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709A - 애완동물용 집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709A
KR20170117709A KR1020160045458A KR20160045458A KR20170117709A KR 20170117709 A KR20170117709 A KR 20170117709A KR 1020160045458 A KR1020160045458 A KR 1020160045458A KR 20160045458 A KR20160045458 A KR 20160045458A KR 20170117709 A KR20170117709 A KR 2017011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seat
front wall
connecting rod
re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349B1 (ko
Inventor
조윤정
Original Assignee
조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정 filed Critical 조윤정
Priority to KR1020160045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34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7Mat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간에서 애완동물의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고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세탁에 용이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애완동물의 청결유지와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애완동물용 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11)가 형성된 전면벽체(110)와, 상기 전면벽체(110)와 일정간격으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후면벽체(120)와, 상기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의 상단 및 하단을 상호 연결하고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관통된 시트삽입홀(142)이 형성된 상단연결대(140a) 및 하단연결대(140b)와, 상기 시트삽입홀(14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시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집{HOUSE FOR PE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에서 애완동물의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되고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세탁에 용이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애완동물의 청결유지와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애완동물용 집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더불어 애완동물을 위한 집, 침대, 방석, 샴푸, 옷 등과 같은 애완동물의 용품의 관심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애완동물과 주인이 함께 생활하는 실내공간에서도 애완동물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그들만의 공간을 마련해주기 위한 집이나 침대, 방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실내에서 애완동물의 자리를 마련해주기 위해서는 쿠션소재로 된 집과 매트리스 내지 침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쿠션소재로 된 집과 매트리스 내지 침대는 애완동물의 분비물이나 털 등으로 인해 쉽게 오염되고 애완동물이 물어뜯는 행위 등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과 매트리스 내지 침대의 커버는 직물소재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기 쉽고, 집과 매트리스 내지 침대에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세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이 어렵기 때문에 냄새, 곰팡이 등이 생겨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워 애완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며, 애완동물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476441호(등록일자: 2015년 02월 24일)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된 판재 형태의 시트판; 상기 시트판이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시트판안착부를 제공하며, 상기 시트판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틀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용 침대가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20-0476441호는 애완동물의 청결을 유지시킬 수 있지만 애완동물에게 독립적인 공간을 만들어주기 어려우며, 다수의 애완동물이 있는 경우 각각의 애완동물을 위해 실내에 설치할 때 많은 공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할 수 없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 등을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청결유지와 건강관리를 위해 세탁이 용이하면서, 다수의 애완동물이 있는 경우에도 협소한 공간에서 각각의 애완동물에게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실내공간에 애완동물이 누워 잠자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면서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집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의 애완동물에게 각각의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집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은 애완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11)가 형성된 전면벽체(110)와, 상기 전면벽체(110)와 일정간격으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후면벽체(120)와, 상기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의 상단 및 하단을 상호 연결하고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관통된 시트삽입홀(142)이 형성된 상단연결대(140a) 및 하단연결대(140b)와, 상기 시트삽입홀(14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시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연결대(140a) 및 하단연결대(140b)는, 상기 시트삽입홀(142)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시트(150)가 걸림되기 위한 시트걸림홀(143)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15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대리석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애완동물용 집은, 다수개 적층되어 구성되고, 최상위 적층된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상단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대(310)와, 상기 지지대(3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걸이바(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애완동물용 집은 애완동물에게 독립적인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애완동물이 정서적 안정을 취할 수 있어 애완동물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완동물이 잠자거나 쉴 수 있는 공간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하고 관리하기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되는 직물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청결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도 다수의 애완동물에게 각각의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의 시트가 인입된 연결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을 다수개 적층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시트가 인입된 연결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걸이부가 구성된 애완동물용 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의 시트가 인입된 연결대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을 다수개 적층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시트가 인입된 연결대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걸이부가 구성된 애완동물용 집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애완동물용 집(1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11)가 형성된 전면벽체(110)와, 상기 전면벽체(110)와 일정간격으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후면벽체(120)와, 상기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의 상단 및 하단을 상호 연결하고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관통된 시트삽입홀(142)이 형성된 상단연결대(140a) 및 하단연결대(140b)와, 상기 시트삽입홀(14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고정수단(151)에 의해 고정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시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에는 상기 상단연결대(140a) 및 하단연결대(140b)인 연결대(140)가 결속될 수 있도록 벽체결속홈(130)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벽체(110)는 일정면적을 갖고 있으며, 상기 후면벽체(120)와 상호 연결되기 위한 상기 연결대(140)가 결속될 수 있도록 전면벽체결속홈(130a)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벽체(110)의 벽체결속홈(130)은 상기 연결대(140)가 끼워져 결속될 수 있도록 'U'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면벽체(1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전면벽체(110)의 상단에 양측으로 'U'형인 상기 전면벽체결속홈(130a)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체(110)의 하단에는 상기 전면벽체(110)의 상단에 형성된 전면벽체결속홈(130a)과 동일한 위치에 역'U'형으로 전면벽체결속홈(13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벽체(120)는 상기 전면벽체(110)의 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체(110)와 연결되기 위한 상기 연결대(140)가 결속될 수 있는 후면벽체결속홈(130b)을 형성한다.
상기 후면벽체(120)의 후면벽체결속홈(130b)은 상기 연결대(140)가 끼워져 결속될 수 있도록 'U'형으로 형성되어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후면벽체(12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후면벽체(120)의 후면벽체결속홈(130b)은 상기 전면벽체(110)에 형성된 전면벽체결속홈(130a)과 대응되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벽체결속홈(130)에 끼워져 결속되면서 상기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140)는 일정길이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양측에는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벽체결속홈(130)에 끼워지면서 결속되기 위해 연결대결속홈(141)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연결대(14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대결속홈(141)은 상기 전면벽체(110)의 전면벽체결속홈(130a)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대(14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대결속홈(141)은 상기 후면벽체(120)의 후면벽체결속홈(130b)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대(140)는 길이방향으로 시트(150)가 인입되기 위한 시트삽입홀(142)과, 상기 시트삽입홀(142)에서 연장되어 상기 인입된 시트(150)가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트걸림홀(143)을 형성한다.
상기 시트걸림홀(143)은 상기 시트삽입홀(142)의 양측에서 'ㄱ'형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ㄱ'형이 되어 상기 시트삽입홀(142)과 상기 시트걸림홀(143)의 사이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시트(150)가 걸림된다.
상기 시트삽입홀(142)에 인입된 시트(150)는 상기 시트걸림홀(143)에 의해서 시트가 걸림되어 상기 시트(150)가 상기 시트삽입홀(142)에서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대(140)는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연결대(140a)와,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연결대(140b)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단연결대(140a)는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상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결속홈(141a)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시트삽입홀(142a)에 인입되어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하단으로 향하는 시트(150)가 걸려 상기 시트삽입홀(142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시트삽입홀(142a)에서 'ㄱ'형으로 연장되는 시트걸림홀(143a)을 형성한다.
상기 하단연결대(140b)는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하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대결속홈(141b)가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시트삽입홀(142b)과 상기 상단연결대(140a)와 대칭되는 시트걸림홀(143b)이 형성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가 이격되고,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상단에 양측으로 형성된 벽체결속홈(130)에 상기 상단연결대(140a)의 연결대결속홈(141a)을 결속하고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하단에 양측으로 형성된 벽체결속홈(130)에 상기 하단연결대(140b)의 연결대결속홈(141b)을 결속하여 상기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를 상호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를 연결하는 연결대(140)를 결속시키기 위해 볼트 등을 더 추가할 수 있다.
그 후, 상기와 같이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를 연결한 상단연결대(140a)와 하단연결대(140b)의 시트삽입홀(142a,142b)에 상기 시트(150)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150)는 일정크기를 갖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수단(15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트(150)의 일측에 고정수단(151)인 암벨크로를 장착하고 상기 암벨크로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수벨크로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시트(150)의 타측에도 상기 일측과 동일한 고정수단(151)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151)은 벨크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지퍼, 단추 등과 같이 상기 시트(150)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트(150)의 일측이 상기 상단연결대(140a)의 시트삽입홀(142a)에 삽입되고 다른 상기 상단연결대(140a)의 시트삽입홀(142a)에 상기 시트(150)의 타측이 삽입되면서 상면을 형성한 후,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50)의 일측이 삽입된 상단연결대(140a)와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결속되어 있는 하단연결대(140b)의 시트삽입홀(142b)에 상기 시트(150)의 일측을 삽입시킨 후 상기 시트(150)의 일측에 장착된 고정수단(151)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상기 시트(150)의 타측이 삽입된 상단연결대(140a)와 수직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결속되어 있는 하단연결대(140b)의 시트삽입홀(142b)에 상기 시트(150)의 타측을 삽입시키고 상기 시트(150)이 타측에 장착된 고정수단(151)을 이용하여 상기 시트의 타측을 고정시켜 공간을 형성하여 양측면과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시트(150)는 상기 상단연결대(140a) 및 하단연결대(140b)의 시트걸림홀(143a,143b)에 각각 걸려 상기 상단연결대(140a) 및 하단연결대(140b)의 시트삽입홀(142a,142b)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시트(1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151)은 애완동물이 활동할 때 불편함이나, 애완동물의 행동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애완동물의 불편함이나 애완동물의 행동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시트(150)의 양 측을 바닥면에서 고정수단(151)에 의해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애완동물용 집(100)의 바닥면에는 애완동물이 앉거나 누울 수 있도록 대리석판(20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의 바닥면에는 대리석판(200)뿐만 아니라 일정한 크기의 대리석이나 쿠션, 매트리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은 상기 시트(150)가 탈부착할 수 있어 세탁에 용이해지며, 이에 따라 애완동물의 청결유지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은 조립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실내에도 설치가 쉽고 보관하기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 예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애완동물용 집(100a)의 상면 외측에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을 적층시킨다.
이때,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a)에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을 적층시킬 때 볼트, 클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a)에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를 적층시키는 다른 실시 예로는, 먼저 상기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의 구성 중 하단연결대(140d)를 제거한 후에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a)에 장착된다. 즉,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a)의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에 상기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의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가 장착되게 된다.
그 후, 상기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의 상단연결대(140c)에 삽입된 시트(150)의 일측 및 타측은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a)의 상단연결대(140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의 상단연결대(140c)에 삽입된 시트(150b)의 일측은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a)의 시트(150a)의 일측이 삽입되어 있는 상단연결대(140a)에 삽입되어 고정수단(151)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의 상단연결대(140c)에 삽입된 시트(150b)의 타측은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a)의 시트(150a)의 타측이 삽입되어 있는 상단연결대(140a)에 삽입되어 고정수단(151)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a)의 상단연결대(140a)는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a)의 시트(150a)와 상기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의 시트(150b)가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단연결대(140a)의 시트삽입홀(142a)에 여유공간이 없어짐으로써 상기 다른 애완동물용 집(100b)의 시트(150b)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애완동물용 집(100)이 다수개 적층됨으로써 실내공간에서 다수의 애완동물을 키울 경우 각각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아 협소한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최상위 적층된 애완동물용 집(100)의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상단에는 수납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00)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상단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대(310)와, 상기 지지대(3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걸이바(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10)는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상단에 각각 볼트 등을 매개로 장착되며, 상기 걸이바(320)를 끼우기 위한 끼움홈(미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10)의 끼움홈(미도시)에 걸이바(320)를 끼워 상기 지지대(310)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걸이바(320)는 애완동물의 옷 등을 옷걸이에 걸어 수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애완동물용 집(100)의 시트(150)로 인해 형성된 상면의 외측으로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00)로 인해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하고 관리하기 용이하면서 별도의 수납장 등을 구비할 필요없이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게 독립적인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애완동물이 정서적 안정을 취할 수 있어 애완동물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애완동물이 잠자거나 쉴 수 있는 공간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용품을 수납하고 관리하기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이 용이하도록 탈부착되는 직물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환기가 용이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의 청결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다수의 애완동물에게 각각의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애완동물용 집 110: 전면벽체
111: 출입구 120: 후면벽체
130: 벽체결속홈 140: 연결대
141: 연결대결속홈 142: 시트삽입홀
143: 시트걸림홀 150: 시트
151: 고정수단 200: 대리석판
300: 수납부 310: 지지대
320: 걸이바

Claims (3)

  1. 애완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11)가 형성된 전면벽체(110)와,
    상기 전면벽체(110)와 일정간격으로 마주보도록 이격되는 후면벽체(120)와,
    상기 전면벽체(110)와 후면벽체(120)의 상단 및 하단을 상호 연결하고 길이방향과 수직되게 관통된 시트삽입홀(142)이 형성된 상단연결대(140a) 및 하단연결대(140b)와,
    상기 시트삽입홀(142)에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시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결대(140a) 및 하단연결대(140b)는, 상기 시트삽입홀(142)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시트(150)가 걸림되기 위한 시트걸림홀(143)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15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대리석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집.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용 집은, 다수개 적층되어 구성되고, 최상위 적층된 상기 전면벽체(110) 및 후면벽체(120)의 상단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대(310)와, 상기 지지대(3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걸이바(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집.
KR1020160045458A 2016-04-14 2016-04-14 애완동물용 집 KR10184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58A KR101843349B1 (ko) 2016-04-14 2016-04-14 애완동물용 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58A KR101843349B1 (ko) 2016-04-14 2016-04-14 애완동물용 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709A true KR20170117709A (ko) 2017-10-24
KR101843349B1 KR101843349B1 (ko) 2018-03-29

Family

ID=6029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458A KR101843349B1 (ko) 2016-04-14 2016-04-14 애완동물용 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3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5963A1 (ko) * 2019-11-14 2021-05-20 박철웅 반려동물용 탈부착식 털집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펫 하우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042B1 (ko) * 2018-12-18 2020-03-27 김현지 조립형 구조의 애완동물 하우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5218A (ja) 2010-12-02 2012-06-21 Yamahisa Co Ltd ペット用ベッド
KR200476441Y1 (ko) 2014-06-05 2015-03-04 위영훈 애완동물용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5963A1 (ko) * 2019-11-14 2021-05-20 박철웅 반려동물용 탈부착식 털집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펫 하우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349B1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720B1 (en) Canine habitat
US11419307B2 (en) Animal beds
US10842126B1 (en) Twelve-device-in-one interchangeable-canopy-patio-balcony-windscreen-chair-awning-perch-tent-sled-stand-basket-hammock-bed pet crate, having multi-pet-containing panel system, multi-pet multi-entrance door system, interchangeable-canopy-patio-balcony-windscreen-chair-awning-perch-tent-sled-stand-basket-hammock-bed system, tick-blocking water-draining wire-clamping cap system, and tray-locking shock-absorbing gusset system
KR101843349B1 (ko) 애완동물용 집
US20120318206A1 (en) Elevated Pet Furniture
US10517266B2 (en) Decorative kennel
US20050051106A1 (en) Modular pet furniture
US20160081299A1 (en) Pet Confinement Apparatuses and Methods
CN107864876A (zh) 饲养笼保持件
US6397778B1 (en) Caged enclosure pet bed
JP4945260B2 (ja) ペット用ケージ
KR200476441Y1 (ko) 애완동물용 침대
JP3058181U (ja) ペット飼育用ケージ
US20040194713A1 (en) Bolstered pet bed
AU2013100250A4 (en) A bed for a pet
CN103200815A (zh) 动物屋子
JP3114669U (ja) 哺乳動物飼育用ケージと哺乳動物の幼児圧死防止用棚
WO2016162730A1 (en) Enhancement in mobile shelter for dogs
KR200453805Y1 (ko) 애완견 케이지
CN211861438U (zh) 一种宠物笼
JP3136315U (ja) ペット用木製ベッド
US11523587B1 (en) Animal habitat and associated method
JPS6343898Y2 (ko)
JP3060698U (ja) ペット用ケ―ジ
GB2247389A (en) Pet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