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950B1 -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950B1
KR101301950B1 KR1020120144359A KR20120144359A KR101301950B1 KR 101301950 B1 KR101301950 B1 KR 101301950B1 KR 1020120144359 A KR1020120144359 A KR 1020120144359A KR 20120144359 A KR20120144359 A KR 20120144359A KR 101301950 B1 KR101301950 B1 KR 101301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installation panel
retaining wall
season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스그린
Priority to KR102012014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33Flat containers for turf, lawn or the like, e.g. for covering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18Making embankments, e.g. dikes,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46Improving by compacting by tamping or vibrating, e.g. with auxiliary watering of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Abstract

본 발명은 녹화된 식생옹벽을 시공 또는 보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은 (a) 기초지반(E1)을 정리하는 정리단계와, (b) 상기 정리된 지반(E1) 상에 설치판넬(100)을 세우는 판넬가설단계와, (c)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설치판넬(100)의 배면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망(200)을 설치하는 고정망(200)설치단계와, (d) 상기 설치판넬(100)의 배면에 잔디떼(S)가 안착되도록 하는 식생단계와, (e) 상기 잔디떼(S)의 후방에 보강재(400)를 설치하는 보강재(400)설치단계와, (f) 상기 설치판넬(100) 및 상기 잔디떼(S)의 후방에 상기 보강재(400)가 포설되도록 성토하고 다짐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성토단계와, (g) 상기 고정망(200)의 일단을 성토된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h) 상기 설치판넬(100)을 제거하는 판넬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a)~(h) 단계가 시공된 후에, 상기 (b)~(h) 단계가 반복시공되어 옹벽이 축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옹벽 시공에 있어 이미 발아하여 성장한 잔디떼(S)를 이용하므로, 식물 성장 시간 없이 최초 시공시부터 녹화가 이루어진 상태로 옹벽이 축조되어, 시공 장소의 자연환경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친환경적인 녹화 옹벽의 시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of grass planting breast wall for soft-ground using grown-up all-season sod}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적용될 수 있는 옹벽의 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조와 동시에 녹화가 가능한 녹화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도시형성과 도시간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도로 및 철도등의 시설공사가 요구되는 바, 이때 성토부의 발생은 필연적인데, 이러한 성토부의 안정 경사면의 시설로 인하여 용적율의 감소가 부득이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용적율의 유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기울기가 수직에 가까운 구조물을 설치하여 용적율의 향상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종래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태를 탈피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는 항상 안정된 지반에 국한되고 연약지반인 경우에는 구조물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약지반을 탈수, 고화, 치환 등의 방법을 사용하거나 말뚝(Pile)등을 기초지반에 설치하여 지내력을 향상시킨 후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시설을 하는 이유는 성토부의 성토체와 구조체의 단위하중의 차이로 인한 부등침하가 발생하여 설치된 구조물의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시공방법은 공사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옹벽 축조의 안정성을 위하여 보강토에는 보강재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보강재로는 다양한 재질의 토목섬유(Geo-synthetics)가 사용되고 있다. 물론 철재보강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철재보강재의 경우 취급이 어렵고 부식율 등을 고려할 때 불리한 면이 많아, 인장력에 대한 강성 기능을 확보하고 취급이 용이한 토목섬유 보강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옹벽 시공의 현장 사정에 따라 성토재로 양질의 토사 뿐 아니라 암버럭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암버럭은 표면손상에 취약한 토목섬유 재질의 보강재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성토재로 암버럭을 제외하고 양질의 토사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토사 수급이 어려울 뿐 아니라, 시공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약지반 상에 기초처리시설 없이 성토부와 동일한 조건으로 시설물이 축조되어 부등침하 없이 성토부와 동일한 균등침하가 발생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공사비의 증가 없이 시설물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토부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로 전면판을 구성하여 구조체의 전면판이 성토체보다 큰 하중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 성토부와 동일한 거동으로 균등침하가 이루어져 연약지반 상에 설치가 가능한 구조물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 기술의 녹화형태는 별도의 식물 성장 시간 없이 최초 시공시부터 녹화가 이루어지고 사계절 푸른 상태의 옹벽이 축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옹벽을 성토하기 위한 성토재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 보강재를 보강토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녹화된 식생옹벽을 시공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기초지반을 정리하는 정리단계와, (b) 상기 정리된 지반 상에 설치판넬을 세우는 판넬가설단계와, (c)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설치판넬의 배면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망을 설치하는 고정망설치단계와, (d) 상기 설치판넬의 배면에 사계절용 잔디떼가 안착되도록 하는 식생단계와, (e)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후방에 보강재를 설치하는 보강재설치단계와, (f) 상기 설치판넬 및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후방에 상기 보강재가 포설되도록 성토하고 다짐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성토단계와, (g) 상기 고정망의 일단을 성토된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h) 상기 설치판넬을 제거하는 판넬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a)~(h) 단계가 시공된 후에, 상기 (b)~(h) 단계가 반복시공되어 옹벽이 축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는 발아하여 성장된 상태의 잔디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판넬의 저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식생단계에서,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는 상기 설치판넬 배면에 겹쳐지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 및 상기 설치판넬의 상부를 동시에 감싸는 가고정용 클립에 의해 상기 설치판넬에 가고정된다.
상기 고정망 설치단계에서, 상기 고정망은 철선이 PVC로 코팅되어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소재로 된 망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망은 그 일부는 상기 설치판넬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설치판넬 배면 및 그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가 상기 설치판넬 저면에 밀착되면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전면 및 바닥면은 상기 고정망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고정단계에서, 상기 설치판넬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고정망의 일단은 상기 성토층이 성토된 후에 상기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구에 의해 성토층에 고정되고,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상면, 저면 및 전면은 각각 상기 고정망에 의해 감싸진다.
상기 식생단계 및 상기 보강재설치단계 사이에는,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보습보비매트가 설치되는 매트설치단계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습보비매트는 베이스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배면에 밀착되며 수용성재질로 만들어지는 포켓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 및 포켓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포켓에 삽입되는 보습·보비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시트는 장섬유부직포로 만들어지고, 상기 보습·보비제는 상기 베이스시트 외면에 도포된 천연접착제에 의해 상기 베이스시트 외면에 접착된다.
상기 보습보비매트는 그 일부는 상기 고정망 상에 겹치도록 상기 설치판넬 전방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 배면 및 상기 정리된 지반 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설치판넬 전방으로 연장된 보습보비매트의 일부는 상기 고정망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에서 상기 고정망과 함께 성토된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상기 정리된 지반 상으로 연장된 상기 보습보비매트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보강재 또는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성토층에 고정된다.
상기 판넬가설단계와 상기 고정망설치단계 사이에는, 서로 인접한 다수개의 설치판넬 사이를 정렬시키는 정렬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정렬단계는 상기 설치판넬에 구비된 정렬암을 가로지르도록 정렬봉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재는 토목섬유 보강재를 주로 사용하나 성토재가 암버럭 및 토사보다는 자갈 등이 혼재하여 보강재가 손상이 우려되는 경우 용융아연도금된 철재 능형망으로 구성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보강토 녹화옹벽시공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녹화옹벽 시공방법은 연약지반 상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탈수, 고화, 치환 등의 방법을 취하거나 말뚝(Pile)등을 기초지반에 설치하지 않고, 성토부와 동일한 조건으로 시설물이 축조되므로 부등침하 없이 성토부와 동일한 균등침하가 발생이 되고, 따라서 공사비의 증가 없이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경계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의 하중을 제거하여 성토체와 동일한 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약지반 상에 안정적인 시설물로 설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옹벽 시공에 있어 이미 발아하여 성장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하므로, 보강토 옹벽 전면에 작용하는 구조체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였고, 식물 성장 시간 없이 최초 시공시부터 녹화가 이루어진 상태로 옹벽이 축조되고, 시공 장소의 자연환경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친환경적인 녹화 옹벽의 시공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미 성장한 사계절 푸른 상태를 유지하는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하므로 전체 옹벽에 걸쳐 균일한 녹화상태와 항상푸른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어 미관이 보다 유려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용융아연도금된 철재 능형망으로 구성되는 보강재가 보강토 사이에 포설되므로 암버럭 등 성토재 종류에 상관 없이 내구성이 향상된 보강기능의 수행이 가능하며, 기존의 금속재질(강재) 보강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볍고 설치면적의 선택이 자유로워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계절용 잔디떼 배면에 보습보비매트가 설치되어 안정된 보습 보비성을 유지하므로, 가뭄 등 열악한 자연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사계절용 잔디떼의 상면, 배면 및 저면과 보습보비매트가 모두 철재의 고정망에 의해 감싸지므로, 외적인 환경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토사 및 녹화식물의 유실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설치판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설치판넬에 고정망이 도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습보비매트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5 내지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이용하여 녹화옹벽을 시공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의 순서가 순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6을 동시에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7 내지 도 14는 각각 두 개의 도면(a 및 b)으로 구성되고, 두 개의 도면은 각각 실제 테스트를 위한 비공개 시공사진(7a~14a)과 시공시에 설치판넬을 비롯한 구성요소를 측면도로 도식화한 모습이다.
이에 보듯이, 먼저 녹화옹벽의 시공을 위해서는 기초지반(E1)을 정리하게 된다.(S100) 이때, 기초 지반(E1)은 성토될 성토부(E2)의 상재하중 및 원지반(E1)의 지반(E1) 강도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지지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참조)
그리고, 상기 기초지반(E1)을 정리한 후에는, 설치판넬(100)을 가설하는 단계가 이어진다.(S110) 상기 판넬가설단계는 아래에서 설명될 사계절용 잔디떼(S)의 가설을 위한 것으로, 성토부(E2)가 성토되기 전에는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배면이 빈 공간으로 남아 있어, 사계절용 잔디떼(S)가 지지될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판넬(100)의 구조는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설치판넬(100)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저면에 연결되는 지지레그(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레그(120)는 상기 설치판넬(100)의 자립을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나란히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지지레그(120) 사이의 사이각(α°)은 축조될 옹벽의 설계값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110)가 직교한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이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전면에는 정렬암(130)이 구비된다. 상기 정렬암(1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같은 높이의 두 개가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렬암(130)은 그 위에 정렬봉(150)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정렬봉(150)에 의해 서로 인접한 다수개의 설치판넬(100) 사이가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서로 인접한 다수개의 설치판넬(100)의 정렬암(130)을 각각 가로지르도록 하나의 긴 정렬봉(150)이 설치되면, 인접한 다수개의 설치판넬(100) 사이가 정렬되는 것이다.(S120) 이와 같은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설치판넬(100)에는 고정망(200)이 덮어진다.(S130) 상기 고정망(200)은 차후에 설치판넬(100)이 제거된 후에도 사계절용 잔디떼(S)를 고정시키고,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사계절용 잔디떼(S) 및 후술할 보습보비매트(300)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금속재질, 바람직하게는 철재로 만들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망(200)은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망(200)은 그 일부(200')는 상기 설치판넬(100)의 전방(도 8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설치판넬(100) 배면 및 그 후방(도 8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덮어진다. 이는 차후에, 사계절용 잔디떼(S)가 상기 설치판넬(100) 저면에 밀착되면 사계절용 잔디떼(S)의 전면 및 바닥면이 상기 고정망(20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판넬(100)의 배면에 사계절용 잔디떼(S)가 안착되도록 하는 식생단계가 이어진다.(S140)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는 이미 발아하여 성장한 잔디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판넬(100)의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는 성장된 상태이므로, 별도로 발아 및 성장에 필요한 시간이 필요 없으며, 시공환경에 따라 성장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시공과 동시에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설치단계에서,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는 상기 설치판넬(100) 배면에 겹쳐지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 및 상기 설치판넬(100)의 상부를 동시에 감싸는 가고정용 클립(C)에 의해 상기 설치판넬(100)에 가고정된다.(도 9참조)
그리고 이와 같은 가고정용 클립(C)은 차후에 보습보비매트(300)를 덮는 과정에서 잠시 제거되었다가 i) 보습보비매트(300) 및 이에 그 상면이 덮어진 ii) 사계절용 잔디떼(S), 그리고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를 지지하는 상기 iii) 설치판넬(100)의 상부를 동시에 감싸도록 다시 설치될 수 있다.(도 11의 클립(C) 참조)
이렇게 되면,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는 상기 클립(C)에 의해 상기 설치판넬(100)에 안정적으로 가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후방에 보습보비매트(300)가 설치되는 단계가 이어진다.(S150) 상기 보습보비매트(300)는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생장 및 유지를 위한 것으로,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도 10참조)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보습보비매트(300)는 베이스시트(310)와, 상기 베이스시트(310)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배면에 밀착되며 수용성재질로 만들어지는 포켓시트(330), 그리고, 그 사이에 삽입되는 보습·보비제제(3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시트(310)는 장섬유부직포로 만들어지고, 상기 보습·보비제제(350)는 상기 베이스시트(310) 외면에 도포된 천연접착제에 의해 상기 베이스시트(310) 외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옹벽의 시공이 완료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수용성 재질의 포켓시트(330)가 분해되면서 상기 보습·보비제제(350)가 드러나게 되고, 상기 보습·보비제제(350)는 사계절용 잔디떼(S)의 배면에 돌출되는 잔디의 뿌리를 통하여 습기 및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습보비매트(300)의 설치는 상기 고정망(200)의 설치와 마찬가지로, 그 일부는 상기 고정망(200) 상에 겹치도록 상기 설치판넬(100) 전방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 배면 및 상기 정리된 지반(E1) 상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판넬(100) 전방으로 연장된 보습보비매트(300)의 일부는 고정망(200)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계(후술함)에서 상기 고정망(200)과 함께 성토된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정리된 지반(E1) 상으로 연장된 상기 보습보비매트(300)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보강재(400) 또는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성토층에 고정되는 것이다.(도 14참조)
이어서,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후방에 보강재(400)를 설치하는 보강재설치단계가 이어진다.(S160) 상기 보강재(400)는 보강토 사이에 포설되어 성토층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용융아연도금된 철재 능형망으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보강재(400)는 토목섬유 및 용융아연도금된 철재 능형망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재(400)가, 단순한 토목섬유가 아닌, 용융아연도금된 철재 능형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암버럭 등 성토재 종류에 상관 없이 보강기능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강재(400)가 설치된 모습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400)는 그 일부가 상기 설치판넬(100) 후방으로 연장된 보습보비매트(300)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함께 기초지반(E1)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판넬(100) 및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후방에 상기 보강재(400)가 포설되도록 성토하고 다짐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성토단계가 이어진다.(S170) 이와 같이 성토층이 형성되면,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후방이 채워지므로 사계절용 잔디떼(S) 및 그 배면에 밀착된 보습보비매트(300)는 성토층에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고정망(200)의 일단을 성토된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가 이어진다. 이는 앞서 상기 고정망(200)의 일단이 상기 설치판넬(100) 전방으로 연장되어 늘어진 상태였으므로 이를 다시 성토층 방향으로 접어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앞서, 상기 고정망(200) 상에 적층된 상기 보습보비매트(300)의 일부가 먼저 상기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보습보비매트(300)가 상기 고정망(200) 상에 적층되고, 역시 그 일부가 설치판넬(100) 전방으로 늘어진 상태이므로 이를 접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도 13참조)
이와 동시에 상기 보습보비매트(300)와 고정망(200) 일부가 상기 성토층 상부로 접어 올려진 상태에서 이들을 성토층에 고정시켜 마무리하게 된다.(S180)
결과적으로, 상기 보습보비매트(300)와 상기 고정망(200)은 대략 'ㄷ'자 형상이 되고, 상기 고정망(200)은 그 형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저면 및 전면 그리고 상면을 각각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습보비매트(300)는 그 양단이 각각 상기 성토층에 고정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S)의 배면에 밀착된다.
마지막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판넬(100)이 제거된다.(S190) 상기 설치판넬(100)은 상기 성토층의 성토에 앞서 상기 보습보비매트(300) 및 사계절용 잔디떼(S)를 가고정하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이들이 성토층에 지지된 후에는 제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된 순서들이 반복수행됨으로써, 옹벽의 높이가 순차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참고로, 도 16에는 2개 층의 옹벽이 축조되고, 3번째 층의 옹벽을 축조하기 위해 설치판넬(100)이 설치된 상태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설치판넬 200: 고정망
300: 보습보비매트 400: 보강재
S: 사계절용 잔디떼

Claims (12)

  1. 녹화된 식생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정리된 지반 상에 설치판넬을 세우는 판넬가설단계와,
    (b) 상기 설치판넬의 배면에 사계절용 잔디떼가 안착되도록 하는 식생단계와,
    (c)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보습보비매트가 설치되는 매트설치단계와,
    (d)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후방에 보강재를 설치하는 보강재설치단계와,
    (e) 상기 설치판넬 및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후방에 상기 보강재가 포설되도록 성토하고 다짐하여 성토층을 형성하는 성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a)~(e) 단계가 시공된 후에, 상기 (a)~(e) 단계가 반복시공되어 옹벽이 축조되고,
    상기 보습보비매트는 베이스시트, 상기 베이스시트의 전면에 부착되는 포켓시트 및 상기 베이스시트 및 포켓시트 사이에 삽입되는 보습·보비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가설단계 및 식생단계사이에는 적어도 그 일부가 상기 설치판넬의 배면 상에 위치하도록 고정망을 설치하는 고정망설치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성토단계에 이어,
    (f) 상기 고정망의 일단을 성토된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g) 상기 설치판넬을 제거하는 판넬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는 발아하여 성장된 상태의 잔디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판넬의 저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망설치단계에서, 상기 고정망은 철재로 된 망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망은 그 일부는 상기 설치판넬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설치판넬 배면 및 그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가 상기 설치판넬 저면에 밀착되면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전면 및 바닥면은 상기 고정망에 의해 감싸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계에서, 상기 설치판넬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고정망의 일단은 상기 성토층이 성토된 후에 상기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구에 의해 성토층에 고정되고,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의 상면, 저면 및 전면은 각각 상기 고정망에 의해 감싸짐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보비매트의 포켓시트는 수용성재질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는 장섬유부직포로 만들어지고, 상기 보습·보비제는 상기 베이스시트 외면에 도포된 천연접착제에 의해 상기 베이스시트 외면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보비매트는 그 일부는 상기 고정망 상에 겹치도록 상기 설치판넬 전방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사계절용 잔디떼 배면 및 상기 정리된 지반 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설치판넬 전방으로 연장된 보습보비매트의 일부는 상기 고정망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에서 상기 고정망과 함께 성토된 성토층 상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리된 지반 상으로 연장된 상기 보습보비매트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보강재 또는 별도의 고정부재에 의해 성토층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가설단계와 상기 고정망설치단계 사이에는, 서로 인접한 다수개의 설치판넬 사이를 정렬시키는 정렬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정렬단계는 상기 설치판넬에 구비된 정렬암을 가로지르도록 정렬봉을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용융아연도금된 철재 능형망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토목섬유 및 용융아연도금된 철재 능형망의 결합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12. 삭제
KR1020120144359A 2012-12-12 2012-12-12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KR101301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359A KR101301950B1 (ko) 2012-12-12 2012-12-12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359A KR101301950B1 (ko) 2012-12-12 2012-12-12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950B1 true KR101301950B1 (ko) 2013-09-10

Family

ID=4945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359A KR101301950B1 (ko) 2012-12-12 2012-12-12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9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056A (ja) 2005-06-22 2007-01-11 Yokoki Zoen Kk 野芝の植生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43754B1 (ko) * 2007-02-12 2008-07-0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지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을 위한 지지틀
KR20080090718A (ko) * 2007-04-05 2008-10-09 장안상 환경친화적 식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KR101099361B1 (ko) * 2009-03-20 2011-12-26 강릉시 벽면녹화용 다공패널 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056A (ja) 2005-06-22 2007-01-11 Yokoki Zoen Kk 野芝の植生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43754B1 (ko) * 2007-02-12 2008-07-04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지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을 위한 지지틀
KR20080090718A (ko) * 2007-04-05 2008-10-09 장안상 환경친화적 식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KR101099361B1 (ko) * 2009-03-20 2011-12-26 강릉시 벽면녹화용 다공패널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N104652360B (zh) 植生袋生态护坡施工方法及其雨水处理系统
CN107893422A (zh) 一种加固型生态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185875Y1 (ko) 모래포대를 이용한 분리식 보강토 옹벽
KR100830150B1 (ko) 사면 녹화공법 및 그를 위한 수목 식재 기구
CN106522244B (zh) 一种路堤组合包边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90065039A (ko) 이중 스틸케이지로 성토부와 식생부를 분리 시공하여전체사면에 식물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식생 사면 조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식생사면구조체
KR100774880B1 (ko) 상하 철망을 직접연결하여 시공석을 고정하는 시공석고정구조물
KR20080090718A (ko) 환경친화적 식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KR20100047485A (ko)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838276B1 (ko)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01950B1 (ko) 성장된 사계절용 잔디떼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녹화옹벽 시공방법
KR100889257B1 (ko)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CN112931075B (zh) 一种矿区客土挂网喷播绿化结构的施工工艺
CN114635432A (zh) 基坑复合生态护坡的施工方法
CN115142443A (zh) 高陡边坡绿化防护工艺及其装置
CN212316949U (zh) 边坡的支护结构
CN211037008U (zh) 一种高原区道路下边坡挂渣综合治理系统
KR20060075707A (ko) 앵커식 개비온을 이용한 식생 매트의 설치 구조와 이를이용한 사면 안정화 공법
CN110939141A (zh) 边坡的支护结构
KR100805934B1 (ko) 호안 및 사면보호를 위한 녹화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9990046526A (ko) 조경법면설치구조물및그것을이용한시공방법
JPH11293678A (ja) 法面保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