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095B1 -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095B1
KR101302095B1 KR1020110066962A KR20110066962A KR101302095B1 KR 101302095 B1 KR101302095 B1 KR 101302095B1 KR 1020110066962 A KR1020110066962 A KR 1020110066962A KR 20110066962 A KR20110066962 A KR 20110066962A KR 101302095 B1 KR101302095 B1 KR 10130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hip
cross
sectional
f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516A (ko
Inventor
한우식
임휘진
서가희
전충호
강소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0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분할 탑재 공법은 A)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에서 선박 층별 횡단면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B) 제조된 횡단면블록을 블록수평이동장치에 의해 블록리프터의 승강판에 옮기는 출고 단계; C) 상기 횡단면블록을 상기 해상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선박 건조장에 옮겨 탑재하는 탑재 단계; D) 상기 B), C)단계의 반복에 따라 이동된 횡단면블록을 선박 수직 방향으로 적층 및 연결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ERECTION METHOD WITH DIVIDED BLOCK OF VESSEL AND SYSTEM FOR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 층별로 분할된 횡단면블록으로 선박을 제조하는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의 건조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선체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이를 지상에서 각각 건조한 뒤 도크(dock)로 이송하여 조립함으로써 도크의 가동률을 높이는 선박의 블록 건조 방법이 있다.
일반적인 블록 건조 방법에서는 선체를 수 십 개 혹은 수 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한다.
이러한 블록 건조 방법에는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적층해가는 층식(層式) 건조 방법과, 선수미 방향으로 건조해가는 상형(箱形) 건조 방법과, 그리고 양자의 절충 방식인 피라밋(piramid)식 건조 방법이 있다.
한편, 대형 선박을 건조하는 경우에는 1개당 2000톤 ~ 3000톤인 블록 10개로 선박을 만드는 메가 공법과, 1개당 4000톤 ~ 6000톤인 블록 5개로 만드는 기가 공법과, 1개당 1만톤인 블록 2개로 줄이는 테라 공법이 있다.
기가 공법이 현재의 블록 건조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인 바, 도 1에 그 개요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기가 공법은 육상에서 수십 개 혹은 수백 개로 분할된 블록들을 기가 블록으로 결합시켜 기가 블록(1, 2)으로 제작한다.
이때, 기가 블록(1, 2)은 대략 4000톤 ~ 6000톤의 중량을 가지며, 50m 이상의 길이를 갖는 초대형 블록일 수 있다.
이때, 기가 블록(1, 2)은 서로 동조 작업할 수 있도록 연결된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에 의해 플로팅 도크로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이동된 기가 블록(1, 2)은 플로팅 도크 내에서 세팅 및 용접되어 상호 결합됨에 따라 하나의 선박으로 완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에서는 선박 건조시, 소조립, 중조립, 대조립공장, PE(Pre-Erection)장, 도크, 안벽 등 각 공정별 블록이 이동하여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선박 건조 공간의 증가를 야기시키며, 블록 이동 및 적재에 따른 시간적 손실도 초래하고 있다. 또한, 블록 이동이 잦을 경우 각 공정별 사용되는 크레인, 치구, 족장 등 물품 및 인적 시수 소요도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에서는 기가 블록이 플로팅 도크에 탑재되기 시작하는 플로팅 도크의 선단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서, 블록화된 기가 블록을 플로팅 도크 상에서 접합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에서는 기가 블록을 선수미 방향으로 연결하여 적층할 때, 육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동이 심한 상태로 블록 조립이 이루질 수 있음에 따라 정도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수정 및 재작업으로 인한 물적 인적 소요가 발생되는 단점을 갖는다.
공개특허 특1999-0032822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 층별[예: 데크(deck)별]로 분할된 횡단면블록을 다층 블록공장에서 인라인(in-line) 방식과 같이 연속적으로 제작한 후, 선박 조립장에서 선박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탑재함으로 선박을 건조할 수 있는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에서 선박 층별 횡단면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B) 제조된 상기 횡단면블록을 블록수평이동장치에 의해 블록리프터의 승강판에 옮기는 출고 단계; C) 상기 횡단면블록을 블록운반탑재장치로 선박 건조장에 옮겨 탑재하는 탑재 단계; D) 상기 B), C)단계의 반복에 따라 이동된 상기 횡단면블록을 선박 수직 방향으로 적층 및 연결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분할 탑재 공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에서 상기 횡단면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자재를 일측 방향으로 입고시키고, 상기 블록리프터의 승강판이 있는 타측 방향으로 제작된 상기 횡단면블록을 출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는, 복수개의 블록을 조립하여 상기 횡단면블록을 제작하고, 의장품을 상기 횡단면블록에 설치하고, 의장품 또는 횡단면블록간 블록 연결용 조인트부를 설치하고, 상기 횡단면블록에 도장까지 모두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승강판에 의해 상기 횡단면블록을 하강시켜 블록운반탑재장치가 접근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횡단면블록에 마련되어 있는 블록 연결용 조인트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횡단면블록들이 선박을 이루도록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층별로 분할된 횡단면블록이 각 층별로 제조되도록 복수의 블록 제조 샵을 갖는 다층 블록공장과,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높이에 대응하게 상기 횡단면블록을 승하강시키는 승강판을 구비한 블록리프터와, 상기 블록 제조 샵의 바닥면과 상기 승강판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이 상기 복수의 블록 제조 샵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로 승하강할 경우 상호 일치되는 블록수평이동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블록공장은, 타워형 또는 빌딩형 공장 구조로서, 상기 블록 제조 샵의 일측 방향에서 자재가 입고되고, 상기 자재에 의해 제작된 상기 횡단면블록을 상기 블록리프터의 승강판이 있는 타측 방향 쪽으로 출고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리프터는, 상기 승강판을 승하강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승강판에 장착되어 블록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블록가드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수평이동장치는, 상기 횡단면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롤러와 레일을 갖는 부재 수평 이송 장치, 로드 아웃(load-out) 공법의 스키드웨이와 APS(Air Pad System)장치 및 레일과 대차(RTP, Rail Transporter)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단면블록을 선박 수직방향으로 적층 및 연결하기 위하여 선박 건조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박 건조장은 육상 도크, 플로팅 도크 및 플로팅 바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단면블록을 탑재하기 위한 해상크레인, 육상크레인 및 트랜스포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블록운반탑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 건조에 필요한 자재를 상기 다층 블록공장으로 입고시키는 자재입고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재입고장치는 자재를 들어올려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의 상기 블록 제조 샵에 입고시키는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과 병렬로 설치되어 작동암을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암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자재를 상하로 운반하는 이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층 블록공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선박 건조시에 필요한 블록 건조용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층 블록공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블록 이동 및 적재에 따른 시간적 손실 초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에서 인라인(in-line) 방식과 같이, 연속적으로 횡단면블록 제작용 자재를 일측 방향으로 입고시키고, 이후 제작이 완료된 횡단면블록을 블록리프터(block lifter)의 승강판이 있는 타측 방향으로 출고시킬 수 있어서, 블록 제작 공정의 시간 단축 그리고 공정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에서 횡단면블록의 조립, 의장품 설치, 도장까지 모두 완료됨에 따라, 선박 건조장에서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박 조립장이 플로팅 도크 또는 플로팅 지그로 구성되더라도, 선박 수직 방향으로 횡단면블록을 적층하여 탑재함에 따라, 하중 편중 문제가 적고 유동에 영향을 덜 받게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분할 탑재 공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조선소의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분할 탑재 공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분할 탑재 공법은 횡단면블록 제조 단계(S100)와, 출고 단계(S120)와, 이동 단계(S140)와, 탑재 단계(S160)와, 건조 단계(S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횡단면블록이란, 선박 수직 방향을 따라 분할될 수 있도록, 선박 선수미 방향을 따라 분층(slice)된 횡단면을 갖도록 각 블록 제조 샵에서 제작한 것으로서, 각 횡단면블록당 수천에서 수만톤의 중량을 갖는 기가 블록 또는 테라 블록 또는 슈퍼 블록으로 호칭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조 단계(S100)는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에서 선박 층별 횡단면블록을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출고 단계(S120)는 제조된 횡단면블록을 블록수평이동장치에 의해 블록리프터의 승강판에 옮겨 싣는 단계일 수 있다.
이동 단계(S140)는 승강판에 의해 횡단면블록을 하강시킴으로써, 해상크레인 등과 같은 블록운반탑재장치가 접근 가능한 위치로 횡단면블록을 이동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탑재 단계(S160)는 횡단면블록을 블록운반탑재장치로 선박 건조장에 옮겨 세팅 및 탑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블록운반탑재장치는 해상크레인, 육상크레인 및 트랜스포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선박 건조장은 다층 블록공장 근처의 육상 도크, 플로팅 도크 및 플로팅 바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건조 단계(S180)는 출고 단계(S120)와 이동 단계(S140) 및 탑재 단계(S160)의 반복에 따라 이동된 횡단면블록을 선박 수직 방향으로 적층 및 연결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선소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조선소의 평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를 위한 조선소는 다층 블록공장(100), 블록수평이동장치(150), 블록리프터(200), 블록운반탑재장치(300), 선박 건조장(400), 자재입고장치(500) 및 기타 통상적인 조선소용 크레인, 치구, 족장, 반목 등을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크레인, 치구, 족장, 반목은 다층 블록공장(100)의 내부 또는 다층 블록공장(100)의 각 블록 제조 샵(101 ~ 105)의 내부에도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본 실시예를 위한 조선소는 다층 블록공장(100)에서 층별로 양산한 횡단면블록(601)으로 앞서 설명한 선박 분할 탑재 공법에 의해 선박을 건조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다층 블록공장(100)은 타워형 또는 빌딩형 공장 구조로 구조적 안전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블록수평이동장치(150)는 다층 블록공장(100)의 각 층별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블록수평이동장치(150)는 횡단면블록(60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롤러와 레일을 갖는 부재 수평 이송 장치, 로드 아웃(load-out) 공법의 스키드웨이와 APS(Air Pad System)장치, 레일과 대차(RTP, Rail Transporter)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블록수평이동장치(150)는 각 층별 또는 각 블록 제조 샵(101 ~ 105)별 바닥면과 승강판(220)의 바닥면에 상호 일치될 수 있는 레일 또는 스키드웨이를 설치하고 있을 수 있다.
블록리프터(200)는 승강판(220)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다층 블록공장(100)의 각 층에 정차한 후, 승하강 대상물을 승차 또는 하차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블록리프터(200)는 다층 블록공장(100)의 높이에 대응하게 승하강 대상물인 횡단면블록(601)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가반하중을 갖는 승하강장치로서, 다층 블록공장(100) 외부의 부지를 기반으로, 다층 블록공장(100)의 블록 출고 방향 쪽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블록리프터(200)는 다층 블록공장(100)의 외부의 부지에 설치되고, 유압 등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승하강력을 발생시키는 액튜에이터(210)와, 액튜에이터(210)의 작동암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승하강되는 승강판(220)과, 승강판(220)에 장착되어 블록 스토퍼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블록가드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튜에이터(210)는 통상적인 중량물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는 유압실린더장치, 랙 피니언기어장치, 해상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초대형 잭업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액튜에이터(210)가 유압실린더장치로 구성되는 경우, 횡단면블록(601 ~ 605)의 하중을 고려하여, 각 횡단면블록(601 ~ 605)을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적절히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승강판(220)이 가장 낮게 위치한 높이는 맨 하부쪽 층에 해당하는 블록 제조 샵(105)의 블록수평이동장치(150)와 일치하여 맨 하부쪽 해당 횡단면블록(605)을 옮겨 실을 수 있는 위치와 같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판(220)에는 옮겨진 횡단면블록(60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또는 반목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판(220)은 특정 층의 블록 제조 샵(103)에서 횡단면블록(603)이 완성되면, 액튜에이터(210)에 의해 해당 샵(103)이 있는 층으로 이동하여 횡단면블록(603)을 인계 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운반탑재장치(3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해상크레인, 육상크레인 및 트랜스포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하나 이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운반탑재장치(300)는 해상크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동조 작업할 수 있도록 복수 대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횡단면블록(604)을 인양할 수 있다.
선박 건조장(400)은 다층 블록공장 근처의 육상 도크, 플로팅 도크 및 플로팅 바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자재입고장치(500)는 다층 블록공장(100)의 높이에 대응하게 승하강 대상물(예: 자재 또는 소규모 블록)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장치일 수 있다.
자재입고장치(500)는 산업 안전 기준에 만족하도록 적절히 작동 안전성을 고려하여 승하강 스트로크(stroke)와 가반하중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자재입고장치(500)는 다층 블록공장(100) 외부의 부지를 기반으로 다층 블록공장(100)의 자재입고방향 쪽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자재입고장치(500)는 지브크레인, 타워크레인, 자재리프터 및 화물용 엘리베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자재입고장치(500)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입고장치(500)는 자재를 들어올려 다층 블록공장(100)의 각 층의 블록 제조 샵에 입고시키는 크레인(510)과, 크레인(510)의 옆에서 병렬로 세워져서 작동암을 상하로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유압실린더(520)와, 유압실린더(520)의 작동암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자재를 상하로 운반하는 이동판(530)과, 양하역 조업을 위해 동력과 제어 신호를 공급 제어하도록 상기 크레인(510) 또는 상기 유압실린더(520)에 연결된 제어실(미 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실의 각종 크레인 또는 유압 제어 설비를 통해 유압실린더(520)를 동작시켜서 이동판(53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크레인(510)은 이동판(530)에 자재를 실어 옮겨주고, 유압실린더(520)는 자재를 실은 이동판(530)을 이동시켜, 해당 블록 제조 샵 쪽으로 운반할 수 있다.
이동판(530)의 바닥면에는 레일 또는 스키드웨이가 설치되어 블록수평이동장치(150)의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 또는 스키드웨이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판(530)으로 입고되는 자재가 레일 또는 스키드웨이를 통해 다층 블록공장(100) 내부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크레인(510)은 단독적으로 자재를 인양하여 블록 제조 샵 쪽으로 운송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층 블록공장(100)은 타워형 또는 빌딩형 공장 구조로 구조적 안전성을 가지고 있고, 복수 층으로 이루어진 블록 제조 샵(101 ~ 105)을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서와 같이, 미리 정해진 블록 건조용 공정 계획 또는 일정 계획에 따라, 데크별 또는 층별 블록 분할선을 5층으로 하여 선박을 탑재 및 건조하려는 경우, 다층 블록공장(100)도 5층 구조의 블록 제조 샵(101 ~ 105)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층별 블록 제조 샵(101 ~ 105)은 데크별 또는 층별 블록 분할선에 대응한 층 개수만큼 다층 블록공장(10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층별 블록 제조 샵(101 ~ 105)은 5층에서 1층까지 해당 층별로 상부 데크용 횡단면블록(601), 제2 데크용 횡단면블록(602), 제3 데크용 횡단면블록(603), 제4 데크용 횡단면블록(604), 더블 바텀용 횡단면블록(605)을 제조할 수 있도록, 각종 블록 제조용 설비, 장비류를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
만일, 5층 미만 또는 5층 초과의 형태로 선박을 탑재 및 건조하려는 경우, 그에 대응하게 다층 블록공장(100)의 층수도 정해질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다층 블록공장(100)의 층수가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층 블록공장(100)을 이용하여 횡단면블록(601 ~ 605)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다층 블록공장(100)의 블록 제조 샵(101 ~ 105)에 대응한 각 층에서, 횡단면블록(601 ~ 605)을 제작하기 위한 자재가 자재입고장치(500)가 있는 다층 블록공장(100)의 일측 방향(예: 샵 입구 방향 또는 자재 입고 방향)으로 입고될 수 있다.
이후 블록 제조 샵(101 ~ 105)에서 해당 횡단면블록(601 ~ 605)을 각각 제조하되, 입고된 자재로 복수개의 소규모의 블록을 제작하고, 다시 소규모의 블록을 조립하여 대규모의 횡단면블록(601 ~ 605)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의장품도 상기 횡단면블록(601 ~ 605)에 설치 또는 선행화 될 수 있고, 의장품 또는 횡단면블록(601 ~ 605)간 블록 연결용 조인트부도 설치될 수 있고, 횡단면블록(601 ~ 605)에 도장까지 모두 완료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횡단면블록(601 ~ 605)은 블록수평이동장치(150)에 의해 블록리프터(200)의 승강판(220)이 있는 다층 블록공장(100)의 타측 방향(예: 샵 출구 방향 또는 블록 출고 방향)으로 로드 아웃에 의해 출고되어 블록리프터(200)의 승강판(220)에 옮겨 탈 수 있다.
이후, 블록리프터(200)는 승강판(220)을 하강시켜서, 결국 승강판(220)에 있는 횡단면블록을 블록운반탑재장치(300)가 접근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블록운반탑재장치(300)는 예컨대, 해상크레인 또는 육상크레인으로 구성될 경우, 각 크레인의 붐대 각도에 따른 하중 조절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리프터(200)는 승강판(220)을 블록운반탑재장치(300)의 작동 범위와 붐대 각도를 고려하여 최대한 지면에 가깝게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블록운반탑재장치(300)는 해상크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승강판(220)에 있는 횡단면블록(601 ~ 605)을 개별적으로 또는 차례로 인양하고, 선박 건조장(400)의 일종인 플로팅 도크 쪽으로 회전하여 이동한 후, 선박 건조장(400)에 횡단면블록(601 ~ 605)을 탑재할 수 있다.
예컨대, 블록운반탑재장치(300)는 차례대로 더블 바텀용 횡단면블록(605), 제4 데크용 횡단면블록(604), 제3 데크용 횡단면블록(603), 제2 데크용 횡단면블록(602), 상부 데크용 횡단면블록(601)을 각각 인양하여 선박 건조장(400)에 탑재 및 적층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횡단면블록(601 ~ 605)에 마련되어 있는 블록 연결용 조인트부를 상호 연결하여 횡단면블록(601 ~ 605)이 선박을 이루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횡단면블록(601 ~ 605)으로 이루어진 선박은 선박 건조장(400)인 다층 블록공장 근처의 육상 도크, 플로팅 도크, 플로팅 바지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정해진 진수 방식에 의해 진수되고, 안벽에 접안한 후, 데크 상부 의장작업 및 마무리 작업을 받게 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블록 제작에 필요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블록 제작 공정의 시간 단축 그리고 공정 비용 절감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다층 블록공장 150 : 블록수평이동장치
200 : 블록리프터 300 : 블록운반탑재장치
400 : 선박 건조장 500 : 자재입고장치

Claims (12)

  1. A)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에서 선박 층별 횡단면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B) 제조된 상기 횡단면블록을 블록수평이동장치에 의해 블록리프터의 승강판에 옮기는 출고 단계;
    C) 상기 횡단면블록을 블록운반탑재장치로 선박 건조장에 옮겨 탑재하는 탑재 단계;
    D) 상기 B), C)단계의 반복에 따라 이동된 상기 횡단면블록을 선박 수직 방향으로 적층 및 연결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분할 탑재 공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에서 상기 횡단면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자재를 일측 방향으로 입고시키고, 상기 블록리프터의 승강판이 있는 타측 방향으로 제작된 상기 횡단면블록을 출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분할 탑재 공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복수개의 블록을 조립하여 상기 횡단면블록을 제작하고, 의장품을 상기 횡단면블록에 설치하고, 의장품 또는 횡단면블록간 블록 연결용 조인트부를 설치하고, 상기 횡단면블록에 도장까지 모두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분할 탑재 공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와 C) 단계 사이에는,
    상기 승강판에 의해 상기 횡단면블록을 하강시켜 블록운반탑재장치가 접근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가 더 포함되는
    선박 분할 탑재 공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횡단면블록에 마련되어 있는 블록 연결용 조인트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횡단면블록들이 선박을 이루도록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분할 탑재 공법.
  6. 선박 층별로 분할된 횡단면블록이 각 층별로 제조되도록 복수의 블록 제조 샵을 갖는 다층 블록공장과,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높이에 대응하게 상기 횡단면블록을 승하강시키는 승강판을 구비한 블록리프터와,
    상기 블록 제조 샵의 바닥면과 상기 승강판의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이 상기 복수의 블록 제조 샵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로 승하강할 경우 상호 일치되는 블록수평이동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블록공장은,
    타워형 또는 빌딩형 공장 구조로서, 상기 블록 제조 샵의 일측 방향에서 자재가 입고되고, 상기 자재에 의해 제작된 상기 횡단면블록을 상기 블록리프터의 승강판이 있는 타측 방향 쪽으로 출고시키도록 되어 있는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리프터는,
    상기 승강판을 승하강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승강판에 장착되어 블록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블록가드레일을 포함하는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수평이동장치는,
    상기 횡단면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롤러와 레일을 갖는 부재 수평 이송 장치, 로드 아웃(load-out) 공법의 스키드웨이와 APS(Air Pad System)장치 및 레일과 대차(RTP, Rail Transporter)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블록을 선박 수직방향으로 적층 및 연결하기 위하여 선박 건조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박 건조장은 육상 도크, 플로팅 도크 및 플로팅 바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블록을 탑재하기 위한 해상크레인, 육상크레인 및 트랜스포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블록운반탑재장치를 더 포함하는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 건조에 필요한 자재를 상기 다층 블록공장으로 입고시키는 자재입고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재입고장치는 자재를 들어올려 상기 다층 블록공장의 각 층의 상기 블록 제조 샵에 입고시키는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과 병렬로 설치되어 작동암을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작동암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자재를 상하로 운반하는 이동판을 포함하는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KR1020110066962A 2011-07-06 2011-07-06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KR10130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62A KR101302095B1 (ko) 2011-07-06 2011-07-06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962A KR101302095B1 (ko) 2011-07-06 2011-07-06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16A KR20130005516A (ko) 2013-01-16
KR101302095B1 true KR101302095B1 (ko) 2013-08-30

Family

ID=4783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962A KR101302095B1 (ko) 2011-07-06 2011-07-06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0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8000A (zh) * 2013-12-30 2014-04-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船体总段吊装固定保护器及船体总段吊装方法
KR20200067441A (ko) 2018-12-04 2020-06-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Vlcc 부분진수 건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933A (ko) 2015-08-13 2017-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도크에서의 블록 탑재 방법
CN108216513B (zh) * 2018-02-26 2023-11-14 黄诚 海上工程化平台
CN113895586A (zh) * 2021-10-27 2022-01-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薄膜型lng船货舱区分段划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933Y1 (ko) * 1988-11-28 1991-10-10 정복영 입체주차장치
JPH11255179A (ja) * 1998-01-19 1999-09-21 Kvaerner Masa Yards Oy 大型多甲板構造体を建造する方法
KR20010010107A (ko) * 1999-07-16 2001-02-05 김형벽 도크 작업 공기 단축을 위한 대형 탑재 공법
US20090304480A1 (en) * 2006-03-02 2009-12-10 Maffstack, Llc Large-Scale Watercraft Storag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933Y1 (ko) * 1988-11-28 1991-10-10 정복영 입체주차장치
JPH11255179A (ja) * 1998-01-19 1999-09-21 Kvaerner Masa Yards Oy 大型多甲板構造体を建造する方法
KR20010010107A (ko) * 1999-07-16 2001-02-05 김형벽 도크 작업 공기 단축을 위한 대형 탑재 공법
US20090304480A1 (en) * 2006-03-02 2009-12-10 Maffstack, Llc Large-Scale Watercraft Storage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8000A (zh) * 2013-12-30 2014-04-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船体总段吊装固定保护器及船体总段吊装方法
KR20200067441A (ko) 2018-12-04 2020-06-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Vlcc 부분진수 건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16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350B1 (ko)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KR101302095B1 (ko) 선박 분할 탑재 공법 및 그의 선박 분할 탑재 건조 시스템
EP2978651B1 (en) Skidding system for an offshore installation or vessel
CN102602712B (zh) 一种钢箱梁节段滚装装船的方法
KR20150034278A (ko) 오버헤드 크레인 및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
TW202014344A (zh) 用於從受制於運動之船隻的甲板提升物件的裝置及方法
US20130334158A1 (en)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 and assembly of two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s
CN110525578B (zh) 一种吊舱安装装置及安装方法
US20180022424A1 (en) Offshore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material handling method
CN103523541A (zh) 集装箱装卸方法及升降式双层大梁岸桥集装箱装卸系统
KR100718928B1 (ko)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CN112977729A (zh) 船舶及其建造方法
CN103964300A (zh) 顶升式加高设备
US8845261B2 (en) Multiple shipping container Omni-directional cradle
EP2377801B1 (en) Method of serving a complex including two and more mobile wharf boom cranes
CN103193152B (zh) 链斗式卸船机的吊装装置及方法
KR101691585B1 (ko) 구명 보트 장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04944284A (zh) 一种观览车轨道的吊装方法和吊装装置
WO2009056377A1 (en) Variable-trim module for providing floating or partially floating platforms
KR102260244B1 (ko) 해양구조물 설치선박
KR20130005049U (ko) 선박 블럭 운반용 지지장치
JP2017154602A (ja) セミサブ型浮体及びセミサブ型浮体の接続方法
KR101861740B1 (ko) 해양 구조물의 컬럼 탑재공법
Chambers Heavy-load moving systems
KR20130074086A (ko)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선체블록 운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