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884B1 - Catheter having deflectable leading end - Google Patents

Catheter having deflectable leading e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884B1
KR101300884B1 KR1020117005161A KR20117005161A KR101300884B1 KR 101300884 B1 KR101300884 B1 KR 101300884B1 KR 1020117005161 A KR1020117005161 A KR 1020117005161A KR 20117005161 A KR20117005161 A KR 20117005161A KR 101300884 B1 KR101300884 B1 KR 101300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l end
leaf spring
operation wire
cathet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8790A (en
Inventor
가츠히로 마스지마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7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8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3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6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or implanted in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69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4Tip steering devices having flexible regions as a result of inner reinforcement means, e.g. strut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351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39Bioelectrical parameters, e.g. ECG,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사용중에, 판스프링의 표면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가 이탈되지 않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는 카테터 튜브(4)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遠位端)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10)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측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휨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고개 흔들기용 판스프링(20)과,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延在)되도록 배치되어, 그 근위단(近位端)이 인장 조작 가능한 조작용 와이어(30)와,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의 일면(201) 및/또는 타면(202)에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를 코킹(caulking)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irmly connect and fix the operation wire to the leaf spring, regardless of the material of the leaf spring and the material of the control wire, so that the wire does not detach from the surface of the leaf spring during u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includes a catheter tube 4, a tip chip electrode 10 fixed to a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and a catheter tube 4. It is disposed in the distal end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is arranged to extend along the axial direction in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4 and the shaking plate spring 20 for deformation in the bending direction. The operation wire 30 of the proximal end can be tension-operated and the one side 201 and / or the other side 202 of the distal end 203 of the leaf spring 20 of the operation wire 30. A ring-shaped member 40 for caulking the distal end portion 303 is provided.

Description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Catheter having deflectable leading end}Catheter having deflectable leading end

본 발명은 선단 편향(偏向) 조작 가능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외에 배치되는 근위단측(近位端側)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체강(體腔) 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원위단(遠位端)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tal end operable cathe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tal end of a catheter inserted into a body cavity by operating an operation part of the proximal end side disposed outside the body. A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capable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vi).

예를 들면, 동맥 혈관을 통해 심장의 내부까지 삽입되는 전극 카테터 등에서는, 심장 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원위단(선단 칩 전극의 고정단)의 방향을, 체외에 배치되는 카테터의 근위단(후단 또는 바로 옆쪽)에 장착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변화(편향)시킬 필요성이 발생한다.For example, in an electrode catheter or the like inserted through the arterial vessel to the inside of the heart, the distal end (fixed end of the tip chip electrode) of the catheter inserted into the heart is oriented in the proximal end (rear end or There is a need to operate (change) the operating part mounted on the right side).

종래, 카테터의 원위단을 바로 옆쪽에서 조작하여 편향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기구가 알려져 있다.Conventionally, the mechanism shown in following patent document 1 is known as a mechanism for deflecting by operating the distal end of a catheter directly to the side.

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기구에서는, 유연성을 갖는 카테터의 원위단부의 내부에, 판스프링(판형상의 리드 스프링)을 배치하고, 그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을 접속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용 와이어의 근위단을 인장(引張) 조작함으로써, 판스프링을 휘게 하여, 카테터의 원위단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In the mechanism shown in this patent document 1, the leaf spring (plate-shaped lead spring)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distal end part of a flexible catheter, and the circle | round | yen of an operation wire is provided on one surface and / or oth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art of the leaf spring. The upper end is connected and fixed. Then, by tensioning the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the leaf spring can be ben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여기에, 판스프링의 일면 및/또는 타면으로의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의 접속 고정에는, 통상 땜납이 사용된다.Here, solder is usually used for the connection fixing of the distal end of the wire for operation to one side and / or the other side of the leaf spring.

그러나, 판스프링의 일면 및/또는 타면으로의 조작용 와이어의 접속 고정에 땜납을 사용하는 경우에, 판스프링의 구성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Ni-Ti 합금)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가, 모두 땜납과의 습윤성이 나쁘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충분한 강도로 접속 고정할 수 없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의 사용중에, 판스프링의 표면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가 이탈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However, when solder is used to secure the connection of the operation wire to one side and / or the other side of the leaf spring,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leaf spring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nd Ni-Ti alloy) and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operation wire ( For example, stainless steel) is poor in wettability with solder, so that the wire for operation cannot be connected and fixed with sufficient strength to one side and / or the other side of the leaf spring, and during use of the electrode catheter shown in Patent Document 1, The operation wire may detach from the surface of the leaf spring.

또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카테터의 원위단에 고정되어 있는 선단 칩 전극은,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과, 판스프링의 원위단의 2개소에서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을 뿐이다.Moreover, in the electrode catheter shown by patent document 1, the tip chip electrode fixed to the distal end of a catheter is only connected and fixed (fixed) at two places of the distal end of a catheter tube and the distal end of a leaf spring.

여기에, 선단 칩 전극과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의 접속 고정은, 통상, 접착제에 의해 행해지나, 당해 접착제의 경시 열화 등에 의해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Here, connection fixing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tip chip electrode and the catheter tube is usually performed by an adhesive, but the adhesive force may decrease due to deterioration of the adhesive over time.

또한, 선단 칩 전극과 판스프링의 접속 고정에는, 통상, 땜납이 사용되고 있으나, 판스프링의 구성재료(양호한 스프링성을 발현하는 스테인리스, Ni-Ti 합금)는, 땜납과의 습윤성이 나빠, 땜납에 의한 접속 고정이 곤란하다.In addition, although solder is usually used for the connection fixing between the tip chip electrode and the leaf spring,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leaf spring (stainless steel exhibiting good springability, Ni-Ti alloy) has poor wettability with the solder. Connection is difficult.

이 때문에, 카테터의 원위단에 대해 선단 칩 전극을 충분한 고착력으로 접속 고정할 수 없어, 전극력 카테터의 사용중에, 선단 칩 전극이 생체 내로 탈락될 우려가 있다. 생체 내로 탈락된 선단 칩 전극의 회수는 곤란하여, 선단 칩 전극은,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는 것이 요청된다.For this reason, it is not possible to connect and fix the tip chip electrode with sufficient fix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tip chip electrode may fall in vivo during use of an electrode force catheter. Recovery of the tip chip electrode dropped into the living body is difficult, so that the tip chip electrode is required not to fall off from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본 출원인은, 판스프링(고개 흔들기 부재)의 원위단을 선단 칩 전극에 대해 연결하고, 판스프링의 원위단의 연결부와는 독립적으로, 선단 칩 전극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안하고 있다(하기 특허문헌 2 참조).With respect to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connects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head shaking member) to the distal tip electrode, and independently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the circle of the operation wire is connected to the distal tip electrode. A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with an upper end connected is proposed (see Patent Document 2 below).

도 10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inside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catheter of patent document 2. FIG.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튜브(104)의 원위단 근방의 내부에는, 고개 흔들기 부재로서의 판스프링(120)이 배치되어 있고, 판스프링(120)의 원위단은, 선단 칩 전극(1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150)에 의해, 선단 칩 전극(110)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120)의 원위단에는 노치가 형성되고, 노치의 내부에는 온도센서용 보호관(140)이 배치되어 있다. 판스프링(120)의 근위단은, 카테터 튜브(104)의 내부에서, 코일 튜브(124)의 원위단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112는 카테터 튜브(10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 122는 판스프링(120)의 편면에 연결되어 있는 보강판이다.As shown in the figure, inside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104, the leaf spring 120 as a shaking member is arrange | positioned, and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120 is the tip chip electrode 110. As shown in FIG.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tip chip electrode 110 by the solder 150 which is filled in the inside. A notch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120, and a protective tube for temperature sensor 140 is disposed inside the notch. The proximal end of the leaf spring 120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il tube 124 inside the catheter tube 104. 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12 is a ring-shaped electrode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104, 122 is a reinforcing plat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eaf spring (120).

130은 판스프링(120)을 화살표 A방향 또는 화살표 B방향으로 휨변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조작용 와이어로, 조작용 와이어(130)의 원위단에는, 각각 빠짐 방지용 대경부(大徑部)(빠짐 방지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조작용 와이어(130)의 원위단은, 땜납(150)의 내부에서, 판스프링(120)을 끼워 양측 위치에 판스프링(120)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고, 빠짐 방지용 대경부(130a)에 의해 땜납(150)에 대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130 is a pair of operation wires for bending deformation of the leaf spring 12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or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The large diameter portion for preventing the fall i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130 ( Fall prevention part (130a) is formed. The distal ends of these operation wires 130 are disposed apart from the plate springs 120 at both positions by sandwiching the leaf springs 120 inside the solder 150, and are soldered by the large diameter portion 130a for preventing release. It is prevented with respect to 150.

조작용 와이어(130)의 근위단측은, 조작용 튜브(132)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자유자재로 삽통되어 있다. 조작용 와이어(130)의 근위단은, 카테터 튜브(104)의 선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고개 흔들기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에 접속되어 있어,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어느 한쪽의 조작용 와이어(130)를 인장해서, 판스프링(120)을 휘게 하여, 카테터의 원위단을 화살표 A 또는 B로 고개 흔들기 편향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side of the operation wire 130 is inserted freely in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operation tube 132. The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130 is connected to a handle for performing deflection movement operation (head shaking opera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atheter tube 104, and by operating the handle, one of the operation wire 130 ), The leaf spring 120 is bent, and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can be deflected with arrows A or B.

상기와 같은 구성의 카테터에 있어서, 선단 칩 전극(110)은, 카테터 튜브(104)의 원위단 및 판스프링(120)의 원위단에 접속 고정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들과는 별도로, 한 쌍의 조작용 와이어(130)의 원위단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선단 칩 전극(110)과 카테터 튜브(104)의 원위단의 고정이 떨어진 경우, 또는 선단 칩 전극(110)과 판스프링(120)의 원위단의 연결이 떨어진 경우에 있어서도, 선단 칩 전극(110)은, 한 쌍의 조작용 와이어(130)의 원위단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 칩 전극(11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the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tip chip electrode 110 is not on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104 and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120 but also a pair of Since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130 is also fixed to the distal end, if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end of the tip chip electrode 110 and the catheter tube 104 is separated, or the tip chip electrode 110 and the leaf spring are separated. Even when the distal end of the 120 is disconnected, the tip chip electrode 11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pair of operation wires 130, thereby preventing the tip chip electrode 110 from falling off. can do.

일본국 특허 제3232308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232308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61350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61350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카테터에 있어서는, 판스프링의 원위단의 연결부와는 독립적으로(판스프링의 원위단으로부터 떨어져서), 선단 칩 전극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빠져버릴(선단 칩 전극과의 접속이 떨어져버릴) 우려가 있다. 즉, 빠짐 방지용 대경부가 형성되어 있다고 해도,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에 있어서의 땜납과의 접촉면적은, 판스프링의 원위단에 있어서의 접촉면적과 비교하여 작아, 조작용 와이어가, 땜납과의 습윤성이 나쁜 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로 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인장력으로 빠져버릴 것으로 생각된다.However, in the catheter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2, since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fixed to the tip chip electrode independently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away from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When performing the tensioning operation of the working wire, there is a fear tha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pulled out (the connection with the tip chip electrode is separated) from the solder filled inside the tip chip electrode. That is, even if the large diameter portion for the fall prevention is formed, the contact area with the solder a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small compared with the contact area at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and the operation wire is made with the solder. When it becomes a material with poor wettability (for example, stainless steel), it is thought that it will fall by comparatively low tensile forc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above circumstances.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판스프링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사용중에, 판스프링의 표면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가 이탈되는 경우가 없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ly connect and fix the operation wire with respect to the leaf spring, irrespective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leaf spring and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wire for oper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in which no wire is detached.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카테터의 원위단에 고정되어 있는 선단 칩 전극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falling of the tip chip electrode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and to prevent the dropping of the tip chip electrode from the solder charged inside the tip chip electrode when the tensioning operation wire is performed. A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capable of preventing the distal end of the action wire from being pulled out.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제조 효율이 우수한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having excellent manufacturing efficienc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단 편향(偏向) 조작 가능 카테터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카테터 튜브와,Catheter tube,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遠位端)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과,A tip chip electrode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측(원위단 근방)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휨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고개 흔들기용 판스프링과,A leaf swinging leaf spring disposed along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distal end side (near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and deformable in the bending direction;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延在)되도록 배치되어, 그 근위단(近位端)이 인장 조작 가능한 조작용 와이어와,An operation wire disposed in the catheter tube so as to extend in an axial direction, the proximal end of which is tension-operated;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코킹(caulking)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ring-shaped member for caulking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on one surface and / or the oth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fixed to one surface and / or the other surface at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regardles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leaf spring and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operation wire, The operation wire can be firm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leaf spring.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상기 판스프링 및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상기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에 의해, 당해 선단 칩 전극에 접속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eaf spring and the operation wire, which are caulked by the ring-shaped member, the tip chip by solder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nected and fixed to an electrod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와, 이것을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가,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과 접촉하기(매입(埋入)되기) 때문에,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에 고정되어 있는 선단 칩 전극은,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과,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2개소에 더하여, 링형상 부재에 의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 코킹 고정된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링형상 부재가 매입된 것에 의한 땜납과의 접촉면적의 증가에 의해, 판스프링 및 조작용 와이어의 땜납으로부터의 인발저항력(선단 칩 전극의 고착력)이 증대된다. 따라서, 카테터 튜브로부터의 선단 칩 전극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distal end of a leaf spring, the distal end of an operation wire, and the ring-shaped member caulking and fixing this contact with the solder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it is embedded).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eaf spring, the tip chip electrode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the operation wire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by a ring-shaped member Connection resistance is also fixed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plate, and the drawing resistance from the solder of the leaf spring and the operating wire (fixing of the tip chip electrode)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solder by embedding the ring-shaped member. Force) is increased. Therefore, the detachment of the tip chip electrode from the catheter tube can be reliably prevented.

또한,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에 의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코킹 고정된 상태(판스프링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와, 링형상 부재가 결합된 상태)로 땜납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를 인발하고자 하는 힘에 대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 및 링형상 부재가 빠짐 방지(인발저항)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fixed to one surface and / or the oth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by a ring-shaped member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and the ring-shaped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older,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and the ring-shaped member act as prevention of pulling out (drawing resistance) with respect to the force to draw the operation wire.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from falling out of the solder charged inside the tip chip electrode when performing the tens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는, 그 일단 및 타단이 근위단이 되고,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상기 일단(근위단)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늘여, 상기 판스프링의 일면측을 통과하여, 당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서 접어 겹치고, 당해 판스프링의 타면측을 통과하여, 근위방향으로 늘여 상기 타단(근위단)에 이르는, 한 가닥의 와이어로 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 타면의 양면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wire are proximal ends, and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is extended from the one end (proximal end) to the distal direction and the one surface of the leaf spring. It passes through the side, folds and overlaps at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passes through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leaf spring, and extends in the proximal direction to the other end (proximal end), and becomes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l end of the said operation wire is caulking fixed on both surfaces of one side and the other surface of an end part.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어 겹침부가 원위단이 되는 한 가닥의 와이어에 의해, 판스프링을 일면측 및 타면측으로 휨변형시켜서, 카테터의 원위단의 방향을 양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제조도 용이해진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since the leaf spring can be deflected to one surface side and the other surface side by the strand of wire which becomes a distal end of the overlap, the direc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can be changed in both directions. It can reduce and manufacture becomes easy.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는,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접어 겹침을 안내하는 노칭 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tal end oper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t is preferable that a notching or through hole for guiding the overlapping of the operation wire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는, 그 일단이 근위단이 되고,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원위방향으로 늘여, 그 타단이 원위단이 되는 와이어로 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distal end oper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wire has a proximal end thereof, extends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in a dist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 wire which becomes a distal end, and the leaf spring I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terminal,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may be caulk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한 가닥의 조작용 와이어에 의해, 판스프링을 일면측 또는 타면측으로 휨변형시켜서, 카테터의 원위단의 방향을 일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strand of wire can be deflected to one surface side or the other surface side by one strand of the operation wire, and the direction of the distal end of a catheter can be changed to one direction.

또한, 이와 같은 조작용 와이어를 두 가닥 준비하고, 이들의 원위단부를,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각각 코킹 고정함으로써, 두 가닥의 와이어에 의해, 판스프링을 일면측 및 타면측의 양방향으로 휨변형시켜서, 카테터의 원위단의 방향을 양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preparing two strands of such a wire for operation and caulking and fixing these distal ends to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eaf spring, the leaf springs are connected to one surface side and the other surface side by two wires. By bending in both directions,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can be changed in both direction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에는, 빠짐 방지용 슬리브가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에는, 상기 슬리브의 내경(內徑)보다도 지름이 큰 대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근위단면이 상기 링형상 부재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면 또는 타면을 따라, 상기 슬리브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며,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의 대경부가 상기 슬리브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용 와이어가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sleeve for preventing release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A large diameter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is formed, and the proximal end surface of the sleeve abuts agains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ring-shaped member,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leeve in the proximal direction along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eaf spr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wire moves to the proximal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sleeve by contacting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with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sleev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일면 또는 타면을 따라 조작용 와이어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코킹 고정되어 있는 조작용 와이어가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operation wire from moving in the proximal direction along one surface or the other surface of the leaf spring (extracting the operation wire fixed to the caulking).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부재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shaped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링형상 부재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코킹 고정할 때, 용이하게 고정작업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ing-shaped member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when caulking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to one side and / or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the fix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구리 및 구리 합금은 땜납과의 습윤성이 양호하여,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함으로써, 링형상 부재와 선단 칩 전극의 접속 강도가 높아져, 선단 칩 전극의 탈락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copper and a copper alloy have good wettability with solder, and caulking by the ring-shaped member which consists of copper or a copper alloy improves the connection strength of a ring-shaped member and a tip chip electrode, and further eliminates the tip chip electrode fall. It can certainly be prevented.

본 발명(청구항 1)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또는 타면에,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사용중에, 판스프링의 표면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가 이탈되는 경우는 없다.According to the distal end oper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 1), since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fixed to the one side and / or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by the ring-shaped member, Regardles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and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operative wire, the operative wire can be firmly connected and fixed with respect to the leaf spring, and the operative wire is not released from the surface of the leaf spring during use.

또한, 본 발명(청구항 2)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의하면, 선단 칩 전극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용 와이어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 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ip chip electrode from falling off,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solder charged inside the tip chip electrode when tensioning the operation wire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from falling out.

또한,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일단(근위단)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늘여, 판스프링의 일면측을 통과하여, 당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서 접어 겹치고, 당해 판스프링의 타면측을 통과하여, 근위방향으로 늘여 타단(근위단)에 이르는, 한 가닥의 와이어로 되는 조작용 와이어를 구비하고,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 타면에 있어서,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청구항 3)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에 의하면, 한 가닥의 조작용 와이어에 의해, 판스프링을 일면측 및 타면측의 양방향으로 휨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제조효율도 우수하다.Further,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is extended from one end (proximal end) to the distal direction, passes through one surface side of the leaf spring, folds up at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passes through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leaf spring, and proximate to the proximal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laim 3) comprising a wire for operation that extends to the other end (proximal end) and becomes a strand of wire, and the distal end of the wire for operation is fix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According to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the plate spring can be deflected in both direction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y one strand of the operation wire, so that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also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의 일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판스프링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electrode catheter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broken front view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electrode catheter shown in FIG. 1. FIG.
3 is a partially broken plan view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electrode catheter shown in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II of FIG. 2.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hape of the leaf spring which comprises the electrode catheter shown in FIG.
It is a partially broken front view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electrode catheter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7 is a partially broken plan view of the distal end side of an electrode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ly broken front view of the distal end side of the electrode catheter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9 is a partially broken plan view of the distal end side of an electrode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distal end side of a conventional electrode catheter.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를 토대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embodiment shown in drawing.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는, 예를 들면,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이다.The electrode catheter 2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1 is used for the diagnosis or treatment of arrhythmia in a heart, for example.

도 1에 있어서, 4는 카테터 튜브, 10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 12는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 6은 카테터 튜브(4)의 근위단에 장착된 커넥터(핸들), 7은 커넥터(6)에 장착되어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고개 흔들기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커넥터(6)로부터는, 선단 칩 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선(導線)(도시 생략)이 꺼내진다.1, 4 is a catheter tube, 10 is a tip chip electrode fix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12 is a ring-shaped electrode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6 is a catheter tube 4 The connector (handle), 7 attached to the proximal end of the head) is a handle for attaching the connector 6 to perform a deflection movement operation (head shaking opera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From the connector 6, the conducting wire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tip chip electrode 10 and the ring-shaped electrode 12 is taken out.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는, 카테터 튜브(4)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10)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복수(2개)의 링형상 전극(12)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측(원위단 근방)의 내부에 배치된 판스프링(20)과,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되도록 배치된 조작용 와이어(30)와,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에,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를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2 to 4, the electrode catheter 2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theter tube 4, a tip chip electrode 10 fixed to a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and a catheter tube ( 4 (2) ring-shaped electrodes 12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4), plate spring 20 disposed inside the distal end side (near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the catheter tube The operation wire 30 arranged on the inside of the (4) so as to exten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peration wire on one surface 201 and the other surface 202 of the distal end portion 203 of the leaf spring 20. A ring-shaped member 40 for caulking the distal end portion 303 of 30 is provided.

카테터 튜브(4)는, 중공(中空)의 튜브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카테터 튜브(4)는, 축방향을 따라 동일한 특성의 튜브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나, 비교적 가요성이 우수한 원위단 부분과, 원위단 부분에 대해 축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원위단 부분보다도 비교적으로 강성이 있는 근위단 부분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atheter tube 4 is comprised by the hollow tube member. Although the catheter tube 4 may be comprised with the tube of the same characteristic along an axial direction, it is integrally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stal end part which is comparatively flexible, and the distal end part, and is comparatively compared with the distal end part. It is preferred to have a rigid proximal end portion.

카테터 튜브(4)의 구성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catheter tube 4, synthetic resins, such as a polyolefin, a polyamide, a polyether polyamide, and a polyurethane, are mentioned, for example.

카테터 튜브(4)의 외경은, 일반적으로 0.6~3 ㎜ 정도이고, 그 내경은 0.5~2.5 ㎜ 정도이다. 카테터 튜브(4)의 축방향 루멘에는, 선단 칩 전극(10) 및 링형상 전극(12)의 각각에 접속되는 도선(도시 생략)이, 각각 절연되어 통과되어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catheter tube 4 is generally about 0.6-3 mm, and the inner diameter is about 0.5-2.5 mm. A conductive wire (not shown) connected to each of the tip chip electrode 10 and the ring-shaped electrode 12 is insulated and passed through the axial lumen of the catheter tube 4, respectively.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10)은, 포탄형의 선단 부분(101)과, 이것에 연속하는 원통형상 부분(102)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되고, 이 원통형상 부분(102)이,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으로부터 그 안쪽 구멍에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The tip chip electrode 10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shell-shaped tip portion 101 and a cylindrical portion 102 continuous thereto. The part 102 is inserted into its inner hole from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and is fixed by an adhesive agent.

선단 칩 전극(10)의 구성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금, 백금 등,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을 들 수 있다. 또한, X선에 대한 조영성을 양호하게 부여하기 위해, 선단 칩 전극(10)은, 백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tip chip electrode 10 include metals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copper, stainless steel, gold, and platinum.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favorable contrast to X-rays, the tip chip electrode 10 is preferably made of platinum or the like.

선단 칩 전극(10)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카테터 튜브(4)의 외경과 동일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0.6~3 ㎜ 정도이다.Although the outer diameter of the tip chip electrode 1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catheter tube 4, and it is about 0.6-3 mm normally.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12)의 구성재료로서는, 선단 칩 전극(10)의 구성재료로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금속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ring-shaped electrode 12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include the same metals as those exemplified a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tip chip electrode 10.

링형상 전극(12)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카테터 튜브(4)의 외경과 동일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0.6~3 ㎜ 정도이다.Although the outer diameter of the ring-shaped electrode 12 is not specifical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catheter tube 4, and it is about 0.6-3 mm normally.

또한,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되는 링형상 전극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number of ring-shaped electrode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is, of course, not limited to two.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측의 내부에 배치된 판스프링(20)은, 휨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고개 흔들기 부재이다.The leaf spring 20 disposed inside the distal end side of the catheter tube 4 is a hill swing member that can be deformed in the bending direction.

도 5(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는, 조작용 와이어의 접어 겹침을 안내하기 위한 노치(2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 대신에 관통공(20P)이 형성되어 있는 판스프링(2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스프링(20)의 축방향 길이(L)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40~300 ㎜이다. 판스프링(20)의 폭(W)은,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수납되는 정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As also shown in FIG. 5 (1), the notch 20C for guiding the folding of an operation wire is formed in the distal end part 203 of the leaf spring 2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2),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leaf spring 20 'in which the through-hole 20P is formed instead of the notch. The axial length L of the leaf spring 2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40-300 mm. The width W of the leaf spring 20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if it is a grad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4.

판스프링(2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Ni-Ti 합금, Co-Ni 합금 등의 금속재료, 불소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고분자재료 등을 들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leaf spring 20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metal materials, such as stainless steel, a Ni-Ti alloy, and a Co-Ni alloy, polymer materials, such as a fluororesin and a polyamide resin, etc. are mentioned.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서는, 판스프링(20)으로의 조작용 와이어(30)의 접속 고정수단으로서 코킹을 채용하고, 종래와 같이 땜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판스프링(20)의 구성재료로서, 땜납과의 습윤성이 떨어지는 금속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Ni-Ti 합금)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금속재료와 비교하여 내열성이 떨어지는 고분자재료라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electrode catheter 2 of the present embodiment, caulking is employed as the connection fixing means of the wire 30 for operation to the leaf spring 20, and solder is not used as in the prior art. As the constituent material,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or Ni-Ti alloy) having poor wettability with solder can be used, and even a polymer material having low heat resistance as compared with the metal material can be used.

판스프링(20)의 근위단부는, 카테터 튜브(4)에 접속 고정되거나, 또는 조작용 와이어(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반력(反力)을 받는 코일 튜브(도시 생략)의 원위단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of the leaf spring 2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catheter tube 4 or to the distal end of a coil tube (not shown) which receives a reaction force of tensile force acting on the operation wire 30. It is fixed.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되는 조작용 와이어(30)는, 그 근위단이 인장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As for the operation wire 30 exten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catheter tube 4, the proximal end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ension operation is possible.

조작용 와이어(30)는, 그 일단 및 타단이 근위단이 되고, 카테터 튜브(4)의 내부를 일단(근위단)으로부터 원위방향(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상방)으로 늘여, 판스프링(20)의 일면(201)측을 통과하여,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형성된 노치에 안내되어 접어 겹치고(따라서, 접어 겹침 부분이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이 된다), 판스프링(20)의 타면(202)측을 통과하여, 근위방향(하방)으로 늘여 타단(근위단)에 이르는 한 가닥의 와이어로 된다.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wire 30 become the proximal end, and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4 is extended from one end (proximal end) to the distal direction (upward in FIGS. 2 and 3), and the leaf spring ( It passes through the one side 201 side of 20 and is guided and overlapped by the notch formed in the distal end 203 of the leaf spring 20 (thus, the overlapping part becomes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0). After passing through the other surface 202 side of the leaf spring 20, it extends in the proximal direction (downward) and becomes one strand of wire reaching the other end (proximal end).

조작용 와이어(30)의 근위단인 일단 및 타단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고개 흔들기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7)에 접속되어 있다.One end and the other end which are the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0 are connected to the handle 7 for performing deflection movement operation (head shaking opera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조작용 와이어(30)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나 Ni-Ti계 초탄성 합금제 등의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금속으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고강도의 비도전성 와이어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조작용 와이어를 비도전성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써, 고주파 노이즈의 원인을 저감할 수 있다.The operation wire 30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Ni-Ti superelastic alloy, but is not necessarily made of a metal. For example, the operation wire 30 may be made of a high strength non-conductive wire. You may comprise. By configuring the operation wire with the non-conductive wire, the cause of the high frequency noise can be reduced.

링형상 부재(40)는,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에,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를 코킹 고정하는 것이다.The ring-shaped member 40 is for caulking the distal end portion 303 of the operation wire 30 to one surface 201 and the other surface 202 of the distal end portion 203 of the leaf spring 20. .

이것에 의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접어 겹침 전후의 부분)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다.Thereby, with respect to the one surface 201 and the other surface 202 in the distal end 203 of the leaf spring 20, the distal end 303 (part before and after the overlapping) of the operation wire 30 is removed. I can fix it firmly.

판스프링(20)(일면(201) 및 타면(202))으로의 조작용 와이어(30)의 접속 고정수단으로서 코킹을 채용하고 땜납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30)의 구성재료로서, 땜납과의 습윤성이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Since caulking is used as the connection fixing means of the wire 30 for operation to the leaf spring 20 (one surface 201 and the other surface 202), and no solder is used, it i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wire 30 for operation. It becomes possible to use a thing with low wettability with solder.

링형상 부재(40)의 구성재료로서는, 코킹가공(판스프링(20)에 대한 조작용 와이어(30)의 접속 고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금속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ring-shaped member 40, it can select suitably from the metal which can carry out caulking process (connection fixation of the operation wire 30 with respect to the leaf spring 20) easily.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된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를,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내측 오목부)에 충전된 땜납(50)에 의해, 당해 선단 칩 전극(10)에 접속 고정하기 위해, 링형상 부재(40)의 구성재료는, 땜납에 대한 습윤성이 양호한 금속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링형상 부재(40)의 바람직한 구성재료로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들 수 있다. 링형상 부재(40)의 구성재료로서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사용함으로써, 판스프링(20)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구성재료로서, 땜납과의 습윤성이 낮은 것(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Ni-Ti 합금)을 사용해도, 판스프링(20)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를 선단 칩 전극(10)에 대해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later, the distal end portion 203 of the leaf spring 20 caulked and fixed by the ring-shaped member 40 and the distal end portion 303 of the operation wire 30 are the tip chip electrode 10.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ring-shaped member 40 is a metal material having good wettability to solder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tip chip electrode 10 by the solder 50 filled in the inside (inside recess) of the metal. It is preferable. From such a viewpoint, copper or a copper alloy is mentioned as a preferable structural material of the ring-shaped member 40. As shown in FIG. By using copper or a copper alloy a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ring-shaped member 40,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leaf spring 20 and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operation wire 30 have low wettability with solder (for example, stainless steel). , Ni-Ti alloy), the distal ends of the leaf spring 20 and the operation wire 30 can be firm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tip chip electrode 10.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서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에 의해, 선단 칩 전극(10)에 대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2 to 4, in the electrode catheter 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l end 203 and the operation wire 30 of the leaf spring 20 that are caulked by the ring-shaped member 40. The distal end portion 303 of)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tip chip electrode 10 by the solder 50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10.

즉,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와,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와, 링형상 부재(4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에 매입되어 있다.That is, a solder filled in the distal end portion 203 of the leaf spring 20, the distal end portion 303 of the operation wire 30, and the ring-shaped member 40 inside the tip chip electrode 10 ( It is purchased in 50).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5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Sn-Pb, Sn-Pb-Ag, Sn-Pb-Cu를 예시할 수 있으며, 또한, Pb 프리의 땜납인 Sn-Ag-Cu, Sn-Cu, Sn-Ag, Sn-Ag-Cu-Bi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material of the solder 50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n-Pb, Sn-Pb-Ag, and Sn-Pb-Cu. It is also possible to use Sn-Ag-Cu, Sn-Cu, Sn-Ag, Sn-Ag-Cu-Bi and the like which are Pb-free solders.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 있어서, 커넥터(6)의 손잡이(7)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0)의 일단 또는 타단의 어느 하나가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0)이 휘고, 이것에 의해, 전극 카테터(2)의 원위단은, 화살표 A 또는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이 가능해진다.In the electrode catheter 2 of this embodiment, by operating the handle 7 of the connector 6, either one end or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wire 30 is tensioned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the leaf spring 20 is As a result, the distal end of the electrode catheter 2 can be til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or B.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0)의 일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0)이 일면(201)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2)의 원위단이,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된다. 또한, 손잡이(7)를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0)의 타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0)이 타면(202)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2)의 원위단이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된다.For example, by turning the knob 7 shown in FIG. 1 counterclockwise, one end of the operation wire 30 is tensioned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the leaf spring 20 is bent toward the one surface 201 side, whereby the electrode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2 is deflected with a head shak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FIG. Further, by turning the handle 7 clockwise,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wire 30 is tensioned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the leaf spring 20 is bent to the other surface 202 side, thereby distal end of the electrode catheter 2. The head shake is deflec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B. FIG.

이와 같이, 한 가닥의 조작용 와이어(30)에 의해, 판스프링(20)을 일면(201)측(화살표 A방향) 및 타면(202)측(화살표 B방향)의 양방향으로 휨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하는 것(종래 두 가닥을 필요로 했던 와이어를 한 가닥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도 용이해진다.In this way, the strand spring 20 can be deflected in both directions on one surface 201 side (arrow A direction) and the other surface 202 side (arrow B direction) by one strand of the operation wire 3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using one strand of the wire, which conventionally required two strands), and the manufacturing becomes easy.

또한, 커넥터(6)를 축회전으로 회전시키면, 체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극 카테터(2)에 대한 A 또는 B방향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Moreover, when the connector 6 is rotated by axial rotation, the direction of the A or B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catheter 2 can be set freely in the state inserted in the body cavity.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 의하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의 각 면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접어 겹침 전후의 부분)가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20)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20)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0)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카테터의 사용중(손기술중)에, 판스프링(20)의 일면(201) 또는 타면(202)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0)가 이탈되는 경우는 없다.According to the electrode catheter 2 of this embodiment, the distal end part of the operation wire 30 with respect to each surface of the one surface 201 and the other surface 202 in the distal end part 203 of the leaf spring 20 is carried out. Since 303 (part before and after the overlapping) is caulked by the ring-shaped member 40, the plate spring (regardles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leaf spring 20 and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operation wire 30) The operation wire 30 can be firm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operation 20, and the operation wire 30 can be secured from one surface 201 or the other surface 202 of the leaf spring 20 during the use of the catheter (during hand technology). Does not deviate.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2)에 의하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와,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와, 이들을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과 접촉하고(매입되고), 선단 칩 전극(10)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과,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의 2개소에 더하여,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에 코킹 고정된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링형상 부재(40)가 매입되어 있는 것에 의한 땜납(50)과의 접촉 면적의 증가와, 링형상 부재(40)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것에 의한 땜납(50)에 대한 습윤성의 향상효과에 의해, 판스프링(20) 및 조작용 와이어(30)의 땜납(50)에 대한 인발저항력(선단 칩 전극(10)의 고착력)이 증대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튜브(4)로부터의 선단 칩 전극(10)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oreover, according to the electrode catheter 2 of this embodiment, the distal end part 203 of the leaf spring 20, the distal end part 303 of the operation wire 30, and the ring-shaped member 40 which caulk these are fixed. ) Contacts (embedded) the solder 50 filled inside the tip chip electrode 10, and the tip chip electrode 1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and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0. In addition to the two positions of the end portion 203, the connection member is also fixed (fixed) to the distal end portion 303 of the operation wire 30 that is caulked and fix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eaf spring 20, and the ring-shaped member 40 ) Is increased by the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solder 50 due to the embedd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wettability with respect to the solder 50 due to the ring-shaped member 40 being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20) and the pullout resistance (fixing force of the tip chip electrode 10) with respect to the solder 50 of the operation wire 30 are increased.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tip chip electrode 10 from falling off from the catheter tube 4.

또한,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에 있어서의 일면(201) 및 타면(202)에 코킹 고정된 상태(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와,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부(303)와, 링형상 부재(40)가 결합된 상태)로 땜납(5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30)를 땜납(50)으로부터 인발하고자 하는 힘에 대해, 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203) 및 링형상 부재(40)가 빠짐 방지(인발저항)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30)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50)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0)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l end 303 of the operation wire 30 is fixed to the one surface 201 and the other surface 202 at the distal end 203 of the leaf spring 20 by the ring-shaped member 40. In contact with the solder 50 in a closed state (a state where the distal end portion 203 of the leaf spring 20, the distal end portion 303 of the operation wire 30, and the ring-shaped member 40 are engaged). Therefore, the distal end portion 203 of the leaf spring 20 and the ring-shaped member 40 act as a fall prevention (draw resistance) against the force to draw the operation wire 30 from the solder 50. Thereby, when performing the tension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30,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0 from falling out of the solder 50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10. Can be.

<제2 실시형태>&Lt; Second Embodiment >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 및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6 and 7 are partially broken front views and partially broken plan views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electrode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 as 1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의 외관 형상은,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는, 카테터 튜브(4)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10)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복수(2개)의 링형상 전극(12)과,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측(원위단 근방)의 내부에 배치된 판스프링(25)과,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되도록 배치된 조작용 와이어(35)와,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에,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를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빠짐 방지용 슬리브(60)를 구비하고 있다.The external shape of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6 and FIG. 7, the electrode cathe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theter tube 4, a tip chip electrode 10 fixed to a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and a catheter tube 4. A plurality of (two) ring-shaped electrodes 12 attached to the distal end, a plate spring 25 disposed inside the distal end side (near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and the catheter tube 4 A ring for caulking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ng wire 35 to the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and the operation wire 35 disposed so as to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The shape member 40 and the fall prevention sleeve 60 attached to the distal end part of the operation wire 35 are provided.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판스프링(25)은, 그 원위단부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를 구성하는 판스프링(20)과 동일한 구성이다.The leaf spring 25 constituting the electrode cathe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leaf spring 20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notch is not formed at the distal end thereof.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조작용 와이어(35)는, 그 일단이 근위단이 되고, 카테터 튜브(4)의 내부(판스프링(25)의 면(252)측)를 원위방향(도 6 및 도 7에 있어서 상방)으로 늘여, 그 타단이 원위단이 되는 와이어이다.As for the operation wire 35 which comprises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one end becomes a proximal end, and the inside (surface 252 side of the leaf spring 25) of the catheter tube 4 distal direction (FIG. 6 and 7, upwards), the other end of which is the distal end.

조작용 와이어(35)는, 그 근위단이 인장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용 와이어(35)의 근위단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에 접속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ension operation is possible. That is, the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is connected to the handle (knob 7 shown in FIG. 1) for performing the deflection movement opera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에는, 빠짐 방지용 대경부(빠짐 방지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35a)의 형성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TIG 용접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A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a large diameter portion (fall prevention portion) 35a for preventing fall is formed. As a formation method of the fall prevention part 35a, the method of forming by TIG welding can be illustrated, for example.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의 면(252)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is fixed to the surface 252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by the ring-shaped member 40.

이것에 의해, 커넥터의 손잡이를 조작하여 조작용 와이어(35)를 인장함으로써, 판스프링(25)이 면(252)측으로 휘어,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이 일방향(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reby, by operating the handle of the connector and tensioning the operation wire 35, the leaf spring 25 is bent toward the surface 252 side, and the distal end of the electrode catheter swings in one direction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B). Deflection is possible.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빠짐 방지용 슬리브(60)는,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링형상 부재(40)에 의한 고정위치보다 원위단측)에 장착(외삽(外揷))되어 있다.The anti-separation sleeve 60 constituting the electrode cathe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porti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fixing position by the ring-shaped member 40) of the operation wire 35 (external) )

슬리브(60)의 외경은, 링형상 부재(40)의 내주면과, 판스프링(25)의 면(252)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에, 슬리브(60)가 삽입되지 않는 크기로 된다. 이것에 의해, 슬리브(60)의 근위단면이, 링형상 부재(40)의 원위단면과 맞닿기 때문에, 슬리브(60)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sleeve 60 is sized so that the sleeve 60 is not inserted in the space enclos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shaped member 40 and the surface 252 of the leaf spring 25. Thereby, since the proximal end surface of the sleeve 60 is in contact with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ring-shaped member 40, movement of the sleeve 60 in the proximal direction is restricted.

또한, 슬리브(60)의 내경은, 조작용 와이어(35)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나, 조작용 와이어(35)의 빠짐 방지부(35)의 지름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35)의 빠짐 방지부(35a)가 슬리브(60)의 원위단면에 맞닿아, 조작용 와이어(35)가 슬리브(60)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6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operation wire 35, but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all prevention part 35 of the operation wire 35. Thereby, the fall prevention part 35a of the operation wire 35 abuts o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sleeve 60, and it is regulated that the operation wire 35 moves in the proximal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sleeve 60. do.

이와 같은 슬리브(60)를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장착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5)를 인장했을 때, 조작용 와이어(35)가 카테터 튜브(4)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코킹 고정되어 있는 조작용 와이어(35)가, 링형상 부재(40)로부터 떨어져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By attaching such a sleeve 60 to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when the operation wire 35 is tensioned, the operation wire 35 moves proximally to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4. (The caulking fixed operation wire 35 falls off from the ring-shaped member 40) can be prevented reliably.

슬리브(60)의 구성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땜납(50)과의 습윤성이 양호한 금속재료(예를 들면 인청동)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sleeve 60,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For example, stainless steel etc. can be us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metal material (for example, phosphor bronze) with wettability with the solder 50.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서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 및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에 의해, 선단 칩 전극(10)에 대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and FIG. 7, in the electrode cathe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eaf spring 25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operation wire 35, which are caulked by the ring-shaped member 40, The solder 50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10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tip chip electrode 10.

즉,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와, 링형상 부재(40)와, 슬리브(6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으로 매입되어 있다.That is,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the ring-shaped member 40, and the sleeve 60 are filled with solder filled inside the tip chip electrode 10 ( It is purchased in 50).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5)의 일단(근위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5)이 휘고, 이것에 의해,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은 일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이 가능해진다.In the electrode cathe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operating the handle of the connector, one end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is pulled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the plate spring 25 is bent, whereby the circle of the electrode catheter The upper end is capable of shaking the head in one direction.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를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5)의 일단(근위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5)이 면(252)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이,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된다.For example, by turning the knob 7 shown in FIG. 1 clockwise, one end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is tensioned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the leaf spring 25 is bent toward the surface 252 side. As a result, the distal end of the electrode catheter is til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B.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가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25)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35)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25)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5)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카테터의 사용중(손기술중)에, 판스프링(25)의 면(252)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5)가 이탈되는 경우는 없다.According to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since the distal end part of the operation wire 35 is caulking by the ring-shaped member 40 with respect to the surface 252 in the distal end part of the leaf spring 25, Regardles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plate spring 25 and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operation wire 35, the operation wire 35 can be firm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plate spring 25, and the catheter is in use (handwriting) ), The operation wire 35 is not detached from the surface 252 of the leaf spring 25.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와, 이들을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40)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슬리브(6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과 접촉하고(매입되고), 선단 칩 전극(10)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과,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의 2개소에 더하여,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코킹 고정된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링형상 부재(40) 및 슬리브(60)가 매입되어 있는 것에 의한 땜납(50)과의 접촉 면적의 증가와, 링형상 부재(40)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며, 슬리브(60)가 인청동으로 되는 것에 의한 땜납(50)에 대한 습윤성의 향상효과에 의해, 판스프링(25) 및 조작용 와이어(35)의 땜납(50)에 대한 인발저항력(선단 칩 전극(10)의 고착력)이 증대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튜브(4)로부터의 선단 칩 전극(10)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the distal end part of the leaf spring 25, the distal end part of the operation wire 35, the ring-shaped member 40 caulking and fixing these, and the operation wire 35 The sleeve 60 mounted at the distal end of the tip contacts (buried) the solder 50 filled inside the tip chip electrode 10, and the tip chip electrode 10 is distal of the catheter tube 4. In addition to the two positions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the connection is also fixed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that is caulked and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and a ring shape. The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solder 50 due to the embedding of the member 40 and the sleeve 60, the ring-shaped member 40 being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and the sleeve 60 being made of phosphor bronze By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wettability with respect to the solder 50, the leaf spring 25 and the operation wire 35 of the phosphor 50 to the solder 50 are improved. The resistivity (fixing force of the tip chip electrode 10) is increased. This can reliably prevent the tip chip electrode 10 from falling off from the catheter tube 4.

또한,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에 코킹 고정된 상태(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와, 링형상 부재(40)와, 슬리브(60)가 결합된 상태)로 땜납(5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35)를 땜납(50)으로부터 인발하고자 하는 힘에 대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 링형상 부재(40) 및 슬리브(60)가 빠짐 방지(인발저항)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35)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50)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is caulked and fixed to the surface 252 in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by the ring-shaped member 40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0). And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the ring-shaped member 40, and the sleeve 50 are in contact with the solder 50, so that the operation wire 35 is soldered ( With respect to the force to be drawn from 50,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the ring-shaped member 40 and the sleeve 60 act as a fall prevention (drawing resistance). Thereby, when performing the tension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35,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from falling out of the solder 50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10. Can be.

<제3 실시형태>&Lt; Third Embodiment >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측의 일부 파단 정면도 및 일부 파단 평면도이다.8 and 9 are partially broken front views and partially broken plan views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electrode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2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 as 2nd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의 외관 형상은, 도 1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또한, 카테터 튜브(4)의 내부에 있어서 판스프링(25)의 면(251)측에 연재되도록 배치된 조작용 와이어(36)와,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빠짐 방지용 슬리브(61)를 구비하고 있다.The external shape of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1st embodiment shown in FIG. As shown to FIG. 8 and FIG. 9,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has the structure similar to 2nd Embodiment, and the surface 251 of the leaf spring 25 inside the catheter tube 4 is shown. The operation wire 36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extend in the side, and the fall prevention sleeve 61 attached to the distal end part of the operation wire 36 are provided.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조작용 와이어(36)는, 그 일단이 근위단이 되고, 카테터 튜브(4)의 내부를 판스프링(25)의 면(251)측에 있어서 원위방향(도 8 및 도 9에 있어서 상방)으로 늘여, 그 타단이 원위단이 되는 와이어이고, 판스프링(25)의 면(252)측에 연재되는 조작용 와이어(35)와 동일한 구성으로,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에도, 빠짐 방지부(36a)가 형성되어 있다.As for the operation wire 36 which comprises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one end becomes a proximal end, and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4 is distal to the surface 251 side of the leaf spring 25 (FIG. 8 and 9, the other end of which is the wire which becomes the distal end,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operation wire 35 extended to the surface 252 side of the leaf spring 25, and the operation wire ( Also at the distal end of 36, the fall prevention part 36a is formed.

조작용 와이어(36)는, 그 근위단이 인장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조작용 와이어(36)의 근위단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부의 편향 이동 조작을 행하기 위한 손잡이(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에 접속되어 있다.The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6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ension operation is possible. That is, the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6 is connected to the handle (knob 7 shown in FIG. 1) for performing deflection movement opera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의 면(251)에 코킹 고정되어 있다.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6 is fixed to the surface 251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by the ring-shaped member 40.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슬리브(61)는,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에 장착(외삽)되어 있다.The sleeve 61 constituting the electrode cathe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ttached (extrapolated) to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6.

슬리브(61)는,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에 장착된 슬리브(60)와 동일한 구성으로, 슬리브(61)의 근위단면이 링형상 부재(40)의 원위단면과 맞닿음으로써, 슬리브(61)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조작용 와이어(36)의 빠짐 방지부(36a)가 슬리브(61)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6)가 슬리브(61)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The sleeve 61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leeve 60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and the proximal end face of the sleeve 61 abuts against the distal end face of the ring-shaped member 40. It is regulated that 61 moves in the proxim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alling prevention part 36a of the operation wire 36 abuts o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sleeve 61,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wire 36 in the proximal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sleeve 61. .

이와 같은 슬리브(61)를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에 장착함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6)를 인장했을 때, 조작용 와이어(36)가 카테터 튜브(4)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코킹 고정되어 있는 조작용 와이어(36)가, 링형상 부재(40)로부터 떨어져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By attaching such a sleeve 61 to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6, when the operation wire 36 is tensioned, the operation wire 36 moves proximally to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4. (The caulking fixed operation wire 36 falls off from the ring-shaped member 40) can be prevented reliably.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서는,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 및 이것에 장착된 슬리브(60)와,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 및 이것에 장착된 슬리브(61)와, 링형상 부재(4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에 매입되어 있다.As shown to FIG. 8 and FIG. 9, in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the distal end part of the leaf spring 25, the distal end part of the operation wire 35, the sleeve 60 attached to this, and the operation The distal end of the wire 36, the sleeve 61 attached thereto, and the ring-shaped member 40 are embedded in the solder 50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10.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커넥터의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카테터의 원위단을, 화살표 A 또는 B로 고개 흔들기 편향시킬 수 있다.In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can be deflected by arrow A or B by operating the handle of the connector.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손잡이(7)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6)의 일단(근위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5)이 면(251)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이,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된다. 또한, 손잡이(7)를 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조작용 와이어(35)의 일단(근위단)이 근위방향으로 인장되어, 판스프링(25)이 면(252)측으로 휨으로써, 전극 카테터의 원위단을,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고개 흔들기 편향시킬 수 있다.For example, by turning the knob 7 shown in FIG. 1 counterclockwise, one end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6 is tensioned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the leaf spring 25 is directed to the surface 251 side. By deflection, the distal end of the electrode catheter is shaken hea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A. In addition, by turning the knob 7 clockwise, one end (proxim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is tensioned in the proximal direction, and the leaf spring 25 is bent toward the surface 252 side, whereby the circle of the electrode catheter The upper end can deflect the head shaking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B. FIG.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고,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1)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판스프링(25)의 구성재료 및 조작용 와이어(35, 36)의 구성재료에 관계없이, 판스프링(25)에 대해 조작용 와이어(35, 36)를 강고하게 접속 고정할 수 있어, 카테터의 사용중(손기술중)에, 판스프링(25)의 면(251, 252)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6, 35)가 이탈되는 경우가 없다.According to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is caulked with respect to the surface 252 in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by the ring-shaped member 40, and a plate Since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6 is fixed to the surface 251 at the distal end of the spring 25,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leaf spring 25 and the operation wires 35 and 36 of the spring 25 are fixed. Regardless of the constituent material, the operation wires 35 and 36 can be firm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leaf springs 25, so that the surfaces 251 and 252 of the leaf springs 25 are in use (handed). ), The operation wires 36 and 35 do not come off.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와, 슬리브(60)와, 조작용 와이어(36)와, 슬리브(61)와, 링형상 부재(40)가,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50)과 접속하고(매입되고), 선단 칩 전극(10)은, 카테터 튜브(4)의 원위단과,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의 2개소에 더하여,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코킹 고정된 조작용 와이어(35) 및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에 대해서도 접속 고정(고착)되어 있는 동시에, 링형상 부재(40), 슬리브(60) 및 슬리브(61)가 매입되어 있는 것에 의한 땜납(50)과의 접촉 면적의 증가와, 링형상 부재(40)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며, 슬리브(60) 및 슬리브(61)가 인청동으로 되는 것에 의한 땜납(50)에 대한 습윤성의 향상효과에 의해, 판스프링(25), 조작용 와이어(35), 조작용 와이어(36)의 땜납(50)에 대한 인발저항력(선단 칩 전극(10)의 고착력)이 증대된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튜브(4)로부터의 선단 칩 전극(10)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electrode catheter of this embodiment,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the operation wire 35, the sleeve 60, the operation wire 36, the sleeve 61, and a ring The shape member 40 is connected (buried) with the solder 50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10, and the tip chip electrode 10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4 and the leaf spring ( In addition to the two locations of the distal end of 25), the connection wire 35 and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6 caulked and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are also fixed and fixed (fixed). The increase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solder 50 by embedding the ring-shaped member 40, the sleeve 60 and the sleeve 61, and the ring-shaped member 40 is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The leaf spring 25, the operation wire 35, the operation wire 3 by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wettability with respect to the solder 50 by the 60 and the sleeve 61 becoming phosphor bronze. The pullout resistance (fixing force of the tip chip electrode 10) to the solder 50 of 6) is increased. This can reliably prevent the tip chip electrode 10 from falling off from the catheter tube 4.

또한, 조작용 와이어(35, 36)의 원위단부는, 링형상 부재(40)에 의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에 있어서의 면(252, 251)에 코킹 고정된 상태(판스프링(20)의 원위단부와, 조작용 와이어(35)의 원위단부와, 슬리브(60)와,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부와, 슬리브(61)와, 링형상 부재(40)가 결합된 상태)로 땜납(50)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용 와이어(35) 또는 조작용 와이어(36)를 땜납(50)으로부터 인발하고자 하는 힘에 대해, 판스프링(25)의 원위단부, 링형상 부재(40), 및 슬리브(60 또는 61)가 빠짐 방지(인발저항)로서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용 와이어(35) 또는 조작용 와이어(36)의 인장 조작을 행할 때, 선단 칩 전극(10)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땜납(50)으로부터 조작용 와이어(35) 또는 조작용 와이어(36)의 원위단이 빠져버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l ends of the operation wires 35 and 36 are fixed to the surfaces 252 and 251 at the distal ends of the leaf springs 25 by the ring-shaped member 40 (the leaf springs 20 ),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5, the sleeve 60,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36, the sleeve 61, and the ring-shaped member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Contact with the solder 50,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25, the ring-shaped member against the force to draw the operation wire 35 or the operation wire 36 from the solder 50 40 and the sleeve 60 or 61 act as a fall prevention (drawing resistance). Thereby, when performing the tensioning operation of the operation wire 35 or the operation wire 36, the operation wire 35 or the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solder 50 filled in the tip chip electrode 10. The distal end of the wire 36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falling out.

<변형예><Modifications>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A various change is possible.

예를 들면,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의 원위단부 및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땜납 이외의 수단에 의해 선단 칩 전극에 접속 고정해도 된다.For example,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and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which are caulked by the ring-shaped member,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tip chip electrode by means other than solder.

또한,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의 원위단부 및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선단 칩 전극에 접속 고정하지 않는 태양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Moreover, the aspect which does not connect and fix the distal end part of the leaf | plate spring caulking fixed by the ring-shaped member and the distal end part of an operation wire to a tip chip electrode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전극 카테터
4 카테터 튜브
6 커넥터
7 손잡이
10 선단 칩 전극
101 선단 부분
102 원통형상 부분
12 링형상 전극
20 판스프링
201 일면
202 타면
203 판스프링의 원위단부(遠位端部)
25 판스프링
251 면
252 면
30 조작용 와이어
303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
35,36 조작용 와이어
40 링형상 부재
50 땜납
60,61 빠짐 방지용 슬리브
2 electrode catheter
4 catheter tubes
6 connectors
7 handle
10 tip chip electrode
101 tip
102 cylindrical part
12 ring-shaped electrode
20 leaf springs
201 pages
202 rides
203 Distal end of leaf spring
25 leaf springs
251 pages
P. 252
30 Operation wire
303 Distal end of the operating wire
35,36 Operation Wire
40 ring members
50 solder
60,61 fall out sleeve

Claims (8)

카테터 튜브와,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遠位端)에 고정된 선단 칩 전극과,
상기 카테터 튜브의 원위단측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휨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고개 흔들기용 판스프링과,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에 축방향을 따라 연재(延在)되도록 배치되어, 그 근위단(近位端)이 인장 조작 가능한 조작용 와이어와,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 타면 중 하나 이상에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를 코킹 고정하는 링형상 부재,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Catheter tube,
A tip chip electrode fixed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ube;
A leaf swinging leaf spring disposed along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distal end side of the catheter tube and deformable in the bending direction;
An operation wire disposed in the catheter tube so as to extend in an axial direction, the proximal end of which is tension-operated;
A ring-shaped member for caulking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to at least one of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A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characterized by hav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부재에 의해 코킹 고정되어 있는 상기 판스프링 및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상기 선단 칩 전극의 내부에 충전된 땜납에 의해, 당해 선단 칩 전극에 접속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and the operation wire, which are caulked by the ring-shaped member,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tip chip electrode by solder filled inside the tip chip electrode.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는, 그 일단 및 타단이 근위단이 되고,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상기 일단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늘여, 상기 판스프링의 일면측을 통과하여, 당해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서 접어 겹치고, 당해 판스프링의 타면측을 통과하여, 근위방향으로 늘여 상기 타단에 이르는, 한 가닥의 와이어로 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및 타면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a proximal end, extends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from the one end to the distal direction, passes through one side of the leaf spring, and folds at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It becomes one strand of wire passing through the other surface side of the said leaf spring and extending in the proximal direction to the said other end, The distal end part of the said operating wire is caulking-fixed i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distal end part of the said leaf spring. A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는,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접어 겹침을 안내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leaf spring, a notch for guiding the overlap of the operation wire is formed, the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에는,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접어 겹침을 안내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The method of claim 3,
A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for guiding the overlap of the operation wi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는, 그 일단이 근위단이 되고, 상기 카테터 튜브의 내부를 원위방향으로 늘여, 그 타단이 원위단이 되는 와이어로 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원위단부의 일면 또는 타면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가 코킹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e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a proximal end, and the inside of the catheter tube is extended in the dist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a wire which becomes a distal end. I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distal end of the leaf spring, A distal end operable catheter, wherein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is fixed by caulk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부에는, 빠짐 방지용 슬리브가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에는, 상기 슬리브의 내경보다도 지름이 큰 대경부(大徑部)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의 근위단면이 상기 링형상 부재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판스프링의 일면 또는 타면을 따라, 상기 슬리브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며,
상기 조작용 와이어의 원위단의 대경부가 상기 슬리브의 원위단면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조작용 와이어가 상기 슬리브의 내부를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a sleeve for preventing release is mounted, and at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a large diameter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leeve is formed,
The proximal end face of the sleeve abuts against the distal end face of the ring-shaped member,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leeve in the proximal direction along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eaf spring,
The large diameter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operation wire abuts agains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sleeve, whereby the operation wire is controlled to move the inside of the sleeve in the proxim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상 부재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편향 조작 가능 카테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tip deflection operable catheter, wherein the ring-shaped member is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KR1020117005161A 2008-09-26 2009-08-24 Catheter having deflectable leading end KR1013008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48473 2008-09-26
JP2008248473A JP4526585B2 (en) 2008-09-26 2008-09-26 Tip deflectable catheter
PCT/JP2009/064692 WO2010035599A1 (en) 2008-09-26 2009-08-24 Catheter having deflectable leading e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790A KR20110058790A (en) 2011-06-01
KR101300884B1 true KR101300884B1 (en) 2013-08-27

Family

ID=4205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161A KR101300884B1 (en) 2008-09-26 2009-08-24 Catheter having deflectable leading en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26585B2 (en)
KR (1) KR101300884B1 (en)
CN (1) CN102159278B (en)
HK (1) HK1155991A1 (en)
WO (1) WO201003559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1874B (en) * 2011-10-20 2015-07-22 上海微创电生理医疗科技有限公司 Renal artery radiofrequency ablation catheter
US9694161B2 (en) * 2012-11-14 2017-07-04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atheter with flat beam providing nonsymmetrical curve bi-directional deflection
US9433752B2 (en) 2012-11-14 2016-09-06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atheter with flat beam deflection in tip
US9174023B2 (en) 2013-01-07 2015-11-03 Biosense Webster (Israel) Ltd. Unidirectional catheter control handle with tensioning control
US9849268B2 (en) * 2013-02-06 2017-12-26 Biosense Webster (Israel), Ltd. Catheter having flat beam deflection tip with fiber puller members
JP6338676B2 (en) 2013-09-30 2018-06-06 セント・ジュード・メディカル,カーディオロジー・ディヴィジ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atheter with active linear return mechanism
US10737066B2 (en) 2016-09-18 2020-08-11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Loop catheter with activation tether coupled to pre-formed loop structure
JP7118053B2 (en) * 2016-09-29 2022-08-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Pull wire crown and crown sleeve for catheter assembly
EP3375477A1 (en) 2017-03-16 2018-09-19 Basecamp Vascular Flexible elongated structure having a steerable end
WO2019156059A1 (en) * 2018-02-06 2019-08-15 株式会社カネカ Cathet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1918762B2 (en) 2018-10-03 2024-03-05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Reduced actuation force electrophysiology catheter handle
US11471650B2 (en) 2019-09-20 2022-10-18 Biosense Webster (Israel) Ltd. Mechanism for manipulating a puller wire
CN113491816B (en) * 2021-07-06 2023-06-27 上海康德莱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Electric positioning controllable bending guide wi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931A (en) * 1993-07-30 1997-04-22 イーピ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endable tip assembly for catheter
JP2000024120A (en) 1998-06-04 2000-01-25 Cordis Webster Inc Therapeutic and diagnostic catheter for medicine injection
JP2000102619A (en) 1998-08-28 2000-04-11 Cordis Webster Inc Catheter having bidirectional control handle
JP2005081058A (en) 2003-09-11 2005-03-31 Japan Lifeline Co Ltd Cathe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523A (en) * 1992-01-14 1993-07-27 Olympus Optical Co Ltd Bending operation device for flexible tube
JPH0819618A (en) * 1994-07-07 1996-01-23 Olympus Optical Co Ltd Flexible tube
EP1402826B1 (en) * 2002-08-20 2013-06-12 Nipro Corporation Thrombus capture catheter
JP4544457B2 (en) * 2004-08-26 2010-09-1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Tip deflectable cathe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931A (en) * 1993-07-30 1997-04-22 イーピ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Bendable tip assembly for catheter
JP2000024120A (en) 1998-06-04 2000-01-25 Cordis Webster Inc Therapeutic and diagnostic catheter for medicine injection
JP2000102619A (en) 1998-08-28 2000-04-11 Cordis Webster Inc Catheter having bidirectional control handle
JP2005081058A (en) 2003-09-11 2005-03-31 Japan Lifeline Co Ltd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9278A (en) 2011-08-17
JP2010075530A (en) 2010-04-08
WO2010035599A1 (en) 2010-04-01
JP4526585B2 (en) 2010-08-18
HK1155991A1 (en) 2012-06-01
CN102159278B (en) 2013-08-28
KR20110058790A (en)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884B1 (en) Catheter having deflectable leading end
JP4940332B2 (en) catheter
JP4362536B2 (en) catheter
JP4429401B2 (en) Catheter with flexible tip electrode
KR101213012B1 (en) Catheter
JP5165238B2 (en) A deflectable catheter with a high modulus fiber puller element
KR101246970B1 (en) Catheter
US9326729B2 (en) Electrode cathe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508147A (en) Steerable stylet with increased torsional transmission
WO2013088840A1 (en) Catheter having distal end capable of being deflected by operation
KR20130041817A (en) Catheter
JP5253535B2 (en) Electrode catheter
JP5557393B2 (en) Tip deflectable catheter
JP4993353B2 (en) Tip deflectable catheter
JP4544457B2 (en) Tip deflectable catheter
JP4969289B2 (en) Tip deflectable catheter
JP5174542B2 (en) catheter
JP5787394B2 (en) Tip deflectable catheter
JP5561784B2 (en) Electrode catheter
JP2014236787A (en) Catheter operable for tip deflection
JP2014117399A (en) Medical kaset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edical kaseta
JP5174487B2 (en) catheter
JP5729778B2 (en) Electrode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