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467B1 - 건축용 조립식 옹벽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립식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467B1
KR101302467B1 KR1020130048862A KR20130048862A KR101302467B1 KR 101302467 B1 KR101302467 B1 KR 101302467B1 KR 1020130048862 A KR1020130048862 A KR 1020130048862A KR 20130048862 A KR20130048862 A KR 20130048862A KR 101302467 B1 KR101302467 B1 KR 101302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unit
main body
wir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관엽
Original Assignee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미가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4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적층되도록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육면체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의 테두리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한 쌍의 걸림홀부가 형성되며, 배면에 고정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단차부에 안착되어 개구부를 폐쇄하고, 걸림홀부에 대향되도록 한 쌍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블록과, 적층되는 다수 개의 본체부 및 커버부를 연결하도록 관통홀부 및 걸림홀부에 삽입되는 와이어와, 고정홀부를 통해 본체부 내측으로 삽입되고, 본체부 후방에 타설되는 배면토에 함침되는 보강재와, 보강재가 끼움결합되고, 고정홀부를 통해 본체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와이어와 걸림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조립식 옹벽 {SELF ASSEMBLY BREAST WALL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조립식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토압에 의해 블록과 보강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블록들 사이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땅을 깎거나 흙을 쌓아 생기는 비탈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만든 벽을 의미한다.
종래의 옹벽은, 크게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블록에 한 측면단부가 연결되고, 타 측면단부는 배면토 후방까지 연장되어 수평으로 포설되는 보강재로 구성된다.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층별로 보강재가 포설된 배면토를 다져가면서 최종 높이까지 옹벽용 블록을 쌓아 가면서 사면을 보강하여 시공한다.
옹벽용 블록은 통상 모르타르(또는 콘크리트) 제품으로 성형되어 제작되며, 기계적 맞물림 통하여 상, 하로 쌓아질 수 있도록 전단키가 형성되며, 보강재가 배면토에 연결봉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연결구에 의하여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가로홈 및 세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강성 보강재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강제 연신하는 방법으로 연결판에 의하여 서로 평면 형태로 연결 제작된 것이며, 연성보강재는 고강도의 폴리에스테르를 직물에 PVC를 코팅하여 격자 형태로 성형된 것이 주로 이용된다.
이러한 보강재는 섬유보강재라는 명칭으로도 지칭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4059호(2006년 12월 1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수평방향으로 보강토체 자유면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식생 보강토 옹벽)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은, 적층되는 블록들 사이의 간격으로 보강재가 삽입되고, 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보강재의 단부가 고정되므로 토압에 의해 블록과 보강재가 분리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토압에 의해 블록과 보강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블록들 사이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적층되도록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육면체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한 쌍의 걸림홀부가 형성되며, 배면에 고정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단차부에 안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걸림홀부에 대향되도록 한 쌍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블록; 적층되는 다수 개의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관통홀부 및 상기 걸림홀부에 삽입되는 와이어; 상기 고정홀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 후방에 타설되는 배면토에 함침되는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고정홀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와 걸림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가 걸리도록 양측 단부에 제1안착부가 형성되고, 저면 테두리에 복수 개의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복수 개의 가압홀부가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제1안착부에 대향되며 상기 와이어가 걸리도록 양측 단부에 제2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에 끼움결합되도록 상면 테두리에 복수 개의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부에 대향되도록 상면에 중앙부에 복수 개의 가압홈부가 형성되는 하판부; 상기 삽입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입구를 폐쇄하는 제1구속돌기; 상기 제1구속돌기의 외측 단부가 상기 삽입돌기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구속돌기를 회전시키는 제1토션스프링; 상기 가압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가압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압홈부에 삽입되는 제2구속돌기; 및 상기 가압홈부를 덮는 상기 보강재를 상기 가압홈부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2구속돌기를 회전시키는 제2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보강재가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는 후방 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은, 적층되는 다수 개의 블록을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와이어가 설치되고, 블록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보강재가 연결부에 의해 와이어에 결합되므로 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토압에 의해 보강재가 블록으로부터 분리되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연결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제1구속돌기 장착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연결부 및 와이어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연결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연결부 및 보강재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연결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제1구속돌기 장착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연결부 및 와이어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연결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연결부 및 보강재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은, 복수 개가 적층되도록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육면체의 상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며, 개구부(12)의 테두리에 단차부(17)가 형성되고, 저면에 한 쌍의 걸림홀부(16)가 형성되며, 배면에 고정홀부(18)가 형성되는 본체부(10), 단차부(17)에 안착되어 개구부(12)를 폐쇄하고, 걸림홀부(16)에 대향되도록 한 쌍의 관통홀부(32)가 형성되는 커버부(30)를 포함하는 블록(100)과, 적층되는 다수 개의 본체부(10) 및 커버부(30)를 연결하도록 관통홀부(32) 및 걸림홀부(16)에 삽입되는 와이어(50)와, 고정홀부(18)를 통해 본체부(10) 내측으로 삽입되고, 본체부(10) 후방에 타설되는 배면토(80)에 함침되는 보강재(70)와, 보강재(70)가 끼움결합되고, 고정홀부(18)를 통해 본체부(10) 내측으로 삽입되며, 와이어(50)와 걸림결합되는 연결부(200)를 포함한다.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다수 개의 블록(100)이 한 층을 이루도록 연속하여 본체부(10)를 지면에 안착시키고, 블록(100)의 후방에 배면토(80)를 타설한다.
이때, 각각의 블록(100)에는 와이어(50)가 삽입하는데, 와이어(50)는 커버부(30) 일측의 관통홀부(32)를 통과하여 본체부(10) 일측의 걸림홀부(16)를 통과하고, 본체부(10)의 저면을 지나 본체부(10) 타측의 걸림홀부(16)를 통과하고, 커버부(30) 타측의 관통홀부(32)를 통과하여 와이어(50)의 양단부를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한다.
옹벽의 하단을 이루는 블록(100)에 상기한 바와 같이 삽입되는 와이어(50)는 블록(100)의 상측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100)의 걸림홀부(16) 및 관통홀부(32)를 관통하면서 적층되는 다수 층의 블록(100)을 서로 상하로 연결한다.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에 배면토(80)를 충진시키고, 커버부(30)를 본체부(10)의 단차부(17)에 안착시키면 본체부(10)가 폐쇄되고, 걸림홀부(16)와 관통홀부(32)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므로 걸림홀부(16) 및 관통홀부(32)는 블록(100)의 식생홀부 역할을 행하게 된다.
본체부(10)의 전방 측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가 형성되고, 돌출부(13)의 상단으로부터 개구부(12)까지 경사면(14)이 형성되므로 전측되는 다수 개의 블록(100)이 옹벽의 앞쪽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옹벽의 하단을 이루는 한 층의 블록(100)이 안착되면, 보강재(70)를 연결부(200)와 끼움결합한 후에 연결부(200)를 고정홀부(18) 내측으로 삽입하면 본체부(10)의 내부를 지나는 와이어(50)와 연결부(200)가 걸림결합되면서 와이어(50)와 보강재(7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와이어(50)의 양단부를 블록(100)의 상측으로 당기면서 고정홀부(18)를 통해 연결부(200)를 삽입하면 한 쌍의 와이어(50)와 연결부(200)는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걸림결합되므로 연결부(200)가 고정홀부(18)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200)는, 와이어(50)가 걸리도록 양측 단부에 제1안착부(212)가 형성되고, 저면 테두리에 복수 개의 삽입홈부(214)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복수 개의 가압홀부(216)가 형성되는 상판부(210)와, 제1안착부(212)에 대향되며 와이어(50)가 걸리도록 양측 단부에 제2안착부(232)가 형성되고, 삽입홈부(214)에 끼움결합되도록 상면 테두리에 복수 개의 삽입돌기(234)가 형성되며, 가압홀부(216)에 대향되도록 상면에 중앙부에 복수 개의 가압홈부(236)가 형성되는 하판부(230)와, 삽입돌기(2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안착부(212) 및 제2안착부(232)의 입구를 폐쇄하는 제1구속돌기(250)와, 제1구속돌기(250)의 외측 단부가 삽입돌기(234)에 밀착되도록 제1구속돌기(250)를 회전시키는 제1토션스프링(252)과, 가압홀부(2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는 가압홀부(216)를 통과하여 가압홈부(236)에 삽입되는 제2구속돌기(270)와, 가압홈부(236)를 덮는 보강재(70)를 가압홈부(236)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제2구속돌기(270)를 회전시키는 제2토션스프링(272)을 포함한다.
상판부(210) 및 하판부(230)는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판부(230)의 테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삽입돌기(234)가 상판부(21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삽입홈부(214)에 억지끼움되면서 상판부(210)와 하판부(230)가 결합된다.
상판부(210)의 전방 측 단부는 그 평면 형상의 삼각형과 유사한 모양을 이루도록 전방 측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삼각형 모양의 양측 꼭짓점이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판부(210)의 양측면에 각각 제1안착부(212)가 형성된다.
제1안착부(212)는 상판부(210)의 후방 측으로 개구되고, 제1안착부(212)는 상판부(210)의 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와이어(50) 사이의 간격으로 상판부(210)를 삽입하면 와이어(50)를 양측 방향으로 벌리면서 상판부(210)가 와이어(5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고, 와이어(50)가 제1안착부(212)의 개방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면 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제1구속돌기(250)를 회전시키면서 와이어(50)가 제1안착부(212)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에, 제1토션스프링(252)의 복원력에 의해 제1구속돌기(25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제1안착부(212)의 개방부를 폐쇄하므로 와이어(50)가 제1안착부(212)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판부(230)의 전방 측 단부는 그 평면 형상의 삼각형과 유사한 모양을 이루도록 전방 측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삼각형 모양의 양측 꼭짓점이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판부(230)의 양측면에 각각 제2안착부(232)가 형성된다.
제2안착부(232)는 하판부(230)의 후방 측으로 개구되고, 제2안착부(232)는 하판부(230)의 전방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와이어(50) 사이의 간격으로 하판부(230)를 삽입하면 와이어(50)를 양측 방향으로 벌리면서 하판부(230)가 와이어(5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고, 와이어(50)가 제2안착부(232)의 개방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면 와이어(50)의 장력에 의해 제1구속돌기(250)를 회전시키면서 와이어(50)가 제2안착부(232) 내부로 삽입된다.
이후에, 제1토션스프링(252)의 복원력에 의해 제1구속돌기(25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제2안착부(232)의 개방부를 폐쇄하므로 와이어(50)가 제2안착부(232)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판부(210)의 후방 측 중앙부에는 한 쌍의 가압홀부(216)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가압홀부(216)는 상판부(210)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압홀부(216)의 양측 테두리에는 제2구속돌기(270)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스부(218)가 형성되고, 한 쌍의 보스부(218) 사이에 제2구속돌기(27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구속돌기(270)의 외측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므로 보강재(70)를 가압홈부(236) 측으로 가압할 때에 보강재(70)가 제2구속돌기(270)와 가압홈부(236) 사이로 슬립되면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판부(210)와 하판부(230)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상판부(210) 및 하판부(230)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상판부(210)와 하판부(23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보강재(70)가 상판부(210) 및 하판부(23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상판부(210) 및 하판부(230)는 후방 측 단부로부터 제1안착부(212) 및 제2안착부(232)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80)가 형성된다.
보강재(70)를 연결부(200)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상판부(210)와 하판부(23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하면 경사부(280)의 외측으로 보강재(70)의 단부가 돌출되므로 작업자는 경사부(280)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강재(70)의 단부를 잡아 연결부(200) 상측으로 당기면 보강재(70)가 제2구속돌기(270)를 밀면서 제2구속돌기(270)와 가압홈부(236)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제2토션스프링(272)이 압축되면서 제2구속돌기(270)가 가압홈부(236) 외측으로 회전되고, 보강재(7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토션스프링(272)의 복원력에 의해 제2구속돌기(270)의 외측 단부가 가압홈부(236)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보강재(70)를 가압홈부(236) 바닥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보강재(70)는 상판부(210) 및 하판부(230)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연결부(200) 외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보강재(70)와 와이어(50)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립식 옹벽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옹벽을 시공할 때에는 먼저, 다수 개의 본체부(10)를 연속되게 설치하여 한 쌍의 블록(100) 층을 형성하고, 각각의 본체부(10) 걸림홀부(16)에는 와이어(50)를 삽입하며, 커버부(30)의 관통홀부(32)를 통해 와이어(50)가 블록(10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한다.
이후에, 보강재(70)와 연결부(200)를 연결하는데, 보강재(70)의 단부를 연결부(200)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상판부(210)와 하판부(23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하면 보강재(70)가 제2구속돌기(270)를 가압홈부(236) 외측으로 회전시키며 제2구속돌기(270)와 가압홈부(236) 사이에 보강재(70)가 개재된다.
제2구속돌기(270)는 제2토션스프링(272)의 복원력에 의해 보강재(70)를 가압홈부(236) 내측으로 가압하므로 보강재(70)가 상판부(210) 및 하판부(230)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강재(70)가 연결된 연결부(200)를 고정홀부(18) 내측으로 삽입하면 연결부(200)의 전방 측 단부가 한 쌍의 와이어(50)를 측 방향으로 벌리면서 삽입된다.
연결부(200)가 본체부(10) 내부에 삽입되어 와이어(50)가 제1구속돌기(250)에 접촉된 상태가 되면 작업자는 연결부(200)를 고정홀부(18) 외측으로 당기는데, 이때, 와이어(50)가 제1구속돌기(250)를 제1안착부(212) 및 제2안착부(232) 내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1구속돌기(250)가 제1안착부(212) 및 제2안착부(232) 내측으로 회전되면 와이어(50)가 제1안착부(212) 및 제2안착부(232)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1토션스프링(252)의 복원력에 의해 제1구속돌기(250)가 원위치로 회전되면서 제1안착부(212) 및 제2안착부(232)의 개방부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제1구속돌기(250)에 의해 와이어(50)가 제1안착부(212) 및 제2안착부(232)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와이어(50)와 보강재(70)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로써, 블록(100)과 보강재(70)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토압에 의해 블록(100)과 보강재(7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블록(100)들 사이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조립식 옹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용 조립식 옹벽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용 조립식 옹벽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옹벽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2 : 개구부
13 : 돌출부 14 : 경사면
16 : 걸림홀부 17 : 단차부
18 : 고정홀부 30 : 커버부
32 : 관통홀부 50 : 와이어
70 : 보강재 80 : 배면토
100 : 블록 200 : 연결부
210 : 상판부 212 : 제1안착부
214 : 삽입홈부 216 : 가압홀부
218 : 보스부 230 : 하판부
232 : 제2안착부 234 : 삽입돌기
236 : 가압홈부 250 : 제1구속돌기
252 : 제1토션스프링 270 : 제2구속돌기
272 : 제2토션스프링 280 : 경사부

Claims (3)

  1. 복수 개가 적층되도록 육면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육면체의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한 쌍의 걸림홀부가 형성되며, 배면에 고정홀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단차부에 안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고, 상기 걸림홀부에 대향되도록 한 쌍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블록;
    적층되는 다수 개의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커버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관통홀부 및 상기 걸림홀부에 삽입되는 와이어;
    상기 고정홀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본체부 후방에 타설되는 배면토에 함침되는 보강재; 및
    상기 보강재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고정홀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와이어와 걸림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옹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가 걸리도록 양측 단부에 제1안착부가 형성되고, 저면 테두리에 복수 개의 삽입홈부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복수 개의 가압홀부가 형성되는 상판부;
    상기 제1안착부에 대향되며 상기 와이어가 걸리도록 양측 단부에 제2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부에 끼움결합되도록 상면 테두리에 복수 개의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부에 대향되도록 상면에 중앙부에 복수 개의 가압홈부가 형성되는 하판부;
    상기 삽입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입구를 폐쇄하는 제1구속돌기;
    상기 제1구속돌기의 외측 단부가 상기 삽입돌기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구속돌기를 회전시키는 제1토션스프링;
    상기 가압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가압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가압홈부에 삽입되는 제2구속돌기; 및
    상기 가압홈부를 덮는 상기 보강재를 상기 가압홈부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2구속돌기를 회전시키는 제2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옹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의 후방 측 단부로부터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되는 보강재가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판부 및 상기 하판부는 후방 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옹벽.
KR1020130048862A 2013-04-30 2013-04-30 건축용 조립식 옹벽 KR101302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862A KR101302467B1 (ko) 2013-04-30 2013-04-30 건축용 조립식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862A KR101302467B1 (ko) 2013-04-30 2013-04-30 건축용 조립식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467B1 true KR101302467B1 (ko) 2013-09-02

Family

ID=4945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862A KR101302467B1 (ko) 2013-04-30 2013-04-30 건축용 조립식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558B1 (ko) * 2018-09-18 2019-10-21 박서현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옹벽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256A (ko) * 2008-04-04 2009-10-08 강구종 보강토 옹벽블록경사 축조용 지오그리드 구조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0932953B1 (ko) 2009-07-16 2009-12-21 (주)시명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비탈면의 중수 저수장치
KR100943222B1 (ko) 2009-08-31 2010-02-18 이병철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KR20110055761A (ko) * 2009-11-20 2011-05-26 김성례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256A (ko) * 2008-04-04 2009-10-08 강구종 보강토 옹벽블록경사 축조용 지오그리드 구조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0932953B1 (ko) 2009-07-16 2009-12-21 (주)시명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용 비탈면의 중수 저수장치
KR100943222B1 (ko) 2009-08-31 2010-02-18 이병철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KR20110055761A (ko) * 2009-11-20 2011-05-26 김성례 대형 블록식 보강토 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558B1 (ko) * 2018-09-18 2019-10-21 박서현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옹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66903B (zh) 排水沟主体连接元件
KR101849530B1 (ko) 옹벽블록 조립형 옹벽 구조물
CA2031462A1 (en) Modular self-locking panels
KR101545649B1 (ko) 철근간섭을 방지한 코핑 시공방법
US20100303555A1 (en) Concrete block for wall, walls having such blocks, and methods
KR102173364B1 (ko) 다기능 보강토블록
KR102216504B1 (ko) 지중연속벽 형성을 위한 워터스탑 시공시 이용되는 지수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지중연속벽 시공 방법
CA2902876C (en) Loop and saddl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stablized earth wall
KR101302467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
KR101285266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US10280584B2 (en) Reversible segmental retaining wall block, mold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s of forming retaining walls with same
US6443662B1 (en) Connector for engaging soil-reinforcing grid to an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same
KR101324734B1 (ko) 조립식 옹벽
KR101284122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97432B1 (ko) 보강토 옹벽 패널
KR101000552B1 (ko) 콘크리트가 보강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814767B1 (ko) 외장재 착탈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112252711A (zh) 反坎模板及模板框架
KR20120099989A (ko) 빗물저류조
KR101508592B1 (ko) 급수환경이 개선된 친환경 옹벽프레임과 식생 옹벽 시공방법
JP4220639B2 (ja) 舗装用枡枠盤
KR20080113999A (ko) 식생용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109773958A (zh) 预制空心混凝土构件用伸缩线盒及其使用方法
JP6418523B2 (ja) 断熱型枠を用いた基礎構造及び耐圧版式土間基礎の形成方法
KR102090080B1 (ko) 와이어 내진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