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953B1 -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953B1
KR101305953B1 KR1020110053814A KR20110053814A KR101305953B1 KR 101305953 B1 KR101305953 B1 KR 101305953B1 KR 1020110053814 A KR1020110053814 A KR 1020110053814A KR 20110053814 A KR20110053814 A KR 20110053814A KR 101305953 B1 KR101305953 B1 KR 10130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vinyl house
support
hous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703A (ko
Inventor
강재식
최경석
김성모
Original Assignee
김성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김성모
Priority to KR102011005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95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는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비닐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대와, 상기 내부 지지대와 소정거리 이격되며 외측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비닐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대와, 상기 내부 지지대와 외부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지중에 매설되는 단열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Vinyl Hou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가 설치되는 지중을 통해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합성수지나 경량의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기본 골조 파이프에 비닐을 덮어 고정결합하고 하우스 내부와 외부를 차단케 하여 보온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과일이나 채소, 꽃 등을 재배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는 현대의 농가에서는 벼농사와 더불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높은 경제력을 제공함에 따라 작물재배뿐만 아니라, 고기건조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작물 재배에 비닐하우스를 이용하는 것은 뚜렷한 사계절로 인한 부족한 일조량과 작물이 성장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생육 조건을 인공적으로 맞춰주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일조량, 온도 등을 작물이 자라기에 적합한 조건으로 맞출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작물의 생육 조건 중에서 중요한 온도의 경우에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작물을 재배하게 되면 추운 겨울에도 작물을 재배할 수 있기 때문에 농가 소득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작물에 따라서는 비닐하우스 만으로는 생육에 적합한 온도를 맞추기 곤란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는 비닐하우스 내부 난방을 위해서 보일러나 온풍기와 같은 난방 수단을 설치하여 가동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 유가 상승으로 인해 난방을 위한 에너지 비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비닐하우스 내부의 난방을 위한 난방비가 증가형 작물의 생산비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서 농가의 수익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난방을 위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비닐하우스의 내부나 외부를 보온 덮개로 덮어서 보온함으로써 난방을 위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그러나 추운 겨울의 경우 지표면의 온도는 영하로 내려가 지표면이 얼게 되므로 비닐하우스를 보온 덮개로 덮어서 보온을 하더라도 지표층을 통해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이 비닐하우스 외부로 손실되는 열 손실은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추운 겨울철의 경우 지표층을 통해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는 단열재의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는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비닐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대와, 상기 내부 지지대와 소정거리 이격되며 외측 공간을 형성하는 비닐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대와, 상기 내부 지지대와 외부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지중에 매설되는 단열재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방수시트로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는 경량기포 콘크리트로 형성되거나 발포폴리스티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의 두께는 100~200mm이고, 상기 단열재의 깊이는 1m~1.5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은 비닐하우스를 설치할 장소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닐하우스가 설치될 장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열재가 삽입되는 도랑을 파는 단계와, 상기 도랑에 상기 단열재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 내측면을 따라 내부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지지대에 내측 비닐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단열재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지지대에 외측 비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랑에 상기 단열재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랑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를 방수 시트로 감싸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비닐하우스가 설치되는 장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열재가 설치되므로 추운 겨울철에 지표층을 통해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겨울철 비닐하우스 내부의 난방을 위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닐하우스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는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비닐(10)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대(110)와, 내부 지지대(110)에서 외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외측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비닐(20)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대(120)와, 상기 내부 지지대(110)와 외부 지지대(120) 사이에 위치하며 지중에 매설되는 단열재(1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는 내부 지지대(110)에 지지되는 내측 비닐(10)과, 외부 지지대(120)에 지지되는 외측 비닐(20)을 구비하여 이중 비닐하우스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비닐하우스를 이중 구조로 함으로써 내측 비닐(10)과 외측 비닐(20) 사이에는 완충지대(30)가 형성되어 열교환 작용을 완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외부의 냉기가 비닐하우스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이 비닐하우스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이중 비닐하우스 구조를 가지기 위해 내부 지지대(110)는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가로지지대(111)와, 다수의 가로지지대(111)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지지대(112)와, 가로지지대(111)와 세로지지대(112)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13)를 구비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외부 지지대(120)도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다수의 가로지지대(121)와, 다수의 가로지지대(121)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지지대(122)와, 가로지지대(121)와 세로지지대(122)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내부 지지대(110) 및 외부 지지대(120)의 양단부는 지표층(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는 상기 내부 지지대(110)와 외부 지지대(120) 사이에 위치하며 지중에 매설되는 단열재(1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단열재(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지지대(110)와 외부 지지대(120)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이 지표층(1)을 통해 비닐하우스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겨울철, 특히 야간의 경우 실외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보일러나 온풍기와 같은 난방 수단을 가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비닐하우스 주위의 지표층(1)의 온도는 비닐하우스 내부의 지표층(1)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지표층(1)을 통해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이 유출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에서는 지중에 단열재(130)가 매설되어 있으므로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이 지표층(1)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내부에서 손실되는 열을 줄일 수 있어 겨울철 야간에 난방 수단을 가동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난방 수단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단열재(130)로는 발포폴리스티렌, 경량기포콘크리트, 발포세라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발포폴리스티렌의 경우 값이 싸고 내수성, 단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단열재(130)로 적합하다.
또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경우 내부에 기포를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단열성이 우수하고, 지표층(1)에 도랑을 형성한 후 타설만 하면 되므로 단열재(130)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지표층(1)에는 수분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수분이 단열재(13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130)를 감싸는 방수시트(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단열재(13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면 단열재(130)의 단열효과가 저하되므로 단열재(13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시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시트(140)로는 폴리에틸렌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는 단열재(130)의 두께(T)는 100~20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중의 경우 대기보다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충분한 단열성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단열재(130)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100~200mm가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130)의 깊이(H)는 1m~1.5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표층(1)의 경우 대기의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겨울철의 경우 일정 깊이의 지표층까지는 외기와 같은 영하의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단열재(130)의 깊이(H)를 상기와 같이 설정한다.
이와 같은 단열재(130)의 두께(T) 및 깊이(H)는 비닐하우스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가 상대적으로 추운 중부지방의 경우는 단열재(130)의 두께(T)를 두껍게 하고 깊이(H)도 깊게 해야 하며, 날씨가 상대적으로 따듯한 남부지방의 경우 단열재(130)의 두께(T)를 얇게 하고 깊이(H)도 얕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은 비닐하우스를 설치할 장소를 설정하는 단계(S110)와, 상기 비닐하우스가 설치될 장소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열재(130)가 삽입되는 도랑(150)을 파는 단계(S120)와, 상기 도랑(150)에 상기 단열재(13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S130)와, 상기 단열재(130) 내측면을 따라 내부 지지대(110)를 설치하는 단계(S140)와, 상기 내부 지지대(110)에 내측 비닐(10)을 설치하는 단계(S150)와, 상기 단열재(130)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 지지대(120)를 설치하는 단계(S160)와, 상기 외부 지지대(120)에 외측 비닐(20)을 설치하는 단계(S17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도랑(150)에 상기 단열재(130)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단계(S130)에서 상기 도랑(150)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랑(150)에 경량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비닐하우스가 설치되는 장소 주위에 간단하게 단열재(13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재(130)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상기 단열재(130)를 방수 시트(140)로 감싸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재(130) 주위를 방수 시트(140)로 감싸므로 단열재(130)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단열재(13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비닐하우스를 제조함으로써 비닐하우스를 빠른 시간내에 제조할 수 있으며, 비닐하우스 내부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비닐하우스 내부 온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내측 비닐 20: 외측 비닐
110: 내부 지지대 120: 외부 지지대
130: 단열재 140: 방수시트

Claims (9)

  1.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비닐을 지지하는 내부 지지대와,
    상기 내부 지지대와 소정거리 이격되며 외측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비닐을 지지하는 외부 지지대와,
    상기 내측 비닐과 상기 외측 비닐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지대와,
    지중에 매설되는 상기 내부 지지대와 외부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경량기포콘크리트가 두께 100~200mm, 깊이 1m~1.5m로 타설되어 형성되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를 감싸며 지표층에 존재하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시트를 구비하는 비닐하우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53814A 2011-06-03 2011-06-03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 KR10130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814A KR101305953B1 (ko) 2011-06-03 2011-06-03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814A KR101305953B1 (ko) 2011-06-03 2011-06-03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03A KR20120134703A (ko) 2012-12-12
KR101305953B1 true KR101305953B1 (ko) 2013-09-12

Family

ID=4790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814A KR101305953B1 (ko) 2011-06-03 2011-06-03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9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624A (ja) * 1981-07-07 1983-01-20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ソ−ラ−グリ−ンハウス
KR200249904Y1 (ko) 2001-07-05 2001-11-17 이두교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JP2007028928A (ja) 2005-07-22 2007-02-08 Chiba Hidetoshi プラスチックハウ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624A (ja) * 1981-07-07 1983-01-20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ソ−ラ−グリ−ンハウス
KR200249904Y1 (ko) 2001-07-05 2001-11-17 이두교 비닐하우스용 보온덮개.
JP2007028928A (ja) 2005-07-22 2007-02-08 Chiba Hidetoshi プラスチックハウ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03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17908U (zh) 一种栽培食用菌专用生态菇房的温湿度调节系统
KR101377218B1 (ko) 터널형 온실
Nawalany et al. Experimental study on development of thermal conditions in ground beneath a greenhouse
CN205017907U (zh) 一种栽培食用菌专用生态菇房的通风系统
CN205017906U (zh) 一种栽培食用菌专用生态菇房的自然光照系统
KR101597988B1 (ko) 자연 대류식 지중발열유닛 및 농업용 대류식 난방장치
CN204837304U (zh) 寒地太阳能沼气蓄热保温温室
CN204244818U (zh) 保温大棚
KR101305953B1 (ko) 비닐하우스 및 비닐하우스의 제조방법
CN205022094U (zh) 一种保温隔热板材及栽培食用菌专用生态菇房
JP6531928B1 (ja) 温室
CN105015101A (zh) 一种保温隔热板材及栽培食用菌专用生态菇房
CN102783385A (zh) 一种日光温室水帘系统
JP5882166B2 (ja) 株元保温器および長茎植物の栽培方法
CN206620595U (zh) 一种铁皮石斛种植用到的保温装置
KR101829333B1 (ko) 친환경 무가온 버섯재배사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KR102139027B1 (ko) 조경 자생환경 시스템
KR200287591Y1 (ko) 에어포켓을 갖는 하우스용 비닐
JP5823685B2 (ja) 園芸温室栽培用の水タンク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育成方法
KR101814534B1 (ko) 지열을 이용한 환기 시스템이 적용된 비닐하우스
KR101824317B1 (ko) 끝이 말리는 비닐 하우스
CN102239792A (zh) 地暖式高保温日光节能温室
CN204443381U (zh) 一种高寒地区可以提高苗床温度的农业大棚
CN215074236U (zh) 温室系统
CN202143374U (zh) 温室隔热土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