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278B1 - 세탁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278B1
KR101301278B1 KR1020120050743A KR20120050743A KR101301278B1 KR 101301278 B1 KR101301278 B1 KR 101301278B1 KR 1020120050743 A KR1020120050743 A KR 1020120050743A KR 20120050743 A KR20120050743 A KR 20120050743A KR 101301278 B1 KR101301278 B1 KR 101301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aundry
guide rail
circular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검수
Original Assignee
유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검수 filed Critical 유검수
Priority to KR102012005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 프레임과, 상기 직선 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반원형의 곡선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직선 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 프레임과 곡선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천장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원형 바와, 상기 양측 원형 바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양측 원형 바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단에 복수개의 치형 홈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세탁물 걸이부가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세탁물 걸이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 바와 접촉되면서 이송 컨베이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톱니가 형성된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이송장치{SENDING DEVICE FOR WASHING}
본 발명은 세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 프레임과, 상기 직선 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반원형의 곡선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직선 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 프레임과 곡선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천장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원형 바와, 상기 양측 원형 바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양측 원형 바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단에 복수개의 치형 홈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세탁물 걸이부가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세탁물 걸이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 바와 접촉되면서 이송 컨베이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며, 천장에 고정된 고정틀과 힌지결합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소에는 드라이 또는 수선작업을 마친 수많은 의류가 보관되는데, 일반적으로 세탁소의 여유공간에 옷걸이를 구비하여 의류를 보관하거나, 천장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복수의 파이프를 설치하거나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 파이프를 설치하여 의류를 걸어두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드라이나 수선을 맡긴 소비자가 세탁소에 방문하게 되면, 사전에 의류에 부착된 메모지를 확인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게 되었다.
이때, 의류와 의류 사이의 공간이 비좁아 수선이나 드라이 작업을 마치고 표시해둔 메모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없어 신속히 옷을 찾을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30557호에 "세탁물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이동장치는 옷걸이를 지지하는 옷걸이 지지대와, 상기 옷걸이 지지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옷걸이 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 레일과, 상기 옷걸이 지지대를 곡선 경로로 형성된 지지 레일을 통과시킬 경우 상기 옷걸이 지지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과, 상기 옷걸이 지지대가 곡선 경로로 형성된 지지 레일을 통과할 경우 상기 옷걸이 지지대를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판과, 사용자가 찾는 고객의 세탁물이 걸린 옷걸이를 기준점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이동장치는 사용자가 컴퓨터의 키 입력 수단에 고객의 성명을 입력하기만 하면 표시수단에서 세탁물의 위치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키 입력 수단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세탁물이 기준점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세탁소에서 고객에게 세탁물을 찾아주는 작업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실행할 수 효과로 인하여 종래에 세탁물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이동장치는 세탁소 내부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수많은 옷가지가 세탁소의 여유공간을 차지함에 따라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드라이나 수선작업을 위한 동선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세탁소 내부 공간이 넉넉하지 못할수록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세탁소 천장의 폭과 너비에 대응되는 레일이 구비되는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세탁소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동선을 확보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옷가지를 정리정돈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세탁물을 찾을 수 있는 세탁물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 프레임과, 상기 직선 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반원형의 곡선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직선 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 프레임과 곡선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천장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원형 바와, 상기 양측 원형 바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양측 원형 바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단에 복수개의 치형 홈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세탁물 걸이부가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세탁물 걸이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 바와 접촉되면서 이송 컨베이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며, 천장에 고정된 고정틀과 힌지결합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물 이송장치는, 상기 고정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부에 제1도르래가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과 수직으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제1도르래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제2도르래와 고정되는 와이어가 고정되는 승·하강 프레임과; 상기 제2도르래를 회전시켜 상기 승·하강 프레임과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하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판과 승·하강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세탁소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작업자가 동선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고객에게 신속하게 세탁물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이송장치의 예시도.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걸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의 예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세탁물 이송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세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 프레임(110)과, 상기 직선 프레임(11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반원형의 곡선 프레임(120) 및 상기 한 쌍의 직선 프레임(11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 프레임(110)과 곡선 프레임(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이드 홈(140)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00)과; 상기 가이드 홈(140)에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부재(210)와, 상기 이동부재(210)의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원형 바(221)와, 상기 양측 원형 바(22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222)과, 상기 양측 원형 바(221)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단에 복수개의 치형 홈(224)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223)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세탁물 걸이부(220)가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20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세탁물 걸이부(220)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 바(221)와 접촉되면서 이송 컨베이어(2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톱니(310)가 형성되며, 천장에 고정된 고정틀(700)과 힌지결합되는 회전판(300); 및 상기 회전판(300)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320)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 가이드 레일(100)은 세탁소 내부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 프레임(110)과, 상기 직선 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반원형의 곡선 프레임(120) 및 상기 한 쌍의 직선 프레임(110)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 레일(100)은 상기 세탁물 이송장치가 설치되는 세탁소 내부의 천장 폭과 길이를 고려하여 그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 프레임(110)과 곡선 프레임(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각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가이드 홈(14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40)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컨베이어(200)를 상기 가이드 레일(100)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이동부재(210)가 삽입된다.
상기 이동부재(210)는 상기 직선 프레임(110)과 곡선 프레임(120) 내부에서 가이드 홈(1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211)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210)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바(221)를 끼우기 위한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40)은 저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는 지지턱(141)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210)의 바퀴(211)가 상기 지지턱(141)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이드 홈(14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는 상기 이동부재(210)와,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원형 바(221)와, 상기 양측 원형 바(221)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222)과, 상기 양측 원형 바(221)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단에 복수개의 치형 홈(224)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2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222)과 하부 프레임(223)은 인접한 두 개의 원형 바(221)를 연결하기 때문에 하나의 원형 바(221)에는 두 개의 상,하부 프레임(222,223)이 좌·우측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222)에는 식별을 위해 스티커 등을 부착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223)에 형성되는 복수의 치형 홈(224)은 옷걸이를 걸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세탁물이 어느 한쪽으로 몰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원형 바(221)와, 그 사이에 결합되는 상·하부 프레임(222,223)을 통해 형성되는 공간은 유사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예를 들면 같은 동, 또는 같은 아파트)의 세탁물 또는 동일한 목적의 세탁물(예를 들면 드라이)을 구분하여 거치할 수 있는 세탁물 걸이부(220)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치형 홈(224)과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에 복수의 세탁물 걸이부(220)를 통해 다수의 옷가지를 거치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며, 작업자가 신속하게 세탁물을 찾아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판(30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의 후방에 상기 세탁물 걸이부(220)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직선 프레임과 곡선 프레임이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300)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톱니(310)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톱니(310)는 상기 원형 바(221)와 접촉되면서 원형 바를 밀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가 회전판(30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판(300)이 상기 세탁물 걸이부(220)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된다는 것은 상기 톱니(310)가 상기 상부 프레임(222)과 하부 프레임(223)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회전판(300)의 중심부에는 수직으로 회전축(32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320)은 천장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400)와 연결된다.
상기 톱니(310)와 톱니(31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원형 바(221)와 원형 바(221) 사이의 간격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회전판(300)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톱니(310)가 순차적으로 원형 바(221)를 밀면서 이송 컨베이어(200)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구동모터(400)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천장과 밀착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100)과 이송 컨베이어(2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수단(500)은 상기 천장에 고정된 고정틀(70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부에 제1도르래(511)가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510)과; 상기 보강 프레임(130)과 수직으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제1도르래(511)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제2도르래(522)와 고정되는 와이어(521)가 고정되는 승·하강 프레임(520)과; 상기 제2도르래(522)를 회전시켜 상기 승·하강 프레임(520)과 연결된 와이어(521)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구동모터(600);로 구성된다.
상기 제2구동머터(6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도르래(522)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제2도르래(522)에 감긴 와이어(521)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5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510)은 상기 와이어(521)가 원활하게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제1도르래(511)가 형성되며, 상기 승·하강 프레임(520)이 상승할 때 일정한 높이까지만 상승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승·하강 프레임(520)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100)과 이송 컨베이어(200)의 전,후방 전체가 하강하지 않는다.
만일, 상기 세탁물 이송장치 전체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내부에 공간을 미리 확보해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세탁물 이송장치가 승·하강 프레임(520)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후방 측은 천장에 위치하고 전방 측만 하강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상기 복수의 보강 프레임(130) 가운데 최후방에 형성된 보강 프레임(130)을 상기 천장에 고정된 고정틀(700)과 결합하되 회전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00)이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원활하게 하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판(300)의 구동이나 가이드 레일(100)의 승·하강동작 등을 위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레일(100)이 천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를 회전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100)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2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탁물 이송장치를 세탁소 천장에 설치함으로써 세탁소 내부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많은 양의 세탁물을 보관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이송 컨베이어가 승·하강수단에 의해 하강하여 세탁물을 쉽게 꺼낼 수 있으며, 복수개의 세탁물 걸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많은 양의 세탁물을 찾기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가이드 레일 110 : 직선 프레임
120 : 곡선 프레임 130 : 보강 프레임
140 : 가이드 홈 141 : 지지턱
200 : 이송 컨베이어 210 : 이동부재
211 : 바퀴 220 : 세탁물 걸이부
221 : 원형 바 222 : 상부 프레임
223 : 하부 프레임 224 : 치형 홈
300 : 회전판 310 : 톱니
320 : 회전축 400 : 제1구동모터
500 : 승·하강수단 510 : 가이드 프레임
511 : 제1도르래 520 : 승·하강 프레임
521 : 와이어 522 : 제2도르래
600 : 제2구동모터 700 : 고정틀

Claims (3)

  1. 세탁물 이송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직선 프레임과, 상기 직선 프레임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반원형의 곡선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직선 프레임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 프레임과 곡선 프레임은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천장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저면에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원형 바와, 상기 양측 원형 바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양측 원형 바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단에 복수개의 치형 홈이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세탁물 걸이부가 형성되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후방에 설치되되 상기 세탁물 걸이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 바와 접촉되면서 이송 컨베이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며, 천장에 고정된 고정틀과 힌지결합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이송장치는,
    상기 고정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부에 제1도르래가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과 수직으로 결합되며,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제1도르래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제2도르래와 고정되는 와이어가 고정되는 승·하강 프레임과;
    상기 제2도르래를 회전시켜 상기 승·하강 프레임과 연결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상기 승·하강 프레임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승·하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과 승·하강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이송장치.
KR1020120050743A 2012-05-14 2012-05-14 세탁물 이송장치 KR101301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43A KR101301278B1 (ko) 2012-05-14 2012-05-14 세탁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743A KR101301278B1 (ko) 2012-05-14 2012-05-14 세탁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278B1 true KR101301278B1 (ko) 2013-09-10

Family

ID=4945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743A KR101301278B1 (ko) 2012-05-14 2012-05-14 세탁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149A (zh) * 2018-06-15 2018-10-26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烘干护理机及衣物烘干方法
CN110217603A (zh) * 2019-05-13 2019-09-10 山东欣启点自动化科技有限公司 旋转机械手码沓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0A (ja) * 1996-03-08 1998-01-06 Jensen Ag Burgdorf 処理ユニットに洗濯物を搬送する方法及び搬送装置
JPH10129835A (ja) * 1996-10-31 1998-05-19 Nippon Steel Kk 衣類並べ替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衣類分配設備
KR20000009896A (ko) * 1998-07-29 2000-02-15 임충현 세탁물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43397A (ko) *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크린토피아 세탁물 이송 분류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0A (ja) * 1996-03-08 1998-01-06 Jensen Ag Burgdorf 処理ユニットに洗濯物を搬送する方法及び搬送装置
JPH10129835A (ja) * 1996-10-31 1998-05-19 Nippon Steel Kk 衣類並べ替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衣類分配設備
KR20000009896A (ko) * 1998-07-29 2000-02-15 임충현 세탁물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43397A (ko) * 2003-11-06 2005-05-11 주식회사 크린토피아 세탁물 이송 분류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149A (zh) * 2018-06-15 2018-10-26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烘干护理机及衣物烘干方法
CN108708149B (zh) * 2018-06-15 2023-07-28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烘干护理机的衣物烘干方法
CN110217603A (zh) * 2019-05-13 2019-09-10 山东欣启点自动化科技有限公司 旋转机械手码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278B1 (ko) 세탁물 이송장치
KR101745514B1 (ko) 무대시설용 와이어 윈치
JP5424023B2 (ja) 物干し装置
KR101174435B1 (ko) 와이어 감지장치
EP2043941B1 (en) Wire-twisting prevention device of lifting reel with four-line wire structure and lifting reel having the same
JP2012040586A (ja) コイル状鉄筋繰出し装置
ITBO20090237A1 (it) Unita' di movimentazione e raccolta di tubi flessibili.
KR200464796Y1 (ko) 무대구동장치
KR101451751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구동장치
KR100791588B1 (ko) 공동주택용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KR20110090130A (ko) 빨래건조대의 승강 제어장치
JP4542969B2 (ja) 棚昇降式食器保管庫
KR20160084123A (ko) 회전식 빨래 건조대
JP2013056756A (ja) ケーブルベアー巻取装置
CN214456192U (zh) 一种机电设备安装用支吊架
JP509838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ケーブル吊手装置
KR20090008912A (ko) 발포 스폰지 이송장치
KR100438023B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JP2014023431A (ja) カーテン装置
KR200274950Y1 (ko) 빨래 건조대의 안전장치
JP2011106618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可動式ガイドローラ
CN201308930Y (zh) 超长u型管的弯管装置
KR101833810B1 (ko) 멀티로프 동기형 호이스트
JP2016194664A (ja) 垂れ幕昇降装置
KR20090110595A (ko) 케이블 트롤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