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392B1 -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 - Google Patents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392B1
KR101299392B1 KR1020110086670A KR20110086670A KR101299392B1 KR 101299392 B1 KR101299392 B1 KR 101299392B1 KR 1020110086670 A KR1020110086670 A KR 1020110086670A KR 20110086670 A KR20110086670 A KR 20110086670A KR 101299392 B1 KR101299392 B1 KR 101299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steel sheet
fixing
ball screw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716A (ko
Inventor
고형열
이창용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3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shear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4Structure thereof, e.g. crystal structure
    • G01N33/2045De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편 고정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시편 고정 유니트는 전단부 일측에 위치되는 시편 안착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이동 위치가 고정 또는 해제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정 두께의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편 고정 유니트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SAMPLE FIXING UNIT STEEL SHEET SHEA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판 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폭의 강판 시편을 절단 위치에서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된 강판을 성형하거나 시험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서 강판을 일정의 규격으로 절단한다.
상기 강판은 강판 전단부를 사용하여 절단한다.
상기 강판은 성형 조건 또는 시험 검사 조건에 따라 일정 이하의 크기의 소폭을 갖는 시편으로 절단도 한다.
이와 관련되는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7661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정확한 크기로 절단하여 용이한 검사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압연제품용 시편 절단장치에 대하여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폭의 강판 소재를 전단부의 절단날의 근방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폭의 강판 소재의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시편을 고정할 수 있는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편 안착부 상에서 일정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소폭의 강판 시편이 고정되는 위치에서의 오정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단 장치에서 소폭의 강판 시편을 고정함으로써, 시편 고정시 절단날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단부 일측에 위치되는 시편 안착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이동 위치가 고정 또는 해제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정 두께의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시편 고정 유니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외부의 전류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류 공급부로부터 전류를 공급 받아 상기 시편 안착부의 일정 위치에 자력을 형성하여 위치가 고정되는 전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편 안착부 상에는, 상기 몸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레일홈에 레일 결합되는 레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편 고정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시편의 상단을 누르는 판 상의 시편 고정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편 고정편은, 상기 승강 부재의 전단에서 탈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에는, 상하를 따라 마련되는 볼 스크루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는, 상하를 따라 상기 볼 스크루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부재에는, 상기 안내홀을 통하여 상기 볼 스크루와 스크루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 부재와, 상기 결합부는 서로 착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편 안착부와; 상기 시편 안착부의 일측 상단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시편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갭을 형성하는 전단부와, 상기 시편 안착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갭에 위치되는 일정 이하의 소폭을 이루는 시편을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시편 고정 유니트를 포함하는 전단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시편 고정 유니트는, 상기 시편 안착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이동 위치가 고정 또는 해제되는 전자석인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정 두께의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편 고정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시편의 상단을 누르는 판 상의 시편 고정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에는, 상하를 따라 마련되는 볼 스크루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는, 상하를 따라 상기 볼 스크루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부재에는, 상기 안내홀을 통하여 상기 볼 스크루와 스크루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소폭의 강판 소재를 전단부의 절단날의 근방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폭의 강판 소재의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시편을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시편 안착부 상에서 일정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소폭의 강판 시편이 고정되는 위치에서의 오정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단 장치에서 소폭의 강판 시편을 고정함으로써, 시편 고정시 절단날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강판 전단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강판 전단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편 고정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Ⅱ-Ⅱ'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 부재와, 시편 고정편의 탈착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승강 부재와 결합부의 탈착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편 고정 유니트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강판 전단 장치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강판 전단 장치는 시편 안착부(100)와, 전단부(200)와, 시편 고정 유니트(300)로 구성된다.
상기 시편 안착부(100)의 상단은 평평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시편 안착부(100)의 상단에는 일정 폭 및 길이를 갖는 강판 시편(10)이 안착된다.
상기 전단부(200)는 상기 시편 안착부(100)의 일단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전단부(200)에는 승강 가능한 절단날(210)이 설치된다. 상기 절단날(210)은 도시되지 않은 승강 장치를 통하여 승강된다.
상기 절단날(210)의 하단은 강판 시편(10)을 절단할 수 있도록 칼날이 형성된다.
상기 시편 고정 유니트(300)는 상기 시편 안착부(100)의 상단에서 이동 가능하며, 일정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시편 고정 유니트(300)는 시편 안착부(100)에 형성되는 레일홈(110)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레일홈(110)은 전단부(200) 측을 따라 일정 길이를 이루어 시편 안착부(100)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레일홈(110)은 서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편 고정 유니트(300)는 상기 레일홈들(110) 중 어느 하나에 레일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시편 고정 유니트의 하단과 레일홈이 레일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을 참조 하면, 시편 고정 유니트(300)의 몸체(310) 하단에는 레일 돌기(312)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 돌기(312)는 시편 안착부(100)의 레일홈(110)에 레일 결합된다.
따라서, 시편 고정 유니트(300)의 몸체(310)는 레일홈(1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시편 고정 유니트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시편 고정 유니트(300)는 몸체(310)와, 시편 고정 부재(3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310)는 상하방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310)의 하단에는 상술한 레일 돌기(312)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310)의 일측부에는 상하를 따라 일정 길이를 갖고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안내홀(311)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홀(311)에는 볼 스크루(330)가 직립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볼 스크루(330)의 상단은 몸체(310)의 상단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볼 스크루(330)의 상단에는 회전 부재(331)가 설치된다.
상기 볼 스크루(330)의 하단은 안내홀(311)의 내측 하단에 회전 지지된다.
상기 볼 스크루(330)는 상기 안내홀(31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시편 고정 부재(320)는 상기 몸체(310)의 일측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시편 고정 부재(320)는 상기 볼 스크루(330)와 연결되며, 볼 스크루(3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정 위치로 승강 가능하다.
상기 시편 고정 부재(320)는, 승강 부재(321)와, 결합부(323)와, 시편 고정편(3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부재(321)는 상기 몸체(310)의 일측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결합부(323)는 승강 부재(3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23)는 상기 안내홀(311)에 위치되고, 상기 볼 스크루(330)와 스크루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23)에는 상기 볼 스크루(330)와 스크루 결합되는 스크루 결합홀(323a)이 형성된다.
상기 시편 고정편(320)은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시편 고정편(320)은 상기 승강 부재(3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돌출 형성된다.
상기 시편 고정편(320)은 소폭의 시편(10)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몸체(310)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310)는 전류 공급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310)는 전류 공급부(40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면, 자화되며, 금속으로 형성되는 시편 안착부(100) 상에 자력으로 인하여 고정된다.
역으로, 상기 몸체(310)는 전류 공급부(400)로부터의 전류 공급이 해제되면, 시편 안착부(400) 상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시편 고정 부재(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볼 스크루(330)를 사용하여 승강 가능한 구성 외에, 승강 동작 가능한 축을 갖는 엑츄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편 고정편이 승강 부재의 타단에서 탈착 가능한 예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승강 부재(321)의 타단에는 측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 1끼움홈(321a)이 형성된다.
상기 시편 고정편(322)의 단부에는 상기 제 1끼움홈(321a)에 끼움 결합되는 제 1끼움 돌기(32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끼움홈(321a)에 제 1끼움 돌기(322a)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시편 고정편(322)은 승강 부재(321)의 타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끼움홈(321a)에서 제 1끼움 돌기(322a)를 제거하면, 시편 고정편(322)은 승강 부재(321)의 타단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결합부가 승강 부재의 일단에서 탈착 가능한 예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결합부(323)의 일단에는 제 2끼움 돌기(323b)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 부재(321)의 일단에는 상기 제 2끼움 돌기(323b)가 끼움 결합되는 제 2끼움홈(321b)이 형성된다.
상기 제 2끼움홈(321b)에 제 2끼움 돌기(323b)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승강 부재(321)는 결합부(323)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끼움홈(321b)에서 제 2끼움 돌기(323b)를 제거하면, 승강 부재(321)는 결합부(323)의 일단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시편 고정 유니트 및 강판 전단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폭의 강판 시편(10)을 준비한다. 상기 강판 시편(10)은 시편 안착부(100)의 일단, 즉 전단부(200)의 하단에 위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시편 고정 유니트(300)는 시편 안착부(100) 상에서 레일홈(110)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시편 고정 유니트(300)를 강판 시편(10)의 근방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시편 고정 유니트(300)의 시편 고정편(322)은 상기 강판 시편(1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시편 고정 유니트(300)를 고정시킨다.
전류 공급부(400)는 몸체(310)로 일정의 전류를 공급한다. 전자석인 몸체(310)는 자화되어, 금속으로 형성되는 시편 안착부(100) 상에 고정된다.
다음, 시편 고정 부재(320)를 사용하여 강판 시편(10)을 고정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몸체(310)의 상단에 노출되는 회전 부재(33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부재(331)의 회전에 따라 볼 스크루(330) 역시 회전된다.
상기 볼 스크루(330)에 스크루 체결되는 시편 고정 부재(320)는 하강된다. 여기서, 상기 볼 스크루(330)에는 시편 고정 부재(320)의 결합부(323)가 스크루 결합된다.
상기 하강 위치는 시편 고정편(322)이 강판 시편(10)의 상단면을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시편 고정 부재(320)는 몸체(310)의 일측부에서 승강 가능하기 때문에, 소폭의 강판 시편(10)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강판 시편(10)을 고정한 이후에, 전단부(200)는 절단날(210)을 하강시켜, 강판 시편(10)의 일정 부분을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단 공정이 실시된 이후, 시편 고정 유니트(300)의 원위치의 복귀는 상술한 동작을 반대로 실시하면 이루어진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시편 고정편(322)은 승강 부재(321)의 타단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시편 고정편(322)이 장기간 반복 동작으로 인하여 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면, 다른 새로운 시편 고정편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폭이 다른 강판 시편(10)을 고정하는 경우에, 길이가 다른 시편 고정편을 교체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승강 부재(321)를 결합부(323)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승강 부재(321) 및 시편 고정편(322) 모두를 교체할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소폭의 강판 소재를 전단부의 절단날의 근방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소폭의 강판 소재의 두께에 용이하게 대응하여 시편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시편 안착부 상에서 일정의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소폭의 강판 시편이 고정되는 위치에서의 오정렬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전단 장치에서 소폭의 강판 시편을 고정함으로써, 시편 고정시 절단날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0 : 강판 시편 100 : 시편 안착부
110 : 레일홈 200 : 전단부
210 : 절단날 300 : 시편 고정 유니트
310 : 몸체 311 : 안내홀
312 : 레일 돌기 320 : 시편 고정 부재
321 : 승강 부재 321a : 제 1끼움홈
321b : 제 2끼움홈 322 : 시편 고정편
322a : 제 1끼움 돌기 323 : 걸림부
323a : 스크루 결합홀 323b : 제 2끼움 돌기
330 : 볼 스크루 331 : 회전 부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시편 안착부;
    상기 시편 안착부의 일측 상단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시편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갭을 형성하는 전단부
    상기 시편 안착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기 갭에 위치되는 일정 이하의 소폭을 이루는 시편을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시편 고정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고정 유니트는,
    상기 시편 안착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이동 위치가 고정 또는 해제되는 전자석인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정 두께의 시편을 고정하는 시편 고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고정 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시편의 상단을 누르는 판 상의 시편 고정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하를 따라 마련되는 볼 스크루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일측부에는, 상하를 따라 상기 볼 스크루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안내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부재에는, 상기 안내홀을 통하여 상기 볼 스크루와 스크루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 장치.
KR1020110086670A 2011-08-29 2011-08-29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 KR10129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670A KR101299392B1 (ko) 2011-08-29 2011-08-29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670A KR101299392B1 (ko) 2011-08-29 2011-08-29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716A KR20130023716A (ko) 2013-03-08
KR101299392B1 true KR101299392B1 (ko) 2013-08-22

Family

ID=48175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670A KR101299392B1 (ko) 2011-08-29 2011-08-29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445B1 (ko) 2016-07-26 2016-10-10 최성윤 강판 가공용 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9495A (ja) * 2004-08-12 2008-03-27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電気的位置決め駆動部を備えた機械
KR20080036756A (ko)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포스코 자동차강판의 고속충돌평가를 위한 프랜지 없는 시험편고정장치
KR100880484B1 (ko) * 2006-11-08 2009-01-28 주식회사 포스코 분석실 용강시편 자동완성 온라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9495A (ja) * 2004-08-12 2008-03-27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電気的位置決め駆動部を備えた機械
KR20080036756A (ko) * 2006-10-24 2008-04-29 주식회사 포스코 자동차강판의 고속충돌평가를 위한 프랜지 없는 시험편고정장치
KR100880484B1 (ko) * 2006-11-08 2009-01-28 주식회사 포스코 분석실 용강시편 자동완성 온라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445B1 (ko) 2016-07-26 2016-10-10 최성윤 강판 가공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716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376B1 (ko) 판체를 갖는 사출물 절단장치
KR101271919B1 (ko) 용접 소재 고정장치
KR102027824B1 (ko) 판재용 평탄도 측정장치
KR20160149680A (ko) 사출제품의 게이트 절단장치
KR101299392B1 (ko) 시편 고정 유니트 및 이를 갖는 강판 전단 장치
US20130313308A1 (en) Device for transverse seam welding
KR100966103B1 (ko) 배선용 전선보호 덕트 절단 장치
KR101389549B1 (ko) 캐비티 교환이 가능한 전단금형
KR100854306B1 (ko) 부스바 가공장치
KR101772752B1 (ko) 부스바용 펀칭장치
KR101166966B1 (ko)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JP2007040747A (ja) 表示パネルの電気検査装置
KR101181739B1 (ko) 스크라이브 기구
KR101952405B1 (ko) 프레스 슬라이드의 높이 측정 장치
JP2010017770A (ja) ツール取り付け装置
US2751945A (en) Router guide mechanism
KR20070001092U (ko) 타일 절단장치
CN110788169B (zh) 一种电梯地坎的折弯工艺及其折弯设备
CN107363300B (zh) 一种淋浴房电箱安装板的打孔定位装置
KR101794090B1 (ko) 금형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가공방법
KR101913279B1 (ko) 판재가공장치 및 판재가공방법
KR101794089B1 (ko) 금형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형가공방법
CN108332988B (zh) 一种用于小冲杆试验的取样装置
KR101853200B1 (ko) 자동 위치정렬 지그가 구비된 사출물 사상장치
JP5268049B2 (ja) フィルム状物裁断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