의 형상에 따라 지지레그(24)의 형상은 달리 될 수 있다.상기 지지레그(24)는 트레이(10)를 수조 상에서 소정의 높이에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여러개의 트레이(10)가 층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멍게 모패용 트레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트레이(10)의 멍게안착포켓(14)에는 각각 하나의 멍게가 안착된다. 이때, 멍게의 입수공과 출수공이 각각 트레이몸체(12)의 상면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되어야 한다. 상기 멍게안착포켓(14)에 멍게가 안착되면 상기 지지돌부(20)는 멍게의 외주면 4지점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멍게의 크기에 따라서는 단지 멍게안착포켓(14)에 안착됨에 의해 세워질 수도 있다.
상기 멍게안착포켓(14)에 멍게가 안착된 상태에서 멍게의 하단부, 해저에서 다른 물체에 고착되는 부분이 상기 멍게안착포켓(14)의 관통공(16)을 통해 트레이몸체(12)의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2에 참고적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트레이(10)는 지지레그(24)에 의해 수조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24)가 트레이몸체(12)의 상면에 형성된 적층리브(22)에 각각 하나씩 끼워지고, 각각의 지지레그(24)상단에 또 하나의 트레이몸체(12) 하면 네모서리에 형성된 적층리브(22)가 결합되면, 트레이(20)가 2층으로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층으로 트레이(1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동일한 바닥면적의 수조에 종래에 비해 트레이(10)의 층수에 비례해서 더 많은 멍게 모패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 바닥면적의 수조의 깊이만을 더 깊게 한다면, 휠씬 많은 멍게 모패에서 종자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레그(24)는 상단에 트레이몸체(12)의 하면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적층리브(22)가 삽입된다. 그리고, 지지레그(24)의 하단은 트레이몸체(12)의 상면에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적층리브(22)의 내부에 삽입된다. 즉, 일측은 적층리브(22)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타측은 적층리브(22)에 의해 외주면이 둘러싸이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성상 트레이몸체(12)의 지지가 보다 견고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다수의 층으로 트레이(10)가 지지레그(24)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수조에는 멍게가 배란할 수 있는 온도의 해수가 채워진다. 이와 같은 상태로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멍게가 알을 낳고, 그 알에서 유생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수조의 해수에는 알과 유생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수조의 해수를 뺀다. 즉, 해수에 섞인 알과 유생을 해수를 수조에서 빼면서 걸러서 채취하는 것이다. 그리고, 계속해서 알과 유생을 얻기 위해 수조에는 새로운 해수를 채우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트레이몸체가 원판상으로 되는 경우, 지지레그와 연결되는 적층리브는 트레이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트레이몸체의 크기에 따라 3군데 이상에 적층리브가 형성되면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멍게 모패용 트레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트레이몸체에 멍게안착포켓을 다수의 행과 열로 요입되게 배치하였으므로 멍게 모패를 트레이몸체에 세워진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고, 특히 수조의 해수를 빼고 새로 채울 때에도 멍게가 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멍게모패의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멍게안착포켓의 저면을 관통하는 관통공과 측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있어 수조의 해수를 뺄 때, 멍게안착포켓 내부의 해수가 완전히 배출될 수 있어 멍게의 알과 유생을 보다 확실하게 채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지지레그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트레이를 여러층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바닥면적을 가지는 수조내에 보다 많은 멍게 모패를 위치시켜 알과 유생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멍게 모패용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트레이를 다수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트레이 12: 트레이몸체
14: 멍게안착포켓 16: 관통공
18: 통공 20: 지지돌부
22: 적층리브 24: 지지레그

Claims (5)

  1. 판상의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상면에 하부로 요입되게 다수개의 행과 열로 형성되고 저면과 하면에 해수의 통과를 위한 관통공과 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멍게가 안착되는 멍게안착포켓과,
    상기 멍게안착포켓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멍게안착포켓에 안착된 멍게를 지지하는 지지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모패용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몸체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적층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모패용 트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몸체는 상기 적층리브에 끼워져 설치되는 지지레그에 의해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에 지지됨과 동시에 다수의 층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모패용 트레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는 적층리브는 각각 상기 지지레그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모패용 트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몸체는 장방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멍게 모패용 트레이.
KR20-2004-0036377U 2004-12-22 2004-12-22 멍게 모패용 트레이 KR200378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377U KR200378559Y1 (ko) 2004-12-22 2004-12-22 멍게 모패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377U KR200378559Y1 (ko) 2004-12-22 2004-12-22 멍게 모패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559Y1 true KR200378559Y1 (ko) 2005-03-16

Family

ID=4368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377U KR200378559Y1 (ko) 2004-12-22 2004-12-22 멍게 모패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5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598B1 (ko) * 2015-12-22 2018-03-02 정재진 해상용 수하식 개체굴 양성장치
WO2024050652A1 (es) * 2022-09-09 2024-03-14 Golden Sea Spa Dispositivo, sistema y método para el cultivo de molusco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598B1 (ko) * 2015-12-22 2018-03-02 정재진 해상용 수하식 개체굴 양성장치
WO2024050652A1 (es) * 2022-09-09 2024-03-14 Golden Sea Spa Dispositivo, sistema y método para el cultivo de molusco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737746A (en) Floating and submersible closed-contained aquaculture farming, and method of rearing fish
JP2007006736A (ja) 鑑賞魚用給餌器
KR102010011B1 (ko) 전복의 수조 바닥면 부착 방지를 위한 쉘터지지구
KR20130030527A (ko) 로얄제리 채취용 이충벌집광
KR200378559Y1 (ko) 멍게 모패용 트레이
KR20130005550U (ko) 벌 사양용 벌통
US201801102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polyculture of benthic and pelagic aquatic animals using a stacked combination of deep and shallow habitats
KR200409213Y1 (ko) 전복양식 구조물
CN204350860U (zh) 散养鸡禽用饲料盒
CN103238545B (zh) 一种金乌贼受精卵孵化装置及其孵化方法
CN203120742U (zh) 一种具有内部格栅支架的卵寄生性天敌昆虫繁殖盒
KR20120002060U (ko) 뒤영벌 증식 및 여왕벌 계대용 겸용상자
KR101583321B1 (ko) 양봉용 소초
KR100756624B1 (ko) 꽃게 유생 사육장치
CN208850445U (zh) 一种分隔式乌鳢繁育网箱
RU2001134069A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челосемей
CN207411277U (zh) 一种蝙蝠蛾幼虫自动分龄养殖装置
KR100586717B1 (ko) 다용도 닭장
AU2015261700B2 (en) Stingless bee keeping frame and assembly
CN103392626A (zh) 防鼠蚁散养饲料台
US11950575B2 (en) Modular housing structure for solitary bees
CN108990840A (zh) 一种轮毂状的蜂箱
CN209806831U (zh) 实验用龙虾孵化装置
CN209120982U (zh) 一种蜂王培育及贮存容器
CN216601295U (zh) 斑马鱼产卵防误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