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281B1 -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 - Google Patents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281B1
KR101303281B1 KR1020110109728A KR20110109728A KR101303281B1 KR 101303281 B1 KR101303281 B1 KR 101303281B1 KR 1020110109728 A KR1020110109728 A KR 1020110109728A KR 20110109728 A KR20110109728 A KR 20110109728A KR 101303281 B1 KR101303281 B1 KR 10130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ore
optical fiber
type optical
rib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958A (ko
Inventor
박찬주
윤재순
전자이
김철진
Original Assignee
(주)럭스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럭스콤 filed Critical (주)럭스콤
Priority to KR102011010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2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40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bundl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02B6/4404Multi-podd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02B6/4431Protective covering with provision in the protective covering, e.g. weak line, for gaining access to one or more fibres, e.g. for branching or tap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을 현장에서 설치 운용함에 있어 커넥팅 등 사용자가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장선을 중심으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가 다발형태로 배치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에 있어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선단에 취부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을 각각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분기 하우징과, 분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인출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튜브와, 보호튜브 선단에 취부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을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로 각각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1차 분기부와, 1차 분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인출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한 1차 보호튜브와, 1차 보호튜브 선단에 취부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를 커넥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광섬유로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2차 분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의 광섬유(심)를 각각 분기하여 보호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취급할 수 있고, 포화상태에 이르는 선로에 신규 가입자를 위한 선로 구축시 기존 케이블을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로 교체함으로써 선로의 유지보수 및 포설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Divergence device for connecting high-count ribbon optical cable}
본 발명은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을 현장에서 설치 운용함에 있어 커넥팅 등 사용자가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중반부터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 스트리밍 미디어처리 기술의 발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가입자 접속의 확대 등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에 대한 요구량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대역폭 증가에 따라 서비스의 다양화, 고속전송, 대용량, 다채널 등의 수요 충족을 위해 다심형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통신 전송라인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하고 있다.
광케이블의 사용은 옥내 및 옥외용으로 구분하여 사용되어지며, 특히 옥외용의 경우는 포설과정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고밀도의 다심광케이블 위주로 사용된다. 그 밀도는 4, 8, 12, 20 코어를 포함하고 있는 케이블과 72, 144 코어의 케이블로 크게 분류된다.
근래에는 옥내의 경우에도 회전 증가로 인하여 옥외용 케이블을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도 5는 종래 옥내용 광케이블을 포설하여 회선을 구성한 예로서, 회선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블이 서로 엉켜 정리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포설하는 과정에서 작업량이 많아지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옥내용에도 고밀도 다심형 광케이블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옥외용 광케이블은 각각의 광코어가 보호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쉽게 취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본격적인 리본다심형 광케이블의 네트워크 적용에 앞서 커넥팅 등 사용자가 손쉽게 취급할 수 있는 분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을 현장에서 설치 운용함에 있어 커넥팅 등 사용자가 손쉽게 취급할 수 있는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인장선을 중심으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가 다발형태로 배치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에 있어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선단에 취부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을 각각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분기 하우징과, 분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인출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튜브와, 보호튜브 선단에 취부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을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로 각각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1차 분기부와, 1차 분기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인출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한 1차 보호튜브와, 1차 보호튜브 선단에 취부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를 커넥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광섬유로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2차 분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분기 하우징은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선단을 감싸 취부할 수 있도록 대칭구조를 가지며 그 선단 내주면을 따라 체결홈이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 조립편과, 하우징 조립편에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체결홈에 대응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과 동일한 개수의 분기공이 천공된 분기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1차 분기부는 보호튜브 선단을 감싸 취부할 수 있도록 대칭구조를 가지며 선단에 분기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공이 천공된 분기판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 조립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1차 보호튜브는 12심 리본타입 광섬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로 지름이 12심 리본타입 광섬유의 높이보다 작은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2차 분기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인입된 1차 보호튜브를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편과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로부터 분기된 12개의 광섬유를 각 인출할 수 있도록 통공이 천공된 분기편으로 이루어지되, 상기의 분기편을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분기편 양측에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2차 분기부 선단 내측에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측을 덮어 밀폐하기 위한 덮개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의 광섬유(심)를 각각 분기하여 보호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취급할 수 있고, 포화상태에 이르는 선로에 신규 가입자를 위한 선로 구축시 기존 케이블을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로 교체함으로써 선로의 유지보수 및 포설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의 적용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의 분기 하우징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의 1차 분기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의 2차 분기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종래 옥내용 광케이블의 포설 상태를 보인 사진자료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구는 500~600심 정도의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에 양호하게 적용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576심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을 예로 도시하였다.
리본타입으로 구성되는 광섬유는 12심으로, 납작한 형태로 제작되어 패킹처리된다.
또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는 6개가 모여 하나의 광섬유 다발을 이루고, 광케이블에 내재된 인장선을 중심으로 8개의 광섬유 다발이 배치된다.
따라서 광섬유 12심이 하나의 리본타입 광섬유를 이루고,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6개가 하나의 광섬유 다발을 이루며, 광케이블 내에 8개의 광섬유 다발이 배치되므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은 총 576심(12×6×8)을 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의 적용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의 분기 하우징 분해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는 크게 인장선(미도시)을 중심으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가 다발형태로 배치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1) 선단에 취부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을 각각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분기 하우징(10)과, 분기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인출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튜브(20)와, 보호튜브(20) 선단에 취부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을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미도시)로 각각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1차 분기부(30)와, 1차 분기부(3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인출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한 1차 보호튜브(40)와, 1차 보호튜브(40) 선단에 취부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를 커넥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광섬유(미도시)로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2차 분기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576심을 갖는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의 경우 분기 하우징(10)을 통해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이 8개로 분기되어 인출되고, 1차 분기부(30)를 통해 하나의 광섬유 다발(2)이 6개의 12심 리본타입 광섬유로 분기되어 인출되며, 2차 분기부(50)를 통해 하나의 12심 리본타입 광섬유가 12개의 광섬유로 분기되어 인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1)의 광섬유를 각각 분기하여 보호함으로써 사용자가 커넥팅 작업 등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전술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의 분기 하우징(10)은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선단(1)을 감싸 취부할 수 있도록 대칭구조를 가지며 그 선단 내주면을 따라 체결홈(11)이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 조립편(10a,10b)과, 하우징 조립편(10a,10b)에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체결홈(11)에 대응하는 체결돌기(12)가 형성되고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과 동일한 개수의 분기공(13)이 천공된 분기판(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하우징 조립편(10a,10b)은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1)을 내재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제작되고, 그 후단이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1) 외주면과 밀착상태로 취부되도록 테이퍼진다.
또한, 한 쌍의 하우징 조립편(10a,10b)은 그 사이에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1)을 위치시키고 그 접촉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하나로 조립된다.
그리고 분기공(13)이 천공된 분기판(15)이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분기공(13)에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을 각각 끼워 인출하고 분기판(15)을 하우징 조립편(10a,10b)에 삽입 위치시켜 조립함으로써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의 분기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의 1차 분기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분기부(30)는 보호튜브(20) 선단을 감싸 취부할 수 있도록 대칭구조를 가지며 선단에 분기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공(31)이 천공된 분기판(32)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 조립편(30a,3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1차 분기부(30)를 이루는 한 쌍의 분기부 조립편(30a,30b)은 그 선단에 분기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31)이 천공된 분기판(32)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일측의 분기판(30a)에는 3개의 인출공(31)이 천공되고, 1차 분기부(30)를 보호튜브(20) 선단에 취부시 총 6개의 인출공(31)이 마련된다.
따라서 1차 분기부(30)로 인입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은 인출공(31)을 통해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6개로 분기되어 인출된다.
다음, 상기의 1차 보호튜브(40)는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로 지름이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의 높이보다 작은 타원형 튜브로 구성된다.
즉,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는 광섬유 12가닥이 평면에 배치되어 띠 형상을 갖는데 1차 보호튜브(4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쉽게 꼬일 수 있다. 이 경우 광케이블의 송·수신단의 선로를 찾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따라서 1차 보호튜브(40)의 가로 지름이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의 높이보다 작은 타원형 튜브로 제작함으로써 타원형 튜브 내에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뒤틀림이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1차 분기부의 인출공(31)은 타원형의 1차 보호튜브(40)를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의 2차 분기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분기부(50)는 그 내측으로 인입된 1차 보호튜브(40)를 그 사이에 위치시켜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편(51)이 더 형성된다.
이에 따라, 1차 보호튜브(40)가 2차 분기부(50)에 견고히 결속됨으로써 1차 분기부(30)와 2차 분기부(50) 사이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1차 보호튜브(40)의 선단이 가이드 편(51)에 의해 정렬상태를 유지함으로써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로부터 분기된 광섬유(미도시)의 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2차 분기부(50)는 후단에 1차 보호튜브(40)의 선단이 삽입 취부될 수 있도록 삽입공(52)이 천공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덮개판(53)에 의해 밀폐되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로부터 분기된 12개의 광섬유를 인출할 수 있도록 통공(54)이 천공된 분기편(55)이 마련된다.
분기편(55)은 양측에 슬라이드 돌기(56)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2차 분기부(50)의 선단 내측에 슬라이드 홈(57)이 형성된다. 따라서 분기편(55)의 통공(54)에 광섬유가 끼워지고 2차 분기부(50)의 선단에 분기편(55)이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접착제를 도포하여 덮개판(53)을 덮음으로써 각각의 광섬유를 분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2차 분기부(50)로부터 인출된 광섬유는 튜브(미도시)에 의해 보호되며, 이후 사용자에 의해 커넥팅 등의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여기서, 보호튜브는 적당한 유동성을 가지며 열이나 힘에 의해 쉽게 늘어나지 않는 소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1 :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2 :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
10: 분기 하우징
10a,10b: 한 쌍의 하우징 조립편
11: 체결홈
12: 체결돌기
13: 분기공
15: 분기판
20: 보호튜브
30: 1차 분기부
30a,30b: 한 쌍의 분기부 조립편
31: 인출공
32: 분기판
40: 1차 보호튜브
50: 2차 분기부
51: 가이드 편
52: 삽입공
53: 덮개판
54: 통공
55: 분기편
56: 슬라이드 돌기
57: 슬라이드 홈

Claims (5)

  1. 인장선을 중심으로 12심 리본타입 광섬유가 다발(2)형태로 배치된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1) 선단에 취부되고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을 각각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분기 하우징(10)과, 상기 분기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인출된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튜브(20)와, 상기 보호튜브(20) 선단에 취부되고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을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로 각각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1차 분기부(30)와, 상기 1차 분기부(3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인출된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를 보호하기 위한 1차 보호튜브(40)와, 상기 1차 보호튜브(40) 선단에 취부되고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를 커넥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광섬유로 분기하여 인출하기 위한 2차 분기부(50)로 이루어진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에 있어서,
    상기 분기 하우징(10)은 상기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선단(1)을 감싸 취부할 수 있도록 대칭구조를 가지며 그 선단 내주면을 따라 체결홈(11)이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 조립편(10a,10b)과, 상기 하우징 조립편(10a,10b)의 선단 상기 체결홈(11)에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체결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 다발(2)과 동일한 개수의 분기공(13)이 천공된 분기판(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분기부(30)는 상기 보호튜브(20) 선단을 감싸 취부할 수 있도록 대칭구조를 가지며 선단에 분기된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공(31)이 천공된 분기판(32)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 조립편(30a,30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1차 보호튜브(40)는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로 지름이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의 높이보다 작은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분기부(50)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인입된 상기 1차 보호튜브(40)를 잡아주기 위한 가이드 편(51)과 상기 12심 리본타입 광섬유(3)로부터 분기된 12개의 광섬유를 각 인출할 수 있도록 통공(54)이 천공된 분기편(5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기편(55)을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상기 분기편(55) 양측에 슬라이드 돌기(56)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56)에 대응하여 상기 2차 분기부(50) 선단 내측에 슬라이드 홈(57)이 형성되며 개방된 상측을 덮어 밀폐하기 위한 덮개판(5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109728A 2011-10-26 2011-10-26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 KR10130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728A KR101303281B1 (ko) 2011-10-26 2011-10-26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728A KR101303281B1 (ko) 2011-10-26 2011-10-26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958A KR20130045958A (ko) 2013-05-07
KR101303281B1 true KR101303281B1 (ko) 2013-09-03

Family

ID=4865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728A KR101303281B1 (ko) 2011-10-26 2011-10-26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322B1 (ko) * 2014-11-24 2016-10-24 이명길 세경케이블 다분기 세트
CN111708128A (zh) * 2020-07-09 2020-09-25 广东亨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多芯光缆组件制作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102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광케이블 분기장치
KR20010059909A (ko) * 1999-12-30 2001-07-06 김진찬 다심분리형 커넥터 분기부 압착조립기
KR100320386B1 (ko) * 1998-08-04 2002-04-22 김진찬 고심선용광성단케이블분기장치및그것을이용한분기방법
KR20110009064U (ko) * 2010-03-17 2011-09-23 (주)링크라인아이엔씨 보호튜브를 갖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386B1 (ko) * 1998-08-04 2002-04-22 김진찬 고심선용광성단케이블분기장치및그것을이용한분기방법
KR20000047102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광케이블 분기장치
KR20010059909A (ko) * 1999-12-30 2001-07-06 김진찬 다심분리형 커넥터 분기부 압착조립기
KR20110009064U (ko) * 2010-03-17 2011-09-23 (주)링크라인아이엔씨 보호튜브를 갖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958A (ko) 201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2632B2 (en) Round and small diameter optical cables with a ribbon-like optical fiber structure
CN101443684B (zh) 光纤分配缆线及其结构
US7403685B2 (en) Overmold zip strip
JP2007304550A (ja) 光ファイバ配線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101303281B1 (ko) 초고밀도 리본다심 광케이블 커넥팅을 위한 분기구
CN101872044B (zh) 光纤分配缆线及其结构
JP2015099314A (ja) スロット型光ファイバケーブル
CN102707397A (zh) 双芯皮线缆冷接分支一体化保护器
KR20110009064U (ko) 보호튜브를 갖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기구
CN210639312U (zh) 一种室内裸光纤束状光缆
CN209822322U (zh) 一种网线
JP2008292803A (ja) ケーブルの端末構造、保護体
KR20010019271A (ko) 리본 광섬유 케이블 및 그 제작방법
JP2017004977A (ja) リボン型光ファイバー構造体を有する円形で小径の光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