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689B1 -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689B1
KR101303689B1 KR1020130014501A KR20130014501A KR101303689B1 KR 101303689 B1 KR101303689 B1 KR 101303689B1 KR 1020130014501 A KR1020130014501 A KR 1020130014501A KR 20130014501 A KR20130014501 A KR 20130014501A KR 101303689 B1 KR101303689 B1 KR 10130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roduct
frozen
crush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원태
Original Assignee
(주)대성후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후드텍 filed Critical (주)대성후드텍
Priority to KR102013001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5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재킷을 구비하는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고체 덩어리 형태인 냉동 제품을 파쇄하고 가온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의 액체 형태의 제품으로서 배출하기 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에 있어서, 고체 덩어리 형태인 냉동 제품을 투입하여 파쇄하는 파쇄기(12)와; 상대적으로 고온의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공급부(16); 및 상기 파쇄기(12)에서 파쇄되어 유출되는 제품이 이동되는 제품 유동로(142), 및 상기 제품 유동로(142)에 열교환가능하게 인접하고 상기 온수공급부(16)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 유동로(144)를 구비하는 튜브재킷(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쇄기(12)에는 상기 온수공급부(16)로부터의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재킷(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냉동 제품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해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된 제품의 이송이 용이하게 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Apparatus for Crushing and Thawing of Frozen Product Having Hot Water Jacke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냉동 생크림(dairy cream)과 같은 냉동 제품을 파쇄하여 해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냉동 생크림과 같은 냉동 제품을 투입하면 자동으로 파쇄한 후 가온시켜 액체 형태의 제품으로서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많은 양의 냉동 제품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파쇄 및 용해하여 액체 상태의 제품을 후속 제품 공정에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기 부분에 온수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제품 해빙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새로운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크림은 우유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중 유지방을 따로 분리한 것을 말한다. 통상 대형 식품 회사에서는 다른 공정에서 원료로서 사용될 생크림을 약 -18℃이하의 환경에서 고체 상태로 냉동 보관하는데 이 경우 생크림은 예를 들어 약 20kg ~ 25kg 정도의 단위로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의 플라스틱 필름 재질의 팩에 포장된 상태로 냉동 보관된다.
이후 생크림을, 예를 들어 유지방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공정이나 또는 다른 식품을 제공하는 공정과 같은, 후속 공정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냉동 창고에서 -18℃ 이하로 보관되어 있는 냉동 생크림을 가온하여 액체 상태로 해빙시켜야 한다. 그런데 해빙 과정에서 생크림을 65℃ 이상으로 가열하게 되면 생크림의 신선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맛이나 풍미가 변할 수 있고 또한 색깔이 누렇게 변하게 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생크림을 해빙할 때는 온도 조절이 필수적이다.
종래에 이러한 냉동 생크림을 해빙시킬 때, 큰 용기에 고온의 물을 담고 냉동 생크림 팩을 넣어 녹이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런 방식은 해빙에 필요한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온도 조절이 어려우며, 큰 고체 덩어리인 냉동 생크림이 모두 녹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인력이 많이 필요하여 인건비가 상승하며, 해빙 전후의 제품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관리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들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 냉동 생크림과 같은 냉동 제품들의 해빙 과정을 자동화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번호 2000-157180, 일본 특허공개번호 2003-135005, 및 일본 특허공개번호 2005-151951 등에는 팩이나 주머니에 담긴 냉동 아이스크림 등의 제품을 판상의 히터로 가열 해동하거나, 기어 롤러로 파쇄하거나, 또는 일정한 거리를 이송시키면서 가열 가압한 후 파쇄하는 장치들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냉동 생크림 등의 제품을 파쇄 및/또는 해빙 장치들은 제품을 팩과 함께 처리하는 장치로서, 팩의 적어도 양측에서 가압함으로써 팩으로부터 해빙된 제품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들 종래 장치는 처리할 수 있는 냉동 팩의 형태가 소형이면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져야만 하였다. 이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대형의 식품 제조 회사에서 대량의 냉동 생크림을 필요로 할 때와 같이, 대체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덩어리 형태인 냉동 생크림과 같은 냉동 제품을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해빙하여 지속적으로 대량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냉동 제품을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해빙하여 지속적으로 대량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냉동 제품 해빙 기술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냉동 생크림과 같은 냉동 제품을 투입하면 자동으로 파쇄한 후 가온시켜 액체 형태의 제품으로서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많은 양의 냉동 제품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파쇄 및 용해하여 액체 상태의 제품을 후속 제품 공정에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기 부분에 온수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파쇄된 제품이 신속하게 가온되어 반-액체 형태로서 이송이 용이하게 되도록 한 새로운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고체 덩어리 형태인 냉동 제품을 파쇄하고 가온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의 액체 형태의 제품으로서 배출하기 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에 있어서, 고체 덩어리 형태인 냉동 제품을 투입하여 파쇄하는 파쇄기와; 상대적으로 고온의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공급부; 및 상기 파쇄기에서 파쇄되어 유출되는 제품이 이동되는 제품 유동로, 및 상기 제품 유동로에 열교환가능하게 인접하고 상기 온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 유동로를 구비하는 튜브재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쇄기에는 상기 온수공급부로부터의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재킷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는 제품을 파쇄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파쇄칼 및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파쇄칼을 둘러싸는 케이스 본체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반부에서 고체 덩어리 형태의 제품이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상기 파쇄칼을 향해 투입되며, 상기 파쇄칼에 의해 파쇄된 제품은 중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의 하부를 통해 아래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부 내부의 공간으로 유출된 후 상기 파쇄기 외부로 배출되며; 또한 상기 온수재킷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온수유동공간과, 상기 온수유동공간으로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 및 상기 온수유동공간으로부터 온수가 유출되는 온수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수유입구는 상기 온수재킷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온수유출구는 상기 온수재킷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액체 상태의 제품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공정에 위생적으로 자동 공급될 수 있어, 인력이 감축되고 시간이 절약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냉동 생크림과 같은 냉동 제품을 투입하면 자동으로 파쇄한 후 가온시켜 액체 형태의 제품으로서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많은 양의 냉동 제품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파쇄 및 용해하여 액체 상태의 제품을 후속 제품 공정에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기 부분에 온수가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파쇄된 제품이 신속하게 가온되어 반-액체 형태로서 이송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력적인 블록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의 제품 및 온수인 온수 흐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배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의 구체적인 물리적인 형태의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장치를 좌측에서 본 측단면도.
도 5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중에서 파쇄기 부분의 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주는 도 3의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6 및 도 8은 도 5 및 도 7에 예시된 파쇄기 부분의 구조를 도 4의 방향에서 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예와 같은 본 발명의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고체 덩어리 형태인 냉동 제품을 파쇄하고 해빙하여 액체 액체 형태의 제품으로서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특히 파쇄기(12)에 온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에서 파쇄되고 해빙되는 제품은, 예컨대 -18℃ 이하에서 고체 상태로 존재하며 실온 이상에서는 액체 상태로 변화되는 제품이며, 예를 들어 생크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제품이 생크림으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물을 얼린 얼음 덩어리를 파쇄하여 해빙하는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제품'이라 함은 온도 변화에 의해 고체 상태와 액체 상태로 변화하는 모든 제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에서 처리되는 제품(P)은 생크림을 포함한다. 생크림은 통상 -18℃의 저온 상태로 예컨대 대체로 직육면체의 고체 덩어리로서 팩에 쌓여서 보관되며, 실온 이상의 온도로 해빙되어야 후속 공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현장에서 작업자는 팩에 싸여 있는 냉동 제품(A)을 냉동 창고에서 꺼낸 후 실온에서 약 1시간 정도 방치한 다음, 팩을 벗기고 고체 덩어리 상태인 냉동 제품(A)을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의 파쇄기(12)에 투입할 수 있다.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에 의해 해빙되어 배출되는 액체 상태의 제품은, 냉동 생크림의 경우와 같이 냉동 제품의 풍미와 맛이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 온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40 ~ 65℃의 온도를 가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는 파쇄기(12), 튜브재킷(14), 및 온수공급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품(P)은 파쇄기(12)를 통과하면서 고체 상태의 냉동 제품(A)에서 작은 고체 알갱이들의 또는 이것에 액체가 혼합된 상태의 파쇄 제품(B)으로 변화하게 되고, 더 진행하여 튜브재킷(14)을 통과하면서 액체 상태의 액체 제품(C)으로 변화하게 된다. 액체 제품(C)의 온도는 튜브재킷(14)에 공급되는 온수공급부(16)로부터의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제어될 수 있다.
파쇄기(12)는 고체 덩어리 상태의 제품 즉 냉동 제품(A)을 투입하여 파쇄함으로써 작은 알갱이 상태의 파쇄 제품(B)으로 만드는 장치이다. 냉동 제품(A)은 대체로 직육면체의 덩어리이다. 파쇄기(12)가 냉동 제품(A)의 처리를 진행함에 따라 파쇄기(12) 자체의 온도가 실온이 아니라 영하의 온도로 저하되는데, 이렇게 파쇄기(12)의 온도가 영하로 저하되는 경우 파쇄기(12)를 구성하는 부품(특히 파쇄칼)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며, 부품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파쇄기(12)에서 파쇄된 제품 즉 파쇄 제품(B)이 고체 알갱이가 뭉쳐있는 상태로 유지된다면 다음 단계 즉 튜브재킷(14)으로 이송하기 어려운 상태로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파쇄기(12)의 온도를 영하로 저하되지 않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실온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파쇄기(12)에 의해 배출되는 파쇄 제품(B)의 상태가 반-액체 상태로 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조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파쇄기(12) 외측에 온수를 순환시키는 온수재킷 구조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파쇄기(12)에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과 같은 온수재킷(40)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파쇄기(12)에는 온수공급부(16)로부터의 온수가 공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온수공급부(16)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는 해동 및 파쇄 처리를 위해 공급되면서 다시 온수공급부(16)로 되돌아오는 순환 경로를 이룰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재킷을 구비하는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의 배관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를 구성하는 배관은 제품이 이송되는 경로와 열 공급용 온수가 흐르는 경로로 구별될 수 있다.
온수가 흐르는 경로는,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온수공급부(16)와 튜브재킷(14) 및 파쇄기(12)를 포함하는 순환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온수공급부(16)의 인라인 히터(163), 원심 펌프(164), 튜브재킷(14)의 온수 유동로(144), 온수 순환로(165), 및 온수재킷(40)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한다. 온수의 순환 동력은 원심 펌프(164)에 의해 제공되며, 온수의 온도 조절은 인라인 히터(163)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품이 이송되는 경로는, 예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12)와 튜브재킷(14)을 포함한다. 제품은 냉동 제품(A)으로서 파쇄기(12)로 투입되어 파쇄된 후 파쇄 제품(B)으로서 배출된다. 도시된 예에서, 파쇄 제품(B)은 회전하는 스크류와 같은 수단이나 또는 로터리 모터와 같은 펌프(pump)(13)에 의해 튜브 형태의 이송관(T1)을 경유하여 튜브재킷(14)에 전달될 수 있다. 튜브재킷(14) 내에 파쇄 제품(B)이 유입되면, 튜브재킷(14)의 길이에 걸쳐 이송되면서 열을 흡수하여 온도가 높아지면서 액체 상태인 액체 제품(C)으로 변하게 된다. 튜브재킷(14)의 하류에는 액체 제품(C)이 배출되어 후속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또 다른 이송관(T2)이 연결된다.
튜브재킷(14)은 제품 유동로(142) 및 온수 유동로(144)를 구비한다. 제품 유동로(142)는 파쇄기(12)에서 유출된 파쇄 제품(B)이 이동되는 경로이며, 반면에 온수 유동로(144)는 온수공급부(16)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유동되는 경로이다. 제품 유동로(142) 및 온수 유동로(144)는 열교환가능하게 인접하지만, 서로 별개의 경로로서 그 내부에 흐르는 제품 및 온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파쇄기(12)의 하류와 튜브재킷(14)의 상단이 별도의 이송관(T1)에 의해 연결되고 있지만, 이러한 별도의 이송관(T1)없이 직접 연결되는 예도 물론 가능하다. 그런데, 이렇게 파쇄기(12)와 튜브재킷(14)을 직접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그 형상을 전용 부품으로서 새로 만들어야 하며,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공용 부품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송관(T1)은 파쇄기(12)와 튜브재킷(14)을 공용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약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온수공급부(16)에는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공급로(161)와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로(162)가 포함되며, 더 나아가 이들 공급된 증기와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소정 온도의 온수로서 공급하기 위해 인라인 히터(163)와 온수의 이송을 위한 원심 펌프(164)를 포함한다. 온수공급부(16)에서 튜브재킷(14)으로 공급된 온수는 온수 순환로(165)를 통하여 파쇄기(12)의 온수재킷(40)으로 공급된 후, 파쇄기(12)에 열을 전달한 다음에, 다시 인라인 히터(163)로 되돌아갈 수 있다.
온수재킷(40)은, 튜브재킷(14)에서 제품을 파쇄 제품(B)에서 액체 제품(C)으로 변경시킨 후 배출되는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동공간(42) 및 이 온수유동공간(42)에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41)와 온수가 유출되는 온수유출구(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온수유동공간(42)은 파쇄기(12)의 외표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방식으로는 파쇄기(12)의 외표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쇄기(12)의 하부면에 열교환가능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온수재킷(40)은 파쇄기(12) 내에서 제품이 이동되는 공간과는 별도의 공간이며, 이에 따라 온수재킷(40) 내를 유동하는 온수는 제품과 혼합되지 않는다.
한편, 온수재킷(40) 내에 온수가 머무는 시간이 오래되도록 하기 위하여, 온수유입구(41)는 온수재킷(40)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온수유출구(43)는 온수재킷(40)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온수재킷(40)의 하단에서부터 온수가 차올라서 온수유동공간(42)을 다 채운 후 온수재킷(40)의 상단으로부터 온수가 유출되므로, 온수유동공간(42)에 채워진 온수가 파쇄기(12)의 표면과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온수재킷(40)으로 공급된 온수는, 약 40 ~ 65℃ 정도로 따뜻한 물이기 때문에 파쇄기(12)의 온도가 냉동 제품(A)을 처리하면서도 영하로 저하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온수재킷(40)이 파쇄기(12)의 하부 즉 냉동 제품(A)이 투입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파쇄 제품(B)으로서 존재하는 영역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파쇄 제품(B)이 온수재킷(40)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부분적으로 용해되어 반-액체 상태로 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쇄 제품(B)은 단지 파쇄된 작은 알갱이들의 집합인 것이 아니라, 작은 알갱이들과 액체이 혼합되어 있는 반-액체 상태로 될 수 있다. 튜브 형태의 이송관(T1) 내에서 고체의 작은 알갱이들을 이송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액체이 혼합되어 있는 반-액체 상태에서는 이송 동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를 실제로 구성한 예의 전체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며, 도 5 내지 도 8은 그 중 온수재킷(40)을 구비하는 파쇄기(12) 부분을 더 상세히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쇄기(12)는 회전축의 양단이 고정되어 회전하는 원통형의 파쇄칼(20)과 케이스(30)를 포함한다. 케이스(30)는 파쇄칼(20)을 감싸는 케이스 본체(30a)와 파쇄 제품(B)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보조공간을 제공하는 보조부(3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 본체(30a)의 형상은 파쇄기(12) 내에 유입되는 액체 제품(C)이 파쇄칼(20)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면서 파쇄 제품(B)과 혼합되는 것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 본체(30a)의 내부 형상은 파쇄칼(20)의 외부형상과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도시된 예에서, 파쇄칼(20)은 하나의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칼날을 가진 옆으로 누운 원통형 형상의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 본체(30a)도 파쇄칼(20)과 유사한 원통형 형상이며, 파쇄칼(20)과 케이스 본체(30a) 사이의 간격(W)은 매우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W)의 크기는 예를 들어 1 ~ 15 mm 정도일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 케이스 본체(30a)의 상반부에는 냉동 제품(A)이 투입되도록 열려 있는 개구인 제품 투입구(31)가 구비되고, 케이스 본체(30a)의 하부도 역시 개방되어 파쇄 제품(B)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품 유출구(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30a)의 상부에는 액체 제품(C)이 유입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33)가 형성되어 제품 순환로(18)가 연결될 수 있다. 그 밖에 케이스 본체(30a)의 상반부에는 제품 투입구(31)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메인테넌스 도어(34)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부(30b)는 케이스 본체(30a) 하부의 제품 유출구(32)에서 아래로 수직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후 둥근 바닥면을 가지는 형상으로서 대체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보조부(30b)는 케이스 본체(30a)로부터 떨어지는 파쇄 제품(B)이 일시 머무는 보조공간(35)을 형성하며, 그 하단에는 파쇄 제품(B)이 배출되는 제품 배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쇄기(12)의 케이스(30)에 있어서,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온수재킷(40)은 케이스 본체(30a)의 하부 일부와 보조부(30b)의 외표면에 접촉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재킷(40)을 유동하는 온수에 의해 파쇄기(12)측으로 전달되는 열은 특히 보조부(30b)의 보조공간(35) 내에 일시 머무는 파쇄 제품(B)에 전달될 수 있고, 파쇄 제품(B)이 부분적으로 가온되어 용해될 수 있게 한다.
파쇄기(12)의 동작시, 케이스(30)의 상반부에 형성된 제품 투입구(31)를 통해 고체 덩어리 형태의 냉동 제품(A)이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파쇄칼(20)을 향해 투입된다. 파쇄칼(20)에 의해 파쇄된 제품 즉 파쇄 제품(B)은 중력에 의해 케이스 본체(30a)의 하부에 구비된 제품 유출구(32) 통해 아래의 보조공간(35)으로 유출된다. 보조공간(35)에 일시적으로 머무는 파쇄 제품(B)에는 온수재킷(40)으로부터 열이 공급되어, 부분적으로 용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조부(30b) 내의 일시 머물게 되는 파쇄 제품(B)은 부분적으로 용해되어 반-액체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 :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12 : 파쇄기
13 : 펌프(pump)
14 : 튜브재킷
16 : 온수공급부
20 : 파쇄칼
30 : 케이스
40 : 온수재킷

Claims (3)

  1. 상대적으로 저온의 고체 덩어리 형태인 냉동 제품을 파쇄하고 가온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의 액체 형태의 제품으로서 배출하기 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10)는,
    고체 덩어리 형태인 냉동 제품을 투입하여 파쇄하는 파쇄기(12)와;
    상대적으로 고온의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온수공급부(16); 및
    상기 파쇄기(12)에서 파쇄되어 유출되는 제품이 이동되는 제품 유동로(142), 및 상기 제품 유동로(142)에 열교환가능하게 인접하고 상기 온수공급부(16)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 유동로(144)를 구비하는 튜브재킷(14)을 포함하며,
    상기 파쇄기(12)는 제품을 파쇄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파쇄칼(20) 및 케이스(30)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30)는 상기 파쇄칼(20)을 둘러싸고 보조부(30b)를 갖는 케이스 본체(30a)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30a)의 상반부에서 고체 덩어리 형태의 제품이 중력에 의해 미끄러져 상기 파쇄칼(20)을 향해 투입되며, 상기 파쇄칼(20)에 의해 파쇄된 제품은 중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 본체(30a)의 하부를 통해 아래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부(30b) 내부의 공간으로 유출된 후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의 제품 배출구(36)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보조부(30b)를 갖는 케이스 본체(30a)에는 상기 온수공급부(16)로부터의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재킷(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수재킷(40)은 상기 케이스(30)의 외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온수유동공간(42)과, 상기 온수유동공간(42)으로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유입구(41) 및 상기 온수유동공간(42)으로부터 온수가 유출되는 온수유출구(43)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유입구(41)는 상기 온수재킷(4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온수유출구(43)는 상기 온수재킷(4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30014501A 2013-02-08 2013-02-08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KR10130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01A KR101303689B1 (ko) 2013-02-08 2013-02-08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501A KR101303689B1 (ko) 2013-02-08 2013-02-08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689B1 true KR101303689B1 (ko) 2013-09-04

Family

ID=4945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501A KR101303689B1 (ko) 2013-02-08 2013-02-08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6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140A (ja) * 2006-06-14 2007-12-27 Sanyu Kiki Kk 冷凍食品の解凍装置
JP2008048709A (ja) * 2006-08-28 2008-03-06 Mayekawa Mfg Co Ltd 冷凍ねり製品原料の解凍・らい潰/混合装置
KR100901447B1 (ko) * 2008-02-04 2009-06-08 주식회사 삼광식품 분쇄용 로터 및 이를 구비한 콘칭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0140A (ja) * 2006-06-14 2007-12-27 Sanyu Kiki Kk 冷凍食品の解凍装置
JP2008048709A (ja) * 2006-08-28 2008-03-06 Mayekawa Mfg Co Ltd 冷凍ねり製品原料の解凍・らい潰/混合装置
KR100901447B1 (ko) * 2008-02-04 2009-06-08 주식회사 삼광식품 분쇄용 로터 및 이를 구비한 콘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3469B2 (en) Crushing machine for a food product that is frozen in blocks, or in IQF form, and plant comprising such a machine for making puree, or juice, from a food product
ITRM20120388A1 (it) Metodo ed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farina di alghe.
WO2008026484A1 (fr) Appareil de décongélation-broyage/mélange pour matière première congelée pour produit à base de viande sous forme de pâte
JP2014516251A (ja) 食肉風製品の製造方法
US2637177A (en) Congel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07138249B (zh) 一种具有破碎打浆解冻功能的浆料生产系统
KR101307921B1 (ko) 이송기구를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BR112017027460B1 (pt) Máquina de processamento de produto alimentício resfriado
KR101303689B1 (ko) 온수재킷을 구비한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KR101307923B1 (ko)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WO2019230232A1 (ja) 氷スラリー製造装置及び冷凍システム
KR101299515B1 (ko) 조립 방식 파쇄칼을 구비하는 냉동 제품 파쇄 해빙 장치
US3004395A (en) Method of handling refrigerant
KR100871468B1 (ko) 액화질소를 이용한 건조 과일 분쇄장치
CN106262001A (zh) 鱼丸的二次低温超速冻加工方法及其加工生产线
CN209952995U (zh) 一种巧克力陶瓷刀片滚球剪切研磨机
CN207023133U (zh) 一种冰淇淋消毒凝冻一体机
US7418829B2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ice-cream mass with solid ingredients
JPH0477655B2 (ko)
CN207167642U (zh) 环保型冰淇淋凝冻机
CN114206125A (zh) 用于制备冰茶或冰咖啡饮料的设备和方法
RU10501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блимационной сушки
CN213153734U (zh) 一种禽胆粉制备用传送解冻装置
CN206868366U (zh) 一种浆料生产系统
BR112018014486B1 (pt) Método para fornecer uma quantidade desejada de resfriamento a uma quantidade de produto alimentício em um recipi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