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774B1 - 도광판, 면광원 장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광판, 면광원 장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774B1
KR101299774B1 KR1020130015244A KR20130015244A KR101299774B1 KR 101299774 B1 KR101299774 B1 KR 101299774B1 KR 1020130015244 A KR1020130015244 A KR 1020130015244A KR 20130015244 A KR20130015244 A KR 20130015244A KR 101299774 B1 KR101299774 B1 KR 101299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distribution pattern
inkje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로 햐쿠타
요시히사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세이렌가부시끼가이샤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렌가부시끼가이샤,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세이렌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도광판(1)은, 복수의 노즐(51)의 배열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잉크젯 헤드(5a, 5b)가 늘어서 있는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도광판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광 반사 도트(12a, 12b)로 이루어지는 배광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에 있어서,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5a, 5b)는, 복수의 노즐(51)의 일부가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영역(Ro)으로서,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가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영역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5a)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12a)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5b)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12b)가 혼재하고 있다.

Description

도광판, 면광원 장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TRANSMISSION-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은, 도광판, 면광원 장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광판에 의해 면상의 광을 공급하는 면광원 장치를 백라이트로서 갖고 있다. 면광원 장치 방식으로서는, 도광판의 배면측에 광원이 설치되는 직하식과, 도광판의 측면에 따라 광원이 설치되는 에지라이트 방식이 있다. 에지라이트 방식은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에지라이트 방식의 면광원 장치에서는, 도광판의 측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이, 도광판의 배면측에 설치된 배광 패턴(예컨대, 광 반사 도트로 이루어지는 배광 패턴)의 작용에 의해 반사 및 확산(산란)하여, 임계 각도 이상의 각도 성분의 광이 도광판의 출사면로부터 출사하는 것에 의해, 면상의 광을 공급한다. 그 발광면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도광판에서는, 광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배광 패턴의 밀도를 조(粗)로부터 밀(密)로 한 그라데이션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이 종류의 도트상의 배광 패턴을 액적 토출(예컨대, 잉크젯 인쇄)에 의해서 형성하는 수법도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잉크젯 인쇄 수법으로서는, 인쇄 택트(takt)를 단축시키기 위해서, 잉크젯 헤드를 복수 배열시켜 인쇄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4-24029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27609호 공보
그러나, 잉크젯 헤드를 복수 배열시켜 인쇄하면, 그 부착 정밀도 및 위치 조정 정밀도에 기인하여, 잉크젯 헤드끼리의 연결 부분에 선상의 휘도 불균일(줄무늬 불균일)이 발생해 버린다. 이 점에 관하여, 잉크젯 헤드의 위치를 더욱 고정밀도로 조정하고자 하면,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고 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잉크젯 헤드끼리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선상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도광판, 면광원 장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를 노즐의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하고,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배광 패턴의 영역에서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를 혼재시키는 것에 의해, 잉크젯 헤드끼리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선상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잉크젯 헤드끼리의 부착 정밀도 및 위치 조정 정밀도에 기인하여 광 반사 도트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부분, 또는 작아지는 부분이, 잉크젯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좁은 범위에 1열로 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던 것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도광판은, 복수의 노즐이 배열되어 있는 잉크젯 헤드를 2개 이상 구비하고, 복수의 노즐의 배열 방향으로 잉크젯 헤드가 늘어서 있는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도광판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광 반사 도트로 이루어지는 배광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에 있어서, 인쇄 장치에서의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는, 복수의 노즐의 일부가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배광 패턴에서의 영역으로서,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가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영역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가 혼재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광판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노즐이 배열되어 있는 잉크젯 헤드를 2개 이상 구비하고, 복수의 노즐의 배열 방향으로 잉크젯 헤드가 늘어서 있는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도광판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광 반사 도트로 이루어지는 배광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쇄 장치에서의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를, 복수의 노즐의 일부가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하고, 배광 패턴에서의 영역으로서,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가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영역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가 혼재하도록, 도광판 기재에 배광 패턴을 인쇄한다.
이 도광판,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는, 노즐의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배광 패턴의 영역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가 혼재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끼리의 부착 정밀도 및 위치 조정 정밀도에 기인하여 광 반사 도트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부분, 또는 작아지는 부분이, 잉크젯 헤드의 주사 방향으로 좁은 범위에 1열로 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끼리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선상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한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영역의 광 반사 도트는, 한쪽 및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 중 어느 한쪽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2개의 잉크젯 헤드의 노즐 위치의 약간의 어긋남에 기인하는 광 반사 도트의 형상이나 크기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영역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가,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고,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잉크젯 헤드끼리의 부착 정밀도 및 위치 조정 정밀도에 기인하여 광 반사 도트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부분, 또는 작아지는 부분이, 잉크젯 헤드의 주사 방향에 1열로 늘어서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끼리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선상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는, 에지라이트형의 면광원 장치이고, 상기한 도광판과, 도광판의 측면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을 구비한다. 이 면광원 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도광판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에지라이트형 면광원 장치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한 면광원 장치와, 면광원 장치의 출사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투과형 화상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도광판을 갖는 면광원 장치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젯 헤드끼리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선상의 휘도 불균일을 간편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도광판을 이용한 에지라이트형 면광원 장치, 및 이 에지라이트형 면광원 장치를 이용한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1실시형태를 갖추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도광판의 제조방법, 및 종래의 도광판의 배광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제조방법, 및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배광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 및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배광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 및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배광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 및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배광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 및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배광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제조방법, 및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배광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광판의 배광 패턴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1실시형태를 갖추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0)는, 면광원 장치(20)와, 투과형 화상 표시부(30)로 주로 구성된다. 면광원 장치(20)는, 도광판 기재(11)를 갖는 도광판(1)과, 도광판(1)의 측방에 설치되어 있고 도광판(1)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3)을 구비하는 에지라이트형 면광원 장치이다.
도광판 기재(1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출사면(S1)과, 출사면(S1) 반대측의 배면(S2)과, 출사면(S1) 및 배면(S2)에 교차하는 4개의 단면(S31∼S34)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4개의 단면(S31∼S34)은, 출사면(S1) 및 배면(S2)에 대략 직교한다.
도광판 기재(11)는,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폴리(메트)아크릴산 알킬 수지 시트, 폴리스타이렌 시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시트(PMMA 수지 시트)가 바람직하다. 도광판 기재(11)는 확산 입자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도광판 기재(11)의 광 반사 도트(12)가 형성되는 표면(배면(S2))과 반대측의 표면(출사면(S1))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평탄면이더라도 좋지만, 요철 형상을 갖고 있더라도 좋다. 한편, 도광판 기재(11)의 두께는 1.0mm 이상 4.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 기재(11)의 배면(S2)은, 배면(S2)의 거의 전면에 발액(撥液) 처리가 실시된 면이더라도 좋다. 배면(S2)에 실시하는 발액 처리는, 배면(S2)에 물방울을 적하했을 때의 접촉각이 80도∼130도로 되는 발액 처리이며, 바람직하게는 접촉각이 85도∼12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촉각이 90도∼110도로 되는 발액 처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촉각이란, 정적(static) 접촉각이다.
이 도광판 기재(11)의 배면(S2)측에는 복수의 광 반사 도트(1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광판(1)은, 배면(S2)측에 설치된 복수의 광 반사 도트(12)를 추가로 갖는다. 각 광 반사 도트(12)의 최대 두께는 예컨대 20㎛ 이하이다.
복수의 광 반사 도트(1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면(S2) 상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광판을 배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광원(3)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반사 도트(12)는, 광원(3)에 가까운 입광부측에서는 작고, 광원(3)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커진다. 광 반사 도트(12)는, 배면(S2)의 전면에 걸쳐 규칙적으로 이차원 배열된 격자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 반사 도트(12)의 피복률은, 광원(3)에 가까운 입광부측에서는 낮고, 광원(3)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높아진다. 광 반사 도트(12)끼리는 연결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연결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다. 도 2에서는, 광 반사 도트(12)의 크기나 개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변경되어 있고, 후술하듯이, 광 반사 도트(12)의 개수 및 배치 패턴은, 균일한 면상의 광이 효율적으로 출사면(S1)으로부터 출사되도록 조정된다.
광원(3)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면(S31, S32)의 측방에 배치된다. 광원(3)은, 냉음극 형광 램프(CCFL) 등의 선상 광원이더라도 좋지만, LED 등의 점상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광성 수지 시트(11)의 예컨대 직사각형의 배면(S2)을 구성하는 4변 중 서로 대향하는 2변에 따라, 복수의 점상 광원이 배열된다. 후술하는 잉크젯 잉크에 의해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12)와 LED를 조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색조의 광을 얻기 위해 특히 유리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형 화상 표시부(30)는, 도광판(1)의 출사면(S1)측에서 도광판(1)과 대향 배치되어 있다. 투과형 화상 표시부(30)는, 예컨대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부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광원(3)으로부터 출력된 광은, 단면(S31, S32)으로부터 도광판 기재(11)에 입사한다. 도광판 기재(11)에 입사한 광은, 광 반사 도트(12)에서 난반사하는 것에 의해, 주로 출사면(S1)으로부터 출사된다. 출사면(S1)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투과형 화상 표시부(30)에 공급된다. 균일한 면상의 광이 효율적으로 출사면(S1)으로부터 출사되도록, 광 반사 도트(12)의 개수 및 배치 패턴은 조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광판(1)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도광판(1)의 제조장치(200)는, 도광판 기재(11)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40)과, 잉크젯 헤드부(5)와, UV 램프(7)로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검사 장치(9)를 설치해도 좋다. 잉크젯 헤드부(5), UV 램프(7) 및 검사 장치(9)는, 도광판 기재(11)의 이동 방향 A에 있어서 상류측으로부터 이 순서로 배치된다.
도광판 기재(11)는, 반송 수단(40)에 의해서, 방향 A에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반송된다. 도광판 기재(11)는, 제조되는 도광판의 크기에 맞춰 미리 재단되어 있더라도 좋고, 장척의 도광판 기재(11) 상에 광 반사 도트(12)를 형성하고, 그 후 도광판 기재(11)를 재단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수단(40)은 테이블 셔틀(table shuttle)이지만, 반송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벨트 컨베이어, 롤러, 또는 공기 부상 이송이더라도 좋다.
도광판 기재(11)의 표면(S0)에, 지지부(41)로 지지된 잉크젯 헤드부(5)에 의해 액적상의 잉크젯 잉크가 도트상으로 패턴 인쇄된다. 이 때, 패턴 인쇄는, 표면(S0)에 적하하는 액적상의 잉크젯 잉크가 서로 이격되도록 한다.
잉크젯 헤드부(5)는, 도광판 기재(11)의 표면(S0)에 있어서의 광 반사 도트(12)가 형성되는 영역의 폭 방향(A에 대하여 수직 방향) 전체에 걸쳐, 도광판 기재(11)의 표면(S0)(배면(S2))과 대향하여 배열 고정된 1열 또는 2열 이상의 복수의 노즐을 갖고 있다. 이들 복수의 노즐로부터 잉크젯 방식에 의해 토출된 액적상의 잉크가, 도광판 기재(11)의 폭 방향 전체에 있어서 동시에 일괄해서 인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광판 기재(11)를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잉크가 인쇄된다. 또는, 도광판 기재(11)를 정지한 상태로 잉크를 인쇄하는 것과, 도광판 기재(11)를 다음 인쇄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나서 정지하는 것을 반복하여, 복수열의 도트로 구성되는 패턴으로 잉크를 효율적으로 인쇄할 수도 있다.
도광판 기재(11)의 이동 속도는, 잉크가 적절히 인쇄되도록 조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부(5)는, 각각 복수의 노즐(51)을 갖는 복수의 잉크젯 헤드(5a∼5c)로 구성된다. 이들 복수의 잉크젯 헤드(5a∼5c)는, 도광판 기재(11)가 반송되는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반송 방향 A에서 서로의 단부가 겹치도록 고정 부재(52)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특징의 명확화를 위해,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5a, 5b)만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잉크젯 헤드부(5)의 복수의 노즐을 고정한 상태로, 잉크를 도광판 기재(11)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일괄해서 인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식의 노즐을 도광판 기재(11)의 폭 방향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잉크를 순차적으로 인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도광판(1)의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특히, 도광판 기재(11)의 단변의 길이가 200mm 이상 1000mm 이하인 대형 도광판(1)을 제조하는 경우, 본 실시형태의 방법에 의한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크다. 또한, 잉크젯법에 의하면, 예컨대 최대 직경이 100㎛ 이하인 미소한 광 반사 도트(12)이더라도, 용이하게 또한 정확히 형성할 수 있다. 도광판 기재(11)가 얇은 경우, 출사면(S1)측으로부터 광 반사 도트(12)가 들여다보일 가능성이 있지만, 광 반사 도트(12)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이것을 막을 수 있다.
잉크젯 헤드부(5)의 노즐은, 도관(55)을 통해서 잉크 공급 유닛(50)과 연결되어 있다. 잉크 공급 유닛(50)은, 예컨대, 잉크가 수용된 잉크 탱크와, 잉크를 보내기 위한 펌프를 갖고 있다. 복수의 도관(55)이 단일한 잉크 탱크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좋고, 복수의 잉크 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있더라도 좋다.
광 반사 도트(12)를 형성하기 위해서 잉크젯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젯 잉크는, 안료와, 광중합성 성분과,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형의 잉크이더라도 좋고, 수계 잉크나 용제계 잉크 등이더라도 좋다. 한편, 잉크젯 잉크에는, 안료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입자, 황산바륨 입자 및 이산화티타늄 입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탄산칼슘 입자, 황산바륨 입자 및 이산화티타늄 입자 각각의 누적 50% 입자경 D50은, 50∼30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500n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600nm이다. 누적 50% 입자경 D50이 50∼3000nm의 범위 내에 있는 탄산칼슘 입자, 황산바륨 입자,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시판품으로부터 입도 분포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입수가 가능하다. 안료의 잉크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은, 통상, 잉크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5∼15.0질량% 정도이다. 탄산칼슘 입자, 황산바륨 입자 및 이산화티타늄 입자 중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이용한 잉크는, 무기물을 이용한 잉크이다. 이러한 무기물을 이용한 잉크의 보존 안정성, 즉, 무기 안료 침강성을 고려한 경우, 3개의 입자 중 가장 비중이 작은 탄산칼슘 입자를 안료로서 이용하는 것이 잉크로서 보다 바람직하다.
50±10℃에서의 잉크젯 잉크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5.0∼15.0m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2.0mPa·s이다. 잉크젯 잉크의 점도는, 예컨대 지방족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 및/또는 함유 비율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지방족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 및 함유 비율이 커지면, 잉크의 점도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25.0℃에서의 잉크젯 잉크의 표면 장력은, 바람직하게는 25.0∼45.0mJ/m2,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37.0mJ/m2이다. 잉크젯 잉크의 표면 장력은, 예컨대 실리콘계 및 불소계 등의 계면활성제를 잉크에 배합하는 것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인쇄된 잉크는, 지지부(42)로 지지된 UV 램프(7)에 의해, 영역(70)에서 경화된다. 이것에 의해, 경화된 잉크로 이루어지는 광 반사 도트(12)가 형성된다.
그 후, 형성된 광 반사 도트(12)의 상태를, 지지부(43)로 지지된 검사 장치(9)에 의해서 검사하는 공정을 거쳐, 도광판(1)이 얻어진다. 도광판(1)은 필요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재단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잉크젯 헤드부의 하류측에 설치된 검사 장치에 의해 도광판이 연속적으로 검사될 필요는 반드시는 없고, 별도 준비된 검사 장치에 의해 오프라인으로 도광판을 검사할 수도 있다. 또는, 검사 장치에 의한 도광판의 검사가 생략될 수도 있다.
통상, 광 반사 도트(12)로 되어야 할 잉크의 인쇄 패턴은, 균일한 면상의 광이 효율적으로 출사면(S1)으로부터 출사되는 원하는 패턴으로 설계된다. 이 경우, 복수의 광 반사 도트(12)의 배치 패턴이 거의 원하는 패턴이 되기 때문에, 광원(3)으로부터 투광성 수지 시트(11)에 공급되는 광을 광출사면(S1)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도광판(1)의 광출사면(S1)으로부터 광을 보다 높은 휘도로 출사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광 반사 도트(12)의 배치 패턴이 원하는 패턴이기 때문에, 광출사면(S1)으로부터 거의 균일하게 광을 출사 가능하다.
면광원 장치(20)는, 도광판(1)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광을 보다 높은 휘도로 출사할 수 있다. 또한,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100)는, 면광원 장치(20)로부터 출사되는 것에 의해 휘도가 높은 광으로 조명되기 때문에, 콘트라스트가 보다 분명히 표시될 수 있는 표시 품질이 좋은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5a, 5b)를 복수 배열시켜 인쇄하면, 그 부착 정밀도 및 위치 조정 정밀도에 기인하여, 잉크젯 헤드(5a, 5b)끼리의 연결 부분(C)에 선상의 휘도 불균일(줄무늬 불균일)이 발생하여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5a, 5b)는, 복수의 노즐(51)의 일부가 반송 방향 A(주사 방향, 노즐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는, 잉크젯 헤드(5a)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12a)와 잉크젯 헤드(5b)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12b)가 혼재하도록, 배광 패턴을 인쇄한다.
구체적으로는,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반송 방향 A에 따르는 광 반사 도트(12a)의 열과 광 반사 도트(12b)의 열이, 반송 방향 A와 교차하는 방향(노즐의 배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배광 패턴을 인쇄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광 반사 도트(12a, 12b)는, 반송 방향 A로 규칙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한편, 광 반사 도트(12a)의 열과 광 반사 도트(12b)의 열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열씩 교대로 배치되더라도 좋고, 복수열 단위로 교대로 배치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1), 및 도광판(1)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5a, 5b)는, 노즐(51)의 일부가 반송 방향 A(노즐의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5a)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12a)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5b)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12b)가 혼재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젯 헤드(5a, 5b)끼리가 부착 정밀도 및 위치 조정 정밀도에 기인하여 광 반사 도트(12a, 12b)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부분, 또는 작아지는 부분이, 반송 방향 A(잉크젯 헤드(5a, 5b)의 주사 방향)로 1열로 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젯 헤드(5a, 5b)끼리의 연결 부분(C)에서의 선상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런데,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의 광 반사 도트가,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5a, 5b)의 양쪽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에 의해서 형성되면, 잉크젯 헤드의 부착 정밀도 및 위치 조정 정밀도에 기인하여, 광 반사 도트의 크기가 커져 버리거나, 광 반사 도트의 형상이 비뚤어져 버리거나 해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의 광 반사 도트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5a) 및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5b) 중 어느 한쪽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잉크젯 헤드(5a, 5b)의 노즐 위치의 약간의 어긋남에서 기인하는 광 반사 도트의 형상이나 크기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반송 방향 A에 따르는 광 반사 도트(12a)의 열과 광 반사 도트(12b)의 열이, 반송 방향 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배광 패턴을 인쇄했지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반송 방향 A에 교차하는 방향에 따르는 광 반사 도트(12a)의 열과 광 반사 도트(12b)의 열이, 반송 방향 A로 교대로 배치되도록, 배광 패턴을 인쇄할 수도 있다. 이 변형예에서도,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광 반사 도트(12a, 12b)는, 반송 방향 A로 규칙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한편, 광 반사 도트(12a)의 열과 광 반사 도트(12b)의 열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열씩 교대로 배치되더라도 좋고, 복수열 단위로 교대로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광 반사 도트(12a)와 광 반사 도트(12b)가, 반송 방향 A로 교대로 배치됨과 더불어, 반송 방향 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교대로 배치되도록, 배광 패턴을 인쇄해도 좋다. 이 변형예에서도,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광 반사 도트(12a, 12b)는, 반송 방향 A로 규칙적으로 배치되게 된다. 한편, 광 반사 도트(12a)와 광 반사 도트(12b)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되더라도 좋고, 복수개 단위로 교대로 배치되더라도 좋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광 반사 도트(12a)와 광 반사 도트(12b)가, 반송 방향 A로 불규칙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반송 방향 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도록, 배광 패턴을 인쇄해도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광 반사 도트(12a)와 광 반사 도트(12b)가, 반송 방향 A로 규칙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반송 방향 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도 규칙적으로 배치되도록, 배광 패턴을 인쇄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잉크젯 헤드(5a)가 동일한 광 반사 도트(12a)를 형성하고, 잉크젯 헤드(5b)가 동일한 광 반사 도트(12b)를 형성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5a)가 다른 광 반사 도트(12a, 13a)를 형성하고, 잉크젯 헤드(5b)가 다른 광 반사 도트(12b, 13b)를 형성하는 형태에도 본 발명의 특징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도 10에서는, 잉크젯 헤드(5a)는, 반송 방향 A에 따르는 광 반사 도트(12a)의 열과 광 반사 도트(13a)의 열을, 반송 방향 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잉크젯 헤드(5b)는, 반송 방향 A에 따르는 광 반사 도트(12b)의 열과 광 반사 도트(13b)의 열을, 반송 방향 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한다. 이 경우에도,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Ro)에서는, 광 반사 도트(12a)와, 광 반사 도트(13a)와, 광 반사 도트(12b)와, 광 반사 도트(13b)가, 반송 방향 A로 규칙적으로(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되고, 반송 방향 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규칙적으로(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되도록, 배광 패턴을 인쇄할 수도 있다. 이 수법은, 잉크젯 헤드를 2열 이상 늘어놓아 배치하거나, 노즐 열을 2열 이상 갖는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1종류의 크기를 갖는 광 반사 도트(12a, 12b)(및, 13a, 13b)에 의하는 배광 패턴을 예시했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종류의 크기를 갖는 광 반사 도트를 불규칙한 순서로 배치해도 좋고, 또한, 3종류 이상의 크기를 갖는 광 반사 도트를 불규칙한 순서로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2종류 이상의 크기를 갖는 광 반사 도트를 불규칙한 순서로 배치하면, 광 반사 도트에 의한 계조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광원에 가까운 입광부측과 같이 배광 패턴의 피복률이 낮은 영역에서,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광 반사 도트에 의한 은폐율이 50% 이하인 개개의 영역에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단면(S31, S32)의 측방에 광원(3)을 각각 배치한 경우를 예시했다. 그러나 광원(3)은, 투광성 수지 시트(11)의 광출사면(S1)(또는 배면(S2))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면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광판(1)을 실시예로서 시작(試作)하여, 비교예의 도광판과의 대비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광판은 이하와 같다.
(실시예 1)
600mm×345mm의 PMMA 수지 시트를 투광성 수지 시트로서 준비하여, 안료를 함유하지 않는 자외선 경화형 잉크젯 잉크를 이용하여 도광판을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PMMA 수지 시트로부터 마스킹 필름을 박리하고, 박리한 면에, 도 5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을, 자외선 경화형 잉크젯 잉크에 의해서 잉크젯 인쇄했다. 잉크젯 헤드로서는, 노즐간 거리가 약 84.5㎛인 것을 사용했다. 또한, 이 잉크젯 헤드를 복수 연결 배열할 때의 부착 정밀도 및 위치 조정 정밀도는 약 15㎛이다. 다음으로 인쇄한 잉크젯 잉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잉크를 광경화시켰다.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경화형 잉크젯 잉크를 PMMA 수지 시트에 패턴 인쇄한 후, 6초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잉크를 광경화시켰다. 그 결과, 피복률 48%의 한결같은 배광 패턴이 형성된 실시예 1의 도광판을 수득했다.
(실시예 2)
도 6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을 형성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실시예 2의 도광판을 수득했다.
(실시예 3)
도 7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을 형성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실시예 3의 도광판을 수득했다.
(실시예 4)
도 8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을 형성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실시예 4의 도광판을 수득했다.
(실시예 5)
도 9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을 형성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실시예 5의 도광판을 수득했다.
(실시예 6)
도 10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을 형성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실시예 6의 도광판을 수득했다.
(비교예 1)
도 4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을 형성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비교예 1의 도광판을 수득했다.
본 평가에서는, 광원으로서 LED를 이용하는 텔레비전 유닛에 있어서, 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DBEF, 및 도광판 대신에,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의 도광판을 각각 조립해 넣었다. 그리고, 이들 텔레비젼 유닛을 점등시켜, 줄무늬 불균일(선상의 휘도 불균일)을 육안 평가했다(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및 DBEF의 필름 무). 또한, 확산 필름을 이용했을 때의 줄무늬 불균일도 육안 평가했다(필름 유). 이들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배광 패턴 줄무늬 불균일
(필름 무)
줄무늬 불균일
(필름 유)
실시예 1 도 5의 패턴 약간 있음 없음
실시예 2 도 6의 패턴 없음 없음
실시예 3 도 7의 패턴 없음 없음
실시예 4 도 8의 패턴 없음 없음
실시예 5 도 9의 패턴 없음 없음
실시예 6 도 10의 패턴 없음 없음
비교예 1 도 4의 패턴 있음 있음
이 평가 결과에 의하면,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를 노즐의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하고,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배광 패턴의 오버랩 영역에서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를 혼재시키는 것에 의해, 잉크젯 헤드끼리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줄무늬 불균일(선상의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8)

  1. 복수의 노즐이 배열되어 있는 잉크젯 헤드를 2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잉크젯 헤드가 늘어서 있는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도광판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광 반사 도트로 이루어지는 배광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서의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는, 상기 복수의 노즐의 일부가 상기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배광 패턴에서의 영역으로서, 상기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가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영역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가 혼재하고 있는,
    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의 광 반사 도트는, 상기 한쪽 및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 중 어느 한쪽의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도광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가, 상기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도광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 패턴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가, 상기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도광판.
  5. 복수의 노즐이 배열되어 있는 잉크젯 헤드를 2개 이상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의 배열 방향으로 상기 잉크젯 헤드가 늘어서 있는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도광판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복수의 광 반사 도트로 이루어지는 배광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에서의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를, 상기 복수의 노즐의 일부가 상기 배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배광 패턴에서의 영역으로서, 상기 이웃하는 잉크젯 헤드가 겹치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영역에는, 한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와 다른 쪽의 잉크젯 헤드에 의해서 형성되는 광 반사 도트가 혼재하도록, 상기 도광판 기재에 상기 배광 패턴을 인쇄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기재된 도광판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도광판.
  7. 제 1 항에 기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광을 공급하는 광원
    을 구비하는 에지라이트형 면광원 장치.
  8. 제 7 항에 기재된 면광원 장치와,
    상기 면광원 장치의 출사면과 대향하여 배치된 투과형 화상 표시부
    를 구비하는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KR1020130015244A 2012-02-15 2013-02-13 도광판, 면광원 장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1299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0949 2012-02-15
JP2012030949A JP5584716B2 (ja) 2012-02-15 2012-02-15 導光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774B1 true KR101299774B1 (ko) 2013-08-23

Family

ID=48961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244A KR101299774B1 (ko) 2012-02-15 2013-02-13 도광판, 면광원 장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84716B2 (ko)
KR (1) KR101299774B1 (ko)
CN (2) CN203149143U (ko)
TW (1) TW2013373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4716B2 (ja) * 2012-02-15 2014-09-03 住友化学株式会社 導光板の製造方法
CN104512104A (zh) * 2013-09-26 2015-04-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网点制造装置与导光板网点制造方法
JP2015076124A (ja) * 2013-10-04 2015-04-20 住友化学株式会社 導光板、面光源装置、透過型画像表示装置、導光板用配光パターンの設計方法、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CN104595804B (zh) * 2014-12-12 2018-04-27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和一种显示装置
IL243165B (en) * 2014-12-18 2021-09-30 Camtek Imaging Tech Suzhou Co Ltd Polarization-enhanced optical insp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78B2 (ja) * 1989-02-25 1994-04-06 日本精機株式会社 指示計器における照明調整膜のドットパターン
KR20010045037A (ko) * 1999-11-02 2001-06-05 윤종용 도트 패턴 형성 장치
US7455416B2 (en) * 2006-11-17 2008-11-25 Ichia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structure and keypad having the same
US7575359B2 (en) * 2003-06-30 2009-08-18 Worldvision Co., Ltd. Light guide pla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and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2711B2 (ja) * 1999-06-18 2005-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4043018B2 (ja) * 2001-04-19 2008-02-06 エーユー オプトロ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離散パターン、該離散パターンを用いた光学部材、導光板、サイドライト装置および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04240294A (ja) * 2003-02-07 2004-08-2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パネル、並びにこの電気光学パネルを備えた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245658A (ja) * 2006-03-17 2007-09-27 Olympus Corp 画像記録装置に搭載される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ユニット
JP2007296638A (ja) * 2006-04-27 2007-11-15 Canon Inc 液体吐出記録ヘッド、液体吐出記録ヘッドその製造方法、及び液体吐出記録装置
EP2051003A4 (en) * 2006-06-16 2013-07-31 Fujifilm Corp Light guide plate. LIGHT PANEL ARRANGEMENT AND LIGHT LIGHTING DEVICE AND THEREOF US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305478B2 (ja) * 2006-08-11 2009-07-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状体の吐出方法、配線基板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有機el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2008307500A (ja) * 2007-06-18 2008-12-25 Konica Minolta Opto Inc 塗膜形成方法
JP2009051066A (ja) * 2007-08-26 2009-03-12 Sony Corp 吐出条件調整装置、液滴吐出装置、吐出条件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12954A (ja) * 2007-11-07 2009-05-28 Konica Minolta Opto Inc 塗布方法
JP5125666B2 (ja) * 2008-03-25 2013-01-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5423019B2 (ja) * 2008-07-04 2014-02-19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吐出ヘッド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625509B2 (ja) * 2010-06-08 2014-1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84716B2 (ja) * 2012-02-15 2014-09-03 住友化学株式会社 導光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678B2 (ja) * 1989-02-25 1994-04-06 日本精機株式会社 指示計器における照明調整膜のドットパターン
KR20010045037A (ko) * 1999-11-02 2001-06-05 윤종용 도트 패턴 형성 장치
US7575359B2 (en) * 2003-06-30 2009-08-18 Worldvision Co., Ltd. Light guide pla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and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tilizing same
US7455416B2 (en) * 2006-11-17 2008-11-25 Ichia Technologies, Inc. Light guide structure and keypad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68288A (ja) 2013-08-29
TW201337361A (zh) 2013-09-16
CN103257390A (zh) 2013-08-21
JP5584716B2 (ja) 2014-09-03
CN203149143U (zh) 201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779B1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도광판용 배광 패턴의 설계 방법,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
TWI572911B (zh) A light guide plate,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 penetrating type image display device, a design method for a light distribution pattern for a light guide pl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ight guide plate
KR101299774B1 (ko) 도광판, 면광원 장치,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및 도광판의 제조방법
US8789997B2 (en)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ransmission image display device
KR20120088589A (ko) 도광판용 자외선 경화형 잉크젯 잉크, 및 이를 사용하는 도광판
KR101943101B1 (ko) 도광판의 제조 방법
JP5877752B2 (ja) 導光板の製造方法
CN103649622A (zh) 光学片材的制造方法
JP2015076124A (ja) 導光板、面光源装置、透過型画像表示装置、導光板用配光パターンの設計方法、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JP5722055B2 (ja) 導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導光板、これを備えた面光源装置およ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US11442219B2 (en) Frustrum reflector plate
KR20230106379A (ko) 복합패턴으로 외관 시인성이 향상된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013448A (ko) 그룹화 패턴을 이용한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247270A (zh) 配置图案的设计方法、导光板的制造方法、面光源装置的制造方法以及透射式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JP2012145893A (ja) 光学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