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202B1 -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202B1
KR101300202B1 KR1020110043119A KR20110043119A KR101300202B1 KR 101300202 B1 KR101300202 B1 KR 101300202B1 KR 1020110043119 A KR1020110043119 A KR 1020110043119A KR 20110043119 A KR20110043119 A KR 20110043119A KR 101300202 B1 KR101300202 B1 KR 10130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tube
container
circumferential surface
liquid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059A (ko
Inventor
이화경
Original Assignee
이화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경 filed Critical 이화경
Priority to KR1020110043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20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 본 발명은 펌프 유닛의 장착이 용이하고 서로 혼합된 이종 액체가 내부 및 외부 수용체로 재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는, 제1 액체가 수용되는 외부 수용체; 외부 수용체에 내장되고 제2 액체가 수용되는 내부 수용체; 외부 수용체의 상단을 이루며, 중심부가 외부 수용체의 외측을 향해 상향 돌출된 제1 돌출관과, 상기 제1 돌출관(3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관(310)의 내측 아래로 하향 돌출된 제2 돌출관(320)과, 그리고 제1 돌출관과 제2 돌출관 사이의 연장부에 형성되는 통공을 갖는 이중 관 타입의 외부 네크; 내부 수용체의 상단을 이루며, 중심부가 제1 및 제2 돌출관 사이로 돌출되어 제2 돌출관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는 내부 돌출관을 갖는 내부 네크; 및 외부 네크에 구비되어 제1 및 제2 액체를 펌핑하는 것으로, 통공 및 제2 돌출관을 개폐시키기 위해 연장부에 안착된 밸브를 갖는 펌프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CONTAINER OF SEPERATELY KEEPING TWO KINDS OF LIQUIDS FROM EACH OTHER}
본 발명은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펌프 유닛의 장착이 용이하고 서로 혼합된 이종 액체가 내부 및 외부 수용체로 재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는 두 가지 종류의 액상 화장품 또는 액상 약품(이하, "액체"라 함)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특히 보관 중에는 두 가지 종류의 액체가 서로 격리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두 가지 종류의 액체가 서로 혼합되도록 하는 용기이다.
이러한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는 두 가지 종류의 액체를 혼합 수용하는 용기에 비해 액체의 변질의 속도를 늦출 수 있고, 효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에 대한 연구로 이액 튜브 용기가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5808호에 개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이액 튜브 용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체(a)가 수용되는 제1 튜브(11)와, 상기 제1 튜브(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배출부(21)와, 제2 액체(b)가 수용되는 제2 튜브(12)와, 그리고 상기 제2 튜브(12)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배출부(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배출부(21)는 캡이 결합되는 제1 튜브네크(21a)와, 제1 튜브네크(21a)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1 튜브(11)에 수용된 제1 액체(a)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출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2 배출부(22)는 제1 튜브네크(21a)와 결합되는 제2 튜브네크(22a)와, 제2 튜브네크(22)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2 튜브(12)에 수용된 제2 액체(b)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출홀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이액 튜브 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제1 튜브네크(21a)의 상단 높이가 제2 튜브네크(22a)의 상단 높이보다 높은 단차진 구조를 가지므로, 제1 튜브네크(21a)를 캡으로 닫을 지라도, 단차진 공간을 통해 제1 튜브(11)의 제1 액체(a)가 제2 튜브(12)의 제2 액체(b)로 유입되거나, 제2 튜브(12)의 제2 액체(b)가 제1 튜브(11)의 제1 액체(a)로 유입되어 서로 혼합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캡이 위치되는 부위에 캡 대신 추가 구성으로 펌프 유닛을 장착하고자 할 경우, 펌핑된 제1 액체(a) 및 제2 액체(b)가 단차진 공간에 혼합된 상태로 머물러 있다가 혼합된 상태로 제1 및 제2 튜브(11)(12)로 다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궁극적으로, 제1 및 제2 액체(a)(b)를 분리하여 보관하겠다는 목적에 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펌프 유닛의 장착이 용이하고 서로 혼합된 이종 액체가 내부 및 외부 수용체로 재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프 유닛의 구성을 단순화시킴과 함께 탄성체로부터의 액체의 오염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는 제1 액체가 수용되는 외부 수용체; 상기 외부 수용체에 내장되고 제2 액체가 수용되는 내부 수용체; 상기 외부 수용체의 상단을 이루며, 중심부가 상기 외부 수용체의 외측을 향해 상향 돌출된 제1 돌출관과,
상기 제1 돌출관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관의 내측 아래로 하향 돌출된 제2 돌출관과, 그리고 상기 제1 돌출관과 상기 제2 돌출관 사이의 연장부에 형성되는 통공을 갖는 이중 관 타입의 외부 네크와; 상기 내부 수용체의 상단을 이루며, 중심부가 상기 제1 및 제2 돌출관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돌출관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는 내부 돌출관을 갖는 내부 네크와; 및 상기 외부 네크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액체를 펌핑하는 것으로, 상기 통공 및 상기 제2 돌출관을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부에 안착된 밸브를 갖는 펌프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평면이 평탄한 형상을 할 경우, 상기 밸브는 상기 연장부의 평면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상기 연장부의 평면에 안착되어 상기 통공 및 상기 제2 돌출관을 막는 평판 형상의 밸브체와; 및 상기 고정체와 상기 밸브체를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밸브공을 갖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와, 상기 밸브체와, 그리고 상기 연결체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돌출관과 상기 제2 돌출관은 결합 유닛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내부 돌출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 돌출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유닛은 상기 외부 네크 중 상기 제1 돌출관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밀봉 부재; 상기 밀봉 부재의 내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지지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유출공이 형성되고, 상승시 상기 밀봉 부재에 의해 상기 유출공이 닫히도록 상기 밀봉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유출공을 통해 유출되는 혼합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노즐을 갖는 누름부; 및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 일단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의 외측면에 타단이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내주면은 위로 올라갈수록 그 지름이 단계적으로 축소되는 제1, 제2 및 제3 면을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면에는 상기 제1 돌출관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 사이의 제1 단차부에 의해 상기 밸브의 가장자리가 눌려 고정되고, 상기 제2 면을 따라 상기 밀봉 부재가 상/하 이동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 면 사이의 제2 단차부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의 상향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밀봉 부재와 상기 누름부 사이의 제1 간격은 상기 걸림턱과 상기 유출공 사이의 제2 간격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탄성체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도록 외부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펌프 유닛의 밸브가 제1 액체가 유출되는 통공과 제2 액체가 유출되는 제2 돌출관을 동시에 긴밀히 닫을 수 있도록 외부 및 내부 네크부가 구성되므로, 서로 혼합된 액체가 내부 및 외부 수용체로 재 유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펌프 유닛의 밸브가 연장부에 안착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펌프 유닛의 장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밸브로 통공과 제2 돌출관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구성을 가지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펌프 유닛의 구성에 비해 그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체가 혼합 액체의 유로와 완전히 격리된 외측면에 구비되므로, 탄성체로부터의 액체의 오염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에서, 펌프 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6은 종래의 이액 튜브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에서, 펌프 유닛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수용체(100)와, 내부 수용체(200)와, 외부 네크(300)와, 내부 네크(400)와, 그리고 펌프 유닛(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 수용체(100)는 그 내부에 제1 액체(L1)가 수용된다. 외부 수용체(1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외부 수용체(100)의 내부에는 내부 수용체(200)를 고려하여 가운데가 개구된 원판 형상의 제1 밀착판(120)이 승강 가능하게 내장되며, 외부 수용체(100) 및 내부 수용체(200)의 하단을 함께 막을 수 있는 하단 캡(130)이 구비되며, 그리고 하단 캡(130) 중 외부 수용체(100)에 위치된 부분에는 외부 수용체(100)와 연통되는 제1 기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액체(L1)는 외부 수용체(100)의 상단과 제1 밀착판(120) 사이에 수용된다. 따라서, 외부 수용체(100)는 펌프 유닛(500)에 의해 펌핑될 때 그 내부 기압이 낮아져 압력 평행을 이루기 위해 제1 기공(131)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제1 밀착판(120)이 상승되면서 제1 액체(L1)가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부 수용체(100)는 펌프 유닛(500)에 의해 펌핑될 때 그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제1 액체(L1)가 유출될 수 있도록 튜브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 수용체(200)는 외부 수용체(100)에 내장되고 그 내부에 제2 액체(L2)가 수용된다. 내부 수용체(2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부 수용체(200)의 내부에는 원판 형상의 제2 밀착판(220)이 승강 가능하게 내장되며, 그리고 상술한 하단 캡(130) 중 내부 수용체(200)에 위치된 부분에는 내부 수용체(200)와 연통되는 제2 기공(132)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2 액체(L2)는 내부 수용체(200)의 상단과 제2 밀착판(220) 사이에 수용된다. 따라서, 내부 수용체(200)는 펌프 유닛(500)에 의해 펌핑될 때 그 내부 기압이 낮아져 압력 평행을 이루기 위해 제2 기공(132)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제2 밀착판(220)이 상승되면서 제2 액체(L2)가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내부 수용체(200)는 펌프 유닛(500)에 의해 펌핑될 때 그 내부 공간이 축수되면서 제2 액체(L2)가 유출될 수 있도록 튜브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네크(300)는 외부 수용체(100)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이중 관 타입(double pipe type)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외부 네크(300)는 그 중심부가 외부 수용체(100)의 외측을 향해 상향 돌출된 제1 돌출관(310)과, 제1 돌출관(310)의 상단에 연장되어 제1 돌출관(310)의 내측을 향해 하향 돌출된 제2 돌출관(320)과, 그리고 제1 돌출관(310)과 제2 돌출관(320) 사이의 연장부(330)에 형성되는 통공(3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통공(331)은 외부 수용체(100)에 수용된 제1 액체(L1)가 유출되는 곳이고, 그리고 제2 돌출관(320)은 후술하는 내부 돌출관(410)과 함께 내부 수용체(200)에 수용된 제2 액체(L2)가 유출되는 곳이다. 나아가, 연장부(330)는 후술하는 밸브(510)의 실링을 고려하여 밸브(510)가 긴밀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평탄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네크(400)는 내부 수용체(200)의 상단에 일체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네크(400)는 그 중심부가 제1 및 제2 돌출관(310)(320) 사이로 돌출되어 제2 돌출관(32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는 내부 돌출관(410)을 갖는다. 특히, 내부 돌출관(410)은 상술한 제2 돌출관(320)과 함께 내부 수용체(200)에 수용된 제2 액체(L2)가 유출되는 곳이다.
여기서, 내부 돌출관(410)과 제2 돌출관(320)은 결합 유닛(60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결합 유닛(600)은 내부 돌출관(4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610)과, 그리고 결합홈(610)에 상응하도록 제2 돌출관(3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조립 기계를 통해 제2 돌출관(320)에 내부 돌출관(410)을 끼우면, 결합 돌기(620)가 결합홈(610)에 삽입되면서 제2 돌출관(320)과 내부 돌출관(410)은 긴밀하게 결합된다.
펌프 유닛(500)은 외부 네크(300)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 액체(L1)(L2)를 펌핑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펌프 유닛(500)은 밸브(510)와, 지지부(520)와, 밀봉 부재(530)와, 피스톤(540)과, 누름부(550)와, 그리고 탄성체(5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펌프 유닛(500)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밸브(510)는 통공(331) 및 제2 돌출관(320)을 개폐시키기 위해 연장부(330)에 안착된다. 특히, 연장부(330)의 평면이 평탄한 형상을 할 경우, 상기 밸브(510)는 연장부(330)의 평면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고정체(511)와, 연장부(330)의 평면에 안착되어 통공(331) 및 제2 돌출관을 개폐시키는 평판 형상의 밸브체(512)와, 그리고 고정체(511)와 밸브체(512)를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밸브공(513a)을 갖는 연결체(5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밸브체(512)를 기준으로 그 상부의 기압이 그 하부보다 낮을 경우 밸브체(512)가 열림과 함께 펌핑력이 작용되어 통공(331)과 제1 돌출관(310)을 통해 제1 및 제2 액체(L1)(L2)가 각각 유출되고, 이렇게 유출된 액체는 서로4 혼합되면서 밸브공(513a)을 통해 밸브체(512)의 상부로 유출된다. 이후, 상/하부 기압이 평형을 이루면 중력에 의해 밸브체(512)가 하강되어 통공(331)과 내부 돌출관(410)을 막게 되므로 이미 기입차에 의해 토출된 혼합 액체(제1 및 제2 액체가 혼합된 것)는 통공(331)과 제2 돌출관(320)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밸브(510)를 이루기 위한 고정체(511)와, 밸브체(512)와, 그리고 연결체(51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금형을 통해 밸브(510)를 사출할 수 있게 되므로, 금형 비용을 현저히 절약할 수 있고,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조립 공정만 진행하면 밸브(510)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지지부(520)는 외부 네크(300) 중 제1 돌출관(31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20)의 내주면은 위로 올라갈수록 그 지름이 단계적으로 축소되는 제1, 제2 및 제3 면(521a)(521b)(521c)을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면(521a)에는 제1 돌출관(310)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521a)(521b) 사이의 제1 단차부(S1)에 의해 밸브(510)의 가장자리인 고정체(511)가 눌려 고정되고, 상기 제2 면(521b)을 따라 후술하는 밀봉 부재(530)가 상/하 이동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 면(521b)(521c) 사이의 제2 단차부(S2)에 의해 밀봉 부재(530)의 상향 이동이 제한된다. 특히, 제1 단차부(S1)에 의해 밸브(510)의 고정체(511)가 눌리는 구성을 가지므로 지지부(520)와 연장부(330) 사이에 별도의 밀봉 처리가 필요 없어 펌프 유닛(500)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그리고 제2 단차부(S2)에 의해 밀봉 부재(530)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걸림 구성이 필요 없어 펌프 유닛(500)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밀봉 부재(530)는 지지부(520)의 내주면 중 제2 면(521b)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밀봉 부재(530)는 그 일측 종단면이 알파벳 "H"자 형상을 하며 그 외주면은 상술한 제2 면(521b)에 접하게 되고, 그 내주면은 후술하는 피스톤(540)의 외주면에 접하게 된다.
피스톤(540)은 속이 빈 상부 개방형 타입을 가지며, 밀봉 부재(530)의 내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피스톤(540)에는 하강시 지지부(5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유출공(541)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승시 밀봉 부재(530)에 의해 유출공(541)이 닫히도록 밀봉 부재(53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542)이 형성된다. 특히, 유출공(541)은 밀봉 부재(530)의 위치에 따라 개폐되는 것으로, 밀봉 부재(530)의 위치는 피스톤(540)의 상승/하강에 의존한다. 즉, 피스톤(540)이 상승하면 밀봉 부재(530)의 하단이 피스톤(540)의 걸림턱(542)에 걸리게 되는데 이 때 밀봉 부재(530)에 의해 피스톤(540)의 유출공(541)은 이미 닫혀 있게 되고, 그리고 피스톤(540)이 하강하면 밀봉 부재(530)는 현 위치에 그대로 있고 피스톤(540)만 하강하게 되므로 피스톤(540)의 유출공은 열리게 되고, 유출공(541)이 완전히 열리면 후술하는 누름부(550)에 의해 피스톤(540)과 같이 하강하게 된다.
누름부(550)는 피스톤(540)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유출공(541)을 통해 유출되는 혼합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피스톤(540)의 내부와 연통된 배출 노즐(551)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부(550)를 누르면 피스톤(540)이 하강하면서 피스톤(540)의 유출공(541)은 열리게 되고, 열리는 순간 지지부(520)의 내부에 있던 혼합 액체는 유출공(541)을 통해 계속해서 피스톤(540)의 내측으로 유출되고, 배출 노즐(5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탄성체(560)는 지지부(520)의 외측면에 일단이 구비되고 누름부(550)의 외측면에 타단이 구비되어 누름부(550)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름부(550)에서 손을 때면 탄성체(560)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540)이 상승하면서 피스톤(540)의 유출공(541)이 닫히게 되고, 닫히는 순간 밸브체(512)를 기준으로 그 상부의 기압이 그 하부보다 낮게 되어 밸브체(512)가 열림과 함께 펌핑력이 작용되어 통공(331)과 제2 돌출관(320)을 통해 제1 및 제2 액체(L1)(L2)가 상부로 유출되고, 이렇게 유출된 액체는 서로 혼합되면서 밸브공(513a)을 통해 밸브체(512)의 상부로 유출된다. 이후, 상/하부 기압이 평형을 이루면 중력에 의해 밸브체(512)가 하강되어 통공(331)과 제2 돌출관을 막게 되므로 이미 기입차에 의해 토출된 혼합 액체는 통공(331)과 제2 돌출관(320)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밀봉 부재(530)와 누름부(550) 사이의 제1 간격(G1)은 걸림턱(542)과 유출공(541) 사이의 제2 간격(G2)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누름부(550)에 의해 밀봉 부재(530)가 하강하더라도 그 전에 이미 제1 간격(G1)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유출공(541)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누름부(550)에는 탄성체(56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도록 외부 커버(55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상부에는 펌프 유닛(500) 등을 덮기 위한 상부 캡(800)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에서 펌프 유닛(5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560)의 복원력 의해 누름부(550)가 상승되면, 이와 결합된 피스톤(540)이 함께 상승되고 밀봉 부재(530)의 하단이 피스톤(540)의 걸림턱(542)에 걸리게 된다. 이 전에, 밀봉 부재(530)에 의해 피스톤(540)의 유출공(541)은 이미 닫히게 되고, 닫히는 순간 밸브체(512)를 기준으로 그 상부의 기압이 그 하부보다 낮게 되어 밸브체(512)가 열림과 함께 펌핑력이 작용되어 통공(331)과 제2 돌출관(320)을 통해 제1 및 제2 액체(L1)(L2)가 상부로 유출되고, 이렇게 유출된 액체는 서로 혼합되면서 밸브공(513a)을 통해 밸브체(512)의 상부로 유출된다.
이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512)를 기준으로 그 상/하부 기압이 평형을 이루면 중력에 의해 밸브체(512)가 하강되어 통공(331)과 제2 돌출관(320)을 막게 되므로 이미 기입차에 의해 토출된 혼합 액체는 통공(331)과 제2 돌출관(320)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부(550)를 누르면 피스톤(540)이 하강하면서 피스톤(540)의 유출공(541)은 열리게 되고, 즉 피스톤(540)이 하강하면 밀봉 부재(530)는 현 위치에 그대로 있고 피스톤(540)만 하강하게 되므로 밀봉 부재(530)에 의해 닫혀 있던 피스톤(540)의 유출공(541)은 열리게 되고, 계속해서 누름부(550)를 누르면 누름부(550)가 밀봉 부재(530)에 닿으면서 밀봉 부재(530)도 피스톤(540)과 함께 하강하면서, 유출공(541)을 통해 지지부(520)의 내부에 있던 혼합 액체는 피스톤(540)의 내부로 유출되고, 그리고 피스톤(540)의 내부와 연통된 배출 노즐(5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펌프 유닛(500)의 밸브(510)가 제1 액체(L1)가 유출되는 통공(331)과 제2 액체가 유출되는 제2 돌출관(320)을 동시에 긴밀히 닫을 수 있도록 외부 및 내부 네크부(300)(400)가 구성되므로, 서로 혼합된 액체가 외부 및 내부 수용체(100)(200)로 재 유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펌프 유닛(500)의 밸브(510)가 연장부(330)에 안착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펌프 유닛(500)의 장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밸브(510)로 통공(331)과 제2 돌출관(320)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구성을 가지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펌프 유닛(500)의 구성에 비해 그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탄성체(560)가 혼합 액체의 유로와 완전히 격리된 외측면에 구비되므로, 탄성체(560)로부터의 액체의 오염을 미연에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L1: 제1 액체 L2: 제2 액체
100: 외부 수용체 200: 내부 수용체
300: 외부 네크 310: 제1 돌출관
320: 제2 돌출관 330: 연장부
331: 통공 400: 내부 네크
410: 내부 돌출관 500: 펌프 유닛
510: 밸브

Claims (8)

  1. 제1 액체(L1)가 수용되는 외부 수용체(100)와;
    상기 외부 수용체(100)에 내장되고 제2 액체(L2)가 수용되는 내부 수용체(200)와;
    상기 외부 수용체(100)의 상단을 이루며, 중심부가 상기 외부 수용체(100)의 외측을 향해 상향 돌출된 제1 돌출관(310)과, 상기 제1 돌출관(3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관(310)의 내측 아래로 하향 돌출된 제2 돌출관(320)과, 상기 제1 돌출관(310)과 상기 제2 돌출관(320) 사이의 연장부(330)에 형성되는 통공(331)을 갖는 이중 관 타입의 외부 네크(300)와;
    상기 내부 수용체(200)의 상단을 이루며, 중심부가 상기 제1 및 제2 돌출관(310)(320) 사이로 돌출되어 상기 제2 돌출관(320)의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는 내부 돌출관(410)을 갖는 내부 네크(400); 및
    상기 외부 네크(30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액체(L1)(L2)를 펌핑하는 것으로, 상기 통공(331) 및 상기 제2 돌출관(320)을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연장부(330)에 안착된 밸브(510)를 갖는 펌프 유닛(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30)의 평면은 평탄한 형상을 하고,
    상기 밸브(510)는
    상기 연장부(330)의 평면 가장자리에 고정되는 고정체(511)와;
    상기 연장부(330)의 평면에 안착되어 상기 통공(331) 및 상기 제2 돌출관(320)을 막는 평판 형상의 밸브체(512); 및
    상기 고정체(511)와 상기 밸브체(512)를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밸브공(513a)을 갖는 연결체(5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511)와, 상기 밸브체(512)와, 그리고 상기 연결체(513)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출관(410)과 상기 제2 돌출관(320)은 결합 유닛(600)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그리고
    상기 결합 유닛(600)은,
    상기 내부 돌출관(4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결합홈(610); 및
    상기 결합홈(610)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2 돌출관(3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합 돌기(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유닛(500)은,
    상기 외부 네크(300) 중 상기 제1 돌출관(31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관 형상의 지지부(520)와;
    상기 지지부(520)의 내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밀봉 부재(530)와;
    상기 밀봉 부재(530)의 내주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상기 지지부(5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유출공(541)이 형성되고, 상승시 상기 밀봉 부재(530)에 의해 상기 유출공(541)이 닫히도록 상기 밀봉 부재(53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542)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 피스톤(540)과;
    상기 피스톤(540)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유출공(541)을 통해 유출되는 혼합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노즐(551)을 갖는 누름부(550); 및
    상기 지지부(520)의 외측면에 일단이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550)의 외측면에 타단이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550)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체(5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520)의 내주면은 위로 올라갈수록 그 지름이 단계적으로 축소되는 제1, 제2 및 제3 면(521a)(521b)(521c)을 순차적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면(521a)에는 상기 제1 돌출관(310)의 외주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면(521a)(521b) 사이의 제1 단차부(S1)에 의해 상기 밸브(510)의 가장자리가 눌려 고정되고,
    상기 제2 면(521b)을 따라 상기 밀봉 부재(530)가 상/하 이동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 면(521b)(521c) 사이의 제2 단차부(S2)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530)의 상향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530)와 상기 누름부(550) 사이의 제1 간격(G1)은 상기 걸림턱(542)과 상기 유출공(541) 사이의 제2 간격(G2) 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550)에는 상기 탄성체(56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도록 외부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KR1020110043119A 2011-05-06 2011-05-06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KR10130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119A KR101300202B1 (ko) 2011-05-06 2011-05-06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119A KR101300202B1 (ko) 2011-05-06 2011-05-06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059A KR20120125059A (ko) 2012-11-14
KR101300202B1 true KR101300202B1 (ko) 2013-08-26

Family

ID=47510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119A KR101300202B1 (ko) 2011-05-06 2011-05-06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2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25A3 (ko) * 2014-09-25 2016-05-19 (주)연우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487B1 (ko) * 2013-03-22 2013-08-29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화장품 밀폐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430988B1 (ko) * 2013-06-25 2014-08-20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7116050A1 (ko) * 2015-12-31 2017-07-06 (주)연우 거품분출 튜브용기
CN108697221B (zh) * 2016-01-25 2021-05-14 欧莱雅 用于制造双内容物封装及施放装置的充注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467A (ja) * 2005-11-17 2007-06-07 Kao Corp 2連式吐出器
KR20110054124A (ko) * 2009-11-17 2011-05-25 (주)연우 공기이동 조절부재가 구비된 액상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7467A (ja) * 2005-11-17 2007-06-07 Kao Corp 2連式吐出器
KR20110054124A (ko) * 2009-11-17 2011-05-25 (주)연우 공기이동 조절부재가 구비된 액상 화장품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7925A3 (ko) * 2014-09-25 2016-05-19 (주)연우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059A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202B1 (ko) 이종 액체 분리 수용 용기
KR101335570B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2161238B1 (ko) 거품 분배기
CN105246372A (zh) 旋转吐出式化妆品容器
JP6100059B2 (ja) 注出容器
JP2011251695A (ja) 注出容器
CN202244537U (zh) 封盖组件以及具有封盖组件的饮料分配器
JP2007320594A (ja) 吐出容器
JP6165664B2 (ja) 二重容器
TW201302555A (zh) 容器
CN102838076A (zh) 封盖组件以及具有封盖组件的饮料分配器
JP5311475B2 (ja) 液体吐出ポンプ
JP5179990B2 (ja) 注出栓
KR102341004B1 (ko) 감도 및 에어흐름이 개선된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JP3201111U (ja) 逆止弁
CN204642561U (zh) 一种液体定量挤出装置
JP3998969B2 (ja) 定量式液体塗布容器
JP2015044620A (ja) キャップ
US20200009589A1 (en) Anti-backflow extrusion liquid container
JP6169515B2 (ja) 二重容器
JPH08301332A (ja) 液体注出ポンプ
KR102205491B1 (ko) 에어 흐름이 개선된 액체 밀폐용기
CN204726859U (zh) 可压动出水的不漏瓶嘴组件
CN219860550U (zh) 一种啤酒桶
CN103623878A (zh) 液转气体积式移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