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075B1 -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075B1
KR101299075B1 KR1020100088192A KR20100088192A KR101299075B1 KR 101299075 B1 KR101299075 B1 KR 101299075B1 KR 1020100088192 A KR1020100088192 A KR 1020100088192A KR 20100088192 A KR20100088192 A KR 20100088192A KR 101299075 B1 KR101299075 B1 KR 101299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s
plate
sole
coupled
ind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153A (ko
Inventor
이태용
Original Assignee
이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용 filed Critical 이태용
Priority to KR1020100088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0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4Foo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5Supports or holder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용 인덴터(indentor)와; 발바닥의 특정부위의 강도측정을 위해 발바닥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발바닥 위치 설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발바닥 위치 설정장치는, 발바닥의 중간부분 및 뒷부분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제1플레이트와;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발바닥의 앞부분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부분을 지정하고, 상기 인덴터가 실장되도록 하기 위해 뒷면의 특정부위에 개구가 형성된 제2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양쪽 가장자리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링크들과;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링크들 각각과 결합되는 제2링크들과; 일단이 상기 제2링크들 각각과 힌지(hinge)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양쪽 하단부와 결합되는 제3링크들과; 상기 제2링크들 중 하나의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들 중 하나의 제3링크의 힌지결합된 부분에 브라킷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쉽게 당뇨 등의 질환 진단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Indentor system for measuring elasticity of plantar soft tissue }
본 발명은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바닥 연부 조직의 강도측정을 통해 당뇨진단 등을 할 수 있는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성 족부질환은 혈액순환의 장애, 신경병성 장애, 피부질환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나타난다. 신경병성 장애의 경우 운동신경의 장애로 인한 발바닥의 압력 변화, 감각신경 장애에 의한 보호기능의 약화, 자율신경의 장애로 인한 피부 건조화 등으로 발의 상처를 초래한다. 혈액순환 장애는 대혈관에서 소혈관으로 분지되는 경비동맥(tibio-peroneal artery) 부위에서 발생되는 동맥경화로 인하여 피부나 말단의 조직의 혈류공급이 차단되어 괴저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전으로 발생된 발의 상처들은 궤양이나 감염 등을 쉽게 유발하는데 이 경우 일반적으로 상처가 잘 낫지도 않고 치유기간이 오래 걸리며 예후도 좋지 않다.
이러한 질환들을 가진 환자에게 가장 문제가 되는 곳은 발바닥으로, 발바닥은 하루종일 많은 시간동안 신체를 지지하고 있으며, 보행 시 끊임없이 바닥면과 접촉하여 마찰한다. 따라서 당뇨질환을 가진 사람의 발바닥은 보통 사람과 달리 건조하고 딱딱한 편이다.
이에 따라 당뇨환자의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는 보통사람의 연부조직의 강도와 다르다. .
따라서, 발바닥의 연부조직의 강도 측정을 통해 당뇨를 손쉽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바닥의 연부조직의 강도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용 인덴터(indentor)와; 발바닥의 특정부위의 강도측정을 위해 발바닥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발바닥 위치 설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발바닥 위치 설정장치는, 발바닥의 중간부분 및 뒷부분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제1플레이트와;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발바닥의 앞부분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부분을 지정하고, 상기 인덴터가 실장되도록 하기 위해 뒷면의 특정부위에 개구가 형성된 제2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양쪽 가장자리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링크들과;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링크들 각각과 결합되는 제2링크들과; 일단이 상기 제2링크들 각각과 힌지(hinge)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양쪽 하단부와 결합되는 제3링크들과; 상기 제2링크들 중 하나의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들 중 하나의 제3링크의 힌지결합된 부분에 브라킷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부면에 상기 제1링크들의 수평방향 이동을 위한 수평방향 가이드 홈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들 각각에는 상기 제2링크들 각각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한 수직방향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링크들 각각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수평방향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인덴터(indentor)는 액추에이터 및 스테핑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바닥의 연부조직의 강도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어 손쉬운 당뇨진단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덴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인덴터 시스템을 이용한 발바닥 연부조직 강도측정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indenter,indentor)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정면에서 본 것이고, 도 2는 후면에서 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텐더 시스템은 휴대용 인덴터(200)와 발바닥 위치 설정장치(100)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용 인덴터(200)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잘 알려진 휴대용 인덴터가 이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인덴터는 액추에이터와 스테핑 모터를 구비하고 있으며, 반구형의 프로빙 팁(probing tip)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바닥 위치 설정장치(100)는 발바닥 위치 설정을 위한 것으로, 제1플레이트(120), 제2플레이트(110), 제1링크들(130), 제2링크들(140), 제3링크들(150), 및 핸들(160)을 구비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120)는 발바닥의 중간부분 및 뒷부분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에 상기 제1링크들(130)의 수평방향 이동을 위한 수평방향 가이드 홈들(12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방향 가이드 홈들(122)은 상기 제1플레이트(120)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10)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발바닥의 앞부분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부분을 지정하고, 상기 인덴터(200)가 실장되도록 하기 위해 뒷면의 특정부위에 개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112)에 상기 인덴터(200)의 프로브팁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들(130)은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1플레이트(120)의 양쪽 가장자리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120)와 결합된다. 상기 제1링크들(130)은 상기 제1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수평방향 가이드 홈들(12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120)와 결합된다.
상기 제1링크들(130) 각각에는 상기 제2링크들(140) 각각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한 수직방향 가이드 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제2링크들(140)은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링크들(130) 각각과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2링크들(140)은 상기 제1링크들(130)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 가이드 홈(132)을 따라 수직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링크들(130)과 결합된다.
상기 제3링크들(150)은 일단이 상기 제2링크들(140) 각각과 힌지(hinge)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110)의 양쪽 하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제3링크들(150) 각각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1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수평방향 가이드 홈들(1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플레이트(110)는 상기 제3링크들(150)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 가이드 홈들(152)을 따라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핸들(160)은 상기 제2링크들(140) 중 하나의 제2링크(140)와 상기 제3링크들(150) 중 하나의 제3링크(150)의 힌지결합된 부분에 브라킷(155)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120)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발바닥 위치 설정장치(100) 및 인덴터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플레이트(120)에 발바닥의 중간부분 및 뒷부분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110)에 발바닥의 앞부분이 위치되도록 한다. 정확하게는, 발의 중족골-지골 접합부(metatarsal phalange joint)부분이 상기 제1플레이트(120)와 상기 제2플레이트(110)의 경계지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발바닥의 정확한 위치선정을 위해 상기 제1링크들(130)의 수평방향 이동, 상기 제2링크들(140)의 수직방향 이동, 상기 제2플레이트(110)의 수평방향 이동을 수행하며, 상기 핸들(160)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플레이트(120)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110)를 적절히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발바닥의 정확한 위치선정이 되면, 도 3에 나타난 사진에서와 같이 발바닥이 위치되게 되고, 상기 발바닥의 연부조직(soft tissue)이 상기 제2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인덴터(200)를 이용하여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인덴터(200)를 통해 측정된 연부조직의 강도는 컴퓨터로 전송되어, 프로그램 연동을 통해 당뇨환자 여부를 진단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바닥의 연부조직 강도측정을 통해 손쉽게 당뇨환자의 진단이 가능해진다. 이외에도 발바닥 질환이 있는 환자의 다양한 진단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제2플레이트 120 : 제1플레이트
130 : 제1링크들 140 : 제2링크들
150 ; 제3링크들 160 : 핸들
200 : 인덴터

Claims (3)

  1.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용 인덴터(indentor)와;
    발바닥의 특정부위의 강도측정을 위해 발바닥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발바닥 위치 설정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발바닥 위치 설정장치는,
    발바닥의 중간부분 및 뒷부분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제1플레이트와;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발바닥의 앞부분의 특정부위가 위치되는 부분을 지정하고, 상기 인덴터가 실장되도록 하기 위해 뒷면의 특정부위에 개구가 형성된 제2플레이트와;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양쪽 가장자리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링크들과;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링크들 각각과 결합되는 제2링크들과;
    일단이 상기 제2링크들 각각과 힌지(hinge)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양쪽 하단부와 결합되는 제3링크들과;
    상기 제2링크들 중 하나의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들 중 하나의 제3링크의 힌지결합된 부분에 브라킷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덴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부면에 상기 제1링크들의 수평방향 이동을 위한 수평방향 가이드 홈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들 각각에는 상기 제2링크들 각각의 수직방향 이동을 위한 수직방향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링크들 각각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가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위한 수평방향 가이드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덴터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인덴터(indentor)는 액추에이터 및 스테핑 모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덴터 시스템.
KR1020100088192A 2010-09-09 2010-09-09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 KR10129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92A KR101299075B1 (ko) 2010-09-09 2010-09-09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92A KR101299075B1 (ko) 2010-09-09 2010-09-09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153A KR20120026153A (ko) 2012-03-19
KR101299075B1 true KR101299075B1 (ko) 2013-08-27

Family

ID=46132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192A KR101299075B1 (ko) 2010-09-09 2010-09-09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0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401A (ko) * 2016-12-28 2018-07-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후족부 연부조직의 기계적 물성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19006B1 (ko) 2022-11-29 2023-12-28 주식회사 휴먼퍼포먼스랩 비체중부하 상태의 발바닥 압력 및 강성측정을 위한 인덴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682B1 (ko) 2000-07-03 2002-12-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감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450798B1 (ko) 2002-01-16 200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부 저항 측정 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682B1 (ko) 2000-07-03 2002-12-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감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0450798B1 (ko) 2002-01-16 200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부 저항 측정 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7401A (ko) * 2016-12-28 2018-07-0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후족부 연부조직의 기계적 물성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933181B1 (ko) * 2016-12-28 2018-12-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후족부 연부조직의 기계적 물성치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619006B1 (ko) 2022-11-29 2023-12-28 주식회사 휴먼퍼포먼스랩 비체중부하 상태의 발바닥 압력 및 강성측정을 위한 인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153A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001B1 (ko) 신경기능 검사장치
Meerwaldt et al. Increased accumulation of skin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precedes and correlate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diabetic neuropathy
D'Andrea et al. Right ventricular myocardial dysfunction in adult patients late after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RU25895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ценки диабетической периферической нейропатии
KR20050076428A (ko) 비침습적 체내성분 측정장치 및 방법
RU2547800C1 (ru) Способ выявления микроциркуляторных нарушений у больных с нарушениями углеводного обмена
KR101299075B1 (ko) 발바닥 연부조직의 강도측정을 위한 인덴터 시스템
Péter et al. Effect of footwear on intramuscular EMG activity of plantar flexor muscles in walking
Teoh et al. Identification of potential plantar ulceration among diabetes patients using plantar soft tissue stiffness
Atlas et al. Utilization of the foot load monitor for evaluating deep plantar tissue stresses in patients with diabetes: proof-of-concept studies
CN116172597A (zh) 一种获取足底软组织粘弹性力学属性的方法
Wilder-Smith et al. Effect of steriod therapy on parameters of peripheral autonomic dysfunction in leprosy patients with acute neuritis
US202201836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or determining at least one biomechanical parameter of soft biological tissues
KR20110047436A (ko) 피부 마찰계수 측정장치 및 그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Chapman Improving the design of the curved rocker shoe for people with diabetes
JP2011110083A (ja) 皮膚組織測定用プローブ
Azzarello Reliability and limitations of the durometer and pressurestat to measure plantar foot characteristics in Native Americans with diabetes
RU2499544C2 (ru) Способ эластометрической диагностики тканевых изменений при синдроме диабетической стопы
Coates Podiatric skin health sensing in the diabetic foot
CN213155887U (zh) 一种裸关节活动度测量装置
KR102248962B1 (ko) Mmi프로그램을 활용한 족부 대상의 근육활성도검사장치
US20240023829A1 (en) Foot structure and function assessment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RU2405443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оказаний к проведению хирургической операции при первичной закрытоугольной глаукоме с синдромом плоской радужки
KR200352568Y1 (ko) 당뇨성 말초혈관 및 신경 기능장애 검사 장치
Noshadi et al. Lightweight context-aware smart insole for gait analysis, research and rehabil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