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47Y1 -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 Google Patents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47Y1
KR200460347Y1 KR2020110007623U KR20110007623U KR200460347Y1 KR 200460347 Y1 KR200460347 Y1 KR 200460347Y1 KR 2020110007623 U KR2020110007623 U KR 2020110007623U KR 20110007623 U KR20110007623 U KR 20110007623U KR 200460347 Y1 KR200460347 Y1 KR 200460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generator
hole
lid
support shaf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도주
Original Assignee
문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도주 filed Critical 문도주
Priority to KR2020110007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47Y1/ko
Priority to PCT/KR2012/005930 priority patent/WO201302793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5Containers for live bait kept in water, e.g. for minnow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제목]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구성] 위쪽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통(1)과;
상면을 기준하여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기포발생기 보관실(3)이 형성되고, 기포발생기 보관실(3)의 공간부(4)의 일방향 상측의 좌우에는 보조커버의 지지 축(15)을 관통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 관통구멍(5)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의 바닥에는 기포발생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턱(7)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의 바닥이면서 지지축 관통구멍(5)과 근접한 위치에는 기포발생기 호스가 관통하는 구멍(6)이 형성되며, 공간부(4)에서 근접한 상면에는 사방으로 절개 홈(9)이 형성된 걸림구멍(8)이 형성되고, 지퍼(2)를 통해 통(1)과 결합 및 분리가 되며 연결편(10)을 통해 통(1)과 연결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형성된 지지축 관통구멍(5) 안으로 삽입되는 지지 축(15)이 후방의 끝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상기 공간부(4) 안으로 삽입되는 보강살(16)이 형성되며, 연장단(12)의 끝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단(12)의 저면에는 뚜껑의 걸림구멍(8) 안으로 삽입되는 걸림 봉(14)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의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판체(11)로 된 보조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110007623
살림통

Description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Fishing box}
도 1은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을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4를 기준한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보조커버를 열어젖힌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의 보조커버가 뚜껑에 조립된 상태에서 뚜껑을 통으로부터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본 고안은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낚시용 살림통은 도1을 기준하여 볼 때 위쪽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통(1)과 뚜껑(B)으로 크게 구분되며, 통(1)과 뚜껑(B)은 지퍼(2)를 통해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B)의 일측[바람직하게는 짧은 변(邊) 쪽]은 연결편(10)을 통해 통(1)과 연결이 된다. 여기서 연결편(10)은 통(1)과 접착제로 고정되 거나 고주파 공법을 통해 고정이 되고, 통(1) 및 뚜껑(B)의 재질은 합성수지류 또는 비닐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살림통은 알려진 바와 같이 낚아 올린 물고기를 살려서 보관하기 위함이 목적인데, 통(1) 안에 물(해수 또는 담수)을 담아서 물고기를 넣어 둔다고 하더라도 10분 내지 20분 이내에 새로운 물로 갈아주어야만 물고기가 살 수가 있다. 그 이유는, 크기가 작은 통(1) 안에 담긴 물에는 용존산소의 함유량이 적기 때문에 물을 자주 갈아주지 않으면 물고기가 산소공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여 죽어버리기 때문이다.
한편, 낚시에 몰두를 하다보면 통(1) 안에 담긴 물을 자주 갈아주기란 매우 귀찮은 일이며 쉽게 망각을 하여버리기 때문에 낚시인들은 기포발생기(50)를 사용하여 통(1) 안에 담긴 물에 계속하여 산소를 공급해 주는 방법을 애용하게 되었다.
그런데, 통상의 기포발생기(50)는 물속에서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므로 통(1)의 외부에 두거나 또는 통(1)의 외부에 고정된 주머니에 기포발생기(50)를 넣거나 기포발생기에 고정된 클립을 사용하여 통(1)의 가장자리에 걸어두고 호스(51)의 끝에 고정되어 있는 기포발생구(52)를 물속에 담아두게 된다. 따라서 일단 통(1) 외부에 기포발생기(10)가 노출되므로 거추장스럽고 외관상 불량하며 살림통을 들고 귀가를 하거나 이동을 할 때 주변의 물체 혹은 낚시장비 등에 걸려서 기포발생기가 추락하거나 부딪혀서 불편함과 아울러 기포발생기로부터 호스가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바다낚시의 경우 파도가 통(1)을 적시게 되는 예가 많아서 기포발생기에 해수가 침투되어 고장이 발생되거나 내부 장치를 부식시켜 내구성 을 크게 감소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기포발생기를 위와 같이 사용하다가 통(1)을 이동시킬 경우 부주의하여 통(1)을 떨어뜨렸을 때 기포발생기가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되는 단점이 대두된다. 이와 함께 낚시를 마친 후, 기포발생기는 통(1) 안에 넣어 두는 것이 보통의 경우이며, 다시 낚시를 하기 위하여 준비물을 챙기고 출발할 때 통(1) 안에 다른 물건들도 담아서 이동하기 때문에 기포발생기가 파손되거나 오염되는 예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고안자)은 기포발생기를 뚜껑에 보관하고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살림통을 제작하여 실용신안으로 출원하고, 실용신안등록 제30-0449685호로 등록을 받은 사실이 있는 바, 그 청구범위를 살피면,
위쪽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통과 뚜껑, 상기 통과 뚜껑을 연결시키는 연결편, 상기 통과 뚜껑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지퍼로 된 낚시용 살림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함몰 공간부를 형성시켜 기포발생장치의 몸체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함몰 공간부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기포발생장치의 호스가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함몰 공간부의 위쪽에는 기포발생장치의 몸체를 안전하게 은폐시키기 위한 커버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는 뚜껑에 고정된 벨크로지와 탈?부착되는 벨크로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장치의 몸체 수납 수단이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커버를 열어서 젖힌 상태로 유지시키기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와 재질상의 문제로 인하여 기포발생기 보관실의 내부로 햇빛이 들면서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커버와 뚜껑을 고정시키는 벨크로지(찍찍이)는 고정력이 높아서 뚜껑으로부터 커버를 한손으로 분리시키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벨크로지에 물고기의 비늘이나 기타 이물질이 끼일 경우 기능이 저조해지는 단점이 있고, 만일의 경우 커버가 손상 내지는 파손이 되었을 때 새로운 것으로 교체를 하여야 하는데, 구조적으로 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기포발생장치의 호스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함몰 공간부 측면의 장방형 구멍은 크기가 너무 커서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통 안에 물을 담고 이동을 하거나 통 안에 많은 량의 물을 담은 후 뚜껑을 닫았을 때 기포발생기로 해수가 침투되는 문제가 있어 기포발생기에 고장이 발생되는 폐단과 함께 상품으로서 외관상으로 양호하지 못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선 등록 실용신안의 문제와 단점을 개량시킨 살림통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위쪽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통(1)과;
상면을 기준하여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기포발생기 보관실(3)이 형성되고, 기포발생기 보관실(3)의 공간부(4)의 일방향 상측의 좌우에는 보조커버의 지지 축 (15)을 관통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 관통구멍(5)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의 바닥에는 기포발생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턱(7)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의 바닥이면서 지지축 관통구멍(5)과 근접한 위치에는 기포발생기 호스가 관통하는 구멍(6)이 형성되며, 공간부(4)에서 근접한 상면에는 사방으로 절개 홈(9)이 형성된 걸림구멍(8)이 형성되고, 지퍼(2)를 통해 통(1)과 결합 및 분리가 되며 연결편(10)을 통해 통(1)과 연결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형성된 지지축 관통구멍(5) 안으로 삽입되는 지지 축(15)이 후방의 끝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상기 공간부(4) 안으로 삽입되는 보강살(16)이 형성되며, 연장단(12)의 끝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단(12)의 저면에는 뚜껑의 걸림구멍(8) 안으로 삽입되는 걸림 봉(14)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의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판체(11)로 된 보조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뚜껑(B)과 보조커버(A)의 구조가 상기의 선 등록 실용신안과 차이가 있는데, 먼저 뚜껑(B)을 살피면, 뚜껑(B)의 상면을 기준하여 도 1 및 도 4와 같이 연결편(10)의 위치에 가깝도록 기포발생기 보관실(3)을 형성시켜서 그 안쪽에는 공간부(4)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포발생기 보관실(3)은 뚜껑(B)의 중앙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도 무방하지만 위와 같이 기포발생기 보관실(3)을 연결편(10)에서 가까운 위치에 형성시키면 도 6과 같이 뚜껑(B)을 완전히 열어서 젖힐 경우 호스(51)가 덜 당겨지 기 때문에 기포발생기 보관실(3)을 연결편(10)에서 가까운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다음, 도 4를 기준하여 벌 때 기포발생기 보관실(3)의 공간부(4)의 우측방향 상측의 좌우에는 보조커버의 지지 축(15)을 관통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 관통구멍(5)을 형성시켜서 보조커버(A)의 지지축(15)을 끼운 후 열고 닫음 수 있음과 아울러 도 5와 같이 보조커버(A)를 열어서 세울 수 있도록 하며, 지지 축(15)을 지지축 관통구멍(5)으로부터 빼 내면 보조커버(A)를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공간부(4)의 바닥에는 기포발생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7)이 형성되도록 하고, 도 4를 기준할 때 상기 걸림턱(7)의 우측이면서 상기 공간부(4)의 바닥에는 기포발생기 호스가 관통하는 구멍(6)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구멍(6)의 직경은 상기 호스(51)의 직경에 비하여 0.2mm 내지 0.3mm 정도 더 작게 형성을 시켜서 호스(51)를 구멍(6)에 끼웠을 때 통(1) 안의 물(해수)이 구멍(6)을 통해 공간부(4)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통(1) 안의 물이 공간부(4)로 유입되어 기포발생기(50)를 침수시키는 현상은 없어지게 되어 기포발생기(50)가 고장이 나거나 부품에 부식이 발생되는 현상이 소멸되어 기포발생기(50)를 항상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1 및 도 4를 기준하여 볼 때 공간부(4)의 좌측 끝 부분에서 근접한 상면에는 사방으로 절개 홈(9)이 형성된 걸림구멍(8)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어서 보조커버(A)에 대해 살피기로 한다.
보조커버(A)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공간부(4)에 수납된 기포발생기(50)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의 지지축 관통구멍(5)에 삽입되는 지지 축(15)을 도면과 같이 대칭으로 형성시킨다.
다음, 판체(11)의 연장단(12)의 끝에는 손으로 잡고 여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13)를 형성시키는데, 손잡이(13)의 중앙에는 구멍을 형성시킬 수도 있고, 손잡이(13)는 도면과 같이 연장단(12)을 기준하여 직각이 아닌 경사지게 형성시킬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단(12)의 저면에는 도면과 같이 화살 촉 형태의 걸림 봉(14)을 형성시켜서 도 4와 같이 보조커버(A)를 뚜껑(B)에 닫을 때 걸림 봉(14)이 뚜껑(B)의 걸림구멍(8) 안으로 삽입되어 걸리도록 함에 따라 보조커버(A) 스스로 뚜껑(B)으로부터 분리가 되지 못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보조커버(A)는 벨크로지 또는 똑딱단추와 달리 한 손만을 사용하여 열고 닫을 수가 있다.
이어서 상기 보조커버(A)의 판체(11)의 저면에는 보강 살(16)을 대칭으로 형성시켜서 강도를 보강함과 아울러 보조커버(A)를 뚜껑(B)에 닫았을 때 공간부(4)의 수직 면(긴 변의 수직 면)에 상기 보강 살(16)이 접촉되도록 하여 보조커버(A)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강 살(16)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걸림 봉(14)과 걸림구멍(8)은 통상의 똑딱단추로 대체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영구자석으로 대체될 수도 있고 벨크로지로 대체시킬 수도 있으나 똑딱단추와 벨크로지는 사용하기에 다소 불편하여 최상의 선택은 되지 못함을 확인하였고, 영구자석은 사용상의 큰 문제는 없었으나 생산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됨과 아울러 사용 시 영구자석이 뚜껑(B) 또는 연장단(12)으로부터 분리가 되는 문제가 발견되어 역시 최선의 선택은 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보조커버(A)를 뚜껑(B)에 조립시키는데 있어서, 본 고안의 지지 축(15) 대신에 상기의 연결편(10)과 같이 연질의 수지 또는 피혁 등을 이용하여 보조커버(A)를 뚜껑(B)에 연결시킬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보조커버(A)를 새것으로 교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보조커버의 교체가 가능하고 열고 닫기가 편리함은 물론 기포발생기가 침수가 되는 현상이 소멸되고 외관 또한 미려한 등의 특징을 새롭게 추구함으로써 선 등록 실용신안으로부터 비롯되었던 단점과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위쪽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통(1)과;
    상면을 기준하여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기포발생기 보관실(3)이 형성되고, 기포발생기 보관실(3)의 공간부(4)의 일방향 상측의 좌우에는 보조커버의 지지 축(15)을 관통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 관통구멍(5)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의 바닥에는 기포발생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턱(7)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의 바닥이면서 지지축 관통구멍(5)과 근접한 위치에는 기포발생기 호스가 관통하는 구멍(6)이 형성되며, 공간부(4)에서 근접한 상면에는 사방으로 절개 홈(9)이 형성된 걸림구멍(8)이 형성되고, 지퍼(2)를 통해 통(1)과 결합 및 분리가 되며 연결편(10)을 통해 통(1)과 연결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형성된 지지축 관통구멍(5) 안으로 삽입되는 지지 축(15)이 후방의 끝에 대칭으로 형성되고, 저면으로는 상기 공간부(4) 안으로 삽입되는 보강살(16)이 형성되며, 연장단(12)의 끝에는 손잡이(1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단(12)의 저면에는 뚜껑의 걸림구멍(8) 안으로 삽입되는 걸림 봉(14)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4)의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판체(11)로 된 보조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KR2020110007623U 2011-08-22 2011-08-22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KR200460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23U KR200460347Y1 (ko) 2011-08-22 2011-08-22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PCT/KR2012/005930 WO2013027933A2 (ko) 2011-08-22 2012-07-25 공기공급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623U KR200460347Y1 (ko) 2011-08-22 2011-08-22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347Y1 true KR200460347Y1 (ko) 2012-05-22

Family

ID=4660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623U KR200460347Y1 (ko) 2011-08-22 2011-08-22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0347Y1 (ko)
WO (1) WO201302793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8090B2 (en) * 2015-06-23 2019-01-29 Donald Brewer Fish recepta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594U (ko) * 1997-02-06 1998-10-15 이우헌 휴대용 물고기 저장통
KR200420103Y1 (ko) 2006-03-24 2006-06-28 주식회사 선경 낚시용 활어박스
KR200449685Y1 (ko) 2009-12-21 2010-07-30 문도주 기포발생장치의 몸체 수납 수단이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075B2 (ja) * 1991-03-04 2001-03-05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用ラベ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594U (ko) * 1997-02-06 1998-10-15 이우헌 휴대용 물고기 저장통
KR200420103Y1 (ko) 2006-03-24 2006-06-28 주식회사 선경 낚시용 활어박스
KR200449685Y1 (ko) 2009-12-21 2010-07-30 문도주 기포발생장치의 몸체 수납 수단이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8090B2 (en) * 2015-06-23 2019-01-29 Donald Brewer Fish recepta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7933A3 (ko) 2013-04-18
WO2013027933A2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576B2 (en) Floating fishing tackle box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10197494A1 (en) Wade Fishing Caddy
KR200460347Y1 (ko) 기포발생기 수납 수단이 뚜껑에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KR101526128B1 (ko) 플라이낚시 낚시바늘 수납 케이스
JP2019218117A (ja) 切り花用容器
US9821888B1 (en) Fishing pole holder mounted table for a boat
US11317617B1 (en) Minnow container
US9516871B1 (en) Floating or sinking live bait container
KR200455304Y1 (ko) 미끼통이 구비된 어류 포획기
KR200498065Y1 (ko) 낚시 미끼 및 부속품 보관함
US20100257771A1 (en) Fishing lure carrier
US10980223B2 (en) Readily cleaned aerated bait bucket
KR200449685Y1 (ko) 기포발생장치의 몸체 수납 수단이 구비된 낚시용 살림통
JP3205964U (ja) バッカンインナーおよびそのバッカンインナーを含むバッカンバケツ
JP3069211U (ja) 魚釣り用ウキ
KR20190001510U (ko) 기능성을 개선한 낚시가방
CA2550733C (en) Fishing lure
KR20060014965A (ko) 낚시용 배
KR100188419B1 (ko) 낚시도구 보관상자
KR101485574B1 (ko) 낚시용 살림통
JP2014156107A (ja) 樹脂シート溶着構造及び樹脂製容器
JP3230990U (ja) 水汲みバケツ
JP2005224229A (ja) ルアー及びジグルアー
KR200489018Y1 (ko) 낚시용 수중찌
KR200453234Y1 (ko) 다용도 팬던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