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278A - 오버헤드 크레인 및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오버헤드 크레인 및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278A
KR20150034278A KR20157004402A KR20157004402A KR20150034278A KR 20150034278 A KR20150034278 A KR 20150034278A KR 20157004402 A KR20157004402 A KR 20157004402A KR 20157004402 A KR20157004402 A KR 20157004402A KR 20150034278 A KR20150034278 A KR 20150034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head
frame
cranes
crane
overhead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시스커스 코흐
Original Assignee
라드지벤드 인지니율스부로 에프. 코흐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드지벤드 인지니율스부로 에프. 코흐 비.브이. filed Critical 라드지벤드 인지니율스부로 에프. 코흐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3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oisting or lowering heavy load carriers, e.g. freight containers, railway wag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컨테이너들(2)을 인양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오버헤드 크레인(21,22)은 컬럼에 의해 지면 위에 놓여진 레일 트랙(23, 24), 및 레일 트랙(23, 24)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컨테이너들(2)을 픽업하고 인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프레임(31, 32)을 포함한다. 특히, 프레임(31, 32)은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완벽하게 수용 하는 데에 적합하다.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20)에서 설명한대로,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레일 트랙들(23, 24)은 지면에 대해 다른 높이로 연장되고,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공통의 컬럼(25)에 의해 지면에 놓인다. 이러한 배치의 이점 중 하나는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이 서로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오버헤드 크레인 및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 {OVERHEAD CRANE AND ASSEMBLY OF AT LEAST TWO OVERHEAD CRANES}
본 발명은, 컬럼에 의해 지면 위에 놓여지는 레일 트랙 및 상기 레일 트랙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컨테이너들을 픽업하고 인양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컨테이너들을 인양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오버헤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들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들을 인양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오버헤드 크레인은 해 항 컨테이너 터미널과 내륙 항 터미널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해 항 컨테이너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세 구역으로 구성된다. 물 바로 위에 위치하며 폭이 약 50미터인 스트립(strip)은 선박 투 쇼어(STS: ship to shore) 구역으로도 불린다. 이 구역에서 컨테이너들이 육지의 항구로 들어가는 항양선에 큰 크레인을 사용하여 옮겨지며, 또한 이를 STS 크레인으로 불린다.
STS 구역 바로 뒤, STS 구역의 육지 위에, 크레인들은 소위 말하는 스트레들 캐리어(straddle carriers) 또는 에이지브이(automated guided vehicles)(AGV's)에 의해 스토리지 야드(storage yard)에 보내지는 이동 지역이 있다. 이 구역의 폭은 대략 100 내지 120미터이다. 또한 스토리지 야드는 스택(stack) 구역으로 불린다.
터미널 및 이동 수단의 크기에 따라, 스택 구역의 폭은 300 내지 700 미터 사이에서 변동한다. 통상적으로 스택 구역의 길이는 부둣가의 길이와 같다.
지난 20년 동안, STS 크레인의 로딩 및 언로딩 속도는 선박들이 가능한 짧은 시간 동안 부둣가에 계류하도록 하기 위해 꾸준히 증가했다. 이는 스택 구역 내부 혹은 스택 구역 바로 앞의 혼잡을 야기했고, 중간 완충 장치의 형성을 요구하였다.
현재 상황과 비교하여 스택 구역의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기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적을 증가시키지 않고 스태킹 용량(stacking capacity)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큰 스택 밀도는 주요 공간을 절약한다. 컨테이너들을 높게 싸면, 스택 밀도가 증가하지만, 현재 스택 구역에서 사용되는 크레인 시스템, 소위 스택 크레인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경우, 처음에 저층부터 컨테이너들이 이동될 때 소요되는 시간("디깅 타임"(digging time))의 측면에서 불리하다.
스트레들 캐리어를 사용하여 터미널을 지나 이동되는 컨테이너 더미들의 쌓는 높이는 보통 1/3이다. 이는, 더미는 3층으로 구성되고, 이들 위에 이동을 위한 한 층은 반대 방향으로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레일-장착 갠트리 크레인(rail-mounted(RMGs))으로 불리는 크레인들, 즉 지면에 놓인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갠트리 크레인으로 정의되는 크레인들을 사용하는 경우, 앞서 말한 "디깅 타임"의 증가라는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쌓는 높이는 이미 1/4 혹은 심지어 1/6이다.
완성도를 위해, 하나의 스택에서 효과적인 처리 속도가 크레인들의 수, 움직일 때와 인양할 때 크레인들의 속도, 스택 밀도, 자동화의 정도, 고장에 대한 민감성(susceptibility), 스택 레인들의 여분과 가로세로 비율에 의해 중요한 정도가 결정되는 것에 주목 되어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터미널의 스택 구역 내부의 크레인들은 주로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 시스템들로 움직이는 RMGs로 구성되어 있다. RMGs는 서로 통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RMG 작동 구역은 터미널의 바다 쪽 측면 혹은 내륙 쪽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갠트리 구조물이 상당한 사하중(dead load)을 가지고 있어서 크레인을 구동시키기 위해 많은 양의 에너지가 요구된다. 컨테이너 무게 30톤을 수송하기 위하여 150톤의 데드 웨이트(dead weight)를 사용하는 것은 상당히 공통적이다. 게다가, 이동 속도는 제한되어 있고, 무게중심이 휠 위에 높이 위치되기 때문에, 세로 안정성과 가로 안정성 및 이동 중 로드(load)의 흔들림(swinging)에 대해 불리하다.
스택 구역의 한 레인(또한 트랙으로 언급되는)에서 RMGs를 서로 통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에 의할 때, 오버사이즈(oversized) RMG가 추가되고 그것은 또한 다른 RMGs가 고장 나는 경우에 대체품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해결책의 문제점은 오버사이즈 RMG를 수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레일 시스템이 레인의 전체 길이에 따라 상당한 양의 공간을 차지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보통 작동중의 작업량이 한 레인에서 두 개의 RMGs와 함께하는 경우보다 각 RMG로 할 때 더 낮다는 것이다. 두 개의 RMGs를 가진 레인에서, 두 개의 RMGs중 하나가 고장 날 때 RMGs가 서로 통과 할 수 없기 때문에 문제점이 다시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위 구조 크레인으로 불리는 것이 현 상황을 위해 개발 되었고, 그것은 고장 난 RMG를 픽업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 상황과 비교하여 스택 구역의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기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적을 증가시키지 않고 스태킹 용량(stacking capacity)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버헤드 크레인들을 사용하여 스택 구역에서 처리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하고, 이것은 일반적으로 RMGs 보다 더 큰 이동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오버헤드 크레인을 제공하고, 트러스 프레임과 같은,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의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를 완벽하게 수용할 수 있다. 완벽하게 수용한다는 것은 컨테이너의 하단면이 프레임의 최하단면보다 위에 있다는 의미이다. 바꾸어 말하면, 컨테이너가 (트러스)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다는 것이다. 트러스 프레임은 (삼차원) 구조물을 제공하고 그것은 하단 면에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가 프레임에 둘러싸인 공간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컨테이너는 프레임 안에서 유지될 수 있어서 컨테이너의 어떤 부분도 그 프레임의 경계 너머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는 이러한 다수의 크레인들의 어셈블리에 쓰이는 조밀한 오버헤드 크레인의 구성을 허용하고, 그곳에서 하나의 크레인(적어도 그것의 이동 가능한 부분)은 또 다른 크레인을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셈블리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공지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에서, 컨테이너는 실질적으로 상기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프레임 아래에 항상 위치된다. 통상적인 고층 배치에서, 크레인들은 서로 아래 혹은 위로 통과할 수 있고, 또한 운반된 컨테이너들이 다른 크레인들과 충돌하지 않으며 통과되어야 하기 때문에 크레인들 사이 거리는 상당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어셈블리의 요구되는 높이가 커진다는 문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의 레일 트랙들은 지면에 대해 서로가 다른 높이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공통의 컬럼에 의해 지면 위에 놓인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평행한 레일 트랙은 서로 이와 같은 거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은 서로 통과할 수 있다. 오버헤드 크레인은 컨테이너를 완벽하게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을 가지기 때문에,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오버헤드 크레인들이 또한 서로 통과가 가능하다. 이는 유리하게 통상적인 오버헤드 크레인 어셈블리보다 많은 오버헤드 크레인들을 단일 "레인"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을 사용한다는 점 때문에, 컨테이너들은 프레임 내부에 완벽하게 인양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끝은 하단 면이 열리고,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 내 수평면에 떨어져서 컨테이너들이 서로를 넘어 매우 짧은 거리에서 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에, 또한 오버헤드 크레인들이 하나 및 같은 레인에서 동일 혹은 반대 이동 방향으로 서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오버헤드 크레인의 레일들이 지지되는 컬럼들은, 오버헤드 크레인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복수의 오버헤드 크레인을 가질 수 있는 단일 레인의 경우, 단일 세트의 컬럼으로도 충분하다. 이는 각 오버헤드 크레인(다른 높이에서 하나 이상의 오버헤드 크레인이 레인의 전체 범위에 걸쳐 작동하는 것이 허용되는)에 대해 레일 한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또한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오버헤드 크레인이 레일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은 적어도 두 개의 주요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데, 즉 레일 트랙 높이 위에, 상부 트러스 거더를 가진 트러스 프레임 및 레일 트랙 높이 아래에, 하부 트러스 거더를 가진 트러스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부 트러스 거더를 가진 트러스 프레임은 하나 혹은 양측에서 오버행(overhang)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오버행은 오버헤드 컨테이너가 (프레임 내부에 있는) 화물(load)을 횡 방향으로 레일을 넘어 다른 레인에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컨테이너를 완벽하게 수용할 수 있는 프레임에 의해 가능하게 된 이점의 또 다른 예이다. 선택된 오버헤드 크레인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트러스 프레임은 가급적이면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되고, 고장 나는 경우에, 하나의 크레인은 다른 크레인의 프레임을 픽업할 수 있고 그것을 작업구역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다음에 제시될 장점들과 또 다른 측면이 언급될 수 있다.
오버헤드 크레인들은 비어 있는 상태 및 채워진 상태 모두에서 같은 레인에서 서로 통과할 수 있다.
컨테이너들은, 컨테이너들이 오버헤드 크레인의 프레임 내부에 완전하게 들어올 때까지 인양될 수 있다. 그 결과, 수평면에서 매우 짧은 거리 이격되어 서로의 위에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오버헤드 크레인은 다른 크레인의 프레임을 픽업할 수 있고, 그것을 다른 위치로 가져갈 수 있다.
상부 트러스 거더의 프레임을 가지는 오버헤드 크레인이 상층 크레인으로 사용된다면, 컨테이너들은 상기 크레인에 대한 레일 트랙으로 정의한 상부 크레인 트랙 빔(beams)의 높이와 사실상 같은 높이로 쌓아질 수 있다. 컬럼들은 이와 같은 통상적인 오버헤드 크레인의 경우보다 더 낮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부 트러스 거더를 가진 오버헤드 크레인이 스택의 상부 층 위로 컨테이너를 수송할 수 있는 점 때문에, 여분의 반 층(half-layer)이 또한 만들어지고, 그것은 스택 구역의 최적의 사용으로 만들 수 있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컨테이너의 높이 보다 약간 높은 높이를 가지는 두 개의 트러스 거더들로부터 오버헤드 크레인들의 프레임을 구성하기 때문에, 경량 구조물로 생산이 가능하고, 그것은 여전히 종래의 오버헤드 크레인보다 큰 강도 및 경도를 가지고 있다. 오버헤드 크레인들의 사하중은 이렇게 현재 오버헤드 크레인들보다 훨씬 낮고, 그리고 RMGs의 사하중보다 상당히 낮다.
각 오버헤드 크레인은 컨테이너들을 픽업하고 인양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는 스프레더(spreader)일 수 있고 그것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 설령 크레인이 단지 하나의 스프레더를 포함하더라도, 크레인은 여전히 두 개의 컨테이너들을 동시에 상승시킬 수 있다. 이것은 프레임에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바닥부의 하단 근처에 있는 회전가능하고 틸팅 가능한 많은 지지대들이 제공되는 것 의해 달성된다. 제1의 컨테이너가 이러한 지지대들에 의해 프레임 내부에 유지되는 동안 스프레더는 제2의 컨테이너를 픽업하기 위하여 인접한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 이와 같이 컨테이너들을 동시에 스택 구역의 종 방향으로 4개의 40 피트(four 40-foot) 혹은 8개의 20 피트(eight 20-foot) 컨테이너를 수송 가능하며, 그 결과, 혼잡 문제가 효과적으로 해결되었다.
자유롭게 결정되는 스택 구역 내 지점에서, 높은 크레인 트랙이 오버헤드 크레인들의 어셈블리 레인들을 건너 횡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오버헤드 크레인이 한 레인에서 또 다른 레인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결함 및 고장인 경우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스택의 특정 구역에서 추가적인 용량(capacity)이 요구되는 경우 유용하게 될 수 있다.
통상적인 RMGs와 대조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부둣가와 수직인 방향 대신에 부둣가와 평행하여 컨테이너들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현재 RMGs에 또한 본 발명에 따른(도 12 및 13 참조) 트러스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RMGs는 같은 시간에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수송할 수 있다. 이것은 작동 속도를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큰 사하중, 서로 통과 불능 및 높은 무게 중심과 같이 앞서 말한 문제점들은 제거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현재 RMGs는 사실상 스택 레인에서 항상 사용되는데, 컨테이너들의 종 방향 축은 부둣가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전술한 측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도면들을 기초로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면에서 동일 혹은 유사한 부분들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통상적인 RMGs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지지대들의 적용을 도시한다.
도 6, 7, 8 및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점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버헤드 크레인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창고의 도식적 단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스프레더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 프레임이 설치 된 RMG를 보여준다.
도 1은 레일트랙(11, 12) 상을 연속해서 주행하며, 컨테이너들(2)을 인양하고 이동을 위한 두 개의 통상적인 RMGs(1)의 사용을 도시한다. RMGs는 컨테이너들(2)을 픽업하고 인양하기 위한 갠트리 구조물(13) 및 기계장치(14)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장치는 갠트리 구조물의 상부 빔(15)에 위치되고, 상기 빔(15)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도 2는 컨테이너들(2)을 인양하고 이동하기 위한 두 개의 통상적인 RMGs(1a, 1b)를 도시하는데, 그 RMGs중 하나는 폭이 넓은 독립된 레일 트랙(12')으로 주행하는 오버사이즈(oversized) RMG(1b)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20)를 도시하는데, 상기 크레인들은 지면 위에 위치되고 공통의 컬럼(25)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 트랙(23, 24) 위에서, 서로로부터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만큼 이격된 높이가 다른 수평면에서 주행한다. 레일 트랙(23, 24)은 모두 공통의 종방향 지지대(50)에 부착되는데, 상기 지지대는 거더 혹은 다른 타입의 지지대일 수 있다. 종방향 지지대(50)는 공통 컬럼에 의해 지지된다. 하부 오버헤드 크레인(21)은 관련 레일 트랙(23)의 높이보다 실질적으로 아래에 위치되는 트러스 프레임(31)을 포함하는 반면, 상부 오버헤드 크레인(22)은 관련 레일 트랙(24)의 높이보다 실질적으로 위에 위치되는 트러스 프레임(32)을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carriage)(14) 및 호이스트가 트러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게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21 및 22)의 변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5는 트러스 프레임(32) 내부에 컨테이너(2)를 유지시키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상부 오버헤드 크레인(22)의 트러스 프레임(32) 내에 회전 가능한 지지대들(33)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다. 도 5에서 도시될 수 있는 상기 측면은 하부 오버헤드 크레인(21)에도 비슷하게 적용된다.
지지대들(33)은 여러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지지대들은 개별적으로 틸팅 가능한 횡 방향 지지대들로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지지대들은 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바닥은 또한 종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동등한 지지대(미 도시)는 또한, 예를 들어, 바닥 구조물은 하부 측면 사이에서 종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컨테이너의 길이와 일치하는 길이를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20)를 가지고 유리한 점을 도시하는데, 상부 오버헤드 크레인(22)의 프레임(32)이 하부 오버헤드 크레인(21)에 의해 인양되는 것이 가능한 후에, 상기 프레임(32)이 교체 지역 혹은 작업장 혹은 또 다른 바람직한 지역으로 수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오버헤드 크레인(21)의 프레임(31)에는 상승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20)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 하부 오버헤드 크레인(21)의 프레임(31)이 상부 오버헤드 크레인(22), 바람직하기로는 스프레더에 의해 인양된 후에 상기 프레임(31)이 교체 지역 혹은 작업장 혹은 또 다른 바람직한 지역으로 수송될 수 있다는 유리한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유리한 옵션을 도시하는데, 그 옵션에서 관련 레일 트랙(24)의 높이 위에 위치되는 트러스 프레임(32)은 하나 혹은 두 개의 측면에 레일 트랙(24)을 지나 연장되는 오버행(34)과 함께 제공되고 그 결과 인접한 스택 레인의 컨테이너를 내리거나 혹은 픽업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도 9는 유리한 옵션을 도시하는데, 상기 옵션에서 상승된 횡단 크레인 트랙(26)이 스택 구역의 한 레인에서 다른 레인으로 오버헤드 크레인들(21, 22)을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횡단 크레인 트랙(26)은 수평 캐리어에 놓인 지지대 혹은 레일들(23, 24)의 내부 혹은 위에 배치된 크레인 트랙 빔을 포함한다. 오버헤드 크레인들(21, 22)이 지지대를 지나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횡단 크레인 트랙(26)의 지지대들은 수평의 캐리어에 놓이는 것은 자명하다.
도 10은 인양되는 컨테이너(2)와 함께 상부 오버헤드 크레인(22)의 단면을 도시한다. 컨테이너(2)가 수송 중에 옆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 지지대들(38)이 양쪽에서 컨테이너(2)마다 적어도 두 지점에서 작동된다. 이 예에서, 지지대들(38)은 압력 기계장치(35)에 의해 컨테이너(2)의 측벽으로 밀어 올려지는 약간의 초기 처짐(initial deflection)을 가진 수직 중심의 스프링 강 스트립(spring steel strips)을 포함한다. 상부 오버헤드 크레인(22)이 그것의 목적지에 도달할 때, 자동적으로, 압력 기계장치(35)는 그때 상승할 것이고, 컨테이너(2)는 내려질 수 있다.
새로운 타입의 오버헤드 컨테이너 크레인(22)의 트러스 프레임(32)의 폭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캐리지(36) 및 호이스트(37)의 구조 높이를 최소로 하고, 이와 같이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들(21, 22)의 어셈블리(20)의 전체적인 배치로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다는 것 또한 도 10에서 명백하게 도시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측면들은 하부 오버헤드 크레인(21)에 비슷하게 적용된다. 캐리지 및 호이스트가 트러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 가능한 오버헤드 크레인(21) 및 (22)의 변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오버헤드 캐리지 및 호이스트에 대한 경우로서, 트러스 프레임의 형상은 또한 회전 가능한 스프레더 사용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12 및 13에서 어떻게 회전 가능한 스프레더(14)가 위치할 수 있는지 및 두 개의 트러스 거더의 바닥부재(bottom members) 사이에서 스스로 고정할 수 있는지 도시한다. 도 13은 지면 레일 트랙(11, 12)에 있는 RMG에 관한 것이만, 본 발명에 따라 수평면에서 회전 가능한 스프레더(14)가 임의의(트러스) 프레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위에서, 컨테이너들(2)을 인양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한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이 설명되었는데 그것은 컬럼(25)에 의해 지면 위에 놓여진 레일 트랙(23, 24)과, 레일 트랙(23, 24)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컨테이너들(2)을 픽업하고 인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프레임(31, 32)을 포함한다. 프레임(31, 32)은 예를 들어, 레일 트랙(23, 24)의 레일을 주행하는 휠과 함께 양쪽에 제공된다. 특히, 프레임(31, 32)은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2)를 완벽하게 수용하는 데 적합한 트러스 프레임이다.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들(21, 22)의 어셈블리(20)에서 설명 되어진 것처럼,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레일 트랙들(23, 24)은 지면에 대하여 다른 높이로 연장되고,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그리고 공통의 컬럼(25)에 의해 지면 위에 놓인다. 이 배치는 오버헤드 크레인들(21, 22)이 서로 통과하는 것이 실패할 수 있는 경우 및 각각 다른 것을 픽업할 수 있고 그것을 대체 지역으로 수송할 수 있는 상당한 이점을 가진다.
오버헤드 크레인들에 대한 상기 설명이 주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사용에 관해 기재되어 있지만,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버헤드 크레인들의 많은 이점들이 창고 및 물류 센터에도 적용된다.
도 11은 컨테이너 창고(40)의 도식적 단면도이다. 통상적인 오버헤드 크레인(39)을 사용할 때, 크레인 트랙 빔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트러스 빔을 가진 오버헤드 크레인이 사용될 때보다 더 높은 지점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것은 수평 제동력이 지면 높이 위의 더 높은 점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같은 강도를 달성하기 위해 낮은 높이에 위치되는 크레인 레일 빔을 쓴 경우보다 건물이 더 강하게 만들어 지게 요구될 것이다.
통상적인 오버헤드 크레인의 또 다른 문제점은 고장 분석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안전성 요건 때문에, 크레인(39)과 지붕구조물(4) 사이에 더 큰 공간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점이고, 그것은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이 사용될 때보다 더 큰 건물임을 의미한다.
크레인(39)과 비교하여 하부 크레인(22)의 사하중(dead weight)의 이점은 이미 위에서 설명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험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헤드 크레인들(레인 당 두 개의 크레인)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들은 통상적인 RMGs에 대한 1100 TEU/Ha와 비교할 때 대략 1400 TEU/Ha의 증가된 스택 밀도를 보여줬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오버헤드 크레인들은 RMGs에 대해 20 이동/시간일 때와 비교할 때 60 이동/시간을 수행했다. 통상적인 RMG 시스템에 대해 120톤이 요구되는 대신에, 오버헤드 크레인들의 무게는 20톤을 필요로 한다. 시뮬레이션들은 이동 당 주행 거리의 감소 및 이동 당 주행시간의 감소를 보여준다. 그 결과, 터미널 구역이 감소 될 수 있다. 더 높은 스택 밀도는 더 높은 저장 능력을 야기한다. 전반적으로, 유연성이 증가되어 운용되며 투자비용이 감소된다.
전술한 도면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그것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수정 및 변화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요약된 대로 거기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의 구체적인 특징에 따른 조합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과의 관계가 설명된 추가적인 특징에 의해 더욱 유리하게 개선될 것이다.
본 발명이 부가적인 청구범위들 및 그것의 유일한 기술적 등가물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문서 및 그것의 청구범위에서, 동사 "포함하는" 과 그것의 활용은 그 다음 단어의 항목들은 포함되고,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항목을 제외함이 없이 그들의 제한되지 않는 관념의 의미로 사용된다. 추가적으로, 만일 맥락에서 하나 및 오직 구성요소 중 하나만 명백하게 요구되지 않는다면, 부정 관사 "a" 혹은 "an"에 의해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은 가능성을 제외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부정 관사 "a" 혹은 "an"은 보통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Claims (17)

  1.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에 있어서,
    각 오버헤드 크레인은 각 레일 트랙(23, 24)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컨테이너(2)를 픽업하고 인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프레임(31, 32)을 포함하고, 상기 각 프레임(31, 32)은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2)를 완벽하게 수용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레일 트랙들(23, 24)은 지면에 대해 다른 높이에서 서로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공통의 컬럼(25)을 사용하여 지면 위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트랙들(23, 24)은 거더와 같이 공통의 컬럼(25)에 의해 지면에 놓여진 공통의 종방향 지지대(5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삼차원 트러스 프레임(31, 32)과 같은 트러스 프레임(31, 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오버헤드 크레인(21)의 프레임(31)은 각 레일 트랙(23)의 높이 보다 실질적으로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5.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오버헤드 크레인(22)의 프레임(32)은 각 레일 트랙(24)의 높이 보다 실질적으로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6.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4)의 적어도 일 측에, 레일 트랙(24) 너머 연장하는 오버행(3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7.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회전 가능 혹은 틸팅 가능한 지지대(33) 혹은 컨테이너(2)를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31, 32)의 하부 근처에 배치되어 종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후 크레인(21, 22)에 의해 프레임 내부에서 인양되고 위치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8.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대들(38) 및 프레임 내부로 인양되어 위치 된 컨테이너들(2)의 측면 벽에 대해 지지대들(38)을 압박 하기 위한 가압기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9.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2)를 픽업하고 인양하는 수단은 스프레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레더는 수평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10.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21)은 레일 트랙(23)의 높이 보다 실질적으로 아래에 위치되고 또 다른 오버헤드 크레인(22)은 레일 트랙(24)의 높이보다 실질적으로 위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11.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높은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22)에는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오버헤드 크레인(21)의 프레임(31)을 인양시키기 위해 구성된 기계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12.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오버헤드 크레인(22)에는 높은 높이에 위치하는 오버헤드 크레인(21)의 프레임(31)을 인양시키기 위해 구성된 기계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13.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레일 트랙(23, 24) 보다 지면에 대해 더 높은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레일 트랙들(23, 24)과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레일 트랙(2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1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평행 레인들이 제공되고, 상기 각 레인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이 제공되며, 레일 트랙(26)은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을 한 레인에서 다른 레인으로 수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21, 22)의 어셈블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셈블리(2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창고.
  16. 컬럼(25)에 의해 지면 위에 놓여진 레일 트랙(23, 24) 및 레일 트랙(23, 24)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컨테이너들(2)을 픽업하고 인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프레임(31, 32) 및 상기 프레임(31, 32)은 레일 트랙(23, 24)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31, 32)은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2)를 완벽하게 수용하는데 적합해서, 컨테이너의 하부가 프레임의 하부보다 위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17. 지면 레일 트랙들(11, 12)에 놓인 오버헤드 크레인의 구조물을 지지하는데 적합하게 구성된, 제16항 중 하나의 프레임의 특징들을 가진 프레임, 바람직하게는 트러스 프레임.
KR20157004402A 2012-07-18 2013-07-05 오버헤드 크레인 및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 KR20150034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9203 2012-07-18
NL2009203 2012-07-18
NL2009502 2012-09-21
NL2009502A NL2009502C2 (nl) 2012-07-18 2012-09-21 Bovenloopkraan en samenstel van ten minste twee bovenloopkranen.
PCT/NL2013/050502 WO2014014342A1 (en) 2012-07-18 2013-07-05 Overhead crane and assembly of at least two overhead cra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278A true KR20150034278A (ko) 2015-04-02

Family

ID=4883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4402A KR20150034278A (ko) 2012-07-18 2013-07-05 오버헤드 크레인 및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10087052B2 (ko)
EP (1) EP2874927B1 (ko)
JP (1) JP6215323B2 (ko)
KR (1) KR20150034278A (ko)
CN (1) CN104640793B (ko)
AU (1) AU2013290869B2 (ko)
BR (1) BR112015000868B1 (ko)
CA (1) CA2879179C (ko)
DK (1) DK2874927T3 (ko)
EA (1) EA028669B1 (ko)
ES (1) ES2627576T3 (ko)
HK (1) HK1209092A1 (ko)
IN (1) IN2015DN00604A (ko)
LT (1) LT2874927T (ko)
MY (1) MY189480A (ko)
NL (1) NL2009502C2 (ko)
PL (1) PL2874927T3 (ko)
PT (1) PT2874927T (ko)
SG (1) SG11201500348UA (ko)
SI (1) SI2874927T1 (ko)
WO (1) WO2014014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7606B2 (ja) * 2014-04-30 2018-11-0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及びそのプラント建屋
CN105110200B (zh) * 2015-09-23 2017-03-15 湖南中铁五新重工有限公司 一种三梁双小车轨道式集装箱门式起重机
CN106956940A (zh) 2015-10-26 2017-07-18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高架式运输和路线管理系统
CN106608595A (zh) 2015-10-26 2017-05-03 鹰铁路集装箱物流有限责任公司 构造成用于输送各种尺寸的对象的运输器
JP6713343B2 (ja) * 2016-05-09 2020-06-24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プラント建屋、プラント、及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
CN106395624B (zh) * 2016-08-30 2017-11-03 武汉开锐海洋起重技术有限公司 一种自锁式顶夹轨防风抗滑装置
US10737921B2 (en) * 2017-03-14 2020-08-11 Larry Wayne MOTLEY Hoist-it
WO2018165712A1 (en) * 2017-03-14 2018-09-20 Woodside Energy Technologies Pty Ltd A containerised lng liquefaction unit and associated method of producing lng
SG10201805037RA (en) * 2017-06-16 2019-01-30 Cwt Pte Ltd Multi-storey container facility
CN107686012A (zh) * 2017-09-22 2018-02-13 王燏斌 一种输送装置
CN107499850A (zh) * 2017-09-22 2017-12-22 王燏斌 一种用于铁路车辆检修生产的输送装置
CN107500143B (zh) * 2017-09-22 2019-11-15 王燏斌 一种用于u型泊位的集装箱起重机
CN108946494A (zh) * 2018-08-28 2018-12-07 盐田国际集装箱码头有限公司 一种高架桥式集装箱起重机及作业方法
CN109052166A (zh) * 2018-08-28 2018-12-21 盐田国际集装箱码头有限公司 一种全自动化港口集装箱堆场的高架桥式起重机大车
US10597264B1 (en) * 2018-12-20 2020-03-24 Advanced Construction Robotics, Inc. Semi-autonomous system for carrying and placing elongate objects
CN109436829A (zh) * 2018-12-22 2019-03-08 王燏斌 一种用于集装箱码头和铁路货场的输送装置
CN113184694B (zh) * 2021-04-20 2024-05-17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江门供电局 一种变电站用快速拼接式电气设备起吊装置
CN114803877B (zh) * 2022-03-14 2024-02-02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线集中布局翻车机厂房内超重件的起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56636A1 (de) * 1968-02-22 1970-10-22 Krupp Gmbh Container-Umschlaganlage
US3881608A (en) * 1972-08-17 1975-05-06 Conrad Starke B V Bridge crane
JPS6316442Y2 (ko) * 1981-01-30 1988-05-11
BR9508854A (pt) * 1994-09-20 1997-12-30 Fantuzzi Reggiane Spa Planta de manuseio de frete em depósitos e depósitos relacionados
DE19533256A1 (de) * 1995-09-08 1997-04-30 Krupp Foerdertech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mschlagen von Ladegut zwischen Schienen- und Straßenfahrzeugen
JPH1087009A (ja) * 1996-09-11 1998-04-0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ターミナル
DE19803322A1 (de) * 1997-02-14 1998-08-20 Noell Stahl Und Maschinenbau G Containerbrücke
ATE290991T1 (de) 2000-02-23 2005-04-15 Gottwald Port Tech Gmbh Leercontainerlager zum zwischenlagern von iso- leercontainern
NL1022696C2 (nl) * 2003-02-14 2004-08-17 Rotterdam Short Sea Terminals Overslagstelsel voor containers.
DE10313769B4 (de) * 2003-03-22 2005-10-06 Noell Crane Systems Gmbh Mehrkatzcontainerkran
EP1923338A1 (en) * 2006-11-17 2008-05-21 APM Terminals B.V. Plant for transporting cargo to and/or from a ship
JP4966674B2 (ja) * 2007-01-22 2012-07-04 日本郵船株式会社 立体格納庫およびそれによるコンテナの荷役方法
NO329304B1 (no) * 2009-03-18 2010-09-27 Greendoor Logistics As Mellomlager for handtering av last, samt tilhorende system og fremgangsmate
FR2944267B1 (fr) * 2009-04-14 2011-05-06 Jean Marc Suzanne Installation et procede de stockage de matieres dangereuses conditionnees en con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500348UA (en) 2015-02-27
EP2874927B1 (en) 2017-04-05
ES2627576T3 (es) 2017-07-28
NL2009502C2 (nl) 2014-01-23
WO2014014342A1 (en) 2014-01-23
CN104640793B (zh) 2017-05-10
EA201590236A1 (ru) 2015-06-30
CA2879179C (en) 2020-07-21
JP2015522496A (ja) 2015-08-06
LT2874927T (lt) 2017-07-25
BR112015000868A2 (pt) 2017-06-27
BR112015000868B1 (pt) 2022-09-13
EA028669B1 (ru) 2017-12-29
MY189480A (en) 2022-02-16
AU2013290869B2 (en) 2017-06-29
DK2874927T3 (en) 2017-05-22
HK1209092A1 (en) 2016-03-24
SI2874927T1 (sl) 2017-09-29
AU2013290869A1 (en) 2015-02-05
IN2015DN00604A (ko) 2015-06-26
US20150183621A1 (en) 2015-07-02
US10087052B2 (en) 2018-10-02
PL2874927T3 (pl) 2017-09-29
JP6215323B2 (ja) 2017-10-18
PT2874927T (pt) 2017-06-02
CA2879179A1 (en) 2014-01-23
EP2874927A1 (en) 2015-05-27
CN104640793A (zh)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4278A (ko) 오버헤드 크레인 및 적어도 두 개의 오버헤드 크레인의 어셈블리
CN103459279B (zh) 装卸起重机装置、集装箱码头以及装卸船只的方法
KR102554792B1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CN104986581B (zh)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及方法
US10745250B2 (en) STS multi-trolley portal gantry container crane
CN107148382A (zh) 用于自动物料搬运的高架导轨系统
WO2012133278A1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JP2017502896A (ja) コンテナ用の中間保管領域を備えるスタッキングクレーン
JP5480902B2 (ja) 特にisoコンテナを荷役するためのブリッジ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CN103818734A (zh) 一种高效的岸边集装箱转运方法及转运系统
CN204917265U (zh) 直角岸线多泊位布置的自动化集装箱码头装卸系统
CN103910200B (zh) 一种岸边集装箱转运方法及转运系统
CN203529772U (zh) 带有双层跨海栈桥的集装箱装卸系统
CN103523679A (zh) 带有双层跨海栈桥的集装箱装卸系统
CN203877523U (zh) 一种新型的岸边集装箱转运系统
EP2785631B1 (en) A crane
JP2009242085A (ja) レールマウント式門型クレーンのスイッチバック式レーン移動方法及び装置
JP5968821B2 (ja) 岸壁クレーン
CN103466460B (zh) 一种带有跨海栈桥的集装箱水平循环装卸系统
JP2012116649A (ja) 岸壁用コンテナ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