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979B1 - 고형 입자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고형 입자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979B1
KR101298979B1 KR1020130025590A KR20130025590A KR101298979B1 KR 101298979 B1 KR101298979 B1 KR 101298979B1 KR 1020130025590 A KR1020130025590 A KR 1020130025590A KR 20130025590 A KR20130025590 A KR 20130025590A KR 101298979 B1 KR101298979 B1 KR 101298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unit
lines
combined
positive pressure
confl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022A (ko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라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라카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라카나
Priority to KR1020130025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9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979B1/ko
Priority to PCT/KR2014/001786 priority patent/WO20141424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6Gates or sluices, e.g. rotary wheels
    • B65G53/4608Turnable elements, e.g. rotary wheels with pockets or passages for material
    • B65G53/4625Turnable elements, e.g. rotary wheels with pockets or passages for material with axis of turning perpendicular to flow
    • B65G53/4633Turnable elements, e.g. rotary wheels with pockets or passages for material with axis of turning perpendicular to flow the element having pockets, rotated from charging position to discharging position, i.e. discrete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 입자가 저장되게 되는 복수개의 말단 사일로의 하부 각각에 마련된 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상류단에 압력원의 토출측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양압라인; 상기 복수개의 양압라인들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2개의 양압라인들의 하류단이 각각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접속된 제1합류라인의 상류단이 상부에 접속된 제1병합사일로; 및 상기 2개의 양압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개의 양압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이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로터리밸브의 토출측 각각이 도중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이 상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병합사일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합류라인의 하류단이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사일로 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사일로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최상류단에 배치된 상기 제2병합사일로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사일로의 제2합류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은 하류측으로 바로 인접한 제2병합사일로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병합사일로의 내압을 정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개재되는 고형 입자 이송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고형입자이송장치의 제조비용을 종래보다 저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형 입자 이송 장치{solid matter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형 입자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저장소에 저장된 고형 입자를, 양압원과 음압원을 이용하여, 메인 저장소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체, 알갱이, 파쇄물 등과 같은 통상의 고형 입자는, 가공, 선적, 운송 등을 위해, 제1저장소에 저장되었다가 제2저장소로 이송되게 된다.
이를 위한 이송타입은 컨베이어 이송 타입과 유체이송 타입이 있다.
특히, 유체이송타입은 사이클론으로 된 제2저장소를 음압원에 접속시키고, 통기구를 가진 제1저장소에 상기 제2저장소의 고형 입자 흡입구에 접속시켜서 상기 제2저장소 내를 음압으로 만드는 송풍기의 날개부에 고형 입자를 비접촉시키는 제1방안과, 호퍼형상으로 되어 하단출구에 로터리밸브가 개재된 제1저장소의 출구에 양압원을 접속시키고 상기 양압원에 일단이 접속된 이송라인의 타단에 통기구를 가진 제2저장소의 입구에 접속시켜서 양압원을 형성시키는 불로워의 날개부에 고형 입자를 비접촉시키는 제2방안, 그리고 제1 및 제2저장소에 입구와 출구를 접속되게 제1 및 제2저장소 사이에 이송펌프를 개재시켜 음압원을 형성시키는 펌프의 날개부에 고형 입자를 접촉시키는 제3방안이 있다.
이러한 방안들은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제1저장소에서 제2저장소로 고형 입자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방안들중 제3방안은 고형 입자의 이송력을 제공하는 날개부에 고형 입자를 접촉시키기 때문에, 고형 입자가 예를 들면 음식물을 포함하는 생활쓰레기인 경우에는 날개부에 손상을 주거나 달라 붙을 염려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제1 및 제2방안은, 고형 입자의 이송력을 제공하는 날개부에 고형 입자를 비접촉시키기 때문에, 상기 날개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고형 입자가 상기 날개부에 달라 붙지 않는 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만, 여러 저장소에 저장된 고형 입자를 모아서 원거리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이송관의 직경이 비대해지고 이송을 위한 압력원을 발생시키는 송풍기가 비대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의 고형입자 이송장치를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007779호에 개시한 바 있다.
상기 개시된 고형입자 이송장치는 고형 입자가 각각 저장되어 있고 하단에 로터리밸브가 각각 마련된 복수개의 말단 사일로, 상류단이 대기와 통기되어 있고 도중에 상기 복수개의 사일로 각각에 마련된 로터리밸브의 토출측에 접속되어 있는 음압라인의 하류단에 상부가 접속되어 있고 하단에 로터리밸브가 마련되고 도중에 음압원발생기가 접속된 토출라인의 상류단이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중간사일로, 및 토출측에 배출라인이 접속된 로터리밸브가 하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토출라인의 하류단이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최종사일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형입자 이송장치는 고형 입자의 이송력을 제공하는 응압원발생기에 고형 입자를 비접촉시켜, 상기 음압원발생기 또는 고형 입자를 손상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하나의 음압원발생기에 의해 말단 저장소에서 최종 저장소로 고형입자를 이송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이송관의 직경을 증대시키지도 않고 그리고 음압원발생기를 증대시키지도 않고서도 장거리에 배치된 최종 사일로에 고형입자를 이송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고형입자 이송장치는 복수개의 말단 사일로에서 동시에 배출되는 고형입자를 하나의 음압원라인에서 건네어 받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음압원라인의 직경과 두께가 증대되고, 이에 따라 음압원발생장치의 동력도 증대되어 설치 및 유지보수비용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국실용공개 제20-1988-0021812(1988.12.24) 한국특허공개 제10-1997-0032360(1997.07.22) 한국특허등록 제10-1201295(2012.11.08)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고형 입자가 저장되게 되는 복수개의 말단 사일로의 하부 각각에 마련된 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상류단에 압력원의 토출측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양압라인; 상기 복수개의 양압라인들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2개의 양압라인들의 하류단이 각각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접속된 제1합류라인의 상류단이 상부에 접속된 제1병합사일로; 상기 2개의 양압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개의 양압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이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로터리밸브의 토출측 각각이 도중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이 상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병합사일로;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사일로 중에서 최하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사일로의 제2합류라인의 하류단에 상부가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로터리밸브가 도중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속 보다 상류측의 도중에 압력원의 흡입측과 토출측이 개재되어 접속된 토출라인의 상류단이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중간사일로; 및 상기 토출라인의 도중에 접속된 로터리밸브가 하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토출라인의 하류단이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최종사일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합류라인의 하류단이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사일로 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사일로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최상류단에 배치된 상기 제2병합사일로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사일로의 제2합류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은 하류측으로 바로 인접한 제2병합사일로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병합사일로의 내압을 정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개재되는 고형 입자 이송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최종사일로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이를 배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중간사일로에 통기구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그리고 중간사일로에 압련원과 토출라인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최종사일로 및 중간사일로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이를 배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최하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사일로에 통기구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상기 최하류단측의 제2병합사일로에 제2합류라인이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들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고형 입자의 이송력을 제공하는 압력원에 고형 입자를 비접촉시켜, 상기 압력원 또는 고형 입자를 손상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병합사일로가 상기 제1 및 제2병합릴리프밸브에 의해 정압으로 유지되고 말단로터리밸브 및 제1 및 제2병합로터리밸브의 밸브판 회전속도에 따라 이송될 고형입자의 양이 조절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양압라인과 제1 및 제2합류라인의 직경과 두께를 증대시키지도 않서도 고형입자를 이송시킬 수 있어서, 고형입자이송장치의 제조비용을 종래보다 저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압력원의 동력도 작아지게 되어 운영 및 유지보수비용이 종래보다 저렴하게 된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입자이송장치의 전체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고형입자이송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입자이송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고형입자이송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최종통기구(11)와 최종고형입자흡입구(14)가 마련되어 있고 하단에 고형 입자가 배출되는 최종로터리밸브(13)가 마련된 호퍼 형상의 최종저장부(10); 상단에 중간고형입자흡입구(24)와 중간공기흡입구(22)가 마련되어 있고 하단에 고형 입자가 배출되는 중간로터리밸브(23)가 마련된 호퍼 형상의 중간저장부(20); 최종고형입자흡입구(14)에 하류단이 접속되어 있고 도중에 중간로터리밸브(23)의 토출측이 접속되어 있고 상류측에 압력원(F)의 흡입측과 토출측이 개재되어 있고 상류단이 중간공기흡입구(22)에 접속되어 있는 토출라인(25); 및 고형 입자가 저장되게 되는 복수개의 말단 저장부(30)의 하부 각각에 마련된 말단로터리밸브(33)의 토출측이 도중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상류단에 압력원(40)의 토출측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양압라인(35); 상기 복수개의 양압라인(35)들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2개의 양압라인들의 하류단이 각각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제1병합로터리밸브(53)의 토출측이 도중에 접속된 제1합류라인(55)의 상류단이 상부에 접속된 제1병합저장부(50); 및 상기 2개의 양압라인(35)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개의 양압라인(35)들 각각의 하류단이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제2병합로터리밸브(63)의 토출측 각각이 도중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합류라인(65)의 상류단 각각이 상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60) 중에서 최하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60)의 제2합류라인(65)의 하류단에는 상기 중간저장부(20)의 중간고형입자흡입구(2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합류라인(55)의 하류단이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60) 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60)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최상류단에 배치된 상기 제2병합저장부(60)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60)의 제2합류라인(65)들 각각의 하류단은 하류측으로 바로 인접한 제2병합저장부(60)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합류라인(55, 65)의 상류단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병합저장부의 내압을 정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병합릴리프밸브(56, 66)가 각각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병합릴리프밸브(56, 66)는 상기 제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의 내부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면 통기되는 밸브이어서, 2개의 양압원(40)에 의해 제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에 외기와 고형입자에 유입되어 제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의 내압이 일정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압력의 상승에 따른 제1 및 제2합류라인(55, 65)의 구조적 직경이나 두께의 증가를 야기하지 않는 작용을 한다.
상기 복수개의 말단저장부(30) 각각은, 고형입자가 투입되는 투입부(34)가 밸브(V)를 개재하여 상단에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내부를 외부와 통기시키는 말단통기구(31)를 상단에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말단통기구(31)에는 말단저장부(30)의 내부에 저장된 고형입자가 외부를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통과시는 말단필터(36)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중간공기흡입구(22)에는 고형입자를 여과하는 중간필터(26)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 2병합저장부(50, 60)의 제 1 및 제2병합공기흡입구(52, 62) 각각에는 제1 및 제2병합필터(57, 67)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최종통기구(11)에는 최종저장부(10)에 유입된 고형입자는 걸러지고 공기는 외부로 통과시키는 최종필터(16)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최종저장부(10)에는 고형입자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최종배출라인(19)이 최종로터리밸브(13)의 토출측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최종배출라인(19)의 하류단에는 밸브(V)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최종 및 중간저장부(10, 20) 그리고 제 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가 사이클론형상부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최종 및 중간저장부(10, 20)의 상단일측에 최종 및 중간고형입자흡입구(14, 24)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제 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의 상단일측에도 제 1 및 제2병합고형입자흡입구(부호없이 도시됨)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최종통기구(11) 및 중간공기흡입구(22) 및 제 1 및 제2병합공기흡입구(52, 62)가 상기 최종 및 중간저장부(10, 20) 및 제 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의 상단 중앙에 각각 접속되어 있면, 상기 최종 및 중간고형입자흡입구(14, 24) 및 제 1 및 제2병합고형입자흡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고형 입자가 상기 최종 및 중간저장부(10, 20) 및 제 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 내에서 자중 및 원심력에 의해 최종 및 중간로터리밸브(13, 23) 및 제1 및 제 2병합로터리밸브(53, 63) 쪽으로 낙하하게 되어, 상기 최종 및 중간필터(16, 26) 및 제1 및 제2병합필터(57, 67)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최종통기구 및 중간공기흡입구(11, 22)에 각각 개재된 최종 및 중간필터(16, 26) 및 및 제 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 에 각각 개재된 제1 및 제2병합필터(57, 67)가 배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최종 및 중간저장부(10, 20) 및 제 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의 내부 형상은 호퍼형상, 수평방향으로 기다란 원통형상, 또는 육면체형상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상기 최종 및 중간저장부(10, 20)의 밑면이 상기 최종 및 중간 로터리밸브(13, 23)의 입구와 같은 면적을 갖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말단 로터리밸브(13, 23, 33) 및 제1 및 제2병합로터터리밸브(53, 63) 대신에, 흡입측과 토출측이 개폐시에 서로에 대하여 기밀이 유지되는 개폐수단이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원(F)은 공지된 송풍기(fan)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단, 병합, 중간 로터리밸브들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접속되어 그 가동시기, 가동시간, 밸브판의 회전속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로서 최종저장부(10)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이를 배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중간저장부(20)에 필터를 개재한 중간통기구(21)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그리고 중간저장부(20)에 압력원(F)과 토출라인(25)이 배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최종저장부(10) 및 중간저장부(20)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이를 배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최하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60)에 필터를 개재한 병합통기구(61)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제2병합저장부에 제2합류라인이 배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고형입자이송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말단저장부(30)에 상기 투입부(34)를 통하여 고형 입자가 저장된 다음, 최상류측에 배치된 제1말단저장부(30)의 말단로터리밸브(33)와 압력원(40)이 작동하게 되면, 최상류측에 배치된 양압라인(35)을 경유하여 바로 하류측으로 이웃하는 제1병합저장부(50)로 상기 제1말단저장부(30)에 저장된 고형 입자을 이송하여 저장되게 된다.
그 다음, 최상류측 제1말단저장부(30)에 바로 하류측으로 인접한 제2말단저장부(30)의 말단로터리밸브(33)와 압력원(40)을 가동하게 되면, 제2말단저장부(30)에 저장된 고형입자가 상기 제1병합저장부(50)에 유입되었다가 기존 상기 제1병합저장부(50)에 저장된 고형입자와 함께 제1합류라인(55)을 유하여 최상류측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60)로 저장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최상류측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60)에 양압라인(35)을 통하여 접속된 제3말단저장부(30)의 말단로터리밸브(33)와 압력원(40)을 가동하게 되면, 제3말단저장부(30)의 양압라인(35)을 통하여 제3말단저장부(30)의 고형입자가 상기 최상류측의 제2병합저장부(60)에 유입되었다가 기존 상기 최상류측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60)에 저장된 고형입자와 함께 제2합류라인(65)을 경유하여 하류측으로 바로 이웃하는 배치된 최하류측의 제2병합저장부(60)로 저장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최하류측의 제2병합저장부(60)에 양압라인(35)을 통하여 접속된 최하류 말단저장부(30)의 말단로터리밸브(33)와 압력원(40)을 가동하게 되면, 최하류 말단저장부(30)의 양압라인(35)을 통하여 최하류 말단저장부(30)의 고형입자가 상기 최하류측의 제2병합저장부(60)에 유입되었다가 기존 상기 최하류측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60)에 저장된 고형입자와 함께 중간저장부(20)로 저장되게 된다.
그 다음, 중간저장부(20)의 중간로터리밸브(23)와 압력원(F)을 가동하게 되면, 중간 저장부(20)에 저장된 고형입자가 원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최종저장부(10)로 이송되게 된다.
여기에서, 최종저장부(10)에 고형입자와 함께 유입된 공기는 최종통기구(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최종저장부(10)에 저장된 고형입자는 최종로터리밸브(13)가 가동됨에 따라 배출라인(19)을 경유하여 고형입자의 운반차량, 컨베이어, 가공처, 수거대 등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최종저장부(10)가 필요없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배제할 수 있으며, 중간저장부(20)에 고형입자와 함께 유입된 공기는 중간통기구(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최종저장부(10) 및 중간저장부(20)가 필요없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최하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60)에 고형입자와 함께 유입된 공기는 병합통기구(6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실시예들의 고형입자이송장치는 고형 입자의 이송력을 제공하는 압력원에 고형 입자를 비접촉시켜, 상기 압력원 또는 고형 입자를 손상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병합저장부가 상기 제1 및 제2병합릴리프밸브에 의해 정압으로 유지되고 말단로터리밸브 및 제1 및 제2병합로터리밸브의 밸브판 회전속도에 따라 이송될 고형입자의 양이 조절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양압라인과 제1 및 제2합류라인의 직경과 두께를 증대시키지도 않고서도 고형입자를 이송시킬 수 있어서, 고형입자이송장치의 제조비용을 종래보다 저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압력원의 동력도 작아지게 되어 운영 및 유지보수비용이 종래보다 저렴하게 된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고형입자이송장치의 말단저장소가,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특허등록 제10-1201295호에 개시된, 수납실로 대처되면, 아파트 등의 집합주택의 여러 동마다의 세대별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를 말단저장소에 모아서 중간저장소로 경유하여 최종저장소로 자동으로 용이하게 그리고 집합주택 주변의 청결을 유지하면서 배출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10; 최종저장부, 20; 중간저장부 30; 말단저장부

Claims (10)

  1. 고형 입자가 저장되게 되는 복수개의 말단 저장부의 하부 각각에 마련된 말단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상류단에 압력원의 토출측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양압라인;
    상기 복수개의 양압라인들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2개의 양압라인들의 하류단이 각각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제1병합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접속된 제1합류라인의 상류단이 상부에 접속된 제1병합저장부;
    상기 2개의 양압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개의 양압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이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제2병합로터리밸브의 토출측 각각이 도중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이 상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 중에서 최하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의 제2합류라인의 하류단에 상부가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중간로터리밸브가 도중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접속 부위 보다 상류측의 도중에 압력원의 흡입측과 토출측이 개재되어 접속된 토출라인의 상류단이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중간저장부; 및
    최종로터리밸브가 하단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토출라인의 하류단이 상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최종통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최종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합류라인의 하류단이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 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최상류단에 배치된 상기 제2병합저장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의 제2합류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은 하류측으로 바로 인접한 제2병합저장부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병합저장부의 내압을 정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입자 이송 장치.
  2. 고형 입자가 저장되게 되는 복수개의 말단 저장부의 하부 각각에 마련된 말단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상류단에 압력원의 토출측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양압라인;
    상기 복수개의 양압라인들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2개의 양압라인들의 하류단이 각각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제1병합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접속된 제1합류라인의 상류단이 상부에 접속된 제1병합저장부;
    상기 2개의 양압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개의 양압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이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제2병합로터리밸브의 토출측 각각이 도중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이 상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 중에서 최하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의 제2합류라인의 하류단에 상부가 접속되어 있고, 중간통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중간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합류라인의 하류단이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 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최상류단에 배치된 상기 제2병합저장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의 제2합류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은 하류측으로 바로 인접한 제2병합저장부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병합저장부의 내압을 정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입자 이송 장치.
  3. 고형 입자가 저장되게 되는 복수개의 말단 저장부의 하부 각각에 마련된 말단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각각의 상류단에 압력원의 토출측이 각각 접속된 복수개의 양압라인;
    상기 복수개의 양압라인들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2개의 양압라인들의 하류단이 각각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제1병합로터리밸브의 토출측이 도중에 접속된 제1합류라인의 상류단이 상부에 접속된 제1병합저장부; 및
    상기 2개의 양압라인을 제외한 나머지 복수개의 양압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이 밸브를 개재하여 상부에 접속되어 있고, 하부에 마련된 제2병합로터리밸브의 토출측 각각이 도중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이 상부에 접속된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에서 최하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에는 제2합류라인이 접속되지 않도록 배제된 상태에서 병합통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합류라인의 하류단이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 중에서 최상류단에 배치된 제2병합저장부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최상류단에 배치된 상기 제2병합저장부를 제외한 나머지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저장부의 제2합류라인들 각각의 하류단은 하류측으로 바로 인접한 제2병합저장부의 상부에 밸브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합류라인의 상류단 각각에는 상기 제1 및 제2병합저장부의 내압을 정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입자 이송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원들은 송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입자이송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로터리밸브, 상기 제1병합로터리밸브, 및 상기 복수개의 제2병합로터리밸브는 흡입측과 토출측이 개폐시에 서로에 대하여 기밀이 유지되는 개폐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입자이송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병합저장부와 상기 제1합류라인 사이에는 제1병합필터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제2병합저장부와 상기 제2합류라인 사이에는 제2병합필터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입자이송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2병합저장부(50, 60)는 사이클론형상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입자이송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통기구에는 필터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입자이송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통기구에는 필터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형입자입자이송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통기구에는 필터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입자이송장치.
KR1020130025590A 2013-03-11 2013-03-11 고형 입자 이송 장치 KR101298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590A KR101298979B1 (ko) 2013-03-11 2013-03-11 고형 입자 이송 장치
PCT/KR2014/001786 WO2014142461A1 (ko) 2013-03-11 2014-03-05 고형 입자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590A KR101298979B1 (ko) 2013-03-11 2013-03-11 고형 입자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022A KR20130058022A (ko) 2013-06-03
KR101298979B1 true KR101298979B1 (ko) 2013-08-23

Family

ID=4885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590A KR101298979B1 (ko) 2013-03-11 2013-03-11 고형 입자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8979B1 (ko)
WO (1) WO2014142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4898B (zh) * 2021-09-15 2024-05-24 北京首钢股份有限公司 一种防堵塞卸料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2739B2 (ja) * 1999-03-12 2004-12-15 株式会社 ワイ・エム・エス 空気輸送式粉粒体貯蔵供給装置
KR20070011356A (ko) * 2004-03-03 2007-01-24 마리캡 오이 재료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
KR20120011818A (ko) * 2010-07-26 2012-02-08 펠레트론 코오포레이션 입자성 재료를 위한 공압식 운반 프로세스
KR20130025920A (ko) * 2013-01-24 2013-03-12 이춘우 고형 입자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8046B2 (ja) * 2011-04-07 2015-06-1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石炭ガス化石炭移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2739B2 (ja) * 1999-03-12 2004-12-15 株式会社 ワイ・エム・エス 空気輸送式粉粒体貯蔵供給装置
KR20070011356A (ko) * 2004-03-03 2007-01-24 마리캡 오이 재료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
KR20120011818A (ko) * 2010-07-26 2012-02-08 펠레트론 코오포레이션 입자성 재료를 위한 공압식 운반 프로세스
KR20130025920A (ko) * 2013-01-24 2013-03-12 이춘우 고형 입자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022A (ko) 2013-06-03
WO2014142461A1 (ko)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6041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pneumatic material conveying system, and a waste conveying system
US8702399B2 (en) Pump apparatus
CN203903211U (zh) 负压输送装置
CN202609584U (zh) 一种真空吸料装置
US20180282081A1 (en) Grain conveying apparatus using air
JP7041984B2 (ja) 空気式搬送機
KR101298979B1 (ko) 고형 입자 이송 장치
CN110203703A (zh) 一种真空连续吸料系统及送料方法
FI125446B (fi)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syöttöpiste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KR101266089B1 (ko) 고형 입자 이송 장치
KR100884812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CN103754646A (zh) 真空吸料装置
CN203820054U (zh) 降尘集料输送装置
CN103303682A (zh) 一种空分塔输砂装置
CN207158341U (zh) 一种智能化颗粒输送机
CN103863820A (zh) 一种物料传输系统及物料传输方法
CN204278461U (zh) 一种用于塑料挤出机的真空上料机
CN105692209A (zh) 一种颗粒输送机
FI126185B (fi) Menetelmä materiaalin käsittelemiseksi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ssä,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 ja materiaalinsiirtojärjestelmän erotinlaite
KR101937908B1 (ko) 더스트의 보일러 투입시스템
CN201340179Y (zh) 一种聚酯切片的真空输送装置
KR20170028526A (ko) 반도체 공장 배기덕트로부터 분진 포집, 이송 및 배출 시스템
KR20100109700A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CN205060953U (zh) 气力输送系统
CN216470015U (zh) 适用于飞机的垃圾收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