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518B1 -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 - Google Patents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518B1
KR101297518B1 KR1020090103833A KR20090103833A KR101297518B1 KR 101297518 B1 KR101297518 B1 KR 101297518B1 KR 1020090103833 A KR1020090103833 A KR 1020090103833A KR 20090103833 A KR20090103833 A KR 20090103833A KR 101297518 B1 KR101297518 B1 KR 101297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inlet
hook
width
stirr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077A (ko
Inventor
추연석
차효숙
임예훈
최병우
배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103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518B1/ko
Priority to JP2012536690A priority patent/JP5534624B2/ja
Priority to TW099137197A priority patent/TWI392541B/zh
Priority to US13/504,776 priority patent/US8961001B2/en
Priority to EP10827133.9A priority patent/EP2495040B1/en
Priority to CN201080059502.1A priority patent/CN102725061B/zh
Priority to PCT/KR2010/007536 priority patent/WO2011053049A2/ko
Publication of KR2011004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518B1/ko
Priority to US14/591,634 priority patent/US914477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18Stationary reactors having moving elements in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01J19/0066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7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involving high-viscosity liquids, e.g. asph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9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 B01F27/09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with elements co-operating with receptacle wall or bottom, e.g. for scraping the receptac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rotary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rotary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05Mixing plastics, polymer material ingredients, monomers or olig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761Details of the reactor
    • B01J2219/00763Baffles
    • B01J2219/00779Baffles attached to the stirr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응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내부 물질을 교반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반응기의 내벽에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날개가 사이를 통과하는 교반후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교반후크의 사이의 폭은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보다 이탈하는 출구에서 넓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후크에서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이탈하는 출구까지 압력이 일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교반후크에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이 최소화된다. 결국, 교반후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교반장치, 후크, 날개

Description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Mixing device and mixing hook therein}
본 발명은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장치에서 회전날개와 함께 고점성의 물질을 교반하는 교반후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합반응은 작은 분자들이 반복 첨가되어 하나의 길고 연속된 사슬을 형성하는 반응을 말하며, 작은 단위분자를 단위체라 한다. 이러한 중합반응을 하기 위한 장치인 중합반응기의 내부에는 일정 이상의 점성을 가진 고점성의 유체 또는 겔형(gel) 물질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반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반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교반장치는 대략 실린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내부공간에는 교반을 위한 장치가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교반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교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교반장치의 내벽(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중앙에는 회전축(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을 모터 등의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3)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회전날개(5)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날개(5)는 상기 회전축(3)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개(5)는 상기 회전축(3)과 함께 회전되면서 실질적으로 고점성 물질의 교반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회전날개(5)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날개(5)의 단부에는 각각 교반리브(7)가 구비된다. 상기 교반리브(7)는 상기 회전날개(5)의 단부에서 직교하게 돌출되는 부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교반리브(7)는 상기 회전날개(5)의 단부에서 양쪽으로 직교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교반리브(7)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리브통과부(13)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내벽(1)에는 고점성 물질의 교반과 분쇄를 위한 교반후크(10)가 구비된다. 상기 교반후크(10)는 상기 내벽(1)을 둘러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교반후크(10)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후크(10)의 사이로 상기 회전날개(5) 및 교반리브(7)가 통과하면서 고점성 물질을 교반하고 분쇄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후크(10)는 상기 반응기의 내벽(1)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4)와; 상기 연결부(14)의 선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의 사이에는 상기 교반리브(7)가 통과하는 리브통과 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평행부(16)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날개(5)가 통과하는 날개통과부(17)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리브통과부(13)는 상기 날개통과부(17)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교반리브(7)의 폭이 상기 회전날개(5)보다 넓기 때문이다.
상기 교반후크(10)는 회전날개(5)의 회전과정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날개(5)와 소정의 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교반리브(7)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교반후크(10)와 회전날개(5)의 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해 고점성의 물질이 통과하면서 분쇄도 일어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교반후크(10)의 교반 및 분쇄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기 교반장치의 내부로 고점성의 유체 또는 겔형태의 물질이 투입된다. 일반적으로 교반장치에서 교반하는 물질이 고점성을 가진다고 하면 10000cp 이상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물질은 액상에서 고체로 변화하면서 부피가 급격하게 팽창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고점성의 물질이 투입되면 입구 쪽에서 출구 쪽으로 이송되면서 순차적으로 액체에서 겔형, 겔형에서 고체로 변화하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겔형에서 고체로 변화하는 과정에서는 부피가 급격하게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체로 변한 덩어리들은 상기 회전날개(5)에 회전에 의해 상기 교반후크(10) 사이를 통과하면서 교반, 분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5)가 통과하는 교반후크(10)의 사이는 회전날개(5)가 진입하는 입구부터 이탈하는 출구까지 일정한 간격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날개(5)와 교반후크(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다보니 상기 교반후크(10)에 가해지는 압력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출구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상기 교반후크(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하지 않고 출구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되면, 상기 교반후크(10)에 압력차에 의한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상기 교반후크(10)가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 것이다.
상기 교반후크(1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5)가 통과할 때마다 이와 같은 모멘트를 반복하여 받게 되므로 상기 교반후크(10)에 피로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교반후크(10)의 지지부(12)에 모멘트가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상기 교반후크(10)가 내벽(1)에서 떨어져서 파손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교반후크(10)가 파손되면 상기 교반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없으므로 교반효율이 떨어지고, 보수비용도 증가하는 문제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반후크에 가해지는 비틀림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는 반응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내부 물질을 교반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반응기의 내벽에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날개가 사이를 통과하는 교반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후크의 사이의 폭은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보다 이탈하는 출구에서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후크의 사이는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후크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확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날개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날개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는 교반리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후크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날개가 통과하는 날개통과부와 상기 교반리브가 통과하는 리브통과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날개통과부의 폭은 상기 리브통과부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후크는, 상기 반응기의 내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돌출되고, 상기 리브통과부가 사이에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날개통과부가 사이에 형성되는 평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행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확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행부의 선단에는 설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교하게 연장되는 연장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는 상기 입구의 폭의 1.0~2.0 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는 상기 입구의 폭의 1.3~1.5 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후크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는 반응기의 내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서 서로 마 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상기 지지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의 사이로는 반응기에 설치된 회전날개가 통과하는데, 상기 회전날개가 이탈하는 출구는 입구의 폭의 1.0~2.0 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구는 상기 입구의 폭의 1.3~1.5 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행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확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날개가 통과하는 교반후크에서 출구의 폭이 입구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교반후크에서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이탈하는 출구까지 압력이 일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교반후크에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는 것이 최소화된다. 결국, 교반후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증대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에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와 회전날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20)는 반응기의 내벽(1)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돌출되고, 리브통과부(23)가 사이에 형성된 지지부(22)와; 상기 지지부(22)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24)와; 상기 연결부(24)의 선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날개통과부(27)가 사이에 형성되는 평행부(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행부(26)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확개면(2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확개면(28)은 상기 교반후크(20)에 가해지는 비틀림 모멘트를 최소화하고, 상기 평행부(26)의 마주보는 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다시 말해, 상기 평행부(26)의 사이로 회전날개(5)가 관통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날개(5)가 진입하는 입구보다 상기 회전날개(5)가 이탈하는 출구 쪽의 폭을 넓게 하여 출구 쪽에서 압력이 강하게 작용했던 것(도 4 참조)을 상쇄시키고자 한 것이다. 상기 확개면(28)은 상기 회전날개(5)의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즉 직선면을 따라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행부(26) 사이의 날개통과부(27)도 회전날개(5)의 입구에서 출구 쪽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확개면(28)의 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드시 직선면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날개(5)의 입구보다 출구 쪽에서 폭이 크게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이를 위해,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평행부(26)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확개면(28',28")은 도 8과 같이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구에서 출구로 가면서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 다른 형상을 가진 확개면(28)의 설계도 가능할 것이다.
참고로,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의 실제 설계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도 6과 대응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편의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참조하면, 교반후크(12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형상과 유사하다. 다른 부분을 살펴보면, 교반후크(120)의 연결부(124)가 도 6과 달리 지지부(122)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되지 않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이다. 그리고, 평행부(126)의 선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0)가 더 구비된다. 물론, 도 10에서 도시한 것은 실제 설계 형상을 예로써 보인 것에 불과하고 이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20)에서 상기 회전날개(5)가 이탈하는 출구의 폭은 입구에 비해 1.0~2.0 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5)가 이탈하는 출구의 폭은 입구에 비해 1.3~1.5 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한 비율로 입구와 출구의 폭이 형성되어야 고점성의 물질의 교반 및 분쇄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교반후크(20)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20)는 다음과 같은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후크(20)의 재질로는 스테인레스강(SUS)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스테인레스강은 내식성, 가공성 및 용접성이 뛰어난 스틸소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테인레스강 중에서 강도가 우수하고, 내부식성이 좋은 듀플렉스(duplex)를 사용한다. 상기 듀플렉스는 해양발전소와 같이 염분에 의해 부식이 우려되는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재질이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와 종래의 교반후크의 응력 분포 및 변형율 분포를 비교한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a)는 종래의 교반후크이고, (b)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도 11에서 (a)는 지지부(22)의 양단부에서 응력이 매우 높게 나타나는 것이 비해 (b)는 출구 쪽에 가까운 일단부에서만 응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b)에서 응력이 낮게 나타나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 지지부(22)의 외곽면 쪽에 발생하는 변형율이 (a)보다 (b)가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b)를 보면 상기 평행부(26)의 확개면(28)에서 변형율이 (a)에 비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도 11 및 도 12의 해석을 통해 종래의 교반후크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에서 응력이 70% 수준으로 감소되고, 비틀림에 의한 변형량이 10% 수준으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 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반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반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교반장치에서 회전날개가 교반후크를 통과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교반장치에서 회전날개가 교반후크를 통과할 때의 유체 흐름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일반적인 교반장치에서 교반후크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와 회전날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를 보인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의 실제 설계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와 종래의 교반후크의 응력 분포를 비교한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반후크와 종래의 교반후크의 변형율 분포를 비교한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교반후크 22 : 지지부
23 : 리브통과부 24 : 연결부
26 : 평행부 27 : 날개통과부
28 : 확개면

Claims (15)

  1. 반응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내부 물질을 교반하는 회전날개와;
    상기 반응기의 내벽에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회전날개가 사이를 통과하는 교반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후크의 사이의 폭은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보다 이탈하는 출구에서 넓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후크의 사이는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후크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확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의 단부에는 상기 회전날개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는 교반리 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후크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날개가 통과하는 날개통과부와 상기 교반리브가 통과하는 리브통과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날개통과부의 폭은 상기 리브통과부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후크는,
    상기 반응기의 내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돌출되고, 상기 리브통과부가 사이에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날개통과부가 사이에 형성되는 평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확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부의 선단에는 설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교하게 연장되는 연장부 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상기 입구의 폭의 1.0~2.0 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상기 입구의 폭의 1.3~1.5 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후크는 스테인레스강 재질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장치.
  12. 반응기의 내벽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선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상기 지지부보다 좁은 폭을 가지도록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를 포함하는 교반후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사이로는 반응기에 설치된 회전날개가 통과하는데, 상기 회전 날개가 이탈하는 출구는 입구의 폭의 1.0~2.0 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후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상기 입구의 폭의 1.3~1.5 배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후크.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평행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회전날개가 진입하는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확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후크.
KR1020090103833A 2009-10-29 2009-10-29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 KR101297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833A KR101297518B1 (ko) 2009-10-29 2009-10-29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
JP2012536690A JP5534624B2 (ja) 2009-10-29 2010-10-29 撹拌装置及びそれに備えられる撹拌フック
TW099137197A TWI392541B (zh) 2009-10-29 2010-10-29 攪拌裝置及其之攪拌鈎
US13/504,776 US8961001B2 (en) 2009-10-29 2010-10-29 Agitator and agitating hook provided therein
EP10827133.9A EP2495040B1 (en) 2009-10-29 2010-10-29 Agitator
CN201080059502.1A CN102725061B (zh) 2009-10-29 2010-10-29 搅拌器和设置于该搅拌器中的搅拌钩
PCT/KR2010/007536 WO2011053049A2 (ko) 2009-10-29 2010-10-29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
US14/591,634 US9144776B2 (en) 2009-10-29 2015-01-07 Agitator and agitating hook provid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833A KR101297518B1 (ko) 2009-10-29 2009-10-29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077A KR20110047077A (ko) 2011-05-06
KR101297518B1 true KR101297518B1 (ko) 2013-08-16

Family

ID=4392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833A KR101297518B1 (ko) 2009-10-29 2009-10-29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961001B2 (ko)
EP (1) EP2495040B1 (ko)
JP (1) JP5534624B2 (ko)
KR (1) KR101297518B1 (ko)
CN (1) CN102725061B (ko)
TW (1) TWI392541B (ko)
WO (1) WO2011053049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653B1 (ko) 2019-12-13 2020-03-02 윤상진 유압식 천공장치 운용방법
KR102117709B1 (ko) 2019-11-01 2020-06-01 주식회사 디에스씨알 점착라벨 재료 권출 장치의 라인 셋팅 방법
KR102172499B1 (ko) 2020-04-19 2020-10-30 (주) 휴그린 처방전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43141B2 (en) * 2011-10-27 2017-05-09 Trimr, Llc Shakeable container with agit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5273A (en) * 1987-12-18 1991-10-08 Davy Mckee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processing high viscosity materials
KR930019366A (ko) * 1992-03-18 1993-10-18 가나이 쯔도무 점성물질의 교반방법 및 교반장치
JPH0952035A (ja) * 1995-08-18 1997-02-25 Teijin Ltd 攪拌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KR20090022591A (ko) * 2007-08-31 2009-03-04 (주)흥보테크 균질혼련기의 교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0997A (en) * 1937-01-29 1940-05-14 Vernon E Royle Extruding machine
DE1077638B (de) * 1952-12-19 1960-03-17 Ernst Reiffen Dipl Ing Ruehr- und Mischgeraet fuer Standbehaelter
US3115674A (en) * 1961-02-15 1963-12-31 Dow Chemical Co Backflow restrictor for extruders
US4136972A (en) * 1975-06-26 1979-01-30 Doom Lewis G Premixer
JPS5327167A (en) * 1976-08-25 1978-03-14 Masao Moriyama Continuous kneading device
JPS5584137U (ko) * 1978-12-08 1980-06-10
DE3522087A1 (de) * 1985-06-20 1987-01-02 Valentin Filippovic Bolsakov Homogenisator
US4838704A (en) * 1987-12-15 1989-06-13 Carver David L Mixer apparatus
US5087546A (en) * 1988-12-07 1992-02-11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for continuously mixing powd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JPH10192673A (ja) 1997-01-10 1998-07-28 Mitsubishi Heavy Ind Ltd 攪拌装置
TW449501B (en) * 1998-04-28 2001-08-11 Satake Chem Equip Mfg Stirring apparatus
JP4112908B2 (ja) * 2002-06-07 2008-07-02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連続攪拌装置及び重縮合系樹脂の連続重縮合方法
CN2555925Y (zh) * 2002-06-24 2003-06-18 张瑜 一种新型材料处理器
DE10354888B4 (de) * 2003-11-24 2006-10-26 Mat Mischanlagentechnik Gmbh Kolloidalmischer und Verfahren zur kolloidalen Aufbereitung einer Mischung
FR2871711B1 (fr) * 2004-06-18 2006-09-22 Pcm Pompes Sa Dispositif de melange dynamique en ligne
EP2070588A1 (en) 2006-10-04 2009-06-17 Shi Mechanical & Equipment Inc. Stirrer and stirr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5273A (en) * 1987-12-18 1991-10-08 Davy Mckee Aktiengesellschaft Apparatus for processing high viscosity materials
KR930019366A (ko) * 1992-03-18 1993-10-18 가나이 쯔도무 점성물질의 교반방법 및 교반장치
JPH0952035A (ja) * 1995-08-18 1997-02-25 Teijin Ltd 攪拌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KR20090022591A (ko) * 2007-08-31 2009-03-04 (주)흥보테크 균질혼련기의 교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709B1 (ko) 2019-11-01 2020-06-01 주식회사 디에스씨알 점착라벨 재료 권출 장치의 라인 셋팅 방법
KR102083653B1 (ko) 2019-12-13 2020-03-02 윤상진 유압식 천공장치 운용방법
KR102172499B1 (ko) 2020-04-19 2020-10-30 (주) 휴그린 처방전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3049A3 (ko) 2011-10-06
KR20110047077A (ko) 2011-05-06
WO2011053049A2 (ko) 2011-05-05
US9144776B2 (en) 2015-09-29
TW201127481A (en) 2011-08-16
EP2495040A2 (en) 2012-09-05
US8961001B2 (en) 2015-02-24
EP2495040B1 (en) 2019-02-20
TWI392541B (zh) 2013-04-11
CN102725061B (zh) 2015-07-15
US20150131407A1 (en) 2015-05-14
JP5534624B2 (ja) 2014-07-02
CN102725061A (zh) 2012-10-10
EP2495040A4 (en) 2015-12-16
JP2013509289A (ja) 2013-03-14
US20120327740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518B1 (ko) 교반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교반후크
US9068031B2 (en) Reactor and method for continuous polymerization
CA2168063C (en) Continuous dynamic mixing system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system
WO2010082391A1 (ja) 撹拌装置及び撹拌方法
US10384177B2 (en) Rotor and stirring device
US10105663B2 (en) Stirring propeller with blades made of sheet bent along two longitudinal bends
US6502980B1 (en) In-line homogenizer using rotors and stators in a housing for creating emulsions, suspensions and blends
KR101405107B1 (ko) 분산유화장치용 임펠러
KR200487606Y1 (ko) 교반날개 및 교반장치
JP2000005585A (ja) 撹拌機及び撹拌装置
Maxson et al. Heat transfer enhancement in turbulent drag reducing surfactant solutions by agitated heat exchangers
US11305246B2 (en) Agitator device
RU2253506C1 (ru) Пропеллерная мешалка конструкции землякова н.в. для перемешивания жидких сред
RU2006544C1 (ru) Смеситель
RU2146967C1 (ru) Роторно-пульсационный акус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варианты)
JPS6115725A (ja) リボン型ラインミキサ−
RU101041U1 (ru) Кавитатор
JP3197194B2 (ja) 攪拌装置
JP2016028798A (ja) 混練撹拌装置
KR200250832Y1 (ko) 유체 교반장치
PL237696B1 (pl) Mieszadło do mieszania cieczy lub układów heterofazowych
Ambhore et al. Geometry and Architecture of Mixing Agitator–A
PL215201B1 (pl) Mieszadło do płynów
JP2009213951A (ja) 攪拌翼および攪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