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106B1 -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수분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3106B1 KR102323106B1 KR1020210019437A KR20210019437A KR102323106B1 KR 102323106 B1 KR102323106 B1 KR 102323106B1 KR 1020210019437 A KR1020210019437 A KR 1020210019437A KR 20210019437 A KR20210019437 A KR 20210019437A KR 102323106 B1 KR102323106 B1 KR 1023231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moisture
- moisture content
- stratum corneum
- produ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1
- 210000000434 stratum corneum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427 paired t-tes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1782 Kera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6876 Kera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3 anti-wrink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3—Evaluating skin constituents, e.g. elastin, melanin, wat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8—Monitoring or testing the effects of treatment, e.g. of med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5—Hydration status, fluid retention of the bod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 제품을 도포하는 제1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품을 미도포하는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상기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피부 부위는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다른 피부 부위임; 및 각 피부 부위에서 측정된 각질층 각각의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은 복수의 하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의 수분량 측정은 복수의 하부층 중 적어도 일부의 수분량을 각각 측정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수분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의 각질층별 수분량에 기초하여 제품을 도포한 피부 부위와 미도포한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여 수분량 개선 정도를 수치적으로 계산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스킨케어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를 촉촉하게 한다. 기존의 수분량 측정기기들의 경우 피부의 최외곽 수분량을 측정하거나, 또는 진피층을 포함하는 깊이의 수분량을 측정한다.
기존의 Corneometer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 와 Epsilon (Biox Systems Ltd., London, UK)의 경우 피부의 전기 용량(electric capacitance)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10~20 μm 깊이의 수분량을 측정하며 피부의 최외곽층 보다 더 깊은 깊이의 수분량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Skicon 200 (IBS Co., Ltd., Hamamatsu, Japan) 또한 피부의 전기 용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15 μm 깊이의 수분량을 측정한다.
Moisturemeter D multi probe 또는 Moisturemeter D compact (Delfin Technologies, Kuopio, Finland)의 경우 피부의 조직 유전 상수(Tissue dielectric constant, TDC)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가장 작은 probe (XS5)의 경우도 최대 0.5 mm 깊이까지의 수분량을 측정한다. 스킨케어 제품의 사용 전, 후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할 수는 있지만, 기기의 측정 깊이인 0.5 mm는 피부의 각질층뿐만 아니라 진피층을 일부 포함하며 실제 화장품이 진피층까지 흡수되어 그 깊이까지 수분량을 개선하였다고 평가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은 피부의 최외곽층의 수분량을 측정하거나, 진피층 깊이까지 범위의 수분량이 개선된 정도만 평가 가능하며, 피부 각질 몇층까지 흡수가 되었는지는 평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을 피부에 도포한 부위와, 미도포 부위를 구획하고 각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각각 비교 분석하여 피부 각질의 몇층까지 제품이 흡수되었는지 평가한다. 또한 제품의 수분량 개선 정도를 수치적으로 계산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은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 제품을 도포하는 제1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품을 미도포하는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상기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피부 부위는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다른 피부 부위임; 및 각 피부 부위에서 측정된 각질층 각각의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은 복수의 하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의 수분량 측정은 복수의 하부층 중 적어도 일부의 수분량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는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 TS) 기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직방향으로 하부층을 채취하여 해당 하부층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센서를 이용해 상기 해당 하부층을 수분량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정도로 이미지화하고 상기 수분량를 수치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는, 제품 도포 전의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제품 도포 직후의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며, 상기 제품을 도포하고 흡수한 이후의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일 회 이상 더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측정하며,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는, 측정시간(time point)별 측정된 각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쌍체비교(paired t test)로 비교하는 단계; 및 대응하는 측정시간에서의 제2 피부 부위와 제1 피부 부위 간의 수분량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이 수분 개선 성능을 갖는지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는, 특정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의 수분량이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보다 수분량이 높은지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는, 각 피부 부위에 대해서 측정된 하부층의 수분량에 대한 평균 유전율(dielectric permittivity, ε)을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측정장치는 각질층의 전기량(electric capacitance)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은: 제품의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의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수분개선율을 계산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하거나, 또는 유의확률(P-value)을 계산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개선율은 다음의 [수학식 1]로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과 제1 피부 부위의 수분량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의확률(P-value)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유의확률을 미리 결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각 피부 부위의 제품을 도포하고 흡수한 직후의 수분량 이미지 및 테이프 스트리핑을 복수 회 수행한 후 측정된 하부층 각각의 수분량 이미지를 층별로 수직방향으로 전개한 후 3D 이미지로 표현하여 비교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량 이미지를 층별로 수직방향으로 전개함에 있어서,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갈수록 수분함량 정도에 따라 연해지거나 상이해지는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은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 제품을 도포하는 제1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품을 도포하고 제1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품을 도포하는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다른 피부 부위인 제2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품을 도포하고 제2 시간이 지난 후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상기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시간과 다른 시간으로 상기 제1 시간 보다 오래된 시간임; 및 각 피부 부위에서 측정된 각질층 각각의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의 수분 개선 속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은 복수의 하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의 수분량 측정은 복수의 하부층 중 적어도 일부의 수분량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 개선 속력은,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상기 [수학식 2]의 상기 수분량은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 TS) 기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직방향으로 하부층을 채취하여 해당 하부층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각질층을 이루는 복수의 하부층 중 적어도 일부의 수분량의 총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장치는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 제품을 도포하는 제1 피부 부위 및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다른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품을 미도포한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장치- 상기 각질층은 복수의 하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의 수분량 측정은 복수의 하부층 중 적어도 일부의 수분량을 각각 측정함; 각 피부 부위에서 측정된 각질층 각각의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 수분 평가 방법에 따르면, 제품의 수분량 개선 정도를 수치적으로 계산하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스킨케어 또는 화장품 제품의 흡수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아래의 도면들에서 과장, 생략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 일부 요소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제품을 미도포한 피부 부위(제2 피부 부위)와 도포한 피부 부위(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 각각의 하부층의 수분량 이미지를 수직방향으로 전개하여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의 제품을 도포한 피부 부위(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 각각의 하부층의 수분량 이미지를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일부 하부층을 테이프 스트리핑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직방향으로 각각 채취하고, 센서를 이용해 각각의 하부층을 수분량 정도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정도로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피부 부위에서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시간에 따라 평균 유전율과 수분개선율로 평가한 결과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제품의 수분 개선 속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각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평가한 결과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제품을 미도포한 피부 부위(제2 피부 부위)와 도포한 피부 부위(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 각각의 하부층의 수분량 이미지를 수직방향으로 전개하여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도 3의 제품을 도포한 피부 부위(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 각각의 하부층의 수분량 이미지를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일부 하부층을 테이프 스트리핑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직방향으로 각각 채취하고, 센서를 이용해 각각의 하부층을 수분량 정도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정도로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피부 부위에서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시간에 따라 평균 유전율과 수분개선율로 평가한 결과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제품의 수분 개선 속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각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평가한 결과표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항목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항목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은 제품을 도포한 피부 부위(treat)와 미도포한 피부 부위(non-treat)로 구획하고 각각의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제품을 도포한 피부 부위와 미도포한 피부 부위의 측정된 수분량을 비교 분석하여 제품을 사용함에 따른 피부의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피험자 피부의 특정 부위에는 평가의 대상이 되는 제품이 고르게 도포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품은 얼굴, 손, 팔, 다리 등에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품은 신체 어느 부위에라도 도포될 수 있다. 평가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평가 시도마다 제품은 미리 정해진 양만큼 동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각질층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아래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은 각질층으로 분류되는 다수의 하부층 중 적어도 일부의 수분량을 각각 측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품이란 화장료일 수 있다. 화장료란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제품으로서, 메이크업 베이스(makeup base), 파운데이션 (foundation), 프라이머(primer), 팩트(pact), 컨실러(concealer), 또는 파우더(powder) 등의 메이크업 (makeup) 제품, 보습 제품, 미백 개선 제품, 주름 방지 제품, 자외선 차단 제품 또는 다른 미용 관련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용도 및/또는 종류의 제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은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 제품을 도포하는 제1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S10), 상기 제품을 미도포하는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상기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S12), 및 각 피부 부위에서 측정된 각질층의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S14)를 포함할 수 있다.
각질층의 각각의 하부층은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 TS) 기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직방향으로 채취될 수 있다. 테이프는 제품이 피부에 흡수된 후 해당 하부층의 수분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TS 1회 후 채취되는 하부층은 피부 부위의 최상위 각질층이다. TS 2회 후 채취되는 하부층은 상기 TS 1회 후 남아 있는 피부 부위의 최상위 각질층이다. 흡수 시간의 상한값 및/또는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평가 목적에 따라 임의로 지정할 수도 있다.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고 도포된 제품이 피부에 충분히 흡수되는 시간이 지난 이후 일회 이상 테이프 스트리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고 충분히 흡수되었다고 판단하는 시간은 20분으로 정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테이프 스트리핑은 10회 수행할 수 있으나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부 각질 10층은 테이프 스트리핑을 10회 수행하여 채취된 각질층 10층 깊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분측정장치는 엡실론(Epsilon, Biox Systems Ltd., London, UK), MoistureMap MM100(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 코르네오미터(Corneometer,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Cologne, Germany) 또는 Skicon 200을 포함한 모든 수분측정장치일 수 있다. 테이프 스트리핑 기법으로 동일 피부 부위의 각질층을 복수 회 채취하여 수분측정장치로 측정함으로써, 이후 피부 부위의 각질층 몇층까지 제품이 흡수되었는지 평가가 가능해진다.
테이프에 채취된 각질층 각각의 하부층은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수분량이 측정될 수 있다(S10, S12). 실시예에 따른 수분측정장치는 센서를 이용해 각각의 하부층을 수분량에 따라 밝고 어두운 정도로 이미지화하고 상기 수분량를 수치화할 수 있다. 수분측정장치의 센서는 피부 표면의 수분량에 따라 전기량(electric capacitance)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S10)는, 미리 정해진 측정시간(time point)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시간은 제품 도포 전의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제품 도포 직후의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며, 상기 제품을 도포하고 흡수한 이후의 제1 피부 부의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일 회 이상 더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스트리핑은 제품을 도포한 직후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제품이 피부에 충분히 흡수된 후 테이프 스트리핑을 일 회 이상 수행할 수 있는데, 각각의 하부층을 채취하기 위한 테이프 스트리핑 사이의 간격 또한 임의로 정할 수 있다(예: 1분~5분).
상기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S12)는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측정한다. 즉,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시간은 제1 피부 부위에 제품 도포 전, 제품 도포 직후, 제품을 도포하고 흡수한 이후 일 회 이상의 테이프 스트리핑을 수행한 후 각각 수분량을 측정하는 시간과 대응한다.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S14)는, 측정시간(time point)별 측정된 각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쌍체비교(paired t test)로 비교하는 단계, 대응하는 측정시간에서의 제2 피부 부위와 제1 피부 부위 간의 수분량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제품이 개선 성능을 갖는지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S14)는, 측정시간별 측정된 하부층의 수분량을 쌍체비교(paired t test)로 비교 분석하여 제품을 미도포한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 대비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개선되었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S14)는, 특정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의 수분량이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보다 수분량이 높은지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시간별 측정된 하부층의 수분량의 쌍체비교는 수분측정장치로 측정된 수분량 원시 값일 수 있으나, 하부층 각각의 수분량의 평균 유전율(dielectric permittivity, ε)을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다. 하부층의 수분량은 피부 부위의 일부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측정된 수분량 값을 정규화하는 평균 유전율(ε)을 사용할 수 있다. 피부의 수분량이 높을수록 측정된 이미지가 밝아지며, 평균 유전율(ε)의 수치가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S14)는, 제품의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의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수분개선율을 계산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하거나, 또는 유의확률(P-value)을 계산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피부의 수분량이 개선되었는지 판정하는데는 수분개선율이 활용된다. 수분개선율은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될수 있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서 수분량은 평균 유전율(ε)을 사용할 수 있다.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품을 미도포한 피부 부위(제2 피부 부위)와 제품을 도포한 피부 부위(제1 피부 부위)의 수분량의 차이를 계산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대응하는 측정시간의 하부층 각각에서 상기 제2 피부 부위와 제1 피부 부위의 수분량의 차이를 계산하고,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과 제1 피부 부위의 수분량 값들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의확률(P-value)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유의확률의 계산은 수분개선율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유의확률을 미리 결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기준 값은 0.0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의확률이 0.05보다 작은 경우(p-value<0.05) 제품을 미도포한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과 도포한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유의확률이 0.05보다 작은 경우, 판단의 대상이 된 제품은 피부에 수분을 제공하여 흡수성 및 수분량 개선 기능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은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 제품을 도포하는 제1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품을 도포하고 흡수시킨 후 제1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품을 도포하는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다른 피부 부위인 제2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품을 도포하고 흡수시킨 후 제2 시간이 지난 후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상기 수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시간과 다른 시간으로 상기 제1 시간 보다 오래된 시간임 및 각 피부 부위에서 측정된 각질층 각각의 수분량에 기초하여 수분 개선 속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분 개선 속력을 계산함으로써, 제품의 사용 후 흡수 시간에 따라 복수의 시점(예: 도포하고 흡수한 5분 후 / 도포하고 흡수한 1시간 후) 에서의 수분량을 측정한다면 수분 개선 속력을 구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도 1을 참조한 피부 수분 평가 방법과 차이점을 위주로 상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분 개선 속력은, 다음의 [수학식 2]로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상기 [수학식 2]의 상기 수분량은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 TS) 기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직방향으로 하부층을 채취하여 해당 하부층의 수분량을 측정하고, 각질층을 이루는 복수의 하부층 중 적어도 일부의 수분량의 총합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측정된 각질층의 수분량, 제품의 수분개선율, 유의확률, 및/또는 유의확률에 기초한 평가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는 텍스트, 색상 및/또는 이미지 형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수분량 평가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품을 미도포한 피부 부위(2피부 부위)와 도포한 피부 부위(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 각각의 하부층의 수분량 이미지를 수직방향으로 전개하여 비교한 이미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품을 미도포한 제2 피부 부위(대조부위)의 각질층 각각의 하부층은 색상의 변화가 없으며, 수분량이 낮아 어두운 색을 나타낸다. 반면, 제품을 도포한 제1 피부 부위(시험부위)의 각질층 각각은 수분량이 높아 대조부위의 동일한 측정시간에 측정된 하부층 대비 밝은 색상을 나타낸다. 시험부위의 최상위측은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고 흡수한 직후로서 수분량이 높아 채취한 하부층에서 가장 밝은 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품을 도포한 피부 부위(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 각각의 하부층의 수분량 이미지를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을 적용하여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라데이션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아랫층에서 상부층으로 갈수록 수분함량 정도에 따라 색상이 더 연해지거나 밝아지는 등 자연스럽게 색상이 상이해지도록 표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은 형태로 각질층의 하부층 각각의 수분량을 색상으로 표시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실험예
도 5 및 도 6은 일 실험예에 따른, 수분측정장치로서 엡실론을 사용하여 각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하부층 각각의 수분량을 측정시간에 따라 측정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일부 하부층을 테이프 스트리핑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직방향으로 각각 채취하고, 센서를 이용해 각각의 하부층을 수분량 정도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정도로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제품을 도포한 피부 부위(시험부위)와 제품을 미도포한 피부 부위(대조부위)로 나눌 수 있다. 제품의 사용 전에는 시험부위와 대조부위 간에 수분량에 차이가 없으므로 수분량 이미지 또한 거의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품 사용 직후, 시험부위의 수분량 이미지는 수분량이 높아 하부층 중 가장 밝은 색상을 나타내다가 테이프 스트리핑을 반복하여 각질층의 하부층 깊이가 깊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어두워진다. 그러나 시험부위의 측정시간과 대응하여 측정된 대조부위의 하부층 대비 수분량이 높아 보다 밝은 색상임을 알 수 있다. 대조부위는 각질층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색상의 변화는 차이가 없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각 피부 부위에서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시간에 따라 평균 유전율과 수분개선율로 평가한 결과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수분량이 높을수록 평균 유전율은 증가하며, 대응하는 측정시간에서의 각 부위의 수분량(즉, 평균 유전율)을 비교하면 수분개선율이 계산된다. 제품 도포전 측정된 시험부위의 수분량은 4.499±1.010ε,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대조부위의 수분량은 4.557±1.190ε으로 차이가 없어 제품의 수분개선율은 미미했다. 시험부위에 제품 사용 직후 측정된 수분량은 36.442±5.476ε이였으며,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대조부위의 수분량은 4.551±1.141ε로 수분개선율은 700.747%로 가장 효과적이였다. 이후 제품을 도포하고 흡수한 후 TS 1회 수행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26.508±4.499ε,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대조부위의 수분량은 4.494±1.163ε로서 수분개선율은 489.853%이였다. 동일한 방식으로 다음TS 수행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21.468±4.367ε, 대조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4.437±1.094ε로 수분개선율은 383.840%이였다. 3번째 TS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17.612±3.967ε, 대조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4.375±1.108ε로 수분개선율은 302.560%이였다. 4번째 TS 수행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15.534±3.295ε, 대조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4.375±1.150ε로서, 수분개선율은 255.063%이였다. 5번째 TS 수행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13.869±2.942ε, 대조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4.303±1.190ε로서 수분개선율은 222.310%였다. 6번째 TS 수행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12.493±2.602ε, 대조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4.275±1.163ε로서, 수분개선율은 192.234%였다. 7번째 TS 수행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11.200±2.525ε, 대조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4.263±1.251ε로서, 수분개선율은 162.726%였다. 8번째 TS 수행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10.359±2.310ε, 대조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4.255±1.203ε로서, 수분개선율은 143.455%였다. 9번째 TS 수행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9.416±2.055ε, 대조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4.205±1.209ε로서, 수분개선율은 123.924%였다. 10번째 TS 수행후 시험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8.474±1.591ε 대조부위에서 측정된 수분량은 4.105±1.200ε로서, 수분개선율은 106.431%였다.
시험부위의 속 수분(TS 10회 후) 측정값은, 제품 사용전에 비해 사용 직후 및 TS (1회~10회) 후에 유의한 수준(p<0.05)으로 증가하였다. 대조부위(제품 미도포)의 속 수분(TS 10회) 측정값은, 제품 사용전에 비해 사용 직후 및 TS (1회~5회) 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p>0.05), TS (6회~10회) 후에는 유의한 수준(p<0.05)으로 감소하였다.
속 수분(TS 10회) 개선율은, 사용 직후 700.747%, TS 1회후 489.853%, TS 2회후383.840%, TS 3회후 302.560%, TS 4회후 255.063%, TS 5회후 222.310%, TS 6회후192.234%, TS 7회후 162.726%, TS 8회후 143.455%, TS 9회후 123.924%, TS 10회후 106.431%로, 각 시점에서 제품 미도포 피부 부위 대비 군간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내어, 시험 제품의 수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제품의 수분 개선 속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각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평가한 결과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시험 부위 1에 제품을 도포하고 5분 후 TS를 1~10회 수행한 후 해당 하부층의 수분량을 측정한다. 인접한 시험 부위 2에 동일한 제품을 도포하고 1시간 후 TS를 1~10회 수행한 후 해당 하부층의 수분량을 측정한다. TS 1회 후 ~ TS 10회 후 측정된 각각의 수분량(ε)의 합계를 계산하여 단위시간 당 수분량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수분 개선 속력을 계산한다.
시험부위 1의 TS 1회 후 ~ TS 10회 후 해당 하부층의 수분량(ε) 합계 = 137.5 이고, 시험부위 2의 TS 1회 후 ~ TS 10회 후 해당 하부층의 수분량(ε) 합계 = 183 였다. 따라서 최종 수분 개선 속력(ε/min) = (183 - 137.5) / 55 (min) = 0.602 ε/min였다. 수분 개선 속력이 높을수록 피부에 대한 해당 제품의 흡수율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다수의 제품에 대해서 개선 속력이 계산되면, 각 제품별 피부 수분 개선 속력을 비교하여 각 제품의 개선 성능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개선율을 이용하면 해당 제품의 피부 수분 개선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이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단계, 동작, 또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은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S14)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컴퓨팅 장치인 평가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종래의 피부 수분 평가를 위한 기기(예컨대, 엡실론)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고 통합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대체적이고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공간, 및 네트워킹 구성요소(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장치다.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와 호환되는 운영 체제, 애플 OS X 또는 iOS,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ibution), 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와 같은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 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신원확인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신원확인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 수분측정장치에 의하여,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 제품이 도포되는 제1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단계;
수분측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품이 미도포되는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단계 - 상기 제2 피부 부위는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다른 피부 부위임; 및
평가부에 의하여 각 피부 부위에서 측정된 각질층 각각의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은 복수의 하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의 수분량 측정은 복수의 하부층 중 채취된 적어도 일부의 하부층의 수분량이 각각 정량적으로 측정되고,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는,
특정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의 수분량과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의 수분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각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단계는 테이프 스트리핑(Tape Stripping, TS) 기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직방향으로 채취된 해당 하부층의 수분량이 측정되고,
센서를 이용해 상기 해당 하부층을 수분량에 따라 밝거나 어두운 정도로 이미지화하고 상기 수분량를 수치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단계는,
제품 도포 전의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고,
제품 도포 직후의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며,
상기 제품을 도포하고 흡수된 이후의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일 회 이상 더 측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것에 대응하여 측정되며,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는,
측정시간(time point)별 측정된 각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쌍체비교(paired t test)로 비교하는 단계; 및
대응하는 측정시간에서의 제2 피부 부위와 제1 피부 부위 간의 수분량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이 수분 개선 성능을 갖는지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삭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단계는,
각 피부 부위에 대해서 측정된 하부층의 수분량에 대한 평균 유전율(dielectric permittivity, ε)을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측정장치는 각질층의 전기량(electric capacitance)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은:
제품의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품의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수분개선율을 계산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하거나, 또는 유의확률(P-value)을 계산하여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과 제1 피부 부위의 수분량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유의확률(P-value)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량 개선 정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유의확률을 미리 결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를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각 피부 부위에 제품이 도포되고 흡수된 직후의 수분량 이미지 및 테이프 스트리핑이 복수 회 수행된 후 측정된 하부층 각각의 수분량 이미지를 층별로 수직방향으로 전개한 후 3D 이미지로 표현하여 비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량 이미지를 층별로 수직방향으로 전개함에 있어서,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갈수록 수분함량 정도에 따라 연해지거나 상이해지는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수분측정장치에 의하여,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 제품이 도포되는 제1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품이 도포되고 제1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단계;
수분측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제품이 도포되는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다른 피부 부위인 제2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품이 도포되고 제2 시간이 지난 후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이 측정되는 단계 - 상기 제2 시간은 상기 제1 시간과 다른 시간으로 상기 제1 시간보다 오래된 시간임; 및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특정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의 수분량과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의 수분량을 기초로 상기 제품의 수분 개선 속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은 복수의 하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각질층의 수분량 측정은 복수의 하부층 중 채취된 적어도 일부의 하부층의 수분량이 각각 정량적으로 측정되는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피부 수분 평가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스킨케어 또는 메이크업 제품이 도포되는 제1 피부 부위 및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다른 피부 부위로서 상기 제품이 미도포된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측정장치- 상기 각질층은 복수의 하부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측정장치의 각질층의 수분량 측정은 복수의 하부층 중 채취된 적어도 일부의 하부층의 수분량이 각각 정량적으로 측정됨; 및
각 피부 부위에서 측정된 각질층 각각의 수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평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부 부위와 제2 피부 부위의 수분량을 평가하는 평가부는,
특정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1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의 수분량과 대응하는 측정시간에 측정된 제2 피부 부위의 각질층의 특정 하부층의 수분량을 비교하는, 피부 수분 평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9437A KR102323106B1 (ko) | 2021-02-10 | 2021-02-10 |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CN202110497202.1A CN114910630A (zh) | 2021-02-10 | 2021-05-07 | 皮肤水分评估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9437A KR102323106B1 (ko) | 2021-02-10 | 2021-02-10 |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3106B1 true KR102323106B1 (ko) | 2021-11-10 |
Family
ID=7850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9437A KR102323106B1 (ko) | 2021-02-10 | 2021-02-10 |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3106B1 (ko) |
CN (1) | CN11491063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5796B1 (ko) | 2023-07-03 | 2023-12-20 | 한국콜마주식회사 |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94111A (ko) * | 2006-03-16 | 2007-09-20 | (주)아모레퍼시픽 | 피부 각질층의 거칠기를 측정하여 화장품의 피부 보습력을평가하는 방법 |
KR20150117074A (ko) * | 2014-04-09 | 2015-10-1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피부 진단 장치 및 방법 |
JP2016224025A (ja) * | 2015-05-26 | 2016-12-28 | 花王株式会社 | 角層の保湿状態の評価方法 |
KR20180132590A (ko) * | 2018-12-06 | 2018-12-12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피부성질 맞춤형 보습력 측정방법 |
-
2021
- 2021-02-10 KR KR1020210019437A patent/KR1023231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5-07 CN CN202110497202.1A patent/CN114910630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94111A (ko) * | 2006-03-16 | 2007-09-20 | (주)아모레퍼시픽 | 피부 각질층의 거칠기를 측정하여 화장품의 피부 보습력을평가하는 방법 |
KR20150117074A (ko) * | 2014-04-09 | 2015-10-19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피부 진단 장치 및 방법 |
JP2016224025A (ja) * | 2015-05-26 | 2016-12-28 | 花王株式会社 | 角層の保湿状態の評価方法 |
KR20180132590A (ko) * | 2018-12-06 | 2018-12-12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피부성질 맞춤형 보습력 측정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5796B1 (ko) | 2023-07-03 | 2023-12-20 | 한국콜마주식회사 | 피부 상태 평가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4910630A (zh) | 2022-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kedung et al. | Mechanisms of tactile sensory deterioration amongst the elderly | |
Leveque et al. | SkinChip®, a new tool for investigating the skin surface in vivo | |
André et al. | Effect of skin hydration on the dynamics of fingertip gripping contact | |
Diridollou et al. | Comparative study of the hydration of the stratum corneum between four ethnic groups: influence of age | |
Hara et al.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s modulus of the stratum corneum and age: a pilot study | |
Sun et al. | In vivo estimation of water diffusivity in occluded human skin using terahertz reflection spectroscopy | |
Abdouni et al. | Static and active tactile perception and touch anisotropy: aging and gender effect | |
Sandford et al. | Capturing skin properties from dynamic mechanical analyses | |
EP2759981A1 (en) | Wrinkle detection method, wrinkle detection device and wrinkle detection program, as well as wrinkle evaluation method, wrinkle evaluation device and wrinkle evaluation program | |
Liu et al. | Measuring contact area in a sliding human finger‐pad contact | |
Liu et al. | Feasibility of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o study the influence of skin structure on finger friction | |
Batisse et al. | Capacitance imaging of the skin surface | |
Cornuault et al. | Influence of physico-chemical, mechanical and morphological fingerpad properties on the frictional distinction of sticky/slippery surfaces | |
KR102323106B1 (ko) | 피부 수분 평가 방법 | |
Asaga et al. | Tactile evaluation based on human tactile perception mechanism | |
Kim et al. | Age‐related changes in skin bio‐mechanical properties: the neck skin compared with the cheek and forearm skin in K orean females | |
Terekhov et al. | Minimal adhesion surface area in tangentially loaded digital contacts | |
Massimiani et al. | The role of mechanical stimuli on hedonistic and topographical discrimination of textures | |
Zahouani et al. | Friction noise of human skin in vivo | |
Koseki et al. | Assessment of skin barrier function using skin images with topological data analysis | |
Li et al. | Influence of exfoliating facial cleanser on the bio-tribological properties of human skin | |
KR102693511B1 (ko) | 피부의 탄력 및 화장료의 피부 탄력 개선도 평가 방법 | |
JP6850194B2 (ja) | 肌状態評価方法及び肌状態評価装置 | |
Dai et al. | In vivo adhesive behavior of human facial skin by a modified indentation test | |
Park et al. | Two possible classifications of facial skin type by two parameters in Korean women: sebum excretion rate (SER) and skin surface relief (SS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