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017B1 -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이미지의 전송방법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이미지의 전송방법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017B1
KR101303017B1 KR1020110043746A KR20110043746A KR101303017B1 KR 101303017 B1 KR101303017 B1 KR 101303017B1 KR 1020110043746 A KR1020110043746 A KR 1020110043746A KR 20110043746 A KR20110043746 A KR 20110043746A KR 101303017 B1 KR101303017 B1 KR 101303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sized
main
electronic devi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159A (ko
Inventor
고병걸
김선갑
홍성표
백범현
오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017B1/ko
Priority to US13/183,027 priority patent/US9390465B2/en
Publication of KR20120126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T3/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은, 목적 이미지(target image)를 포함하고 있는 주영역(core region) 및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을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 영역의 전체와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리사이징된 이미지(resized image)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이미지의 전송방법 및 전자기기{METHOF FOR RESIZING AN IMAGE, METHOD FOR TRANSMITTING AN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이미지를 목적에 맞게 리사이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미지 압축 기술의 발전, 디지털 카메라의 발전 및 메모리 집적기술의 발전에 따라, 수많은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가 생산되고, 유통되고, 또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종 전자기기들은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러한 최근의 동향에 따라, 사용자에게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리사이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본 이미지의 내용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원본 이미지에 대한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를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는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은, 목적 이미지(target image)를 포함하고 있는 주영역(core region) 및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을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 영역의 전체와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리사이징된 이미지(resized image)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원본 이미지로부터 상기 주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주 영역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주 영역에 대한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주영역과 연관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포함여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주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주 영역 각각에 대해 적용되는 축소비율 또는 확대비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주영역를 리사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영역을 리사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영역 및 상기 주변영역 각각에 적용되는 축소비율 또는 확대비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의 전송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이미지의 전송방법은, 목적 이미지(target image)를 포함하고 있는 주영역(core region) 및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을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원본 이미지를 전송할 대상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디스플레이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를 리사이징할 목표 사이즈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목표 사이즈를 고려하여, 상기 주 영역의 전체와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리사이징된 이미지(resized image)를 상기 대상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원본 이미지로부터 상기 주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주 영역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주 영역에 대한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주영역과 연관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포함여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주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주 영역 각각에 대해 적용되는 축소비율 또는 확대비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주영역를 리사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영역을 리사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주영역 및 상기 주변영역 각각에 적용되는 축소비율 또는 확대비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 목적 이미지(target image)를 포함하고 있는 주영역(core region) 및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을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주 영역의 전체와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리사이징된 이미지(resized image)를 획득하고,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 목적 이미지(target image)를 포함하고 있는 주영역(core region) 및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을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원본 이미지를 전송할 상기 다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디스플레이 크기에 기반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를 리사이징할 목표 사이즈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목표 사이즈를 고려하여, 상기 주 영역의 전체와 상기 주변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는 리사이징된 이미지(resized image)를 상기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목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리사이징된 썸네일 이미지를 통하여 원본 이미지의 내용을 더욱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전송방법에 의하면,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통신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원본 이미지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목표 사이즈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목표 사이즈를 고려하여 주영역의 크기를 리사이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접속”이나 “연결”은 반드시 직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매개체를 통한 간접적인 접속 또는 연결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모듈” 또는 “부”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사용하는 용어이므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기능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고 수정 또는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 또는 변형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할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기기(100)에는, 텔레비전, DTV(digital television),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용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컴퓨터(tablet computer), 디지털방송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네비게이션단말기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전자기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원본 이미지로부터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상기 원본 이미지를 실질적으로 축소한 최종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원본 이미지를 실질적으로 확대한 최종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상기 원본 이미지의 종횡비(aspect ratio)와 다른 종횡비를 가지는 최종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로부터 최종 이미지를 획득함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에 사용자 등에 의해 미리 지정된 목적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목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여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하여 최종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100)는, 얼굴이 목적 이미지로 지정되어 있고, 원본 이미지에 얼굴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얼굴 중심으로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구성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전자기기의 구체적인 동작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사용자입력부(110), 음향정보 및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AV(audio/video)입력부, 다양한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30),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140),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50),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60), 전자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 및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에 있어서, 상술한 구성요소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므로, 전자기기(100)가 상술한 구성요소를 반드시 전부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기기(100)의 각 구성요소에 관하여, 도 1을 계속 참조하여, 사용자입력부(110), AV입력부(120), 감지부(130), 출력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제어부(170) 및 전원부(180)의 순으로 설명한다.
사용자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10)를 통해 전자기기(100)의 동작을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상기 사용자입력부(110)를 통해, 리사이징할 원본 이미지를 선택하거나,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할 목표 사이즈를 선택하거나, 본 발명에 따라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하는 데 필요한 각종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0)는, 키패드(key pad), 돔스위치(dome switch), 조그휠(jog wheel), 조그스위치(jog switch), 터치패드(touch pad)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입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V입력부(120)는 음향정보 및 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AV입력부(120)는 음향정보를 획득하는 오디오입력부(121)와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비디오입력부(1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입력부(121)는 음향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입력부(121)는 마이크(microphone)로 구현되어 외부의 음향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으로 처리하여 음향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디오입력부(121)는 외부로부터 방송신호 등과 같은 음향신호가 입력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어 음향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입력부(121)는 외부로부터 음향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는 잡음제거알고리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처럼 오디오입력부(121)에서 획득된 음향정보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거나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비디오입력부(122)는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비디오입력부(122)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거나 또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비디오입력부(122)는 카메라 또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는 광학적 신호에 따라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적 신호는 가시광선은 물론, 그 외에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적외선이나 자외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2D카메라 및 3D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2D카메라는 외부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수광된 빛에 따라 명암정보 또는 색상정보 등을 획득함으로써 2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D카메라는, CCD(charge coupled device)소자 또는 COM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소자로 구현된 이미지센서를 통해 수광된 빛에 따라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3D카메라는 외부로부터 빛을 수광하여 수광된 빛에 따라 깊이정보(depth information)을 획득함으로써 깊이정보를 반영하는 깊이 이미지(depth image) 등과 같은 3차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다양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부(130)에는 근접센서(131), 조도센서(13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근접센서(13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센서(131)는 검출면에 대하여 전기적, 광학적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근접센서(131)는 기계적인 접촉에 의조하지 아니하므로, 접촉센서보다 수명이 길며, 활용도가 높을 수 있다.
이러한 근접센서(131)로는 투과형 광전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조도센서(132)는 전자기기(100) 주변의 조도(illuminance)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조도센서(132)를 통해 측정된 조도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주변 밝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출력부(140)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140)를 통해 전자기기(10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출력부(140)는 촉각적 신호, 청각적 신호, 및 시각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기(vibrator)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진동부(141), 오디오출력부(142) 및 비디오출력부(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141)는 촉각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진동부(141)는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진동부(141)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을 제어하여 다양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진동부(141)는, 진동 이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의 움직임에 따른 촉각적 신호,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에 따른 촉각적 신호, 피부 표면을 스치는 촉각적 신호, 전극의 접촉을 따른 촉각적 신호, 정전기력을 이용한 촉각적 신호, 흡열이나 발열을 수행하는 소자에 따른 냉감 또는 온감 등의 촉각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진동부(141)는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달되는 촉각적 신호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전달되는 촉각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오디오출력부(142)는 청각적 신호, 즉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출력부(142)는 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60)에 저장된 음향정보에 따라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오디오출력부(142)는 전자기기(100)에서 수행되는 각종 기능에 관련된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출력부(142)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오디오출력부(142)는, 이어폰잭을 통해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비디오출력부(143)는 시각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비디오출력부(143)는 영상정보를 표시할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상기 비디오출력부(143)를 통해, 원본 이미지 및/또는 상기 원본 이미지로부터 리사이징 된 최종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비디오출력부(143)는 사용자UI 또는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원본 이미지 및/또는 최종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최종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출력부(143)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비디오출력부(143)는 반드시 단일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비디오출력부(143)는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된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비디오출력부(143)는 반드시 디스플레이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스크린에 빛을 주사하여 영상을 제공하거나 홀로그램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젝터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출력부(140)와 사용자입력부(110)가 하나의 장치로써 일체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와 사용자입력부(110)는, 정보를 표시하는 동시에 터치입력을 받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서로 레이어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패널은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터치입력이 터치된 위치, 터치된 면적 및 터치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패널은 이러한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터치패널의 종류에는 저항막방식(감압식) 터치패널, 초음파반사식 터치패널,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적외선광방식 터치패널 등이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위치정보모듈(151), 무선인터넷모듈(152), 근거리통신모듈(153), 유선통신모듈(154) 및 방송송수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51)은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51)은 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GNSS는 지구를 공전하는 항법위성과 항법위성으로부터 위성전파를 수신하여 그 위성전파를 이용하여 지표면 또는 지표 근처의 소정의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항법수신기를 포함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이다.
위치정보모듈(151)은 GNSS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이외에도, 휴대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통신신호를 이용한 삼각측량을 통해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는 위치정보모듈(151)은, 근거리통신망을 통해 외부 억세스포인트(AP: access point)와 통신하여, 억세스포인트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넷모듈(152)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인터넷모듈(152)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모듈(152)은 전자기기(100)에 내장된 형태 또는 외장된 형태로 마련되거나 탈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터넷모듈(152)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데, LAN(local area network),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그 밖의 다양한 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53)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근거리통신모듈(153)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및 직비(ZigBee) 및 그 밖의 근거리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모듈(153)은 근거리에 있는 다양한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상기 근거리통신모듈(153)을 통해, TV, PC, 노트북, 핸드폰, 스마트폰, NAS(Network Attached Storage), 홈 서버, 리모트컨트롤러 등과 같은 다른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유선통신모듈(154)은 전자기기(100)와 외부기기를 유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유선통신모듈(154)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통신모듈(154)은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USB 모듈, RS-232 규격의 포트,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데이터포트, 메모리카드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잭 등의 인터페이스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55)은 방송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서버로부터 방송신호 및 방송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채널은 위성채널 및 지상파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서버는 방송신호 및 방송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신호 및 방송관련신호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55)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및 방송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방송신호는 TV방송신호, 라디오방송신호, 데이터방송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송신호들이 결합된 형태의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정보는, 방송채널, 방송프로그램 또는 방송서비스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정보는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방송관련정보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DBM(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일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55)은 각종 방송시스템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55)을 통해 수신할 수 있는 방송시스템은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 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 terrestrial) 및 그 밖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방송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의 구성 및 통신부(150)가 통신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부(150)는 상술한 통신모듈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통신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그에 따른 다양한 통신규격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법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는 반드시 하나의 통신모듈만으로 통신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동시에 복수의 통신모듈을 통해 복수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일 수 있다. 전자기기(100)의 동작에 의해서 생성된 정보는, 정지영상, 동영상, 볼륨정보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60)는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에스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자기메모리, 자기디스크(magnetic disc), 씨디나 블루레이 등의 광디스크(optical disc), 에스디카드(SD card) 등의 카드타입메모리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전자기기(100)의 내부에 장착된 형태, 외부에 별도로 위치하는 형태 또는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외부에 위치하는 형태의 저장부(160)에는, 외장하드디스크는 물론, 인터넷 상에서 저장부(160)의 저장기능을 수행하는 웹스토리지(web storag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자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기기(1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각종 정보를 연계시키고, 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적인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코드 또는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저장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70)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 소프트웨어는 외부기기, 예를 들어 서버 등으로부터 전자기기(100)로 송신됨으로써 전자기기(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스처기반키입력방법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될 것이다.
전원부(180)는 전자기기(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8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이나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기(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기(100)는, 다양한 전자기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기(100)는, 텔레비전, DTV(digital television),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개인용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컴퓨터(tablet computer), 디지털방송단말기, 이동통신단말기, 네비게이션단말기, 전자액자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자기기(100)의 구현 형태는 상술한 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른 모든 형태의 전자기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를 이용하여 설명하는 것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에 의해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00), 목적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S102), 식별된 목적 이미지에 기반하여 주영역 및 주변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S104), 리사이징할 목표 사이즈를 획득하는 단계(S106), 목표 사이즈를 고려하여 주영역의 크기를 리사이징하는 단계(S108), 리사이징된 주영역의 크기 및/또는 종횡비(aspect ratio) 및 목표 사이즈의 크기 및/또는 종횡비를 고려하여 주변영역의 일부를 선택하는 단계(S110), 상기 리사이징된 주영역 및 선택된 주변영역 일부를 합성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1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의 각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100). 도 3 내지 도 5는 원본 이미지(1000, 1001, 1002)의 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원본 이미지는 상기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로써, 상기 저장부(160)로부터 획득될 수 있으며,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목적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S102). 목적 이미지란, 원본 이미지의 리사이징 시에 중심이 되는 이미지를 의미한다. 목적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의 리사이징 시에, 원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오브젝트들 중 사용자 등에 의해 관심 있는 부분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원본 이미지에 사람의 얼굴(1010, 1011, 1012, 1013)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5는 원본 이미지가 복수의 사람의 얼굴(1012, 1013)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로부터 목적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하여, 영상분석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영상분석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영상으로부터 얼굴 부분을 인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영상정보에서 얼굴의 형태 및 각각 신체기관을 분리하여 데이터 하는데 먼저 영역의 경계선 검출을 우선으로 한다. 경계선 검출의 방법으로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과 Fourier 변환을 이용하여 고주파영역을 분리하는 방법 등이 사용 된다. 연산자를 이용하는 방법은 Sobel 연산과 같이 간단한 알고리즘과 빠른 처리 속도를 보여 주는 반면 필요한 노이즈 제거는 불가능하다. Fourier 변환은 분석영역이 시간 주파수에 대해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시간의 변화에 따라 확률적인 특성이 변하는 대부분 영상신호에 대해서는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얼굴영역을 검출 하는 방법으로는 얼굴피부색을 이용하는 방법과 Huffmann 변환을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신경망 이론의 Back_propagation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목적 이미지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람의 얼굴 이미지를 상기 목적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동물의 머리부분을 상기 목적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꽃을 상기 목적 이미지로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예 외에도, 영상분석기법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다른 모든 형태의 오브젝트가 상기 목적 이미지로 선택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목적 이미지를 전자기기(100)가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원본 이미지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기기(100)에 목적 이미지로써, 사람의 얼굴을 선택하여 설정하여 놓은 경우, 상기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에 대하여 리사이징을 수행할 때마다, 상기 사람의 얼굴을 목적 이미지로써 식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전자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원본 이미지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목적 이미지를 선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물 중심의 사진인 몇몇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는, 목적 이미지로써 사람의 얼굴을 지정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예를 들어, 강아지)을 찍은 사진인 몇몇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는, 목적 이미지로써 동물의 머리(예를 들어, 강아지 머리)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목적 이미지의 종류를 입력 받기 위하여, 다양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자체에 기본값으로 지정되어 있는 몇몇 목적 이미지의 종류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리스트로부터 목적 이미지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는, 전자기기(100)는, 목적 이미지의 종류 각각에 대하여 상술한 영상분석기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 종 분석파라미터값들을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를 제공하여 주고, 원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오브젝트를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특정 영역을 선택하기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그 위치, 크기 및/또는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선택용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각형의 오브젝트, 원형의 오브젝트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100)는, 사용자가 목적 이미지 종류로써 임의로 선택한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이로부터 상술한 영상분석기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분석파라미터값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분석파라미터값들을 사용자기 임의로 선택한 목적 이미지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식별된 목적 이미지에 기반하여 주영역 및 주변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S104). 본 발명에 있어서, 주영역은 원본 이미지 내에서 단계 S102에서 식별된 목적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영역을 말한다. 상기 주영역은 적어도 상기 식별된 목적 이미지의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주변영역은 원본 이미지 내에서 상기 주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말한다.
상기 단계 S104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목적 이미지로써, 사람의 얼굴이 선택되어 세팅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본 이미지(1000)는 한 명의 사람이 나무 옆에 서 있는 사진으로써, 전자기기(100)가 단계 S100을 통하여 도 3에 도시된 원본 이미지(1000)을 획득하면, 전자기기(100)는, 단계 S102를 통하여, 이미지 속의 사람의 얼굴(1010)을 목적 이미지로써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기기(100)는, 식별된 얼굴(1010)을 포함하는 주영역(1100)을 결정할 수 있다. 주영역(1100)의 크기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영역(1100)의 크기는 상기 식별된 목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최소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주영역(1100)의 크기는 상기 식별된 목적 이미지를 포함하되, 목적이미지를 포함하는 최소의 크기보다는 조금 더 크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영역(1100)의 크기는 상기 원본 이미지(1000)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상기 원본 이미지(1000)에서 상기 결정된 주영역(110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주변영역(1210,1220,1230,1240,1250,1260,1270,128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원본 이미지(1011)는 사람의 얼굴(1011)이 원본 이미지(1001)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도 3에 도시된 원본 이미지와 비교하여, 더욱 큰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기기(10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목적 이미지로 세팅된 사람의 얼굴(1011)을 식별하여(S102), 얼굴(1011)을 포함하는 주영역(1101)을 결정하고, 그 나머지 부분을 주변영역(1211,1221,1231)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두 명의 사람이 포함된 원본 이미지(1002)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기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1002)에 목적 이미지(1012, 1013)가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목적 이미지(1012, 1013)를 모두 식별하고, 식별된 둘 이상의 목적 이미지(1012, 1013)에 기반하여, 식별된 목적 이미지 각각(1012, 1013)을 포함하는 둘 이상의 주영역(1102, 1112)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기기(100)는, 결정된 주영역들(1102,1112)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주변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는 식별된 목적 이미지(1012,1013)가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달리, 두개의 이미지들이 원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을 때, 식별된 목적 이미지들이 서로 매우 근접하여 있거나, 식별된 목적 이미지들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자기기(100)는 서로 근접하여 있는 목적 이미지들 모두 또는 서로 중첩되어 있는 목적 이미지들 모두를 포함하는 하나의 주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원본 이미지에 N개의 목적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 목적 이미지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목적 이미지가 서로 근접하여 있거나 중첩되어 있는 경우, (N-1)개의 주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리사이징할 목표 사이즈(target size)를 획득할 수 있다(S106). 목표 사이즈는 원본 이미지가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의 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가로길이)이 s이고, 높이(세로길이)가 r인 원본 이미지를 어떤 상황에서 폭은 y이고, 높이는 x인 크기로 리사이징해야 하는 경우, 목표 사이즈는, 폭은 x이고 높이는 y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에 의해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는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에 대한 프리뷰(preview)를 제공하는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를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대형화면을 가지고 있는 제1 전자기기(예를 들어, 텔레비전과 같은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되기에 적합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원본 이미지를 상대적으로 소형화면을 가지고 있는 제2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전송하거나 제2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제1 전자기기는 디스플레이 되기에 적합한 크기로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한 최종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전자기기에 상기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100)는, 단계 S106에서 리사이징할 목표 사이즈를 획득할 때,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가 사용될 용도를 고려하여 상기 목표 사이즈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선 예에서처럼 리사이징된 이미지가 썸네일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 전자기기(100)는, 전자기기(100)에 세팅되어 있는 썸네일 이미지의 크기를 목표 사이즈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앞선 예에서처럼, 제1 전자기기에 저장된 원본 이미지를 제2 전자기기에 전송하거나 제2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전자기기는 제2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디스플레이 크기에서 디스플레이되기 적당한 크기를 상기 목표 사이즈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00)는, 단계 S106에서 리사이징할 목표 사이즈를 획득함에 있어서, 목표 사이즈에 대한 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목표 사이즈를 고려하여 주영역의 크기를 리사이징할 수 있다(S108). 단계 S108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주영역(1100)이 단계 S106에서 획득된 목표 사이즈(높이:x, 폭:y)에 기반하여 리사이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7은 주영역(1100)이 획득된 목표 사이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8은 주영역(1100)이 획득된 목표 사이즈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전자기기(100)는, 주영역(1100)의 폭(a)이 목표 사이즈의 폭(y)보다 작은 제1 조건, 주영역(1100)의 높이(b)가 목표 사이즈의 높이(s)보다 작은 제2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주영역(1100)이 목표 사이즈에 포함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영역(1100)이 목표 사이즈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주영역(1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원본 이미지의 주영역(1100)은 소정의 사이즈(1100R1)로 축소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상기 주영역(1100)을 얼마만큼 축소할지를 다양한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본 이미지의 주영역(1100)의 높이(b)가 상기 목표 사이즈의 높이(x)보다 큰 경우, 상기 주영역(1100)의 높이를 b1으로 줄이되, b1은 x와 동일한 값을 가지거나 더 작을 수 있다.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본 이미지의 주영역(1100)의 폭(a)가 상기 목표 사이즈의 폭(y)보다 더 작은 경우, 상기 원본 이미지의 주영역(1100)의 폭(a)은 축소하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 주영역(1100)의 종횡비가 바뀌게 되어 축소된 주영역의 이미지가 왜곡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전자기기(100)는, 주영역(1100)의 폭 및 높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축소하는 경우, 그에 따라 원본 이미지의 주영역(1100)의 종횡비(aspect ratio)가 유지될 수 있도록 다른 하나의 값도 축소하는 것이 좋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영역(1100)의 높이(b)는 b1으로 축소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영역(1100)이 목표 사이즈에 포함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주영역(1100)의 크기를 유지하거나 확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영역(1100)의 크기가 그대로 유지되거나(1100R2),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영역(1100)의 크기가 소정의 사이즈(1100R3)로 확대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영역(1100)이 목표 사이즈에 포함되는 경우, 주영역(1100)의 크기를 유지할지, 또는 확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주영역(1100)의 높이(b)(또는, 주영역의 폭(a))를 목표 사이즈의 높이(x) (또는, 목표 사이즈의 높이(x))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주영역(1100)의 크기를 유지하고,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영역(1100)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단계 S108을 수행하면서, 주영역(1100)의 크기를 리사이징하면서, 리사이징된 주영역(1100R1, 1100R2, 1100R3)의 목표 사이즈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사이징된 주영역(1100R1, 1100R2, 1100R3)의 중심이 목표 사이즈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리사이징된 주영역(1100R1, 1100R2, 1100R3)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주영역들(1102,1112)이 단계 S106에서 획득된 목표 사이즈(높이:x, 폭:y)에 기반하여 리사이징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9는 적어도 하나의 주영역들(1102,1112)을, 목표 사이즈를 고려하여, 축소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은 적어도 하나의 주영역들(1102,1112)을, 목표 사이즈를 고려하여, 확대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전자기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주영역들(1102,111)을 축소할지 또는 확대할지 여부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주영역들(1102,1112)의 확대 및/또는 축소에 대한 미리 정해진 기준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의 다양성은 당업자의 단순 설계사항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전자기기(100)는, 모든 주영역들(1102,1112)을 축소할 수 있다. 주영역들(1102,1112)의 각각에 대해서 고려할 때, 주영역들(1102,1112)의 각각이 목표 사이즈에 포함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전자기기(100)는 모든 주영역들(1102,1112)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모든 주영역들(1102,1112)이 축소되는 경우가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전자기기(100)는, 제1 주영역(1102)의 축소비율과 제2 주영역(1112)의 축소비율이 동일하도록 모든 주영역들(1102,1112)을 축소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00)는, 모든 주영역들(1102,1112)을 축소하되, 각 주영역들(1102,1112)에 대한 축소비율을 달리하여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제1 주영역(1102)에 대한 축소비율보다 제2 주영역(1112)에 대한 축소비율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주영역이 복수인 경우, 각 주영역에 대한 축소비율(또는 확대 비율)을 결정함에 있어서, 하나의 주영역의 크기와 다른 주영역의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주영역들의 크기가 서로 같은 경우, 전자기기(100)는, 모든 주영역들의 축소비율(또는, 확대 비율)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리사이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주영역들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 전자기기(100)는, 리사이징된 주영역들의 크기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예를 들어, 리사이징된 각 주영역들의 높이 및 폭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같도록)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을 적용하여 리사이징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주영역들(1102,1112) 중 일부만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주영역들(1102,1112) 중 일부만 축소하고, 나머지는 그 크기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확대할 수도 있다. 주영역들(1102,1112) 중 제1 주영역(1102)는 축소하고, 제2 주영역(1112)는 그 크기를 유지하는 경우가 도 9의 (b)에 도시되어 있다.
전자기기(100)는, 단계 S108을 수행하면서, 주영역들(1102,1112)의 크기를 리사이징하면서, 리사이징된 주영역들(1102R, 1112R)의 목표 사이즈 내에서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사이징된 주영역들(1102R,1112R)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영역(1102)는 제2 주영역(1112)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나, 도 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사이징된 주영역들(1102R,1112R)은 실질적으로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영역들(1102,1112)의 크기를 확대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주영역들(1102,1112)의 크기를 축소하는 경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영역들(1102,1112)의 모두를 확대할 수도 있으나, 주영역들(1102,1112)의 일부만 확대하고, 나머지는 그 크기를 유지하거나, 오히려 축소할 수도 있다. 즉, 각 주영역들(1102,1112)에 적용되는 확대비율(또는 축소비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단계 S108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을 계속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기기(100)는, 리사이징된 주영역의 크기 및 목표 사이즈의 크기를 고려하여 주변영역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다(S110). 이어서, 전자기기(100)는, 상기 리사이징된 주영역 및 선택된 주변영역 일부를 합성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S112). 단계 S110 및 S112에 대해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자기기(100)는,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주영역과 함께 합성할 주변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 때, 전자기기(100)는, 주영역에 대한 거리에 따라서 함께 합성할 주변영역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함께 합성할 주변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주영역에서부터 더 멀리 위치한 주변영역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100)는, 주영역에서부터 더 멀리 위치한 주변영역을 합성할 주변영역으로 선택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사이즈를 획득하고, 원본 이미지 전체를 목표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이 때, 원본 이미지의 종횡비가 획득된 목표 사이즈의 종횡비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원본 이미지 전체를 리사이징 함에 있어서, 이미지의 왜곡(distortion)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리사이징된 이미지의 일부를 잘라내어 획득된 목표 사이즈에 맞게끔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의 폭(가로길이)이 원본 이미지의 높이(세로길이)보다 작은데, 목표 사이즈는 높이가 폭보다 더 작은 경우에, 리사이징된 이미지의 폭을 목표 사이즈의 폭에 맞게끔 리사이징 한 다음, 리사이징된 이미지의 높이를 목표 사이즈의 높이에 맞게끔, 적어도 이미지 상단 부분 및 이미지 하단 부분 중 어느 한쪽을 잘라낼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사이징 된 원본 이미지 전체에, 단계 S108을 통해, 리사이징된 주영역(1100R)을 단계 S108을 통해 결정되는 위치에 중첩되게 배치하였을 때, 상기 리사이징된 주영역(1100R)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주변영역의 일부(R1)가 단계 S110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전자기기(100)는, 상기 리사이징된 주영역(1100R)과 상기 단계 S110을 통해 리사이징 되고 선택된 일부의 주변영역을 합성하여 최종 이미지(1000R)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택된 주변영역에 대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은 상기 주영역(1100)에 대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과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영역에서부터 더 멀리 배치된 주변영역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경우,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1000R)에 있어서, 리사이징된 주영역(1100R)의 이미지와 리사이징된 주변영역(R1)의 이미지 사이에서, 도 11의 (a)에 도시된 A영역과 B영역에서처럼 이미지의 불연속성이 생길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주영역으로부터 더 가까이 배치된 주변영역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사이즈를 획득하고, 상기 주영역(1100)에 대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과 동일한 비율에 따라 상기 원본 이미지 전체를 리사이징할 수 있다. 리사이징된 원본 이미지 중에서, 상기 획득된 목표 사이즈 부분만큼을 선택함으로써,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1000R)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택된 주변영역에 대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은 상기 주영역(1100)에 대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이 서로 동일하므로,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1000R)에 있어서, 리사이징된 주영역(1100R)의 이미지와 리사이징된 주변영역(R1)의 이미지 사이에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주변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주변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 이미지와의 연관성을 판단한 후에, 목적 이미지와의 연관성이 더 높을 수록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 이미지가 사람의 얼굴인 경우, 목적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람이 모자를 쓰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또는 목적 이미지에 대응되는 사람이 자동차에 타고 있는 경우와 같이 목적 이미지와 연관성이 높은 '모자' 또는 '자동차'와 같은 오브젝트를 포함하고 있는 주변영역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0)는, 복수의 주영역들(1102R,1112R)을 포함하는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도 1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사이즈를 획득하고, 원본 이미지 전체를 목표 사이즈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 있다.
원본 이미지에 복수의 주영역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자기기(100)는, 주영역을 고려하여 주변영역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부여된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주영역과 함께 합성하여 리사이징될 최종 이미지에 포함시킬 주변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주영역에서 더 멀리 배치된 주변영역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경우, 상기 리사이징 된 원본 이미지 전체에, 단계 S108을 통해, 리사이징된 주영역들(1102R,1112R)을 단계 S108을 통해 결정되는 위치에 중첩되게 배치하였을 때, 상기 리사이징된 주영역들(1102R,1112R)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주변영역의 일부(R3,R4)가 단계 S110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전자기기(100)는, 상기 리사이징된 주영역들(1102R,1112R)과 상기 단계 S110을 통해 리사이징 되고 선택된 일부의 주변영역(R3,R4)을 합성하여 최종 이미지(1000R)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선택된 주변영역에 대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은 상기 주영역(1100)에 대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1000R)에 있어서, 리사이징된 주영역(1100R)의 이미지와 리사이징된 주변영역(R3,R4)의 이미지 사이에서 이미지의 불연속성이 생길 수 있다.
한편, 원본 이미지에 복수의 주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전자기기(100)는,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식별된 복수의 주영역들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식별된 복수의 주영역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복수의 주영역들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할 지, 또는 복수의 주영역들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주영역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주영역들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오브젝트가 상기 복수의 주영역들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주영역을 단계 S110에서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복수의 주영역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맞닿도록 배치할지 또는 이격하여 배치할지에 대하여 기본값으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기기(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주영역들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할지 또는 이격하여 배치할지에 대한 기준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3의 (a)는 복수의 주영역들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전자기기(100)는,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사이징된 주영역들(1102R,1112R) 사이에 간격을 두지 않고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100)는, 제1 주영역(1102)과 인접해 있는 주변영역들(도 5의 2S,3S,4S,6S,7S) 중 일부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제1 주영역(1102)에 적용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주변영역들(2S,3S,4S,6S,7S)을 리사이징하여 리사이징된 제1 주영역(1102R)의 인접 영역들(2SR,3SR,4SR,6SR,7SR)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00)는, 제2 주영역(1112)과 인접해 있는 주변영역들(도 5의 12S,13S,15S,16S,17S) 중 일부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주영역(1112)에 적용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주변영역들(12S,13S,15S,16S,17S)을 리사이징 하여 리사이징된 제2 주영역(1112R)의 인접 영역들(12SR,13SR,15SR,16SR,17SR)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상술한 바에 따라 리사이징되고 선택된 주영역들(1102R,1112R) 및 주변영역들(2SR,3SR,4SR,6SR,7SR,12SR,13SR,15SR,16SR,17SR)을 합성하여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1002R)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리사이징된 제1 주영역(1102R)과 그에 인접한 영역들(2SR,3SR,4SR,6SR,7SR) 사이에서는 이미지의 불연속성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리사이징된 제2 주영역(1112R)과 그에 인접한 영역들(12SR,13SR,15SR,16SR,17SR) 사이에서는 이미지의 불연속성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제1 주영역(1102R) 및 제2 주영역(112R) 사이, 영역 6SR 및 12SR 사이 및 영역 7SR 및 13SR 사이의 영역들(C)에서는 이미지의 불연속성이 생길 수 있다.
도 13의 (b)는 복수의 주영역들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전자기기(100)는,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사이징된 주영역들(1102R,1112R)를 배치함에 있어서,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100)는, 제1 주영역(1102)과 인접해 있는 주변영역들(도 5의 2S,3S,4S,6S,7S) 및 제2 주영역(1112)과 인접해 있는 주변영역들(도 5의 12S,13S,15S,16S,17S)을 선택하고 리사이징 하는 것은 도 13의 (a)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주영역들(1102R,1112R)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 배치될 주변영역들을 선택하고 리사이징함에 있어서, 주영역들(1102R,1112R) 사이에 위치한 영역에 배치될 주변영역들은 제1 주영역(1102R)에 적용된 축소비율(또는 확대비율) 및 제2 주영역(1112R)에 적용된 축소비율 사이의 어느 하나의 값에 따라 리사이징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는, 상술한 바에 따라 리사이징되고 선택된 주영역들(1102R,1112R) 및 주변영역들(2SR,3SR,4SR,6SR,7SR,8SR,9SR(or 10SR),11SR,12SR,13SR,15SR,16SR,17SR)을 합성하여 리사이징된 최종 이미지(1002R)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주영역(1102R)과 제2주영역(1112R)의 사이에 배치되는 주변영역(9SR OR 10SR)은 원본 이미지의 대응되는 주변영역들(9S, 10S)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리사이징된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주변영역들(9S, 10S)들 모두가 리사이징된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리사이징된 이미지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해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에 대한 프리뷰(preview)를 제공하는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를 제공하는 데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100)는, 원본 이미지에 대하여 상술한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에 따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해놓은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상기 썸네일 이미지로써,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리사이징된 썸네일 이미지를 통하여 원본 이미지의 내용을 더욱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를 들어, 다른 전자기기로 원본 이미지를 제공할 때, 본 발명에 따라 원본 이미지를 리사이징 한후,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기기(100)는 상기 다른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크기에 적합한 크기로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도, 다른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목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통하여 원본 이미지의 내용을 더욱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통신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각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각 단계는 반드시 설명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설명된 단계가 먼저 설명된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에 있어서, 각 실시예들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은, 이를 수행하는 코드 또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원본 이미지를 목적 이미지(target image)를 포함하고 있는 주영역(core region) 및 복수의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주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주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주 영역을 리사이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리사이징하는 단계; 및
    상기 리사이징된 주 영역 및 상기 리사이징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합성하여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영역의 리사이징 비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의 리사이징 비율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은,
    상기 목적 이미지와 그래픽적으로 연관성을 갖는 객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주 영역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주변 영역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리상이징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된 주 영역 및 리사이징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의 경계상에서 이미지의 불연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주 영역 각각에 대해 적용되는 리사이징 비율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이미지의 종류에 대한 선택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사이징된 이미지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은,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전송할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의 목표 사이즈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 영역의 리사이징 비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의 리사이징 비율은 상기 획득된 목표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리사이징 방법.
  10. 디스플레이부;
    원본 이미지(original image)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원본 이미지를 목적 이미지(target image)를 포함하고 있는 주영역(core region) 및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으로 분할하고, 상기 주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주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선택하며, 상기 주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리사이징하며, 상기 리사이징된 주 영역 및 상기 리사이징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합성하여 리사이징된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영역의 리사이징 비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의 리사이징 비율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은,
    상기 목적 이미지와 그래픽적으로 연관성을 갖는 객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 영역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주변 영역에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부여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사이징된 주 영역 및 리사이징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의 경계상에서 이미지의 불연속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5.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영역이 복수인 경우, 상기 복수의 주 영역 각각에 대해 적용되는 리사이징 비율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이미지의 종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선택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7.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리사이징된 이미지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8.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다른 전자 기기와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리사이징된 이미지의 목표 사이즈를 결정하며, 상기 주 영역의 리사이징 비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변 영역의 리사이징 비율을 상기 획득된 목표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10043746A 2011-05-11 2011-05-11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이미지의 전송방법 및 전자기기 KR101303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46A KR101303017B1 (ko) 2011-05-11 2011-05-11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이미지의 전송방법 및 전자기기
US13/183,027 US9390465B2 (en) 2011-05-11 2011-07-14 Image resizing method,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46A KR101303017B1 (ko) 2011-05-11 2011-05-11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이미지의 전송방법 및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159A KR20120126159A (ko) 2012-11-21
KR101303017B1 true KR101303017B1 (ko) 2013-09-03

Family

ID=4714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746A KR101303017B1 (ko) 2011-05-11 2011-05-11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이미지의 전송방법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90465B2 (ko)
KR (1) KR101303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621A1 (ko) * 2018-01-04 2019-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재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3277B2 (en) * 2006-09-05 2011-05-31 Williams Robert C Background separated images for print and on-line use
KR102009726B1 (ko) 2012-11-08 2019-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1999137B1 (ko) * 2013-01-03 2019-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CA2915862A1 (en) * 2014-12-19 2016-06-19 Vincent Halle Method for 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based on a mug geometry
CN104519144A (zh) * 2015-01-23 2015-04-15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全局限制流量使用的方法和远程服务器
JP6727989B2 (ja) * 2016-08-31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593017B2 (en) * 2016-09-29 2020-03-17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image output system
CN109063085B (zh) * 2018-07-26 2021-07-13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缩略图生成方法和装置
CN114356133B (zh) * 2021-12-23 2023-12-01 深圳市创易联合科技有限公司 触控物体的尺寸分析方法、装置、终端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670A (ko) * 2009-06-04 2010-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검출을 이용한 영상 획득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1872A (en) * 1996-11-08 2000-01-0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of generalized content-scalable shape representation and coding
JP2001211351A (ja) * 2000-01-27 2001-08-0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撮像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20030006995A1 (en) * 2001-06-15 2003-01-09 Smith Randall B. Orthogonal magnifier within a computer system display
US20070255792A1 (en) * 2006-04-26 2007-11-01 Momail, Ab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mail gateway
JP5361528B2 (ja) * 2009-05-15 2013-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40895B2 (ja) * 2009-11-24 2013-11-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データ作成支援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作成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670A (ko) * 2009-06-04 2010-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얼굴 검출을 이용한 영상 획득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621A1 (ko) * 2018-01-04 2019-07-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재생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457273B2 (en) 2018-01-04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playbac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831948B2 (en) 2018-01-04 202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playbac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90465B2 (en) 2016-07-12
KR20120126159A (ko) 2012-11-21
US20120287164A1 (en)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017B1 (ko) 이미지의 리사이징 방법, 이미지의 전송방법 및 전자기기
KR10221624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1348306B2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image
KR10255757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463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700065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309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51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1785A (ko) 음향 출력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201800100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541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46694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00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촬영 방법
KR201701124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20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81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14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23502720A (ja) スクリーンショット表示方法及び装置、及び端末デバイス
KR20150068838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2489266B1 (ko)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73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161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54117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255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389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