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171B1 -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사료 - Google Patents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171B1
KR101302171B1 KR1020060081855A KR20060081855A KR101302171B1 KR 101302171 B1 KR101302171 B1 KR 101302171B1 KR 1020060081855 A KR1020060081855 A KR 1020060081855A KR 20060081855 A KR20060081855 A KR 20060081855A KR 101302171 B1 KR101302171 B1 KR 10130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fish
oil
weight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466A (ko
Inventor
최창본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8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17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용 사료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a) 기름으로 생선부산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기름에 가열하여 얻은 고형물의 기름을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상기 a) 및 b) 단계에, 추가로 c)상기 기름을 착유한 고형물을 원심분리하여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돼지용 사료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육 고형물 및 상기 어육 고형물을 포함하는 돼지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돼지용 사료, 어육 고형물

Description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SOLID MATERIAL MADE FROM FISH PRODUCT,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FEED FOR POULTRY CONTAIN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육 고형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국내의 생선류(참치, 꽁치, 고등어, 명태, 오징어, 갈치, 조기 등) 가공 공장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여 있으며, 그 생선류 가공 공장에서 배출되는 생선의 부산물(예를 들어, 머리, 뼈, 꼬리, 내장 등)은 대부분이 폐기물로 해양 투기 등으로 처리되고 있는 현실이다. 특히, 상기 생선류 중 생선통조림 공장으로부터 발생하는 생선머리, 내장 등의 부산물은 건조함량 기준으로 하루에 대략 15만톤 정도의 많은 양이 발생하고 있고, 이들 부산물에는 오메가 3계열 지방산으로 지능발달 및 노인성 치매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DHA(Dehydroepiandrosterone) 및 EPA(Eicisapentaenoic acid)을 포함한 불포화 지방산 등의 유용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연안 어장 오염 등 환경오염과 관련하여, 정부가 생선 부산물의 해양투기를 전면 금지함으로써 생선 부산물의 이용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에 생선 부산물을 이용하여 사료를 제조한 예를 살펴보면, 한국 공개특허 제1999-46663호에서는 어즙 흡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을 게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 제1993-1801호에서는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고단백 고칼슘 첨가사료의 제조방법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생선 부산물을 농축시킨 다음, 사료 첨가 부형제를 첨가하여 펠렛 형태의 가축사료를 제조한 것으로서, 생선 부산물의 지방을 제거하거나 그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시켜 활용한 예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환경오염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생선부산물의 경제적인 사용방법을 제안하여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생선부산물에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지방산 등 인체에 유용한 성분을 돼지고기에 전이시켜 기능성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상기 생선부산물을 기름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기름을 분리하여 고형물을 얻거나 기름을 분리한 후, 원심분리를 통하여 상등액을 제거 하여 고형물을 얻는 상기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용 사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육 고형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돼지용 사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생선부산물을 기름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기름을 분리하여 고형물을 얻거나 기름을 분리한 후, 원심분리를 통하여 상등액을 제거하여 고형물을 얻으면 상기 생선부산물로부터 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어육 고형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생선이란 참치, 꽁치, 고등어, 명태, 오징어, 갈치 등을 포함한 식용 가능한 어류로서, 예를 들면 말리거나 절이지 아니한 잡은 그대로의 신선한 물고기일 수 있으며, 부산물이란 통상적으로 주산물의 생산 과정에서 더불어 생긴 물건을 말하며, 생선부산물이란 생선류 가공에서 배출되는 생선의 머리, 뼈, 꼬리, 내장, 표피 등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어육 고형물이란 생선 부산물로 만들어진 질이 단단하고 굳은 물건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수분 함량이 0.5 내지 20중량%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어육 고형물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는 a)기름으로 생선 부산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b)상기 얻은 고형물의 기름을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예에서, 생선부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5,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중량부의 기름에 생선부산물을 추가하여 12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80℃로 5분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15분 내지 3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2시간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기름의 비점이 물보다 높고 통상의 대기압에서는 물의 비점이 100℃이므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부산물에 100℃ 이상의 열을 가하면 부산물 내 수분이 기화해서 증발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기름에서 얻은 고형물의 기름을 착유하는 단계는, 상기 고형물을 냉각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기름을 착유하며 바람직하게는 압축법과 추출법, 더욱 바람직하게는 압착법으로 기름을 착유한다.
본 발명의 어육 고형물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상기 a) 및 b)단계를 수행한 후에, c)원심분리를 이용하여 기름과 고형물로 분리한 후,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c)단계는 기름을 착유한 고형물을 1,000rpm 내지 35,000rpm, 바람직하게는 2,000rpm 내지 30,000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rpm 내지 25,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인 기름과 고형물로 분리한 후, 기름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어육 고형물은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를 거쳐 제조되거나, 상기 a) 단계, b)단계 및 c)단계를 거쳐 제조된 어육 고형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는 포유류와 가금류의 동물 사료 조성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포유류의 동물 사료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우 또는 양돈용 동물 사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예로는 돼지용 사료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사료란 사육용 가축에게 주는 먹이를 말하며, 사료를 펠리팅(pelleting)한 고형사료(solid feed)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사료에 포함된 어육 고형물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중량%이며, 어육 고형물 외에 통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육 고형물을 포함하는 사료는 상기 사료를 섭취한 가축의 육량등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육질 등급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사료 조성물은 상기 어육 고형물을 포함하고 다른 일반 사료 조성물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사육 동물의 종류 등에 따라 급여되는 사료 조성물을 말하며, 이러한 일반 동물 사료는 모두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시판되고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누구나 매우 용이하게 이를 제조 또는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반 동물 사료는 그 사료의 구성 성분으로서 사육 동물의 종류 등에 따라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 단백질 함유 물질, 지방 함유 물질, 비타민 함유 물질, 무기질 함유 물질, 산화 방지 물질, 항생제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그것이 사육 동물의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한 모두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분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옥수수, 콩, 밀, 수수, 보리, 귀리 등으로부터 얻어진다.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로서는 옥수수 분쇄물이나 분말, 귀리 분쇄물이나 분말, 콩 분쇄물이나 분말, 밀 분쇄물이나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은 귀리 분말, 옥수수 분쇄물, 밀 분쇄물, 콩 분말 등이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사육 동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농도는 특정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분 함유 물질은 약 30 내지 약 8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7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단백질 함유 물질도 사육 동물의 성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경제적인 이유로 어분, 콩 분말 등과 같은 단백질 함유 물질이 사용되고 있는데, 다른 것들로서는 콩 단백질 농축물, 혈분, 혈장 단백질, 탈지유 건체물, 유(乳) 단백질 농축물, 옥수수 글루텐(Gluten) 분말, 밀 글루 텐 분말, 이스트, 해바라기씨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어분, 혈분, 혈장 단백질, 콩 분말 등이다.
단백질 함유 물질도 사육 동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농도는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약 10 내지 약 5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조성물에는 지방 함유 물질도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지방 함유 물질로서는 라드(Lard), 우지, 콩기름, 레시틴, 코코넛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지방 함유 물질은 콩기름, 코코넛유 및 라드 등이다.
지방 함유 물질도 사육 동물의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농도는 중요하지 않다. 지방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5 중량 %, 가장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또한 수용성·지용성 비타민과 미량의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리보플라빈,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나이아신, 비타민 B12, 엽산, 비오틴,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미량의 무기물로서는 구리, 아연, 요오드, 셀렌, 망간, 철,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량이 의미하는 바는 조성물에 사용된 이들 성분들의 양이 다른 성분들의 양보다 실질적으로 적은 것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미량으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중에 포함될 경우에 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5 중량 %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또한 BHT(Butylated Hydroxytoluene), BHA(Butylated Hydroxyanisole), 비타민 E, 아스코르브산 등의 미량의 산화방지물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클로로테트라사이클린, 설파메타진, 페니실린 등의 항생제도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산화방지물질이나 항생제는 극소량, 즉 약 0.0001 내지 약 1 중량 %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사료효율은 일일증체량/일일사료섭취량으로 정의되며, 사료효율이 증가한다는 것은 같은 양의 사료를 섭취하더라도 체중의 상대적인 증가 정도는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을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및 2: 시험사료의 제조 및 조성의 비교
생선부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0중량부의 기름에 물로 세수한 생선부산물을 추가하여 170℃로 45분간 가열하여 생선부산물속의 수분을 기화시켜 제거하였다. 상기 수분을 제거한 생선부산물을 압착법을 통하여 기름을 제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의 사료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기름을 압착하여 지방을 제거한 생선부산물을, 15,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오일과 고형물로 제거한 후, 오일을 제거하여 제조하였다.
본 시험에 이용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조단백질은 각각 59.65%와 47.97%로서, 기준치의 54.30%와 비교해 보면 실시예 1이 3.35%가 높으며, 실시예 2는 6.33%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의 경우 생선부산물의 기름을를 제거하고 남은 고형물을 원심분리하였을 때 생산되는 부산물로서 예상한 바와 같이 조지방 함량이 매우(33.62%) 높았다.
어육 고형분의 화학적 조성
실시예 1(%) 실시예 2(%) 기준치(%)
수분 8.80 8.60 8.89
조 단백질 59.65 47.97 54.30
조 지방 13.03 33.62 8.33
조 섬유 1.27 0.81 -
조 회분 14.82 6.97 24.1
Ca 3.58 1.87 8.83
P 1.56 0.81 2.09
NaCl 1.91 1.74 -
어육 고형분의 아미노산 조성을 살펴보면(표 2), 실시예 1의 경우 대부분 아미노산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특히 세린, 라이신, 및 알지닌의 함량이 대조군 보다 훨씬 높았다. 실시예 2의 경우 아미노산 조성이 대조군과 유사함을 나타내었다.
어육 고형분의 아미노산 조성
실시예 1(%) 실시예 2(%) 기준치(%)
시스틴 0.62 0.49 0.57
메치오닌 1.33 0.99 1.24
트레오닌 2.47 1.85 2.19
세린 2.36 1.85 1.14
글루탐산 8.04 5.33 -
글라이신 3.90 3.67 4.83
알라닌 3.51 2.91 -
발린 2.76 2.24 2.46
이소류신 2.62 1.83 2.25
류신 4.31 3.01 3.99
페닐알라닌 2.16 1.76 2.13
라이신 3.89 2.89 2.35
알지닌 3.85 2.71 2.56
실시예 3 및 4: 시험사료에 의한 돼지의 사육
시험사료 제조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어육 고형분을 기초사료인 대조군 사료(오성사료)에 3% 첨가하여 각각 실시예 3 및 4의 시험사료를 제조하였으며, 이들 시험사료의 화학적 조성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실시예 3와 실시예 4의 시험사료의 사료내 조단백질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80 및 1.24% 증가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4의 경우, 조지방 함량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실제로는 4.44%로서 대조군이나 실시예 3과 비슷한 조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과 실시예 4 모두 시험사료 내 라이신의 함량은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시험사료내 Ca 및 P의 함량은 대조군과 모두 큰 차이가 없었다.
시험 사료의 화학적 조성
실시예 3(%) 실시예 4(%) 대조군(%)
수분 13.05 14.12 13.92
조 단백질 18.13 17.57 16.33
조 지방 4.46 4.44 4.36
조 회분 8.45 8.43 8.28
Ca 0.72 0.74 0.70
P 0.50 0.50 0.54
라이신 0.93 0.99 1.03
시험사료에 의한 돼지사육
생후 72일령부터 122일령까지 육성기 50일 동안은 각 시험군 별로 대조군,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 의한 사료를 공급하였으며, 이후 122일령부터 168일령까지 46일 동안(출하 이후)은 대조군 사료를 공급하였다. 상기 돼지는 3원 교잡종(실용돈) 67두를 대조군, 실시예 3에 의한 사료를 공급한 군, 실시예 4에 의한 사료를 공급한 군 각각 23두, 23두 및 21두 씩 배치하였다. 사료 급여를 제외한 시험 돼지의 사양관리(예방접종 등)는 농장 관행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사료의 물은 자유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5: 사육한 돼지 분석
사육한 돼지의 증체능력
시험개시시(육성기 개시시), 시험종료시(육성기 종료시) 및 출하시에 각 시험구 전체 체중을 측정하고, 시험두수로 나누어 평균 체중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사료섭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료는 포대로 급여하였으며, 매일 각 처리구 돼지들이 섭취하고 남은 사료의 잔량을 측정함으로 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체중 및 사료섭취량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시험사료는 육성기 50일 동안 두당 평균 일당 증체량은 0.53kg으로써, 대조구의 0.63kg 보다 낮았으나, 사료섭취량을 감안한 사료요구율은 3.87로써, 대조구의 3.98 보다 오히려 낮아 사료효율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데칸트 첨가구의 경우 일당증체량도 대조구 보다 높았으며, 특히 사료요구율은 3.22로써, 세 처리구 중 가장 좋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증체 능력 측면에서 본다면 실시예 3과 실시예 4가 모두 좋은 성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4의 시험사료가 증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시험돼지의 체중 및 사료섭취량(육성기)
실시예 3 실시예 4 대조구
개시시 시험두수, 두 23 21 23
종료시 시험두수, 두 19 16 20
개시시 평균체중, kg/두 37.7 39.4 33.1
종료시 평균체중, kg/두 64.2 73.6 64.5
증체량 kg/두 26.5 34.2 31.4
사양일수 일 50 50 50
일당증체량 kg/일/두 0.53 0.68 0.63
사료섭취량 kg/일/두 2.05 2.19 2.51
사료요구율 3.87 3.22 3.98
도체성적
상기 증체능력에 대한 시험이 끝난 돼지는 도축 하루전 경상남도 창녕 소재 (주)영남산업으로 출하를 하였으며, 도축장에 도착 즉시 계류장에서 세척, 절식시켰으며, 다음 날 도축하였다.
도축이 완료된 시험용 돼지의 도체는 4℃ 예냉실에서 24시간 예냉 후 등급 판정을 하였다. 등급 판정은 "축산물등급판정세부기준"(농림부고시 제2004-10호; 2004. 3. 19)에 따라 실시하였다.
표 5는 시험 돼지의 도체성적을 나타낸 것으로, 생체중량은 실시예 4의 시험사료와 대조구가 비슷한 107.89 및 107.60 kg 이었으며, 실시예 3의 시험사료는 가장 낮은 100.25 kg이었다. 그러나, 생체중량과 지율중량을 감안한 도체율에서는 세 처리구 간 차이는 없었다.
등지방 두께는 실시예 1와 실시예 2 첨가구가 공히 대조구에 비하여 1.4mm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육량 등급은 당초 등급 판정 기준으로는 A, B, 및 C 등급으로 분류하나, 통계처리를 위해서 A=1, B=2, 및 C=3의 수치로 환산한 자료이며, 따라서 대조구는 평균적으로 B에 가까운 A, 실시예 3의 시험사료는 C에 가까운 B, 실시예 2 처리구는 B 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내지방도는 실시예 3의 시험사료, 대조구, 및 실시예 4의 시험사료의 순으로 높았으며, 육질 등급은 실시예 3의 시험사료, 실시예 4의 시험사료, 및 대조구의 순으로 좋아서, 어분 첨가 사료를 급여함으로써 육질 등급이 향상되는 되었다.
도체성적
실시예 3 실시예 4 대조군 Pr > |t|1)
생체중량, kg 100.25±5.512) 107.89±2.57 107.60±1.632) 0.2800
지육중량, kg 75.00±4.12 81.20±1.93 81.00±1.22 0.2284
도체율, % 75.68±4.00 75.43±1.79 75.34±1.15 0.9954
등지방 두께, mm 20.40±2.38 20.40±2.66 19.00±1.67 0.8825
육량등급 2.60±0.68 2.00±0.32 1.80±0.37 0.4964
근내지방도 1.80±0.20 1.40±0.24 1.60±0.4 0.6410
육색 3.00±0.00 3.60±0.24 3.80±0.2 0.0236
조직감 1.20±0.20 1.60±0.24 1.20±0.2 0.3513
육질등급 2.20±0.20 2.00±0.00 1.80±0.2 0.2621
수분삼출도 1.20±0.20 1.00±0.00 1.00±0.00 0.3966
근육분리도 1.00±0.00 1.00±0.00 1.00±0.00 -
1) Probability of the T test.
2) Mean ± standard error.
도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
상기 등급판정이 끝난 도체는 (주)선진 육가공장으로 이동하여, 각 처리구 5두에 대하여 삼겹부위 10cm를 시료로 체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냉장상태로 즉시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쇄기에서 완전히 분쇄한 후 일반 분석과 지방산 분석을 위한 시료로 구분한 다음, 식품보관용 비닐팩에 넣어 -7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시험 돼지고기의 삼겹살 내 일반성분은 AOAC법(1984)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지방산 조성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지방산 분석을 위해서 추출한 지방을 이용해서 융점을 측정하였다.
분산분석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robability를 구하였다.
돼지 사료내 어분의 첨가는 삼겹살 부위 돼지고기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등의 일반 성분의 함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그러나, 돼지 사료내 어분 고형물의 첨가는 어분의 종류에 따라 삼겹 부위 지방의 융점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지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시예 3의 시험사료의 경우 융점이 19.49℃로써, 대조구의 22.49℃ 및 실시예 4의 시험사료의 25.35℃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으며(표 6), 이러한 돼지고기의 물리적인 특성의 변화는 지방산 조성 중 불포화 지방산과 포화 지방산의 비율(표 7)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
표 7은 삼겹 부위 지방산의 조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시예 3의 시험사료의 경우 팔미토레인산, 올레인산, 및 리놀레인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특히 돼지고기를 비롯한 쇠고기 등의 육류에서 풍미를 결정하는 올레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불포화 지방산 함량의 증가는 단일 불포화 지방산 대 포화 지방산의 비율을 대조구의 0.92 보다 0.03 증가시킨 0.95로 증가시켰다. 그러나, 실시예 4의 시험사료의 경우 주요 포화 지방산인 팔미틴산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따라서 전체 포화지방산 함량 및 단일 불포화 지방산 대 포화 지방산의 비율 등에서 실시예 3의 시험사료에서 나타났던 결과와는 반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생선부산물의 처리과정에서 생산되는 두 종류의 어분 고형물(실시예 1와 실시예 2)을 기존 돼지 사료에 각각 3% 첨가하여 육성기 50일 동안 사양한 결과, 실시예 1와 실시예 2 모두 육량등급에 큰 영향없이 육질등급을 향상시켰다. 삼겹살 부위 이화학적인 특성과 함께 지방산 조성을 미루어 볼 때, 특히 실시예 1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할 경우 인체에 유익한 불포화 (특히 단일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기능성 돼지고기를 브랜드화 한다면, 생선부산물의 친환경적인 처리뿐만 아니라 농가소득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체의 물리, 화학적 특성
실시예 3 실시예 4 대조군 Pr > |t|1)
수분 46.38±1.42 45.51±4.52 46.07±4.102) 0.9840
조 단백질 12.04±0.25 11.63±1.20 11.86±0.75 0.9397
조 지방 39.76±1.83 39.65±3.82 37.94±5.81 0.9379
회분 0.65±0.01 0.66±0.06 0.68±0.07 0.9262
융점, ℃ 19.49±1.12 25.35±2.09 22.49±1.83 0.0955
1) Probability of the T test.
2) Mean ± standard error.
도체의 지방산 조성
실시예 3(%) 실시예 4(%) 대조군(%) Pr > |t|1)
C14:0 (미리스틴산) 2.07±0.17 3.03±0.09 2.15±0.32) 0.0059
C16:0 (팔미틴산) 31.01±1.04 35.11±0.46 31.28±2.30 0.0839
C16:1 (팔미토레인산) 2.34±0.24 2.93±0.03 2.20±0.27 0.0515
C18:0 (스테아린산) 9.60±0.69 7.88±0.35 10.01±0.91 0.0896
C18:1 (올레인산) 38.13±0.51 33.13±0.54 37.39±1.18 0.0009
C18:2 (리놀레인산) 14.71±0.55 15.09±0.88 14.33±0.96 0.8031
포화지방산 42.69±0.98 46.02±0.82 43.43±1.78 0.1404
불포화지방산 55.18±0.66 51.16±0.69 53.92±1.85 0.0526
단일불포화 지방산 40.48±0.44 36.07±0.55 39.59±0.91 0.0008
포화/불포화 0.77±0.03 0.90±0.03 0.81±0.06 0.0800
단일불포화/포화 0.95±0.03 0.78±0.02 0.92±0.06 0.0180
1) Probability of the T test.
2) Mean ± standard err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생선 부산물의 고부가 자원화를 통하여 환경오염 문제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생선 부산물에 다량 함유된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한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돼지고기에 전이시켜 기능성 돼지고기를 생산할 수 있는 돼지사료를 제공하여 산업적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a) 생선부산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3,000중량부의 기름에 생선부산물을 추가하여 150℃ 내지 200℃로 15분 내지 3시간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얻은 산물의 기름을 착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육 고형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돼지고기내 불포화지방산 함량 증가를 위한 양돈용 사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을 착유한 고형물을 2,000rpm 내지 30,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기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사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20060081855A 2006-08-28 2006-08-28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사료 KR10130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55A KR101302171B1 (ko) 2006-08-28 2006-08-28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855A KR101302171B1 (ko) 2006-08-28 2006-08-28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466A KR20080019466A (ko) 2008-03-04
KR101302171B1 true KR101302171B1 (ko) 2013-08-30

Family

ID=3939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855A KR101302171B1 (ko) 2006-08-28 2006-08-28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293B1 (ko) * 2018-02-05 2019-08-06 농업회사법인 강진군명품한우연구회 주식회사 올레인산 및 cla 강화 수퍼오메가3 한우고기 생산 기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972B1 (ko) 2016-07-20 2017-03-31 한석운 알카라인 반응 및 인지질 수소화를 이용한 오징어 및 생선 부산물로부터 단백질 농축 분말사료 제조 방법
CN107495189A (zh) * 2017-09-27 2017-12-22 段蕊 一种鲢鱼生态化利用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0391A (en) * 1981-02-24 1982-08-30 Nakazono Shuzo Manufacture of feed and fertilizer from garbage
JPH0712283B2 (ja) * 1986-01-31 1995-02-15 修三 中園 養殖魚用飼料の製造方法
KR20000056386A (ko) * 1999-02-19 2000-09-15 박승순 양식어류 사료의 제조방법
KR100355808B1 (ko) * 2000-08-14 2002-10-19 황도연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가축사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0391A (en) * 1981-02-24 1982-08-30 Nakazono Shuzo Manufacture of feed and fertilizer from garbage
JPH0712283B2 (ja) * 1986-01-31 1995-02-15 修三 中園 養殖魚用飼料の製造方法
KR20000056386A (ko) * 1999-02-19 2000-09-15 박승순 양식어류 사료의 제조방법
KR100355808B1 (ko) * 2000-08-14 2002-10-19 황도연 생선 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 가축사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293B1 (ko) * 2018-02-05 2019-08-06 농업회사법인 강진군명품한우연구회 주식회사 올레인산 및 cla 강화 수퍼오메가3 한우고기 생산 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466A (ko) 200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es et al. The benefits of fish meal in aquaculture diets: FA122/FA122, 5/2006
Clement et al. Comparison of processing yield and nutrient composition of culture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and channel catfish (Ictalurus punctatus)
Folador et al. Fish meals, fish components, and fish protein hydrolysates as potential ingredients in pet foods
Ljubojević et al. Interactive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and oil source on proximate composi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Rosenfeld et al. The effect of using different levels of shrimp meal in broiler diets
van’t Land et al. The effect of raw material combination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stability of four types of autolyzed fish silage
EP2095722A1 (en) Feed using peeled krill as the starting material and method of preventing decrease in fish growth rate by using the same
Margareta et al. Effect of dietary mulberry (Morus alba) leaves on performance parameters and quality of breast meat of broilers
Thorne et al. Copra meal
Bridgemohan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a high protein animal supplement from Moringa oleifera
KR101302171B1 (ko) 생선부산물을 이용한 어육 고형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사료
BANZE et al. Acid silage of tuna viscera: production, composition, quality and digestibility
KR101889895B1 (ko) 어류용 친환경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uyar et al. Fatty acid profiles of fish oil derived by different techniques from by-products of cultured black sea salmon, oncorhynchus mykiss
De Koning Properties of South African fish meal: a review: research in action
Dale et al. Nutrient value of tilapia meal
Bechtel et al. 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Pacific Ocean perch (Sebastes alutus) whole fish and by‐products
Thi Thuy et al. Effects of replacing fish meal with ensiled catfish (Pangasius hypophthalmus) by-products on the performance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pigs.
WO2019000483A1 (zh) 一种肉丝状宠物食品及其制备方法
Thuy et al. Effects of replacing marine fishmeal with graded levels of Tra Catfish by-product protein hydrolysate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pigs
Premawansha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of Fish Feeds Formulated with Fish Discards or Shellfish Waste as Alternative Protein Sources
Murthy et al. Secondary Raw Material and Low-Cost Fish for Fish Meal Production and Its Implications in the Animal Feed Industry
Gugołek et al. Feeds of animal origin in rabbit nutrition–a review
Raeesi et al. Use of fish waste to silage preparation and its application in animal nutrition
US20240122205A1 (en) Method for producing protein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