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482B1 - 다용도 눈썰매 - Google Patents

다용도 눈썰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482B1
KR101303482B1 KR1020120011063A KR20120011063A KR101303482B1 KR 101303482 B1 KR101303482 B1 KR 101303482B1 KR 1020120011063 A KR1020120011063 A KR 1020120011063A KR 20120011063 A KR20120011063 A KR 20120011063A KR 101303482 B1 KR101303482 B1 KR 10130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led
boat
bottom plate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039A (ko
Inventor
김순용
Original Assignee
김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용 filed Critical 김순용
Priority to KR1020120011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48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5Details of bases or cap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essentially identical diverging planar fins or blades, e.g. with fan-like or star-like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썰매, 보트, 또는 이동식 소형 욕조로 사용할 수 있는 보트형 다용도 눈썰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눈썰매는, 측면이 이중으로 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트형의 바닥판과,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하여 수용공간 상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진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바닥에 타단이 부착된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를 바닥판의 수용공간과 밀착 결합시켜서 눈썰매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눈썰매{Multipurpose snow sled}
본 발명은 다용도 눈썰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눈썰매를 보트, 욕조,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용도 눈썰매에 관한 것이다.
눈썰매는 겨울철에 스키장이나 눈썰매장에서 어린이나 어른이나 즐겨 사용하는 놀이 기구이다. 통상적으로, 눈썰매는 사람이 착석할 수 있는 착석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저면에 형성된 두 개의 활강 가이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눈썰매는 여러 가지가 시판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은 것도 있다.
여름철 놀이기구로는 튜브나 보트가 있는데, 경비 절약과 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물놀이용 튜브 또는 보트와 겨울 스포츠용 눈썰매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눈설매 보트 겸용 제품도 새로운 아이디어로 제안되고 있다.
2002년11월30일 출원되어 공개된 실용신안 출원 20-2002-0035872에는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가 공개되어 있다. 이것은 튜브내에 에어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에어보트의 저면에 눈위에서의 직선 활강을 위한 활강가이드가 제공되도록 하여, 물 위에서는 방향키를 갖는 에어보트로, 그리고 눈 위에서는 활강을 위한 눈썰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눈썰매로서의 이용시 탑승자에게 쿠션력을 제공하여 보다 편안한 상태로 안전하게 썰매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2003년10월31일 출원된 실용신안 출원 20-2003-0034127 에는 보트 겸용 눈썰매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것은 물 위에서는 보트로 사용할 수 있고, 눈 위에서는 눈썰매로 사용할 수 있는 보트 겸용 눈썰매이다. 이 고안은, 평판 형상의 하부 부재와, 하부 밑바닥 양면에 스케이트날 모양의 프라스틱 사출물을 부착하여 썰매 사용시 지표면과의 마찰계수를 줄여 잘 미끄러짐은 물론 방향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었다. 하부 부재의 상면에 접착되어 설치되는 중간 부재와, 중간 부재의 상면에 접착되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탑승 공간이 형성된 상부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인 보트 겸용 눈썰매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렴한 보트 겸용 눈썰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인 보트 겸용 눈썰매는 가교 발포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특히, 눈썰매의 충돌 사고로 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튜브 내에 에어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에어보트의 저면에 눈위에서의 직선 활강을 위한 활강가이드가 제공되도록 하여, 물위에서는 방향키를 갖는 에어보트로, 그리고 눈 위에서는 활강을 위한 눈썰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눈썰매로서의 이용시 탑승자에게 쿠션력을 제공하여 보다 편안한 상태로 안전하게 썰매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눈썰매는 튜브 바닥에 미끄럼판을 부착한 것으로서, 야간에 사용하면 어두워서 진로를 잘 분간하기 어려우므로 야간사용시 안전하지 못한 점이 있고, 보트라기 보다는 물놀이용 튜브 정도로서 어린이가 보트로 사용하기에는 안전하지 못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보트, 욕조, 또는 눈썰매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눈썰매로서 안전한 것을 제공하여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다용도 눈썰매를 제공하므로서, 자원 절약을 기하고, 수요자의 구입비용을 절감하게 하는 제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어린이에게 겨울에는 눈썰매, 여름 물놀이 철에는 보트, 그리고 산이나 야외 놀이를 할 때에는 물통 또는 욕조로 사용할 수가 있는 제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눈썰매로 사용할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레버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기능과 방향전환기능을 하게 할 수가 있고, 야간에는 헤드라이트를 전방을 잘 볼 수 있고, 피아간 식별을 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눈썰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노를 저으며 놀 수 있고, 야간에도 빛이 발하여지고 있어서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여 안전을 기할 수 있는 보트를 ㅈ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눈썰매, 보트, 또는 이동식 소형 욕조로 사용할 수 있는 보트형 다용도 눈썰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눈썰매는, 측면이 이중으로 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트형의 바닥판과,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하여 수용공간 상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진 덮개와, 상기 덮개에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바닥에 타단이 부착된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를 바닥판의 수용공간과 밀착 결합시켜서 눈썰매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바탁판의 앞부분에 헤드라이트를 설치하거나, 덮개의 표면에 발광부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고, 덮개의 양편 상부에 고리를 설치하고 여기에 노를 결합하여 보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 바닥판에 배수구를 형성하고 마개로 막고, 덮개를 바닥판과 분리하고, 튜브에 공기를 불어넣어 수용공간 외부로 부풀리어서, 바닥판의 덮개를 높이 올려서 바닥판 측면 높이를 높게 함으로서 보트, 욕조 또는 물탱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고리에 브레이크 레버를 결합하여 눈썰매로 사용할 때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위험에 대비할 수 있게 하고, 양편 브레이크의 세기를 조절하면 진행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눈썰매는 보트, 욕조, 또는 눈썰매의 기능을 할 수가 있다.
이러한 다용도 기능을 하지만 보관할 때의 부피가 작아서 편리하다.
어린이에게 겨울에는 눈썰매, 여름 물놀이 철에는 보트, 그리고 산이나 야외 놀이를 할 때에는 물통 또는 욕조로 사용할 수가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물통 또는 욕조로 사용한 후 물을 버릴 때에는 배수구의 물마개를 빼면 되므로 물관리를 잘할 수 있다.
눈썰매로 사용할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레버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기능과 방향전환기능을 하게 할 수가 있고, 야간에는 헤드라이트를 전방을 잘 볼 수 있고, 피아간 식별을 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보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노를 저으며 놀 수 있고, 야간에도 빛이 발하여지고 있어서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여 안전을 기할 수 있다.
어린이용 눈썰매, 보트, 욕조를 따로 구입하려면 많은 비용이 소요되지만, 본 발명의 다용도 눈썰매를 사용하면 비용이 절감되고, 자원절약이 된다.
도 1은 종래의 눈썰매를 보인 사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용도 눈썰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2의 II-II 절단선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덮개를 펼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 예인 다용도 눈썰매는 바닥판(10)과 덮개(20)와 튜브(28)를 가지고 있다.
바닥판은 보트형과 같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측면이 내측면(12)과 외측(13)으로 되어 그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공간은 덮개(20)에 의하여 밀폐된다. 덮개는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하여 수용공간 양편의 내측면(12)과 외측면(13) 상부 단부와 결합하는 결합부(23, 24, 25, 26)를 가지고 있다. 이 수용공간 내에는 튜브(28)이 내장되는데, 이 튜브는 공기주입밸브(31)에 의하여 공기가 주입되도록 되어 있고, 튜브의 상단은 덥개(20)과 부착되어 있고, 튜브의 하단은 수용공간 하부 바닥과 완전히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튜브가 일단 팽창한 다음에는 튜브의 상단과 하단을 통하여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완전하게 부착되어 있다. 덮개(20)와 바닥 내측면과 외측면이 서로 결합되면 도 2 사시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눈썰매가 된다.
또한 덮개에는 양편에 고리(22)를 설치하여 이 고리에 보트로 사용시에는 노를 결합하고 썰매로 사용할 경우에는 브레이크 레버를 결합한다. 브레이크 레버는 종래의 눈썰매(도1 참조)에서와 유사하게 구부러진 말대와 같은 것이며, 이러한 브레이크 레버를 고리(22)에 끼워 결합시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눈썰매가 진행 중에 브레이크를 잡아당기면 레버의 다른 단부가 눈 또는 땅과 접촉도면서 브레이크 작용이 일어나게 되어 안전하게 눈썰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양편 브레이크 레버의 당기는 힘 세기를 조절하면 브레이크 량이 다르게 되어 진행 방향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바탁판의 앞부분에 헤드라이트를 설치하거나, 덮개의 표면에 발광부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사용하기 편리하게 하고, 덮개의 양편 상부에 고리를 설치하고 여기에 노를 결합하여 보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또 덮개에는 작은 발광부(32)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발광부는 야간에 빛을 내어 다른 사람의 눈에 잘 띄게 하려는 것으로 배터리함(37)에 수용된 배터리에서 도선을 통하여 각부의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 절약을 위하여 발광부는 LED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덮개 앞쪽에는 헤드라이트(34)가 설치된다. 이 헤드라이트는 전구(35)의 빛을 반사경(36)으로 반사시켜 멀리 빛을 모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배터리함(38)에 수용된 배터리에 의하여 전력을 공급받도록 한 것이다.
발광부의 동작이나 헤드라이트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위치(39)가 설치된다. 이 스위치는 발광부 또는 헤드라이트에 직접부착되게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바닥판과 덮개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공기주입밸브(31)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바닥 측면이 연장되어 위로 길게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측면이 높아지면 바닥판(10)의 내부 부피가 크지게 되고 따라서 물에 띄울 경우 많은 부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아이들 정도는 충분히 타고 놀 수 있는 보트가 된다. 보트로 사용할 경우에는 고리에 노를 끼워서 노 젖는 동작으로 보트를 움직이며 놀 수가 있다.
보트로 되었을 경우의 크기는 길이가 80~120cm, 폭이 45~55cm, 높이가 40~70cm 정도가 되게 한다.
튜브를 확장시키지 아니하고 그냥 눈썰매로 사용할 경우에는 높이가 10~20cm, 길이가 80~120cm, 폭이 45~55cm 정도가 되게 한다.
또 바닥판에 배수(15)구를 형성하고 마개로 막고, 덮개를 바닥판과 분리하고, 튜브에 공기를 불어넣어 수용공간 외부로 부풀리어서, 바닥판의 덮개를 높이 올려서 바닥판 측면 높이를 높게 함으로서 욕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욕조는 어린이들이 집안 뜰에서도 물놀이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여름 여행하면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후에는 배수구 마개를 빼면 되므로 물관리를 잘할 수가 있다. 여기서 마개는 보트로 사용할 경우, 나사식인 것을 사용하여 한번 조립하여 록킹하면 록킹을 해제 하지 아니하는한 열리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여야 안전하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청구범위에서의 기술사상을 이용하여 구성요소들을 이미 알려진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구성요소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바닥판 11: 탑승자 시트
12: 바닥 내측면 13: 바닥 외측면
15: 배수구 20: 덮개
22: 고리 27: 외측튜브
23, 24, 25, 26: 덮개의 탄성결합부 28: 내측튜브
31: 공기주입밸브 32: 발광부
34: 헤드라이트 35: 헤드라이트 발광부
36: 반사경 37: 발광장치 배터리함
38: 헤드라이트 배터리 보관함 39: 스위치

Claims (5)

  1. 측면이 이중으로 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된 보트형의 바닥판(10)과,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하여 수용공간 상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가진 덮개(20)와,
    상기 덮개에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 바닥에 타단이 부착된 튜브(27,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를 바닥판의 수용공간과 밀착 결합시켜서 눈썰매로 사용할 수 있게 한 다용도 눈썰매.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탁판의 앞부분에 헤드라이트(34)를 설치하거나, 덮개의 표면에 발광부(32)를 설치하는 것이 특징인 다용도 눈썰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양편 상부에 고리(22)를 설치하고, 이 고리에 노를 결합하여 보트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인 다용도 눈썰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배수구(15)를 형성하고, 배수구를 막는 마개를 설치하여,
    상기 덮개를 바닥판과 분리하고, 상기 튜브에 공기를 불어넣어 수용공간 외부로 부풀리어서, 바닥판의 덮개를 높이 올려서 바닥판 측면 높이를 길게 함으로서 욕조 또는 보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다용도 눈썰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리에 브레이크 레버를 결합하여 눈썰매로 사용할 때 브레이크 및 방향 전환에 사용하도록 한 것이 특징인 다용도 눈썰매.
KR1020120011063A 2012-02-03 2012-02-03 다용도 눈썰매 KR10130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063A KR101303482B1 (ko) 2012-02-03 2012-02-03 다용도 눈썰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063A KR101303482B1 (ko) 2012-02-03 2012-02-03 다용도 눈썰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039A KR20130090039A (ko) 2013-08-13
KR101303482B1 true KR101303482B1 (ko) 2013-09-03

Family

ID=4921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063A KR101303482B1 (ko) 2012-02-03 2012-02-03 다용도 눈썰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0665B2 (en) * 2015-05-05 2017-09-26 University City Studios LLC Functional mat racer
TWI674133B (zh) * 2018-06-15 2019-10-11 龍華科技大學 安全坐式雪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6963A (en) 1979-06-26 1983-01-04 Funsafe (Canada) Ltd. Convertible inflated play vehicle
KR200305880Y1 (ko) 2002-11-30 2003-03-03 박영제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6963A (en) 1979-06-26 1983-01-04 Funsafe (Canada) Ltd. Convertible inflated play vehicle
KR200305880Y1 (ko) 2002-11-30 2003-03-03 박영제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039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28206A (en) Combination coaster and raft
US8752492B1 (en) Paddle board with removable seat
KR101939331B1 (ko) 수륙양용 보트 밴
KR101303482B1 (ko) 다용도 눈썰매
KR20080076864A (ko) 반잠수 보트
US10060591B2 (en) Body board with LED light rope, flexible solar panel and molded channels
US20130324003A1 (en) Race course play set for floating toy vehicles
CN202743447U (zh) 不翻不沉舱内可流水的游艇
KR200336385Y1 (ko) 보드 카이팅을 위한 착석 보드
US10253969B2 (en) Body board with LED lights
CN107735282B (zh) 用于娱乐的具有沐浴水池的移动式车辆及其应用方法
KR200473083Y1 (ko) 전복 방지 물놀이 튜브
CN209274841U (zh) 立体式自动救生椅
KR200305880Y1 (ko) 눈썰매 겸용 에어보트
KR101367806B1 (ko) 레저용 수상열차
CN208828056U (zh) 一种带有辅助支撑装置的踩水车
CN201120950Y (zh) 一种充气式水上摩托艇
CN220639651U (zh) 一种汽车水上娱乐平台
KR200465996Y1 (ko) 물놀이 기구
CN214930459U (zh) 一种新型便携式车载组合艇
TWM446017U (zh) 水上充氣滑道裝置
CN204293842U (zh) 一种滑草漂流综合游乐设施
CN211766032U (zh) 电动车脚踏板宠物笼
CN210158157U (zh) 一种可拆分式拉杆箱
CN201626533U (zh) 发光赛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