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796B1 -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796B1
KR102615796B1 KR1020230085926A KR20230085926A KR102615796B1 KR 102615796 B1 KR102615796 B1 KR 102615796B1 KR 1020230085926 A KR1020230085926 A KR 1020230085926A KR 20230085926 A KR20230085926 A KR 20230085926A KR 102615796 B1 KR102615796 B1 KR 102615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il
moisture content
moisture
skin con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고운
우지은
박성하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5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피부 내의 대상 영역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분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 영역의 유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분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유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분량 편차 데이터, 상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상기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영역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국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국소 영역 별로 상기 수분량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데이터가 측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SKIN CONDITION}
본 출원은 피부 상태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체온 조절, 감각 전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유분과 수분의 균형이 중요하다. 유분은 피부를 보호하고 윤기를 주는 역할을 하며, 수분은 피부를 촉촉하고 탄력있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피부의 유분과 수분은 부위별로 다르게 생성되고 분포되어 있으며, 이는 소비자가 느끼는 피부 건조 상태와 실제 측정 값 사이에 차이점을 만든다. 예를 들어, T존은 유분이 많이 생성되어 기름진 느낌이 들지만, U존은 수분이 부족하여 당기는 느낌이 들 수 있다. 따라서 피부 부위별로 유수분 밸런스를 적절하게 맞춰주는 것이 필요하다.
KR 10-2323106 B1 JP 2003-220037 A KR 10-2017-0066087 A KR 10-2013-0017252 A
본 출원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피부 상태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피부 내의 대상 영역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분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대상 영역의 유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분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수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유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분량 편차 데이터, 상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상기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영역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국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국소 영역 별로 상기 수분량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데이터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의 수분 상태와 유분 상태의 밸런스를 평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수분량 데이터, 상기 유분량 데이터, 상기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편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유형은 수분 밸런스 부족형; 수분 생성 부족형; 수분 복합 부족형; 유분 밸런스 부족형; 유분 생성 부족형; 유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부족형; 유수분 생성 부족형; 유수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및 수분 생성 부족형; 및 유수분 생성 및 수분 밸런스 부족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수분량 데이터와 상기 유분량 데이터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량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데이터를 각각 정규화하여 수분 지수 및 유분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분 지수와 상기 유분 지수에 기초하여 수분량과 유분량 간의 변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변위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방법을 수행하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피부 상태 측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피부 내의 대상 영역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분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 영역의 유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분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수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유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며; 및 기 수분량 편차 데이터, 상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상기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평가하고, 상기 대상 영역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국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국소 영역 별로 상기 수분량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유분량과 수분량만으로 피부 상태를 평가하던 종래 기술과 달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분량/수분량의 편차, 변위, 생성 속도 및 생성 속도의 편차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피부 상태를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유분량과 수분량을 비교함으로써,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를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이미지화 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피부 상태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유형을 보다 세밀하게 분류하고, 이에 맞는 처방이나 미용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출원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출원의 실시 또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출원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출원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출원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연산 능력을 구비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 station), 서버용 컴퓨터 장치 등에서 수행되거나 이를 위한 별도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연산 장치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다른 단계들은 서버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서버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연산 결과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방법은 분산 컴퓨팅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 장치의 블록도이다.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내의 대상 영역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수분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수분량 데이터는 피부의 각질층에 포함되는 수분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측정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량 데이터는 제 1 시점에서 측정되는 제 1 수분량 측정 데이터 및 제 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준 시간이 경과한 제 2 시점에서 측정되는 제 2 수분량 측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대상 영역의 유분량을 측정하여 유분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유분량 데이터는 피부의 각질층에 포함되는 유분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측정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분량 데이터는 제 1 시점에서 측정되는 제 1 유분량 측정 데이터 및 제 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준 시간이 경과한 제 2 시점에서 측정되는 제 2 유분량 측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영역은 수분량 및 유분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피험자의 안면, 목, 손, 발 등 다양한 부위가 대상 영역이 될 수 있다. 특히, 안면 중에서 수분량과 유분량 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뺨 영역이 대상 영역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피부 부위가 대상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영역은 복수의 국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국소 영역 별로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국소 영역 별로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국소 영역은 대상 영역 내에 포함되며, 서로 인접하거나 연속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수분량 데이터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에서 측정하여 생성하거나, 수분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수분량 데이터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되거나, 외부의 수분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분량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유분량 데이터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에서 측정하여 생성하거나, 유분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유분량 데이터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되거나, 외부의 유분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유분량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수분량 생성 속도는 시간 기준 동안의 수분량의 변위와 시간 기준에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량 생성 속도는 하기 [수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식 1]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유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유분량 생성 속도는 시간 기준 동안의 유분량의 변위와 시간 기준에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분량 생성 속도는 하기 [수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식 2]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국소 영역 별 수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편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국소 영역 별 유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분량 편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량 편차 데이터는 제 1 시점에서의 제 1 수분량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1 수분량 편차 산출 데이터 및 제 2 시점에서의 제 2 수분량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2 수분량 편차 산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분량 편차 데이터는 제 1 시점에서의 제 1 유분량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1 유분량 편차 산출 데이터 및 제 2 시점에서의 제 2 유분량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2 유분량 편차 산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국소 영역 별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국소 영역 별 유분량 생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 지수 및 유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수분 지수 및 유분 지수는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를 정규화하여 동일한 범위 내의 값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분 지수 및 유분 지수는 정규화 이후에 소정의 등급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정규화를 통해 수분 지수와 유분 지수가 동일한 범위 내에 속하도록 하여, 수분 지수와 유분 지수 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분 지수 및/또는 유분 지수를 산출하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피부 상태의 평가는 국소 영역 별 피부 상태, 특히 피부의 수분 상태와 유분 상태 간의 밸런스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가는 국소 영역 별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대상 영역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상태의 평가는 수분량 데이터, 유분량 데이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수분량 편차 데이터, 유분량 편차 데이터,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상태의 평가는 수분량 데이터, 유분량 데이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수분량 편차 데이터, 유분량 편차 데이터,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 수분 지수 및 유분 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의 평가를 위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상태 데이터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하여 이미지화 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상태 데이터는 수분량 데이터, 유분량 데이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수분량 편차 데이터, 유분량 편차 데이터,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 수분량과 유분량 간의 편차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대상 영역 및/또는 국소 영역 별로 피부 상태 데이터가 이미지화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상 영역 및/또는 국소 영역 별로 피부 상태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이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되도록 하여, 피부 상태, 특히 수분량과 유분량의 밸런스를 직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각각의 피부 상태 데이터는 소정의 색상으로 이미지화 될 수 있으며, 피부 상태의 정도에 따라, 동일한 계열의 색상 내에서도 세부적인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피부 상태 데이터의 수치 범위를 고려하여, 피부 상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상 계열 내에서 적절한 RGB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량 데이터의 경우, 0 내지 220 A.U.의 수치 범위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유분량 데이터의 경우, 0 내지 350 ug/cm2 의 수치 범위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에 따라 수분량 데이터 및/또는 유분량 데이터에 대해 각 색상 계열 내에서 적절한 RGB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분량 데이터 및/또는 유분량 데이터 대신에 수분 지수 및/또는 유분 지수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수분 지수 및/또는 유분 지수의 수치 범위를 고려하여 RGB 값이 할당될 수도 있다. 수분량 데이터 등을 예시로 하였으나, 다른 피부 상태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대상 영역을 표현하는 기본 이미지 상에 국소 영역 별로 피부 상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상이 표현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피부 상태 데이터가 이미지화 되거나, 복수의 피부 상태 데이터가 조합되어 이미지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량을 나타내는 색상과 유분량을 나타내는 색상은 소정 단위의 픽셀 별로 인접, 반복하여 배치됨으로써, 함께 표현될 수 있다. 단위 픽셀의 개수가 소정 개수 이하인 경우, 수분량을 나타내는 색상과 유분량을 나타내는 색상이 혼합되어 다른 계열의 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위 픽셀의 개수가 소정 개수를 초과할 경우, 수분량을 나타내는 색상과 유분량을 나타내는 색상은 분리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복수 개의 하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영역에 수분량을 나타내는 색상과 유분량을 나타내는 색상을 각각 표현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의 평가를 위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하여 이미지화 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복수의 기본 이미지에 각각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동일한 기본 이미지에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를 함께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현되는 수분량과 유분량이 동일한 영역(국소 영역 또는 대상 영역)에 함께 표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의 평가를 위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과 유분량 간의 변위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하여 이미지화 할 수 있다. 이때 수분량과 유분량 간의 변위를 산출하기 위해 수분량 데이터와 유분량 데이터를 정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위 산출에는 수분 지수와 유분 지수가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의 평가를 위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하여 이미지화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의 평가를 위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상태 데이터를 소정의 색상으로 이미지화 하되, 해당 피부 상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색상의 계열은 피부 유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밸런스 부족형은 노란색 계열의 색상으로 표현되고, 수분 생성 부족형은 파란색 계열의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각각의 색 계열 내에서 수분량 데이터 등이 표현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의 평가를 위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 데이터, 유분량 데이터,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편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소정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유형은 수분 밸런스 부족형; 수분 생성 부족형; 수분 복합 부족형; 유분 밸런스 부족형; 유분 생성 부족형; 유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부족형; 유수분 생성 부족형; 유수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및 수분 생성 부족형; 및 유수분 생성 및 수분 밸런스 부족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가적으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유형에 따라 적절한 처방, 미용 제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유형이 수분 밸런스 부족형으로 분류될 경우, 해당 피부는 피부 수분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피지가 과도 분비되어, 피부 속 당김과 피부 번들거림이 동시에 나타난다. 이에 대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유분 제거 및 피부 속 수분 공급이라는 처방을 추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험자는 번들거리는 피지를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유형이 유분 밸런스 부족형으로 분류될 경우, 해당 피부는 피부에서 수분 증발 막는 보호막인 유분의 생성이 부족하고, 피부 결이 거칠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분 풍부한 보습제를 사용하라는 처방 및/또는 관련되는 보습제를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유형이 유수분 생성 부족형으로 분류될 경우, 해당 피부는 유분과 수분이 모두 부족한 것으로서, 피부에 심한 당김과 각질이 발생하게 되며, 피부 장벽이 약화되어, 각종 트러블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진정 개선을 위한 처방 및/또는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의 평가를 위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 데이터와 유분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유수분 밸런스를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는 대상 영역, 국소 영역 또는 측정 시점 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 지수와 유분 지수의 변위를 산출하고, 해당 변위가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인 경우, 대상 영역 또는 국소 영역에 유수분 밸런스가 유지된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해당 변위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대상 영역 또는 국소 영역에 유수분 밸런스가 부족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변위의 크기에 따라 밸런스의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유수분 밸런스가 부족한 상태에서, 밸런스 부족의 원인으로서 수분 부족 또는 유분 부족을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상태의 평가를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복수 회에 걸쳐 수행할 수 있다. 즉,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상태의 1차 평가를 수행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피부 상태의 2차 평가를 수행한 후, 1차 평가 결과와 2차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피부 상태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예를 들어, 하루, 일주일, 한달 등 소정의 기간일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 사이에는 예를 들어, 피부 처방, 제품 사용 등이 수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피부 상태의 평가는 전술한 대상 영역의 수분량 측정 등을 모두 수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메모리(13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외부와의 직접 연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부(11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입력부(120), 메모리(130), 프로세서(14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수신하여 프로세서(140)로 전달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자기장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wideband)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 또는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외부의 조작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키패드, 마우스 등 다양한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USB 포트뿐만 아니라 선더볼트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터치스크린,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결합하여 외부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피부 탄력 측정을 위한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인스트럭션은 메모리(130)로부터 프로세서(140)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메모리(13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혹은 인스트럭션은 통신부(110)를 통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로 수신되어 프로세서(14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도 1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에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고, 도 1에서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좌측의 유분량 데이터는 노란색 계열의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유분량이 낮을 경우, 해당 유분량 데이터를 나타내는 색상의 RGB 값이 (255, 255, 255)일 수 있으며, 반대로 유분량이 높을 경우, 해당 유분량 데이터를 나타내는 색상의 RGB 값이 (255, 255, 0)일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수분량 데이터는 파란색 계열의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수분량이 낮을 경우, 해당 수분량 데이터를 나타내는 색상의 RGB 값이 (255, 255, 255)일 수 있으며, 반대로 수분량이 높을 경우, 해당 수분량 데이터를 나타내는 색상의 RGB 값이 (0, 0, 255)일 수 있다.
파란색 계열의 색으로 표현되는 수분량과 노란색 계열의 색으로 표현되는 유분량이 함께 표현될 경우, 파란색과 노란색이 혼합되어 생성되는 새로운 색 계열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수분량을 나타내는 색상과 유분량을 나타내는 색상은 소정 단위의 픽셀 별로 인접, 반복하여 배치됨으로써, 새로운 색 계열로 함께 표현되거나, 수분량을 나타내는 색상과 유분량을 나타내는 색상이 소정의 투명도를 갖고 중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수분량이 파란색 계열의 색으로 표현되고, 유분량이 노란색 계열의 색으로 표현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분량과 유분량 간의 변위가 산출되면, 해당 변위가 소정이 색상, 예를 들어, 녹색 계열의 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변위가 0인 경우, 해당 변위를 나타내는 색상의 RGB 값이 (255, 255, 255)일 수 있다. 양(+)의 변위가 높을 경우, 해당 변위가 나타내는 색상의 RGB 값이 ()일 수 있고, 반대로 음(-)의 변위가 높을 경우, 해당 변위가 나타내는 색상의 RGB 값은 ()일 수 있다.
도 3의 (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의 변위와 음의 변위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즉, 양의 변위는 파란색 계열의 색상으로 표현되고, 음의 변위는 빨강색 계열의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초록색, 파란색, 노란색 등으로 변위가 표현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 편차 데이터, 유분량 편차 데이터,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소정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표에서 “O”는 해당하는 데이터가 소정의 기준 값 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소정의 기준 값은 수분량 편차 데이터, 유분량 편차 데이터,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준 값은 성별, 나이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유형1 내지 유형11은 순차적으로 수분 밸런스 부족형; 수분 생성 부족형; 수분 복합 부족형; 유분 밸런스 부족형; 유분 생성 부족형; 유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부족형; 유수분 생성 부족형; 유수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및 수분 생성 부족형; 및 유수분 생성 및 수분 밸런스 부족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피부 유형을 단순히 건성, 지성, 중성으로 분류하는 것이 아니라, 국소 영역 간의 수분량/유분량의 편차, 수분량/유분량의 생성 속도까지 고려하여 보다 정밀하게 피부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이와 같이 분류된 피부 유형에 맞는 처방, 미용 제품을 추천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11개의 피부 유형이 분류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보다 적거나 이보다 많은 피부 유형이 분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상 영역은 피험자의 안면 중 뺨이며, 구체적으로, 우측 영역, 중앙 영역, 좌측 영역, 상측 영역 및 하측 영역의 국소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국소 영역에 대해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가 생성되며,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는 제 1 시점 및 제 2 시점에 걸쳐서 2회 측정될 수 있다. 제1 시점은 예를 들어, 세안 후 20분이 경과한 시점이고, 제 2 시점은 제 1 시점으로 1시간이 경과한 시점이며, 1시간이 기준 시간이 될 수 있다.
제 1 시점에서의 수분량 측정 데이터(즉, 제 1 수분량 측정 데이터)와 제 2 시점에서의 수분량 측정 데이터(즉, 제 2 수분량 측정 데이터)의 변위 및 기준 시간으로부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가 생성된다.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는 국소 영역 별로 생성되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가 생성되게 된다.
또한, 국소 영역 별로 수분량 편차 데이터가 생성되며, 수분량 편차 데이터는 수분량 측정 데이터의 표준 편차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제 1 시점 및 제 2 시점에 대해 각각 수분량 편차 데이터가 생성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유분량 편차 데이터가 생성된다.
마지막으로,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가 생성되며, 이는 표준 편차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가 생성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시점에서 수분량을 보면, 국소 영역 별로 편차가 크며, 제 2 시점에서는 편차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편차로 인하여 전체적인 수분량 평균과 무관하게 피험자는 피부 건조함이나 당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제 1 시점의 유분량은 편차가 8.26이며, 제 2 시점에서의 유분량은 14.20으로, 편차가 오히려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국소 영역 별로 유분이 상이하게 생성되어, 피험자는 이질감을 크게 느낄 수 있다.
국소 영역 별로 수분량의 변위와 유분량의 변위를 살펴보면, 국소 영역 중 좌측 영역은 수분량이 낮지만 유분량은 상대적으로 높고, 이와 달리 중앙 영역은 수분량에 반하여 유분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국소 영역에서는 수분량과 유분량의 밸런스가 부족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
또한,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국소 영역 별로 수분이 생성되는 속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수분 생성 과정에서, 영역 별로 이질감이나 건조함을 느끼기 쉽다.
도 5에서 도시되는 피부 상태를 평가한 결과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역에는 피부 상태 평가를 위한 다양한 피부 부위가 선택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안면 중 뺨을 대상 영역으로 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안면 중 뺨이 아닌, 이마, 코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목, 손, 발 등의 피부 부위가 대상 영역이 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되는 피험자의 1차 피부 상태 평가 결과 이후, 2차 피부 상태 평가 결과를 도시한다.
1차 피부 상태 평가와 2차 피부 상태 평가 사이에는 예를 들어, 일주일의 시간 간격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피험자의 피부 대상 영역에는 소정의 미용 제품이 적용되었다. 따라서 도 6의 피부 상태 평가 결과를 통해 미용 제품이 피부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시점 및 제 2 시점 모두에서 수분량 및 유분량의 편차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1 시점 및 제 2 시점 모두에서 수분량의 생성 속도의 편차와 유분량의 생성 속도의 편차가 모두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국소 영역 별 편차가 감소함으로써 인하여, 피험자가 느끼는 이질감이나 건조함이 개선될 수 있다. 수분량과 유분량의 밸런스가 유지된다고 볼 수 있다(특히, 좌측 영역 및 하측 영역).
도 6에서 도시되는 피부 상태를 평가한 결과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서로 상이한 피부 상태 데이터를 조합하여 하나의 색상으로 표현하여 이미지화 할 수 있다. 즉, 구체적으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과 유분량 간의 변위(즉, 수분지수와 유분지수 간의 차이)를 초록색 계열의 색상으로 표현하여 이미지화 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피부 상태 데이터의 조합 및 색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서로 상이한 피부 상태 데이터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하여 이미지화 할 수 있다. 도 7의 (b)에서 좌측 이미지는 수분량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우측 이미지는 유분량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피부 상태 데이터를 색상으로 표현하되, 서로 상이한 복수의 피부 상태 데이터를 색상 계열만 달리하면서,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정확하게 피부 상태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되는 이미지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대상 영역이 "뺨”으로서 5개의 서로 인접한 국소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부위가 대상 영역 및/또는 국소 영역이 될 수 있으며, 대상 영역 및/또는 국소 영역의 개수 또한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에는 각 이미지가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인 것으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피부 상태 데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이미지 및 우측 이미지는 모두 수분량 데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시간 간격(10분, 1주일 등)에 따라 측정된 피부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상태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S810 단계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피부 내의 대상 영역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분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량 데이터는 제 1 시점에서 측정되는 제 1 수분량 측정 데이터 및 제 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준 시간이 경과한 제 2 시점에서 측정되는 제 2 수분량 측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수분량 데이터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에서 측정하여 생성하거나, 수분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수분량 데이터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되거나, 외부의 수분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분량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820 단계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대상 영역의 유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분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분량 데이터는 제 1 시점에서 측정되는 제 1 유분량 측정 데이터 및 제 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기준 시간이 경과한 제 2 시점에서 측정되는 제 2 유분량 측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유분량 데이터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에서 측정하여 생성하거나, 유분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유분량 데이터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되거나, 외부의 유분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유분량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수분량 데이터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에서 측정하여 생성하거나, 수분량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수분량 데이터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되거나, 외부의 수분량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수분량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대상 영역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국소 영역을 포함하고, 국소 영역 별로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가 측정될 수 있다.
S830 단계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량 편차 데이터는 제 1 시점에서의 제 1 수분량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1 수분량 편차 산출 데이터 및 제 2 시점에서의 제 2 수분량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2 수분량 편차 산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분량 생성 속도는 하기 [수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식 1]
S840 단계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유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분량 편차 데이터는 제 1 시점에서의 제 1 유분량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1 유분량 편차 산출 데이터 및 제 2 시점에서의 제 2 유분량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제 2 유분량 편차 산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분량 생성 속도는 하기 [수식 2]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식 2]
S850 단계에서,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는 수분량 편차 데이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피부 상태의 평가는 국소 영역 별 피부 상태, 특히 피부의 수분 상태와 유분 상태 간의 밸런스 등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평가는 국소 영역 별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대상 영역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법(800)은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가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국소 영역 별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850 단계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가 피부의 수분 상태와 유분 상태의 밸런스를 평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850 단계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가 수분량 데이터, 유분량 데이터,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편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피부 유형은 수분 밸런스 부족형; 수분 생성 부족형; 수분 복합 부족형; 유분 밸런스 부족형; 유분 생성 부족형; 유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부족형; 유수분 생성 부족형; 유수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및 수분 생성 부족형; 및 유수분 생성 및 수분 밸런스 부족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S850 단계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가 수분량 데이터와 유분량 데이터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법(700)은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가 수분량 데이터 및 유분량 데이터를 각각 정규화하여 수분 지수 및 유분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수분 지수와 유분 지수에 기초하여 수분량과 유분량 간의 변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S850 단계는, 피부 상태 평가 장치(100)가 변위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록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과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분산된 기록 매체들에 저장된 데이터, 예를 들면 프로그램 명령어 및 코드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장치의 동작이 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광 보호 효능 측정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Claims (9)

  1. 피부 상태 평가 장치에 의한 피부 상태 평가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피부 내의 대상 영역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분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대상 영역의 유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분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유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분량 편차 데이터, 상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상기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영역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국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국소 영역 별로 상기 수분량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데이터가 측정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수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유분량 생성 속도의 편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피부의 수분 상태와 유분 상태의 밸런스를 평가함으로써 수행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수분량 데이터, 상기 유분량 데이터, 상기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편차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유형은 수분 밸런스 부족형; 수분 생성 부족형; 수분 복합 부족형; 유분 밸런스 부족형; 유분 생성 부족형; 유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부족형; 유수분 생성 부족형; 유수분 복합 부족형; 유수분 밸런스 및 수분 생성 부족형; 및 유수분 생성 및 수분 밸런스 부족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수분량 데이터와 상기 유분량 데이터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분량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데이터를 각각 정규화하여 수분 지수 및 유분 지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분 지수와 상기 유분 지수에 기초하여 수분량과 유분량 간의 변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변위를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피부 상태 평가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피부 내의 대상 영역의 수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분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 영역의 유분량을 측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분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수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분량 편차 데이터 및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유분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를 생성하며; 및 기 수분량 편차 데이터, 상기 수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 상기 유분량 편차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생성 속도 데이터에 기초하여 피부 상태를 평가하고, 상기 대상 영역은 서로 인접한 복수의 국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국소 영역 별로 상기 수분량 데이터 및 상기 유분량 데이터를 측정하는, 장치.
KR1020230085926A 2023-07-03 2023-07-03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615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926A KR102615796B1 (ko) 2023-07-03 2023-07-03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926A KR102615796B1 (ko) 2023-07-03 2023-07-03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796B1 true KR102615796B1 (ko) 2023-12-20

Family

ID=8937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926A KR102615796B1 (ko) 2023-07-03 2023-07-03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7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037A (ja) 2001-11-26 2003-08-05 L'oreal Sa 身体外部の部位の分析を可能にする方法
KR20130017252A (ko) 2011-08-10 2013-02-20 서옥석 낚시찌
KR20170066087A (ko) 2015-12-04 2017-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23106B1 (ko) 2021-02-10 2021-11-10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수분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0037A (ja) 2001-11-26 2003-08-05 L'oreal Sa 身体外部の部位の分析を可能にする方法
KR20130017252A (ko) 2011-08-10 2013-02-20 서옥석 낚시찌
KR20170066087A (ko) 2015-12-04 2017-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23106B1 (ko) 2021-02-10 2021-11-10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수분 평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3013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product
US11416950B2 (en) Customized cosmet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184177B1 (ko) 사용자의 단말을 이용하여 획득한 얼굴 이미지를 분석하여 화장품을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CN108694736B (zh) 图像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计算机存储介质
US11734823B2 (en) Digital imaging systems and methods of analyzing pixel data of an image of a user's body for determining a user-specific skin irritation value of the user's skin after removing hair
US202200051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characteristic of a keratinous surface and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said keratinous surface
KR101807233B1 (ko) 피부 분석기를 이용한 피부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EP3933773A1 (en) Digital imaging systems and methods of analyzing pixel data of an image of a user's body for determining a user-specific skin redness value of the user's skin after removing hair
US11178956B1 (en) System, method and mobile application for cosmetic and skin analysis
US20220164852A1 (en) Digital Imaging and Learning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Pixel Data of an Image of a Hair Region of a User's Head to Generate One or More User-Specific Recommendations
KR20200006782A (ko) 사용자 피부분석 정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맞춤형 화장품 제조 시스템
KR102615796B1 (ko)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196299B1 (ko) 개인 맞춤형 화장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515043B1 (en) Method and device for hair loss prediction and personalized scalp care
US20230196579A1 (en) Digital imaging systems and methods of analyzing pixel data of an image of a skin area of a user for determining skin pore size
JP2020201528A (ja) 美容判定方法、官能評価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10004564A (ko) 개인화된 화장품 캡슐 조합 추천 방법
EP43121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service
US2024017721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ustomized cosmetic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09919740A (zh) 一种生成购衣建议的方法及装置
KR102049790B1 (ko) 피부 타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7386900B2 (ja) 評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Hsiung et al. Attribution biases and trust development in physical human-machine coordination: Blaming yourself, your partner or an unexpected event
CN117078685B (zh) 基于图像分析的化妆品功效评价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670274B1 (ko) 각질 표면의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상기 각질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