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170B1 - 낚시찌 - Google Patents

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170B1
KR101298170B1 KR1020110079569A KR20110079569A KR101298170B1 KR 101298170 B1 KR101298170 B1 KR 101298170B1 KR 1020110079569 A KR1020110079569 A KR 1020110079569A KR 20110079569 A KR20110079569 A KR 20110079569A KR 101298170 B1 KR101298170 B1 KR 101298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obber
bobbin
fishing bobber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7252A (ko
Inventor
서옥석
Original Assignee
서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옥석 filed Critical 서옥석
Priority to KR102011007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1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낚시찌(100)는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를 상호 조립한 것으로서 전체 길이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를 상호 조립하여 전체 길이를 줄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낚시찌{fishing float}
본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찌를 이루는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들을 서로 조립하여 길이를 줄임으로서 보관하기가 편리한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찌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2870호(공고일자 2006년12월07일)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히고, 낚싯줄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전달하는 것으로, 지형이나 물고기의 먹이 취미 특성에 따라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수심을 잴 때는 자의 구실도 하는데 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수초나 장애물에 걸렸는지의 여부를 판별케 하는 도구이다.
그리고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32870호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팩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주머니의 형태로 보관하여 낚시찌의 보관은 물론 동전이나 낚시바늘 등의 간단한 낚시용 소품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한 낚시찌 보관 주머니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14141호(공고일자 2003년05월22일)에는 투명 재질로된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찌의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가진 받침대가 삽입되어 진열대의 고리 등에 걸어서 전시할 수 있는 낚시찌를 보관 및 전시하는 투명케이스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인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1992-0006945호(공고일자 1992년09월28일)에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되고 본체(1)와 뚜껑(4)으로 조합구성된 낚시대 케이스(11)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낚시찌 수납부(5)를 낚시대수납부(2)와 평행으로 형성구비하여 그 일측으로 개폐부재(6)를 개폐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되 상기 낚시찌수납부(5)와 개폐부재(6)에는 각각 고정홈(5a)과 걸림턱(6a)이 상호 걸림작용되게끔 형성시키고, 보관부(3)에는 걸림돌기(3a)를 일측으로 치우치게 돌설하고 낚시바늘을 꽂아 두는 고무부재(7)를 부착하여서 된 낚시찌보관부가 구비된 낚시대 케이스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낚시찌 보관용기들은 낚시찌의 길이가 긴 경우에 이를 보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서, 낚시꾼들이 휴대할 수 있는 길이의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를 상호 조립하여 전체 길이를 줄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낚시찌(100)는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를 상호 조립한 것으로서 전체 길이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를 상호 조립하여 전체 길이를 줄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낚시찌를 펼친 상태의 사진
도 2는 도1의 상세사진
도 3은 본발명 낚시찌의 하부단부 사진
도 4는 본발명 낚시찌를 접은 상태의 사진
도 5는 본발명 낚시찌를 접은 상태에서 뚜껑을 닫기 전 사진
도 6은 본발명 낚시찌의 뚜껑 상세사진
도 7은 본발명 낚시찌 부재간의 결합 개략도
본발명은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낚시찌(100)는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를 상호 조립한 것으로서 전체 길이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는 서로 단부가 중첩되어 연결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는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며 길이방향으로 경사가 져 있는 것으로 원뿔 형상이므로, 상하로 인접하는 두 개의 낚시찌 부재에 있어서 상부 낚시찌의 하단이 하부 낚시찌의 상단 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로 인접하는 두 개의 낚시찌 부재(110)는 상부 낚시찌 부재의 상단은 구멍외주로 수나사가 형성되고 하단은 구멍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하부 낚시찌 부재의 상단은 구멍외주로 수나사가 형성되고 하단은 구멍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낚시찌 부재 내부에 상부 낚시찌 부재를 삽입할 시, 하부 낚시찌 부재의 상단 암나사부에 상부 낚시찌 부재의 하단 수나사부가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로 사용하는 최하부 낚시찌 부재(112)의 하단면은 밀봉되어 있고, 상단은 별도의 개폐가 가능한 뚜껑(113)이 착탈식으로 구비되고, 이와 연결되는 상부의 나머지 다른 낚시찌 부재는 상하가 관통되어 있으므로, 최하부 낚시찌 부재(112) 내부로 상부의 나머지 다른 낚시찌 부재가 순차적으로 장입된 후 최하부 낚시찌 부재(112)의 하단구멍을 밀봉하고, 상단은 뚜껑을 닫아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낚시찌를 펼친 상태의 사진, 도 2는 도1의 상세사진, 도 3은 본발명 낚시찌의 하부단부 사진, 도 4는 본발명 낚시찌를 접은 상태의 사진, 도 5는 본발명 낚시찌를 접은 상태에서 뚜껑을 닫기 전 사진, 도 6은 본발명 낚시찌의 뚜껑 상세사진, 도 7은 본발명 낚시찌 부재간의 결합 개략도이다.
본발명 상기 낚시찌(100)는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를 상호 조립한 것이므로 전체 길이를 줄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를 상호 조립하는 방법은 라디오 안테나 같이 다수 개의 낚시찌를 펼쳤을 때 낚시찌 부재를 서로 연결되는 부위는 서로 단부를 중첩되게 하며, 낚시찌를 휴대할 때는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를 서로 밀어 넣어 최하부의 낚시찌 부재 내부에 장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낚시찌 부재(110)들은 모두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며 길이방향으로 경사가 져 있는 것으로 원뿔 형상이므로, 상하로 인접하는 두 개의 낚시찌 부재에 있어서 상부 낚시찌의 하단이 하부 낚시찌의 상단 구멍에 걸리게 되어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하로 인접하는 두 개의 낚시찌 부재(110)는 상부 낚시찌 부재의 상단은 구멍외주로 수나사가 형성되고 하단은 구멍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하부 낚시찌 부재의 상단은 구멍외주로 수나사가 형성되고 하단은 구멍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낚시찌 부재 내부에 상부 낚시찌 부재를 삽입할 시, 하부 낚시찌 부재의 상단 암나사부에 상부 낚시찌 부재의 하단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어,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상, 하부 낚시찌 부재의 상단은 구멍 외주부분에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연질합성수지 재료로 코팅을 하여, 인접하는 낚시찌 부재의 하단구멍에 삽입하여 결합을 공고히 할 수 있다. 코팅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방법을 채택하면 되는 것으로, 브러쉬로 바르거나 낚시찌 부재의 상단 구멍부위를 막은 채로 코팅액속에 침지하여 낚시찌 부재의 상단 구멍외주에 코팅층을 형성한다. 낚시찌의 재질은 나무, 탄소섬유,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로 사용하는 최하부 낚시찌 부재(112)의 하단면은 일반적인 형태로 연결고리가 달린 황동등의 구리합금으로 밀봉된다. 그리고 상단은 별도의 개폐가 가능한 뚜껑(113)이 착탈식으로 구비되고, 이와 연결되는 상부의 나머지 다른 낚시찌 부재는 상하가 관통되어 있으므로, 최하부 낚시찌 부재(112) 내부로 상부의 나머지 다른 낚시찌 부재가 순차적으로 장입된 후, 낚시찌의 하단구멍을 밀봉하고, 상단은 뚜껑을 닫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제작순서는 먼저 케이스로 사용되는 최하부 낚시찌 부재의 하부 구멍을 통하여 인접하는 상부 낚시찌 부재를 삽입한 후 상방으로 뽑아올리게 되면, 어느 지점에서 상부 낚시찌의 하단이 최하부 낚시찌 부재의 상단구멍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상하로 인접하는 낚시찌 부재간에 상부의 지름이 작은 낚시찌 부재를 하부의 지름이 큰 낚시찌부재에 결합하게 되며, 마지막으로 케이스로 사용되는 최하부 낚시찌 부재(112)의 하단 구멍을 밀봉한다. 밀봉방법은 접착제나 관용의 열로서 부재를 일부 녹이며 압착하여 접합시키는 융착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상단은 뚜껑을 닫는다.
따라서 본발명은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를 상호 조립하여 전체 길이를 줄여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낚시찌 110 : 낚시찌 부재
112 : 최하부 낚시찌 부재 113 : 뚜껑
114 : 연결부

Claims (4)

  1. 삭제
  2.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를 상호 조립한 것으로서 전체 길이를 줄여 보관할 수 있는 낚시찌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는 서로 단부가 중첩되어 연결부(114)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다수 개의 낚시찌 부재(110)는 상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며 길이방향으로 경사가 져 있는 것으로 원뿔 형상이므로, 상하로 인접하는 두 개의 낚시찌 부재에 있어서 상부 낚시찌의 하단이 하부 낚시찌의 상단 구멍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는 것으로, 케이스로 사용하는 최하부 낚시찌 부재(112)의 하단면은 밀봉되어 있고, 상단은 별도의 개폐가 가능한 뚜껑(113)이 착탈식으로 구비되고, 이와 연결되는 상부의 나머지 다른 낚시찌 부재는 상하가 관통되어 있으므로, 최하부 낚시찌 부재(112) 내부로 상부의 나머지 다른 낚시찌 부재가 순차적으로 장입된 후 최하부 낚시찌 부재(112)의 하단구멍을 밀봉하고, 상단은 뚜껑을 닫아 휴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
  3. 삭제
  4. 삭제
KR1020110079569A 2011-08-10 2011-08-10 낚시찌 KR101298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569A KR101298170B1 (ko) 2011-08-10 2011-08-10 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569A KR101298170B1 (ko) 2011-08-10 2011-08-10 낚시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252A KR20130017252A (ko) 2013-02-20
KR101298170B1 true KR101298170B1 (ko) 2013-08-20

Family

ID=4789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569A KR101298170B1 (ko) 2011-08-10 2011-08-10 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796B1 (ko) 2023-07-03 2023-12-20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852U (ko) * 1992-09-14 1994-04-12 김영수 낚시찌의 꽂이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852U (ko) * 1992-09-14 1994-04-12 김영수 낚시찌의 꽂이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252A (ko) 201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17501A1 (en) Case structure for housing fishing hook and its fixing method
US20070033857A1 (en) Safeslide bobber apparatus
KR101298170B1 (ko) 낚시찌
KR102069200B1 (ko) 김 양식용 부구틀
US20130014424A1 (en) Fishing Device
KR20170139429A (ko) 조립식 바다 통발
CN205884449U (zh) 带导线管的钓具
KR101247751B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0429A (ko) 물고기 유인용 루어 및 그 제조방법
TWM452702U (zh) 接合式之沖泡物摺疊包覆結構
KR20190001510U (ko) 기능성을 개선한 낚시가방
KR20130002516U (ko) 낚시용 두레박
JP2015008762A (ja) 接合式の流し浸し物の折畳みエンベロープ構造
CN207346356U (zh) 用在乳制品容器的内置辅料胶囊的塑料罩盖
CN206562017U (zh) 一种茶叶存放盒及茶叶存放盒组
CN206821752U (zh) 一种鱼漂
KR200460347Y1 (ko)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CN105708249A (zh) 一种柳编花瓶
KR200271482Y1 (ko) 중공낚시찌
KR200459128Y1 (ko) 살림통용 살림망
JP7454849B2 (ja) 釣り用誘引剤およびケース
KR200244831Y1 (ko) 어류운반용 가방
CN214758688U (zh) 一种稻鱼共生的稻田捕鱼装置
KR200260393Y1 (ko) 중층낚시용 낚시찌
CN207911844U (zh) 一种鱼竿包装固定卡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