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393B1 -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393B1
KR101304393B1 KR1020100087013A KR20100087013A KR101304393B1 KR 101304393 B1 KR101304393 B1 KR 101304393B1 KR 1020100087013 A KR1020100087013 A KR 1020100087013A KR 20100087013 A KR20100087013 A KR 20100087013A KR 101304393 B1 KR101304393 B1 KR 101304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management server
user terminal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639A (ko
Inventor
현택영
Original Assignee
현택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택영 filed Critical 현택영
Priority to KR1020100087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39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91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reading, e.g. e-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68Specific access rights for resources, e.g. using capability regi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및 사용자 단말기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전송할 데이터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전송 단위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콘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전송할 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단위만큼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자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 단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와,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을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ER DATA MANAGEMENT SERV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ER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및 사용자 단말기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그 운용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가 급속히 확산되었다. 이에 따라, 게임 소프트웨어 및 디지털 형태의 서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사용자 데이터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기로 많이 다운로드(Download)되어 왔다.
종래에는, 데이터 용량을 줄이기 위해 전송할 데이터를 압축함으로써 수신 측뿐만 아니라 통신 인프라(infrastructure)의 부담을 줄여왔다. 그러나 전송될 사용자 데이터가 대용량이어서 그 압축만으로는 불충분한 경우, 특히 사용자 단말기의 주 메모리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전송 받고자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대용량의 사용자 데이터를 모두 전송 받은 경우에만 이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할 수 있었기 때문에, 네트워크 환경이 불안정한 곳이나, 다수의 접속자가 동시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 받고자 하는 경우, 트래픽 초과의 문제로 인해 네트워크 속도가 저하되어, 결국 해당 데이터를 전송 받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특히,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폰의 경우,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전송 받아 설치하려는 경우, 스마트 폰의 주 메모리의 용량이 부족하면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한 후 설치 해야 하며, 삭제된 어플리케이션은 다시 전송 받지 않은 이상 재설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용량의 사용자데이터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 메모리의 용량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그 기능의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전송할 데이터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연속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전송할 데이터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 정보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자 데이터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와,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을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은,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을 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전송할 데이터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송할 데이터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 정보에 따라, 연속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 받은 제1 단말 식별자와 어플리케이션을 조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과,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2 단말 식별자 및 어플리케이션 요청정보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제1 단말 식별자와 제2 단말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은,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을 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단말 식별자 및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1 단말 식별자 및 어플리케이션을 조합하여 암호화하는 단계와,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단말 식별자 및 어플리케이션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는 단계와, 제1 단말 식별자와 제2 단말 식별자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 제1 단말 식별자와 제2 단말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의 주 메모리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는 메모리 관리부와,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과 잔여 용량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잔여 용량이 데이터 용량 미만인 경우, 잔여 용량만큼의 사용자 데이터 수신을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사용자 데이터 요청부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가상 메모리에 매핑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관리하는 단말 식별자 관리부와,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사용 빈도 및 주 메모리 점유율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 주 메모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사용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 접속 요청을 수행하는 접속 관리부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및 제1 단말 식별자를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 어플리케이션 전송 요청 신호 및 제1 단말 식별자와 일치하는 제2 단말 식별자를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요청부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의 주 메모리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과 잔여 용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 잔여 용량이 데이터 용량 미만인 경우, 잔여 용량만큼의 사용자 데이터 수신을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가상 메모리에 매핑하는 단계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의 주 메모리의 잔여 용량,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 및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주 메모리 점유율을 확인하는 단계와, 확인 결과 주 메모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및 단말 식별자를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와,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주 메모리에서 삭제하는 단계를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가 사용자 데이터를 관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주 메모리의 잔여 용량만큼만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어,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 받을 때 걸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주 메모리 용량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을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고, 전송한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의 주 메모리에서 삭제함으로써, 주 메모리의 잔여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확보된 잔여 용량에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이후 언제든지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서버로부터 전송 받아 재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데이터라는 용어는 게임 소프트웨어, 소설, 영화, 드라마 또는 음악 등의 콘텐츠 데이터 및 어떤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임의의 종류의 프로그램을 통칭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주 메모리(111)와, 메모리 관리부(113)와, 사용자 데이터 요청부(115)와, 통신 제어부(117)와, 접속 관리부(119)를 포함한다.
메모리 관리부(113)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주 메모리(111)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여, 이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부(113)는 주 메모리(111)의 전체 용량에 관한 정보와, 주 메모리(111)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용량을 파악하고, 전체 용량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용량을 감하여, 잔여 용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접속 관리부(119)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사이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에 회원 가입 등을 통하여, 미리 ID 및 패스워드를 저장해 놓으면,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 명령을 받은 접속 관리부(119)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ID 및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를 다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로 전송한다.
사용자 데이터 요청부(115)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들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체 용량과, 주 메모리(111)의 잔여 용량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잔여 용량이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체 용량 미만인 경우, 1회 수신 가능 즉, 데이터 전송 단위를 계산하여 이와 함께사용자 데이터 전송 메시지를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에 전송한다.
통신 제어부(117)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로부터 전송 받은 사용자 데이터를 가상 메모리에 매핑한다. 여기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데이터 전송 단위, 예컨대 문서 데이터의 페이지 또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10)는 자신의 주 메모리(111)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고,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과 잔여 용량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잔여 용량이 데이터 용량 미만인 경우, 잔여 용량만큼의 사용자 데이터 수신을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를 가상 메모리에 매핑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현 가능하고,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는 사용자 인증부(131)와, 제1 저장부(132)와, 수신부(133)와, 제어부(134)와, 데이터 전송부(135)와, 제2 저장부(136)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131)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ID 및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저장부(136)에 회원 가입 등을 통하여 미리 저장된 ID 및 패스워드 정보와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의 접속 요청을 수락한다.
수신부(133)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 데이터 요청부(115)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34)는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전송 단위 정보에 따라, 제1 저장부(132)에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 중,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1 저장부(132)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의 복수의 서브 데이터로 분할되어 저장되고, 제어부(134)는 선택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하여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만큼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서브 데이터 각각에는 식별을 위한 식별자와, 다음에 전송되는 서브 데이터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제어부(134)는 제일 먼저 전송해야 하는 서브 데이터 및 그 다음에 전송해야 하는 서브 데이터를 쉽게 검색하여 전송 할 수 있다.
또는, 제1 저장부(132)에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메모리 용량 에 대한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미리 그 단위 또는 그 보다 낮은 단위의 용량으로 분할되어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의 사용자 단말기(110)의 잔여 용량의 산술적 혹은 통계적 평균 값으로부터 사용자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미리 그 단위 혹은 그 보다 낮은 단위의 용량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32)에는 저장되는 사용자 데이터는 콘텐츠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는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문서 데이터 인 경우에는 페이지 단위, 또는 영상 데이터인 경우에는 프레임 단위의 복수의 서브 데이터로 분할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 서버(130)에 회원 가입을 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사용자 데이터 관리 서버(130)로 업로드되어 제1 저장부(132)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로 다른 인터넷 사이트(또는 서버)를 검색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 받고자 할 때, 사용자 단말기(110)의 잔여 용량이 부족한 경우, 콘텐츠 데이터는 다른 인터넷 사이트(또는 서버)에서 사용자 데이터 관리 서버(130)로 다운로드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10)는 잔여 용량이 부족한 경우,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전송 요청 메시지를 해당 인터넷 사이트(또는 서버)로 전달하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로는 수신 준비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인터넷 사이트(또는 서버)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30)의 링크를 형성함으로써, 해당 인터넷 사이트(또는 서버)로부터 직접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120)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여 제1 저장부(132)에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 전송부(135)는 사용자 데이터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10)는 주 메모리(211)와,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2)와, 접속 관리부(213)와, 어플리케이션 전송부(214)와, 단말 식별자 관리부(215)와, 어플리케이션 요청부(216)와, 어플리케이션 설치부(217)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2)는 사용자 단말기(210)의 주 메모리(211)의 잔여 용량, 사용자 단말기(210)에 설치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 및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주 메모리(211)의 점유율을 확인하여, 이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2)는 주 메모리(211)의 전체 용량에 관한 정보와, 주 메모리(211)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용량을 파악하고, 이를 전체 용량에서 사용자 데이터의 용량을 감하여, 잔여 용량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2)는 주 메모리(211)의 잔여 용량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사용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10)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상에 표시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10)의 잔여 용량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과, 자신이 자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만큼의 공간이 확보될 때까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삭제하거나, 또는 암호화된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로 전송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삭제함으로써 주 메모리(211)의 잔여 용량에 제한 받지 않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210)에 설치할 수 있다.
만약, 전송 대상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212)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전송 없이 삭제한다.
접속 관리부(213)는 사용자 단말기(210)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10)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사이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에 회원 가입 등을 통하여, 미리 ID 및 패스워드를 저장해 놓으면,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 명령을 받은 접속 관리부(213)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에 접속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ID 및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를 다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전송부(214)는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자주 사용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및 단말 식별자 관리부(215)에서 관리되는 사용자 단말기(210)를 식별하기 위한 제1 단말 식별자를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로 전송한다. 이 때,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10)의 주 메모리(211)에서 자동으로 삭제된다.
어플리케이션 요청부(216)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에 저장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사용자 단말기(230)에 재설치를 위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의 전송 요청 신호 및 제1 단말 식별자와 일치하는 제2 단말 식별자를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설치부(217)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 받아 사용자 단말기(210)에 재설치를 수행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재설치” 라는 용어는 통상의 소프트웨어 인스톨(install)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이미지 형태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로 전송해 놓은 어플리케이션을 전송 받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데이터 관리 서버(230)에 암호화된 이미지 형태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사용자 단말기(210)에서 이용하려 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 관리 서버(230)에 이미지 형태로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 받아 사용자 단말기(210)에 재설치하여, 바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하여, 이를 다시 사용자 단말기(210)에 인스톨할 필요가 없다는 데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사용자 데이터 관리 서버(230)에 이미지 형태로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10)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파일과 기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이 함께 백업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자 데이터 관리 서버(230)로부터 재전송 받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인스톨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의 주 메모리의 잔여 용량,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 및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주 메모리 점유율을 확인한다. 확인 결과 주 메모리의 용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사용 빈도가 낮은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자신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 접속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및 단말 식별자를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주 메모리에서 삭제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현 가능하고,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하, S&E App)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기(210)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기(210)의 현재 상태(예를 들어 자신의 주 메모리의 잔여 용량,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 및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주 메모리 점유율 등)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S&E App은 자동으로 실행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메모리 용량과 잔여 용량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잔여 용량이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시 필요한 메모리 용량 미만인 경우에는 해당 정보(예를 들어, “공간이 부족합니다. 아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S&E 서버에 백업 후 설치하세요”)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그리고 S&E App는 기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 용량 단위 또는 사용 빈도 순으로 나열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파일과 기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을 이미지 형태의 실행 파일(또는 어플리케이션)로 변환하여 S&E 서버에 백업한다.
이와 같이, 전송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210)에서 자동으로 삭제되어 사용자 단말기(210)는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S&E 서버에 백업된 어플리케이션을 복구(재전송 받는 것을 의미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E App은 S&E 서버에 백업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210)에 재설치하기 전에 S&E App은 사용자에게 암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암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재설치를 허용한다.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230)는 사용자 인증부(231)와, 제1 저장부(232)와,암호화 모듈(233)과, 제2 저장부(234)와, 수신부(235)와, 제어부(236)와, 어플리케이션 전송부(237)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231)는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ID 및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저장부(234)에 회원 가입 등을 통하여 미리 저장된 ID 및 패스워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10)의 접속 요청을 수락한다.
암호화 모듈(233)은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전송 받은, 사용자 단말기(210)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제1 단말 식별자, 사용자의 ID 및 패스워드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저장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조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고,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제1 저장부(232)에 저장한다.
수신부(235)는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전송 요청 신호 및 사용자 단말기(210)을 식별하기 위한, 제2 단말 식별자를 수신한다.
제어부(235)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요청 정보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1 저장부(232)에서 검색하고, 암호화에 사용된 제1 단말 식별자와 수신한 제2 단말 식별자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1 단말 식별자와 제2 단말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235)는 사용자 단말기(210)로 검색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제어를 한다.
만약, 제1 단말 식별자와 제2 단말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35)는 사용자 단말기(210)로 전송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전송부(237)는 검색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210)로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ID 및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310). 이때,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회원 가입 등을 통하여 미리 저장된 ID 및 패스워드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ID 및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수락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사용자 데이터 요청 정보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 정보를 수신한다(S320).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는 게임 소프트웨어, 소설, 영화, 드라마 또는 음악 등의 연속데이터 및 기타를 포함하는 어떤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임의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수신한 사용자 데이터 요청 정보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 정보에 따라, 자신에게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 중, 요청된 사용자 데이터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330).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에는 사용자 데이터가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의 복수의 서브 데이터로 분할되어 저장되고,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요청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하여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만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서브 데이터 각각에는 식별을 위한 식별자와, 다음에 전송되는 서브 데이터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제일 먼저 전송해야 하는 서브 데이터 및 그 다음에 전송해야 하는 서브 데이터를 쉽게 검색하여 전송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 신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ID 및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410). 이때,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회원 가입 등을 통하여 미리 저장된 ID 및 패스워드 정보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ID 및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요청을 수락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단말기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제1 단말 식별자와,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S420).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선택되어,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제1 단말 식별자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조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고(S430),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S430).
다음으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전송 요청 신호 및 사용자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제2 단말 식별자를 수신한다(S440).
여기서, 제1 단말 식별자 및 제2 단말 식별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CPU 일련번호 그 밖의 사용자 단말기 각각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전송 요청 정보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암호화에 사용된 제1 단말 식별자와 수신한 제2 단말 식별자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1 단말 식별자와 제2 단말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 검색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만약, 제1 단말 식별자와 제2 단말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의 재전송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가 암호화에 사용된 제1 단말 식별자와, 전송 요청 신호와 함께 수신된 제2 단말 식별자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재전송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한 사용자 단말기로만 어플리케이션의 재전송을 허용한다.
이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이 공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작권을 보호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기 130: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111: 주 메모리 131: 사용자 인증부
113: 메모리 관리부 132: 제1 저장부
115: 사용자 데이터 요청부 133: 수신부
117: 통신 제어부 134: 제어부
119: 접속 관리부 135: 데이터 전송부
136: 제2 저장부

Claims (16)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전송 단위를 수신하는 수신부;
    컨텐츠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저장부;
    상기 전송할 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데이터 유형에 따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의 복수의 서브 데이터로 분할하여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단위만큼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송할 데이터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모리 용량에 대한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미리 상기 전송 단위 또는 그 보다 낮은 단위의 용량으로 분할되어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잔여 용량에 대한 산술적 혹은 통계적 평균 값으로부터 획득되는 것
    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 데이터 각각은 식별을 위한 식별자 및 다음에 전송되는 서브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을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5.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할 데이터 및 한번에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전송 단위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할 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전송 단위만큼 분할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단위만큼 분할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할 데이터에 해당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데이터 유형에 따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의 복수의 서브 데이터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복수의 서브 데이터 중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 단위만큼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메모리 용량에 대한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미리 상기 전송 단위 또는 그 보다 낮은 단위의 용량으로 분할되어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잔여 용량에 대한 산술적 혹은 통계적 평균 값으로부터 획득되는 것
    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전송 단위만큼,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및 다음에 전송되는 서브 데이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 식별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을 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의 운용방법.
  9. 사용자 단말기의 주 메모리의 잔여 용량을 확인하는 메모리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 받고자 하는 데이터 용량과 상기 잔여 용량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잔여 용량이 상기 데이터 용량 미만인 경우, 상기 잔여 용량만큼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에 요청하는 사용자 데이터 요청부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가상 메모리에 매핑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잔여 용량만큼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는,
    전송 요청된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에 따라 페이지 또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메모리 용량에 대한 사용자 패턴 정보에 따라, 미리 단위 전송 단위 또는 그 보다 낮은 단위의 용량으로 분할되며,
    상기 사용자 패턴 정보는 기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잔여 용량에 대한 산술적 혹은 통계적 평균 값으로부터 획득되는 것
    인 사용자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00087013A 2010-09-06 2010-09-06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30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013A KR101304393B1 (ko) 2010-09-06 2010-09-06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013A KR101304393B1 (ko) 2010-09-06 2010-09-06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179A Division KR101313108B1 (ko) 2012-06-25 2012-06-25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639A KR20120025639A (ko) 2012-03-16
KR101304393B1 true KR101304393B1 (ko) 2013-09-05

Family

ID=4613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013A KR101304393B1 (ko) 2010-09-06 2010-09-06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6411B (zh) * 2020-10-29 2023-08-25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数据存储方法及装置、非易失性存储介质、处理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580A (ja) * 1993-06-08 1994-12-22 Hitachi Micom Syst:Kk マルチメディア転送装置
KR20010018003A (ko) * 1999-08-17 2001-03-05 이계철 다중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
KR20020031691A (ko) * 2000-10-23 2002-05-03 이철호 실시간 인터넷 콘텐츠 변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8580A (ja) * 1993-06-08 1994-12-22 Hitachi Micom Syst:Kk マルチメディア転送装置
KR20010018003A (ko) * 1999-08-17 2001-03-05 이계철 다중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다중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방법
KR20020031691A (ko) * 2000-10-23 2002-05-03 이철호 실시간 인터넷 콘텐츠 변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639A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5793B2 (en) Restricted accounts on a mobile platform
TWI439870B (zh) 可抽除式漫遊快取裝置,及用於操作此種裝置的方法
EP2753047B1 (en) Method of sharing contents by using personal clou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personal cloud system using the same
US9288213B2 (en)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8713646B2 (en) Controlling access to resources on a network
JP5429912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サーバ、サービス提供サーバ、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84790B2 (en) Peer to peer enterprise file sharing
US8402459B2 (en) License management system, license management computer, license management method, and license management program embodied on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30212278A1 (en) Controlling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a network
US106738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101623742B1 (ko) 파일 연관 메시지 공유 방법 및 메시지 공유 시스템
CN106254528B (zh) 一种资源下载方法和缓存设备
WO2011032001A1 (en) Viewing content under enterprise digital rights management without a client side access component
US20150089663A1 (en) Data redaction system
US9614830B2 (en) Relay apparatus, system, relay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1988262B (zh) 认证方法、装置及服务器、存储介质
KR101313108B1 (ko)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304393B1 (ko) 사용자 데이터 관리서버 및 운용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70117758A (ko) 개인정보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097443A1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US20110289552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112818408A (zh) 数据管理系统、数据管理装置、存储介质及数据管理方法
KR20110136058A (ko) 홈 네트워크에서 객체의 변경을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07054B1 (ko) 앱을 이용한 영상데이터 공유시스템
CN115842673A (zh) 用于对客户端的本地权限信息进行更新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