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368B1 - 영구자석 없이 구동 가능한 스피커 - Google Patents

영구자석 없이 구동 가능한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368B1
KR101305368B1 KR1020120006513A KR20120006513A KR101305368B1 KR 101305368 B1 KR101305368 B1 KR 101305368B1 KR 1020120006513 A KR1020120006513 A KR 1020120006513A KR 20120006513 A KR20120006513 A KR 20120006513A KR 101305368 B1 KR101305368 B1 KR 101305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il
diaphragm
driving
power
driv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625A (ko
Inventor
송혜영
Original Assignee
송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혜영 filed Critical 송혜영
Priority to KR102012000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3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3Use or details of compression dr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구자석 없이도 구동 가능한 스피커를 개시한다. 개시된 스피커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과; 상기 진동판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보이스 코일과;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댐핑하는 댐퍼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진동판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될 교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교류전원입력부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공급할 직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직류전원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구자석 없이 구동 가능한 스피커{SPEAKER CAPABLE OF BEING DRIVEN WITHOUT A MAGNET}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구자석 없이도 구동 가능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음성 또는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스피커는, 콘지, 콘지에 연결된 보이스 코일, 보이스 코일과 상호 작용하여 보이스 코일을 상하로 이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영구자석(마그넷) 및 영구자석을 고정하기 위한 요크를 포함한다.
보이스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면 보이스 코일은 전자석이 되어 영구자석과 인력, 척력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보이스 코일이 상하 운동을 하게 되고 진동판이 진동을 하게 되어 공기압이 변하면서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스피커는 영구자석과 그로 인해 존재하는 요크, 플레이트를 가짐으로써 스피커의 무게가 무거워진다. 또한 그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한다.
그리고 영구자석의 크기만큼 스피커의 부피가 커지고, 영구자석의 자속문제로 인해 스피커 주위의 다른 주변장치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게를 경량화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피커에 있어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과; 상기 진동판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보이스 코일과;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댐핑하는 댐퍼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진동판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될 교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교류전원입력부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공급할 직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직류전원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내부에 설치된 제1구동부와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부에 설치된 제2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진동판 지지부와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지지하는 구동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 지지부는, 상기 제1구동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2구동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하 이동을 수용하는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제1열방출 홀과,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안착부 외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구동부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제2열방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보이스 코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내심과 상기 전자석내심에 권선되어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진동판 지지부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구동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 지지부는, 상기 구동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하 이동을 수용하는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과,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 외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방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피커에 있어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과; 상기 진동판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보이스 코일과;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댐핑하는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하로 구동하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페라이트 코어를 지지하는 코어 지지부와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진동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될 교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교류전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지지부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하 이동을 수용하는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과,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 외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방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스피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거운 영구자석 대신에 직류전원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부를 채용함으로써 무게를 경량화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단가가 비싼 영구자석 대신에 간단한 구조의 구동부를 채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피커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실시예 별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10); 캡(120); 보이스 코일(130); 댐퍼(140); 구동부(150); 케이싱(160); 교류전원입력부(170); 및 직류전원입력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판(110)은 콘지 또는 다이어프램(diaphragm)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형 또는 대형 스피커의 경우 상기 진동판(110)으로 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소형 스피커의 경우 상기 진동판(110)으로서 상기 다이어프램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캡(120)은 상기 진동판(110)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이스 코일(130)은 상기 진동판(110)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13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진동판(110)이 진동하여 음파가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이동은 반드시 상하로 직선운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하 방향으로의 대각선 운동, 곡선운동 등의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보이스 코일(130)은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 된 원주(131)와 상기 원주(131)에 권선되어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코일(133)을 포함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원주(131)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댐퍼(140)는 상기 진동판(110)의 진동을 댐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댐퍼(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가령, 출력이 작은 소형스피커의 경우 상기 댐퍼(14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50)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보이스 코일(130)을 상하로 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50)는 영구자석 없이도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보이스 코일(130)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피커(100) 전체의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보이스 코일(130)의 내부에 설치된 제1구동부(151)와 상기 보이스 코일(130)의 외부에 설치된 제2구동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구동부(151)는 코어 없이 권선된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코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구동부(151)의 직경이 상기 보이스 코일(130)의 내경보다 작다.
상기 제2구동부(153)는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130)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60)은, 상기 구동부(150)와 상기 진동판(110)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싱(160)은 진동판 지지부(161) 및 구동부 지지부(163)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판 지지부(161)는 상기 진동판(110)을 지지한다.
상기 진동판 지지부(161)는 상기 구동부 지지부(163)가 결합되는 결합면(169)을 갖는다. 상기 결합면(169)에는 상기 구동부 지지부(163)의 돌기(163a)가 삽입되는 삽입공(162)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지지부(163)는 상기 제1구동부(151) 및 제2구동부(153)를 지지한다.
상기 진동판 지지부(161)는 그 재질이 철, 알루미늄, 구리, 주석의 단일금속 또는 이들 중 적어도 어느 두 금속의 합금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지지부(163)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 지지부(16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착부(164); 제2안착부(165);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166); 제1열방출 홀(167); 제2열방출 홀(16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안착부(164)는 상기 제1구동부(151)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구동부(151)는 상기 제1안착부(164)에 억지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부(165)는 상기 제2구동부(153)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2구동부(153)는 상기 제2안착부(165)에 억지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166)은 상기 보이스 코일(130)이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열방출 홀(167)은 상기 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제1구동부(151)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열방출 홀(168)은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안착부(165) 외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구동부(153)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교류전원입력부(170)는 상기 케이싱(160)에 설치되어 상기 보이스코일(130)에 인가될 교류전원을 입력 받는다.
상기 직류전원입력부(180)는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부(151)와 상기 제2구동부(153)에 인가될 직류전원을 입력 받는다.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피커(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으로서 기능을 하는 다이어프램(210); 보이스 코일(230); 구동부(150); 케이싱(260); 교류전원입력부(170); 및 직류전원입력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어프램(210)은 상기 보이스 코일(23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이스 코일(230)은 제1구동부(151)와 제2구동부(153)사이에 위치해 있다.
상기 구동부(150)는 제1구동부(151)와 제2구동부(1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50)는 영구자석 없이도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보이스 코일(230)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피커(200) 전체의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260)은 다이어프램 지지부(261); 구동부 지지부(263);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166); 열방출 홀(267)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 지지부(263)는 상기 구동부(15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150)는 상기 구동부 지지부(263)에 억지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60)은 일체형 플라스틱 사출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열방출 홀(267)은 상기 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구동부(150)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피커(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10); 캡(120); 보이스 코일(130); 댐퍼(140); 구동부(350); 케이싱(360); 교류전원입력부(170); 및 직류전원입력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보이스 코일(130)은 원주(131)와 교류전원을 공급받는 코일(13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동부(350)는 전자석 내심(351)과 직류전원 코일(353)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석 내심(351)은 상기 보이스 코일(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직류전원 코일(353)은 상기 전자석 내심(351)에 권선되어 상기 직류전원입력부(18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 받는다.
상기 구동부(350)의 상단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13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최대의 전자력이 활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50)는 영구자석 없이도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보이스 코일(130)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스피커(300) 전체의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360)은 상기 진동판 지지부(161) 및 구동부 지지부(363)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 지지부(363)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진동판 지지부(161)는 상기 구동부 지지부(363)가 결합되는 결합면(169)을 갖는다. 상기 결합면(169)에는 상기 구동부 지지부(163)의 돌기(163a)가 삽입되는 삽입공(162)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 지지부(363)는 안착부(364);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166); 열방출 홀(367)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364)는 상기 구동부(35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350)는 상기 안착부(364)에 억지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방출 홀(367)은 상기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166) 외곽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스피커(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10); 캡(120); 보이스 코일(130); 댐퍼(140); 페라이트 코어(450); 케이싱(460); 교류전원입력부(170); 및 직류전원입력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보이스 코일(130)은 원주(131)와 코일(13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450)는 상기 보이스 코일(13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450)는, 상기 보이스 코일(130)에 상기 교류전원입력부(170)를 통해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보이스 코일(130) 전자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13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다만, 상기 페라이트 코어(250)만으로 상기 보이스 코일(130)을 구동하므로 출력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으므로 소형 스피커에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450)의 상단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13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최대의 전자력이 활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450)는 영구자석 없이도 상기 보이스 코일(130)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피커(400) 전체의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케이싱(460)은 진동판 지지부(161) 및 페라이트 코어 지지부(463)를 포함한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 지지부(463)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진동판 지지부(161)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 지지부(463)가 결합되는 결합면(169)을 갖는다. 상기 결합면(169)에는 상기 구동부 지지부(163)의 돌기(163a)가 삽입되는 삽입공(162)이 형성된다.
상기 페리이트 코어 지지부(463)는 안착부(464);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166); 열방출 홀(467)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464)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45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450)는 상기 안착부(464)에 억지끼워 맞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페라이트 코어 지지부(463)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450)를 안착시키는 안착부(464)와 상기 페라이트코어(450)의 열을 방출시키는 열방출 홀(467)을 포함한다.
상기 열방출 홀(467)은 상기 중심 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166) 외곽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스피커 110: 진동판
120: 캡 130, 230: 보이스 코일
131: 원주 133: 코일
140: 댐퍼 150, 350: 구동부
151: 제1구동부 153: 제2구동부
160, 260, 360, 460: 케이싱 161: 진동판 지지부
162: 삽입공 163, 263, 363: 구동부 지지부
163a: 돌기 164: 제1안착부
165: 제2안착부 166: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
167: 제1열방출 홀 168: 제2열방출 홀
169: 결합면 170: 교류전원입력부
180: 직류전원입력부 210: 다이어프램
261: 다이어프램 지지부 267, 367, 467: 열방출 홀
351: 전자석 내심 353: 직류전원 코일
364, 464: 안착부 450: 페라이트 코어
463: 페라이트 코어 지지부

Claims (4)

  1. 삭제
  2. 스피커에 있어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과;
    상기 진동판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보이스 코일과;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댐핑하는 댐퍼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진동판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될 교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교류전원입력부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공급할 직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직류전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보이스 코일의 내부에 설치된 제1구동부와 상기 보이스 코일의 외부에 설치된 제2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진동판 지지부와 상기 제1구동부 및 제2구동부를 지지하는 구동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 지지부는,
    상기 제1구동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2구동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하 이동을 수용하는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중심축선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상기 제1구동부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제1열방출 홀과,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안착부 외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구동부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제2열방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스피커에 있어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과;
    상기 진동판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보이스 코일과;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댐핑하는 댐퍼와;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진동판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될 교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교류전원입력부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공급할 직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직류전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보이스 코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 내심과 상기 전자석내심에 권선되어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진동판 지지부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구동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 지지부는,
    상기 구동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하 이동을 수용하는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중심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 외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방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스피커에 있어서,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과;
    상기 진동판에 연결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보이스 코일과;
    상기 진동판의 진동을 댐핑하는 댐퍼와;
    상기 보이스 코일을 상하로 구동하는 페라이트 코어와;
    상기 페라이트 코어를 지지하는 코어 지지부와 상기 진동판을 지지하는 진동판 지지부를 포함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어 상기 보이스코일에 인가될 교류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교류전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지지부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외곽에 배치되어 상기 보이스 코일의 상하 이동을 수용하는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중심축선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보이스 코일 이동수용 홈 외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페라이트 코어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방출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KR1020120006513A 2012-01-20 2012-01-20 영구자석 없이 구동 가능한 스피커 KR101305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513A KR101305368B1 (ko) 2012-01-20 2012-01-20 영구자석 없이 구동 가능한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513A KR101305368B1 (ko) 2012-01-20 2012-01-20 영구자석 없이 구동 가능한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625A KR20130085625A (ko) 2013-07-30
KR101305368B1 true KR101305368B1 (ko) 2013-09-11

Family

ID=4899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513A KR101305368B1 (ko) 2012-01-20 2012-01-20 영구자석 없이 구동 가능한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3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94A (ja) * 1993-04-12 1995-01-10 Junji Furukawa 逆相振動体
KR950024611A (ko) * 1994-01-05 1995-08-21 구쯔자와 겐따로우 자기회로를 구비한 스피커
JP2003199190A (ja) * 2001-12-25 2003-07-11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3219495A (ja) * 2002-01-23 2003-07-31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94A (ja) * 1993-04-12 1995-01-10 Junji Furukawa 逆相振動体
KR950024611A (ko) * 1994-01-05 1995-08-21 구쯔자와 겐따로우 자기회로를 구비한 스피커
JP2003199190A (ja) * 2001-12-25 2003-07-11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3219495A (ja) * 2002-01-23 2003-07-31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625A (ko)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40035B (zh) 双线圈动磁换能器及方法
US9743192B2 (en) Speaker and vibration control unit
US20110243364A1 (en) Structure of loudspeaker for reducing thickness and mounting depth
US20130108099A1 (en) Loudspeaker having improved cooling system integrally formed on speaker frame
KR20070100665A (ko) 통합된 공기 흐름 통로를 갖는 소형의 확성기 및 자기 회로
KR100897807B1 (ko) 스피커
US20140252890A1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JP2006005852A (ja) スピーカー装置
JP2023540061A (ja) 単一の永久磁石と1つまたはそれより多くのボイスコイルとによって駆動されるフラットスピーカー
KR101115253B1 (ko) 선형 진동 발생기
KR101305368B1 (ko) 영구자석 없이 구동 가능한 스피커
JP5496990B2 (ja) リニア振動デバイス
US20150280634A1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and vibration control system
KR101340974B1 (ko) 음향변환장치용 자속 형성 소자
JP2001000043U (ja) スピーカ用磁気回路
KR102409711B1 (ko) 스피커용 음압개선 방열장치
JP2013201721A (ja) スピーカ用磁気回路
JP2019009487A (ja) 補助マグネットを含むスピーカー
JP5358069B2 (ja) スピーカ
KR101345334B1 (ko) 스피커
KR101339868B1 (ko) 음향변환장치
KR20090107739A (ko) 보이스 코일 매입형 스피커
KR101340973B1 (ko) 음향변환장치
KR101131807B1 (ko) 동전형 변환기용 자기회로
KR20040069669A (ko) 누설 자속 저감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