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216B1 - 여닫이 도어용 첵커 - Google Patents

여닫이 도어용 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216B1
KR101305216B1 KR1020120026923A KR20120026923A KR101305216B1 KR 101305216 B1 KR101305216 B1 KR 101305216B1 KR 1020120026923 A KR1020120026923 A KR 1020120026923A KR 20120026923 A KR20120026923 A KR 20120026923A KR 101305216 B1 KR101305216 B1 KR 101305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hecker
hinge
hole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동
Original Assignee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건조기, 식기건조기 등의 여닫이 도어의 열림속도와 열림각을 제어하기 위한 여닫이 도여용 첵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얇은 판상의 책커에 도어 제어봉이 안내와 왕복되면서 도어 열림 속도와 열림각을 제어시켜 급작스런 개방에 의해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고 도어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한 여닫이 도어용 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건조기 등의 넓은 의미의 여닫이 도어의 열림 속도와 열림각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용 첵커로서, 특히 얇은 판상의 책커에 도어 제어봉이 안내와 왕복되면서 도어의 열림 속도와 열림각을 제어시켜 급작스런 개방에 의해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고 도어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
또한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도어와 힌지프레임 간 좁은 면적에서 장착되고 미끄럼 마찰에 의한 마모율이 적어 고장이 없는 효과 및 복수의 탄성편을 구성시켜 탄성편의 파손이 적은 특징과 함께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한 생산가로 대량 생산될 수 있는 효과 그리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열림 작용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이 도어용 첵커{CHECKER FOR HINGED DOOR}
본 발명은 가정용 또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식기건조기 및 식기세척기 등(이하 냉장고로 통칭함)의 여닫이 도어의 열림속도와 열림각을 제어하기 위한 여닫이 도어용 첵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얇은 판상의 책커에 도어 제어봉이 안내와 왕복되면서 도어 열림 속도와 열림각을 제어시켜 급작스런 개방에 의해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고 도어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한 여닫이 도어용 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 건조기 및 식기건조기 등의 도어는 내외부간 열 차단을 위한 단열재가 구성됨으로 그 중량이 무겁고 또는 실내의 좁은 공간에 설치됨으로 도어 열림각의 한계성 및 어린이들의 사용에 따른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즉, 좁은 공간에 설치된 냉장고 도어가 최대각인 수평각으로 열림되면서 벽면과의 충돌에 따른 소음과 도어의 파손, 어린이가 도어를 열때 빠른 열림으로 열림방향에 있는 어린이와 충돌사고, 그리고 냉장고 내 보관물을 꺼내기 위하여 도어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 등록특허 10-0547412호에서는 냉장고 도어의 저면과, 냉장고 전면에 고정되는 힌지판부재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서로 대응하도록 접촉하는 힌지캠을 구성하되 이 힌지캠에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돌기와 상기 돌기 사이에 성형되는 홈으로 구성시켜 결합되되 접촉면에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윤활유 저장홈이 성형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돌기와 홈이 교차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어 이동함으로서 상하 돌기가 교차하면서 도어는 상기 상하 돌기 만큼 상부로 이동하고 또한 홈에서 교차될 때에는 다시 하강되는 연속된 상하이동이 발생되어 도어의 고장과 도어열림이 순조롭지 못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차량의 테일게이트(Tail Gate)에 구비된 첵커(Checker)에 대한 등록특허 10-0373632호는 첵커는 소정 폭의 플레이트를 대략 직사각 상자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공에 도어에 고정된 제어봉을 유착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된 브래킷을 차체에 힌지 구성함과 함께 상기 가이드공의 끝단에는탄성 완충부재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의 제어봉이 가이드공에서 왕복되면서 이 가이드공내로 돌출된 탄성돌기와 면접하면서 속도를 줄이고 또한 끝단의 완충부재에의한 충격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의 첵커는 상기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가지는 판재를 절곡시켜 구성함으로 도어와 힌지프레임의 사이가 이 판재폭만큼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함으로서 좁은 공간에서 설치하기 어렵고 또한 좁은 면적의 날카로운 면이 도어 및 힌지프레임과 마찰되어 도어와 힌지프레임의 마찰 마모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됨으로 이러한 첵커구성을 냉장고와 같은 실내에 설치되는 전자물품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여닫이도어 개폐가 용이하면서 빠른 열림으로 인한 충격완화와 도어열림각이 일정한 각에서 제어됨으로 벽면 등과의 충격방지,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좁은 힌지장치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복수의 탄성편으로 구성되어 이 탄성편이 쉽게 파열 마모됨을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마찰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첵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여닫이 도어로는 가정용 또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건조기 및 식기세척기, 건조기 등의 여닫이 도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여닫이도어를 의미하고 이러한 여닫이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첵커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냉장고(100)에 여닫이도어(10)를 힌지구성하기 위한 상하 힌지프레임(20)의 힌지축(11)과 일정한 거리가 유지된 첵커축(21)을 구성하고 여닫이 도어(10) 하부면에 돌출된 열림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봉(12)과,
상기 첵커축(21)에 힌지되는 힌지공(31)과 일정한 거리로 제어봉(12)을 유착시켜 안내하는 길이방향의 안내장공(32)을 형성하되, 안내장공(32)의 일정위치로부터 수직방향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신축공(33),
상기 제 1신축공(33) 상단에서 내측으로 하향된 "V"형 탄성편(34)과 함께 이 "V"형 탄성편(34)이 내측으로 굽은 내측 탄성편(35)은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끝단에는 제어봉(12)이 감싸지게 압박하는 압박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장공(32)의 끝단은 상기 압박부(36)와 원형을 이루면서 내측 탄성편(35)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2 신축공(37)을 구성하는 첵커(30),
상기 첵커(30)의 안내장공(32)에 제어봉(12)이 유착되고 힌지공(31)이 첵커축(21)에 힌지하여 구성되는 여닫이 도어용 첵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 건조기 등의 여닫이 도어의 열림 속도와 열림각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용 첵커로서, 특히 얇은 판상의 책커에 도어 제어봉이 안내와 왕복되면서 도어의 열림 속도와 열림각을 제어시켜 급작스런 개방에 의해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고 도어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는 효과,
또한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어 도어와 힌지프레임 간 좁은 면적에서 장착되고 미끄럼 마찰에 의한 마모율이 적어 고장이 없는 효과 및 복수의 탄성편을 구성시켜 탄성편의 파손이 적은 특징과 함께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한 생산가로 대량 생산될 수 있는 효과 그리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도어 열림 작용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정용 또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건조기 및 식기세척기, 건조기 등의 여닫이 도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여닫이도어에 구성하므로써 여닫이 도어를 용이하게 제어함으로 도어의 고장을 방지하고 필요량 만큼을 개폐하여 열손실방지와 도어의 빠른 속도에 따른 충격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실시예의 건조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첵커 사시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 닫힘상태의 설명도.
(b)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의 50도 열림 상태의 설명도.
(c)는 본 발명이 적용된 도어가 최대 열림상태의 설명도.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건조기,냉장고(100) 등(이하 냉장고라 함)의 여닫이도어(10)을 힌지하기 위하여 냉장고(100) 상하측에 힌지프레임(20)이 장착구성되고 이 힌지프레임(20)에 여닫이도어(10)의 힌지축(11)을 축설치하여 여닫이도어(10)가 힌지구성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프레임(20)의 도어용 힌지축(11)과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 첵커축(21)이 구성되고 여닫이 도어(10)에는 이 여닫이도어(10)의 열림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봉(12)이 여닫이도어(10)에서 하향되게 돌출구성된다.
상기 첵커축(21)에 힌지되는 힌지공(31)과 일정한 거리로 형성되어 여닫이도어(10)의 제어봉(12)을 유착시켜 안내하는 길이방향의 안내장공(32)과, 그리고 안내장공(32)의 일정위치로부터 수직방향과 다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신축공(33)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 1신축공(33) 상단에서 내측으로 하향된 "V"형 탄성편(34)을 구성하되, 이 "V"형 탄성편(34)이 내측으로 굽은 내측 탄성편(35)은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끝단에는 상기 제어봉(12)이 감싸지게 압박하는 압박부(36)가 형성되고 이와 연접(連接)되는 안내장공(32)의 끝단은 상기 압박부(36)와 원형을 이루면서 내측 탄성편(35)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2 신축공(37)을 구성하므로 "V"형 탄성편(34)으로 구성되는 첵커(30),
상기 첵커(30)의 안내장공(32)에 유착되어 안내되는 제어봉(12)을 압박시켜 여닫이 도어(10)의 열림 속도의 제어와, 제어봉(12)을 압박하여 여닫이도어(10)가 이동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첵커(30)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첵커(30)은 제어봉(12)의 이동과 이동하는 제어봉(12)을 압박으로 속도조절 및 정지시키기 위한 압박으로 마찰되는 "V"형 탄성편(34)이 이중으로 탄력을 발휘함으로써 마모율이 적고, 쉽게 부러지는 문제를 개선하는 기능 및 제어봉(12)을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여닫이도어(10)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첵커(3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판에 힌지공(31)과 안내장공(32)을 형성하면서 "V"형 탄성편(34)을 구성함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특히 얇은 판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첵커(30)를 힌지프레임(20)과 여닫이도어(10) 사이 좁은 공간에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냉장고(100)의 개조 없이도 설치가능한 특징이 발휘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첵커(30)는 상기에서 설명된 건조기, 냉장고 뿐만 아니라 여닫이 개폐도어를 구성하는 미설명된 물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미설명부호 101은 여닫이도어 개폐용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고 13은 여닫이도어에 구성되는 밀폐용 패킹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시된 가정용 또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건조기 및 식기세척기 등은 기재된 가전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여닫이도어를 구성하는 기구에서의 여닫이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첵커(30)를 냉장고(100) 등 여닫이도어(10)를 구성하는 물품에 적용하여 실시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바람직한 사용상태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냉장고(100)의 상하측 힌지프레임(20)이 장착구성되고 이 힌지프레임(20)에 여닫이도어(10)의 힌지축(11)을 축설치하여 여닫이도어(10)가 힌지구성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힌지 구성에서 상기 힌지프레임(20)의 도어용 힌지축(11)과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구성된 첵커축(21)에 본 발명의 첵커(30)에 구성된 힌지공(31)을 끼워 결합하고 상기 첵커(30)에 뚫린 안내장공(32)에 상기 여닫이 도어(10)의 하부에서 하향돌출된 제어봉(12)을 유착시켜 여닫이도어(10)를 냉장고(100)에 힌지 구성함으로써 여닫이도어(10)가 개폐된다.
이러한 장착으로 냉장고(100)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내거나 넣을 때 공지와 같이 여닫이도어(10)을 당겨 열게되고, 이때 도 3의 (a)상태, 도어 닫힘상태에서 여닫이도어(10)가 힌지축(11)을 기점으로 회전이동하여 열림됨과 함께 이 여닫이도어(10)에 고정된 제어봉(12)이 함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어 제어봉(12)은 제어봉(12)을 안내하는 안내장공(32)을 함께 이동방향으로 밀어내어 첵커(30)를 이동시킴으로써 이 첵커(30)는 힌지프레임(20)에 구성된 첵커축(21)을 기점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으로 본 발명의 도 3의 (b)로 도시된 중간 열림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 열림되는 여닫이도어(10)가 이동하면, 도 3의 (c)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열림으로 여닫이도어(10)의 열림 속도가 증가되어 고속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제어봉(12)은 첵커(30)의 안내장공(32)의 중심부를 지나면 안내장공(32)의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양측으로 제 1신축공(33)과 제2 신축공(37)으로 구성되는 "V"형 탄성편(34)의 내측 탄성편(35)과 마찰되어 고속이동되는 제어봉(12)의 이동속도를 제어시켜 여닫이도어(10)의 개방속도를 현저히 줄이게 된다.
이러한 개방속도가 현저히 감속됨으로서 어린이들이 냉장고문을 열 때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하게 되고 추후 설명되는 여닫이도어(10)의 완전개방에서 발생되는 충격과 그 소음을 방지하며 또한 충격으로 인한 힌지축(11)의 절단과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여닫이도어(10)의 개방속도를 현저히 줄여 준 상태로 개방되는 여닫이도어(10)의 제어봉(12)은 계속 이동되어 상기 안내장공(32)의 끝단에서 정지함과 함께 이 안내장공(32)에 형성되는 "V"형 탄성편(34)의 내측 탄성편(35)과 마찰 및 압박부(36)에 의해 상기 제어봉(12)이 후진하지 않게 압박시킴으로 열림된 여닫이도어(10)는 다시 닫힘되지 못하고 열림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닫이도어(10)가 열림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된 열림상태에서 냉장고(100)내의 보관물을 안전하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여닫이도어(10)의 최대 열림각은 상기 힌지프레임(20)에 구성된 여닫이도어(10) 힌지축(11)과 첵커축(21)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서 열림각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냉장고(100)내의 물품을 꺼내거나 넣은 후 다시 여닫이도어(10)를 닫을 때에는 도 3에서 표기한 (c)의 최대 열림상태에서 (b)의 중간 닫힘상태와 (a)의 도어 닫힘상태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첵커(30)은 제어봉(12)의 이동과 이동하는 제어봉(12)을 압박으로 속도조절 및 정지시키기 위한 압박으로 마찰되는 "V"형 탄성편(34)이 이중으로 탄력을 발휘함으로써 마모율이 적고, 쉽게 부러지는 문제를 개선하는 기능 및 제어봉(12)을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여닫이도어(10)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첵커(3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판에 힌지공(31)과 안내장공(32)을 형성하면서 "V"형 탄성편(34)을 구성함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특히 얇은 판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첵커(30)를 힌지프레임(20)과 여닫이도어(10) 사이 좁은 공간에 간단히 구성할 수 있어 냉장고(100)의 개조 없이도 설치가능한 특징이 발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제시된 가정용 또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건조기 및 식기세척기 등은 기재된 가전기구에 한정하지 않고 여닫이도어를 구성하는 기구에서의 여닫이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에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있다 할 것이며, 넓은 의미의 여닫이도어에 구성하므로써 여닫이 도어를 용이하게 제어함으로 도어의 고장을 방지하고 필요량 만큼을 개폐하여 열손실방지와 도어의 빠른 속도에 따른 충격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 하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10 : 여닫이도어 11 : 힌지축 12 : 제어봉
20 : 힌지프레임 21 : 첵커축 30 : 첵커
31 : 힌지공 32 : 안내장공 33 : 제 1신축공
34 : "V"형 탄성편 35 : 내측 탄성편 36 : 압박부
37 : 제2 신축공 100 : 냉장고

Claims (2)

  1. 가정용 또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건조기, 식기세척기 및 냉장고(100)에 여닫이도어(10)를 힌지구성하기 위한 상하 힌지프레임(20)의 힌지축(11)과 일정한 거리가 유지된 첵커축(21)을 구성하고 여닫이 도어(10) 하부면에 돌출된 열림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봉(12)과,

    상기 첵커축(21)에 힌지되는 힌지공(31)과 일정한 거리로 제어봉(12)을 유착시켜 안내하는 길이방향의 안내장공(32)을 형성하되, 안내장공(32)의 일정위치로부터 수직방향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신축공(33),

    상기 제 1신축공(33) 상단에서 내측으로 하향된 "V"형 탄성편(34)과 함께 이 "V"형 탄성편(34)이 내측으로 굽은 내측 탄성편(35)은 점차적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끝단에는 제어봉(12)이 감싸지게 압박하는 압박부(36)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장공(32)의 끝단은 상기 압박부(36)와 원형을 이루면서 내측 탄성편(35)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제2 신축공(37)을 구성하는 첵커(30),

    상기 첵커(30)의 안내장공(32)에 제어봉(12)이 유착되고 힌지공(31)이 첵커축(21)에 힌지하여 구성되는 여닫이 도어용 첵커.
  2. 삭제
KR1020120026923A 2012-03-16 2012-03-16 여닫이 도어용 첵커 KR101305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923A KR101305216B1 (ko) 2012-03-16 2012-03-16 여닫이 도어용 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923A KR101305216B1 (ko) 2012-03-16 2012-03-16 여닫이 도어용 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216B1 true KR101305216B1 (ko) 2013-09-12

Family

ID=4945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923A KR101305216B1 (ko) 2012-03-16 2012-03-16 여닫이 도어용 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2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130A (ja) 2000-07-14 2002-03-27 Nishi Seisakusho:Kk 引き戸用反発防止装置
JP2002339647A (ja) 2001-05-18 2002-11-27 Dantani Plywood Co Ltd 制動機能を備えた引戸
JP2006241766A (ja) 2005-03-02 2006-09-14 Sunrise Kinzoku Kogyo Kk 引き戸用キャッチ装置
KR20110078460A (ko) * 2009-12-31 2011-07-07 신재혁 출입문의 급속개폐 방지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130A (ja) 2000-07-14 2002-03-27 Nishi Seisakusho:Kk 引き戸用反発防止装置
JP2002339647A (ja) 2001-05-18 2002-11-27 Dantani Plywood Co Ltd 制動機能を備えた引戸
JP2006241766A (ja) 2005-03-02 2006-09-14 Sunrise Kinzoku Kogyo Kk 引き戸用キャッチ装置
KR20110078460A (ko) * 2009-12-31 2011-07-07 신재혁 출입문의 급속개폐 방지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694B1 (ko) 슬라이딩 도어 부품
EP2784417B1 (en) Refrigerator sub door opening limiter
CN112878834B (zh) 一种铰链组件及安装有该铰链组件的器具
KR20120138767A (ko) 가전 제품
KR101030879B1 (ko)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CN112878831A (zh) 一种铰链组件及安装有该铰链组件的器具
US11447997B2 (en) Damping or retur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or for drawers
JP6611360B2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KR20140037474A (ko) 냉장고용 레일 조립체 및 냉장고
KR101920970B1 (ko) 도어 힌지
CA2966946C (en) A damping or return device for sliding door leaves or for drawers
KR101305216B1 (ko) 여닫이 도어용 첵커
EP2374974A1 (en) A hinge for doors or wings
KR102592647B1 (ko) 냉장고
KR101863930B1 (ko) 냉장고
KR101653316B1 (ko) 냉장고
KR100635448B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장치
EP2784256B1 (en) A support and adjustment device for a sliding door trolley
KR102100191B1 (ko) 냉장고
KR20130007247U (ko) 쇼우 케이스의 슬라이딩 도어
KR10201683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아웃도어의 백래시 방지장치
KR20110114456A (ko) 리세스형 가전제품을 위한 개방 장치
KR20170014995A (ko) 슬라이드레일 자동폐쇄장치
KR20160031162A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
CN103276989A (zh) 一种滑移式门窗限位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