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964B1 -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964B1
KR101295964B1 KR1020090020468A KR20090020468A KR101295964B1 KR 101295964 B1 KR101295964 B1 KR 101295964B1 KR 1020090020468 A KR1020090020468 A KR 1020090020468A KR 20090020468 A KR20090020468 A KR 20090020468A KR 101295964 B1 KR101295964 B1 KR 10129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ata
base
circuit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1992A (ko
Inventor
임진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0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9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G05B9/02Safety arrangements electric
    • G05B9/03Safety arrangements electric with multiple-channel loop, i.e. redundant control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4Plc safety
    • G05B2219/14015Dual plc's, processors and dual I-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모듈을 통해 이중화된 증설 베이스를 제어하는 PLC 시스템에서 베이스 간에 연결된 전송경로가 끊어져도 이웃한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증설 베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중화를 위해 제1 및 제2 모듈을 구비한 제1 베이스와 제3 및 제4 모듈을 구비한 제2 베이스에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이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듈과 제4 모듈이 직렬연결되며, 상기 각 베이스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내지 4 모듈은 각각 데이터 수신회로와 데이터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데이터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연결부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PLC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통신,증설, 시스템, 모듈, 이중화.

Description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PL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이하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이중화 증설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산업현장에서 자동화 설비는 릴레이등을 사용한 기계적인 장비로 구성되어 있었다. 기계적인 장비로 되어 있는 자동화 설비의 기능을 바꾸기 위해서는 설비 내부회로의 배선을 다시 일일히 고쳐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고자 만들어진 것이 PLC이다.
PLC는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적인 컨트롤러이다. PLC는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설비에서 오는 신호를 받아서 내부에 프로그램된 내용대로 처리한 이후에 처리된 신호를 설비로 출력한다. PLC는 릴레이, 타이머 및 카운터 등과 같은 제어장치의 기능을 집적소자 및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로 대체 한 것으로서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 기능에 수치 연산 기능을 추가하여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고, 내부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로직을 수행한다. PLC는 장치제어, 장치 수치세팅, 시간제어, 실시간감시, 실시간 데이타수집, 및 안전장치 가동등 다양한 작업에 적용될 수 있다.
PLC를 이용하는 PLC 시스템은 오늘날 댐, 발전소, 반도체 제조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PLC 시스템은 발전시설 같은 사회기간 사업이나 산업적으로 중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PLC 시스템은 동작상 에러가 발생하면 큰 사회적 비용이 생기기 때문에 시스템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PLC 시스템에 에러가 발생하여 데이터가 날라가거나 오동작이 발생하면, 엄청난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PLC 시스템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을 이중화하여 구성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PLC 시스템은 하나의 중앙연산부와, 다수의 베이스를 구비한다. 다수의 베이스가 서로 연결된 PLC 시스템을 증설베이스 PLC 시스템이라 하고, 각 베이스에는 필요한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모듈이 구비된다. 이중화된 PLC 시스템에서는 중앙연산부를 2개로 구비하고, 각 베이스는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각각 2개씩 구비한다. 제1 중앙연산부가 각 베이스의 첫번째 모듈과 연결되고, 제2 중앙연산부가 각 베이스의 두번째 모듈과 연결되어, 하나의 PLC 시스템에 2개의 같은 기능을 하는 2개의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PLC 시스템에 구비되는 2개의 시스템이 서로 별개의 시스템처럼 동작하여 비효율적으로 구동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제1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 전송경로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웃한 제2 시스템의 전송경로에 에러가 없는 전송경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경로상에 발생한 에러로 인해 제1 시스템 하나를 완전히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통신모듈을 통해 이중화된 증설 베이스를 제어하는 PLC 시스템에서 베이스 간에 연결된 전송경로가 끊어져도 이웃한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증설 베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중화를 위해 제1 및 제2 모듈을 구비한 제1 베이스와 제3 및 제4 모듈을 구비한 제2 베이스에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이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듈과 제4 모듈이 직렬연결되며, 상기 각 베이스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내지 4 모듈은 각각 데이터 수신회로와 데이터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데이터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 연결부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PLC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화를 위해, 각각 데이터 송신회로와 데이터 수신회로를 구비하는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구비하는 제1 베이스; 이중화를 위해, 각각 데이터 송신회로와 데이터 수신회로를 구비하는 제3 모듈과 제4 모듈을 구비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연결하는 제1 데이터 연결부;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연결부; 상기 제1 데이터 연결부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제1 데이터 우회 연결부; 및 상기 제1 데이터 우회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우회 연결부를 구비하는 PLC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화를 위해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제1 베이스; 이중화를 위해 제3 모듈과 제4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제2 베이스; 이중화를 위해 제5 모듈과 제6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제3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의 제3 모듈이 제거될 때에도 상기 제1 모듈에서 상기 제5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4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우회 연결부; 및상기 제2 베이스의 제3 모듈이 제거될 때에도 상기 제1 모듈에서 상기 제5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4 모듈과 상기 제5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2 데이터 우회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3, 5 모듈과 상기 제2, 4, 6 모듈은 실질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PLC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이중화된 증설 베이스를 가지는 PLC 시스템에서, 제1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전송경로가 끊어져도 제2 시스템의 전송경로는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제1 시스템의 데이터를 제2 시스템의 전송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필요한 곳으로 안전하게 보낼 수 있다.
또한, 제1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의 고장이 발생하였을 시에, 제2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경로를 제1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경로로 이용할 수 있음으로 해서, 제1 시스템의 동작을 중지시키지 않고도, 제1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을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화된 증설 베이스 PLC 시스템의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C 시스템은 제1 중앙연산부(100), 제2 중앙연산부(200), 제1 베이스(300), 제2 베이스(400)을 구비한다. 여기서는 2개의 베이스가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2개 이상 다수의 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중앙연산부(100)는 연산장치(CPU A)와 전원부(110)를 구비하고, 제2 중앙연산부(200)는 연산장치(CPU B)와 전원부(210)를 구비한다. 제1 베이스(300)는 전원부(310), 제1 모듈(320), 및 제2 모듈(330)을 구비한다. 제1 모듈(320)은 데이터 수신부(321) 및 데이터 송신부(322)를 구비하고, 제2 모듈(330)은 데이터 수신부(321) 및 데이터 송신부(332)를 구비한다. 제2 베이스(400)도 제1 베이스(300)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화를 위해 PLC 시스템은 중앙연산부를 2개 가지고 있으며, 각 베이스에도 같은 기능을 하는 모듈을 2개씩(320과 330, 420과 430) 구비하고 있다. 즉, PLC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제1 중앙연산부(100)와 제1 베이스(300)의 제1 모듈(320)과 제2 베이스(400)의 제1 모듈(420)을 포함하는 제1 시스템과, 제2 중앙연산부(200)와 제1 베이스(300)의 제2 모듈(330)과 제2 베이스(400)의 제2 모듈(430)을 포함하는 제2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각 시스템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각각의 데이터 전송라인(A,B)를 구비하고 있다. 전송라인(CA)는 두 중앙연산부(100,200) 간에 데이터 교환을 위한 것이다.
베이스와 베이스간 또는 중앙연산부와 베이스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에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 방법을 이용한다. 통신방법으로 이용하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배선을 줄일 수 있고, 높은 신뢰성으로 데이터를 필요한 곳으로 먼 곳까지 전송할 수 있다. 주로 사용하는 통신방법에는 이더넷이 있다. 이렇게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는 PLC 시스템을 통신기반의 PLC 시스템이라고 하고, 도1은 통신기반의 이중화된 증설 베이스를 가지는 PLC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중화는 각 영역별로 구성요소를 2개씩 두는 것을 말하는데, 전원부를 2개 둘 수도 있고, 연산제어부를 2개 둘 수도 있고, 모든 구성요소를 2개씩 둘 수도 있 다. 만약 베이스에 전원부를 2개 구비하고, 이들을 병렬연결한다면, 하나의 전원부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다른 하나의 전원부에 의해 전원 공급이 유지되기 때문에 베이스의 동작을 이상없이 유지할 수 있다. 연산제어부가 2개인 경우에도 하나의 연산제어부가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나머지 하나의 연산제어부를 통해 PLC 시스템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증설베이스를 구비하는 PLC 시스템은 메인 베이스와 증설 베이스를 통신을 통해 연결한다. 메인 베이스의 데이터 처리모듈이 증설된 베이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통신을 통해 전달한다. 메인 베이스와 증설 베이스의 연결에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기술을 사용한다.
도2는 도1과 같은 PLC 시스템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C 시스템은 이중화를 위해 2개의 연산장치(CPU A, CPU B)와 각 베이스에 2개의 모듈(예를 들면 Ext1,Ext1')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개의 데이터 전달 패스(Path1, Path2)를 가지고 있다. PLC 시스템은 2개의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제1 시스템은 연산장치(CPU A)와 각 베이스의 제1 모듈(Ext1,Ext2,Ext3)을 구비하는 것이 되고, 제2 시스템은 연산장치(CPU B)와 제2 모듈(Ext1',Ext2',Ext3')을 구비하는 것이 된다. 두개의 시스템중 중 하나의 시스템이 마스터 시스템으로 동작하다가 에러(Fault)가 발생하게 되면 다른 시스템이 대체되어 동작하므로써, 중단없이 구동이 가능한 것이다.
만약,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과 제2 베이스의 제1 모듈(Ex2)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1 시스템 내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서로 불가능하여 사실상 제1 시스템의 구동은 멈추게 된다. 제2 시스템이 제1 시스템을 대체하여 동작하는 도중에, 제2 모듈(Ex2', Ex3')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2 시스템 내부의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여 제2 시스템의 구동도 멈추어야 한다. 하나의 패스상에 배치된 연결부 모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면, 연산장치(CPU A,CPU B)가 각 베이스에 있는 모듈을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즉, 2군데의 데이터 전송 연결부에 에러가 발생하면, PLC 시스템이 이중화 되어있음에 불구하고 동작을 완전히 멈출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패스에 모두 에러가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우회하여 경로가 설정될 수 있는 경우에 데이터 전송을 우회시킴으로서,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PLC 시스템을 제안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은 각각 이중화된 제1 모듈(Ext1,Ex2,Ex3)과 제2 모듈(Ext1',Ext2',Ext3')을 구비하는 베이스가 적어도 2개 이상 실질적으로 직렬 연결되며, 각 베이스에 구비되는 이중화된 모듈은 각각 데이터 수신회로와 데이터 송신회로(L,R)를 구비한다. 여기서는 3개의 베이스가 연산장치(CPU A,CPU B)와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연결부(C1~C6)는 각각 베이스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송신회로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3에 도시된 PLC 시스템은 도2와 마찬가지로 제1 시스템의 데이트 전송경로 와 제2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경로에 에러가 발생한 상태이다. 이 경우 종래기술에 의한 PLC 시스템의 제1 시스템과 제2 시스템 모두 데이터를 전달하지 못하여 PCL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이웃한 베이스가 각각 정상적인 동작을 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우회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서, PLC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의 제1 데이터 송신회로(R1)와, 제2 베이스의 제1 모듈(Ext1)의 제1 데이터 수신회로(L1)를 제1 데이터 연결부(C2)를 통해 연결한다. 이어서, 제1 데이터 연결부(C2)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의 제1 데이터 수신회로(L1)와, 제1 베이스의 제2 모듈(Ext1')의 제1 데이터 송신회로(R2)를 연결한다.
이어서, 제1 베이스의 제2 모듈(Ext1')의 데이터 송신회로(R2)와, 제2 베이스의 제2 모듈(Ext2')의 데이터 수신회로(L4)를 연결한다. 이어서, 제2 베이스의 제2 모듈(Ext2')의 데이터 수신회로(L4)와 제2 베이스의 제1 모듈(Ext2)의 데이터 송신회로(R3)를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하게 되면, 데이터 연결부(C2)에 에러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우회 연결부(D1,D2)를 통해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L1)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2 베이스의 제1 모듈(Ext2)의 데이터 송신회로(R3)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연결된 경우에 데이터 연결부(C2)에 문제가 생겼다 하더라도, 연산장 치(CPU A)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신호가 제3 베이스의 제1 모듈(Ext3)까지 전달될 수 있다. 즉, PLC 시스템의 제1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베이스 내지 제2 베이스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이더넷 기반의 통신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통신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한 베이스의 두 모듈간은 데이터 우회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4는 도3에 도신 PCL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플로차트로 나타낸 것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장치(CPU A)가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과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12) 연결이 되어 있으면, 데이터를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로 전달한다.(13)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연산장치(CPU B)에게 동작제어권을 넘긴다.(16)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은 제2 베이스의 제1 모듈(Ex2)과 연결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14) 연결되어 있으면, 데이터를 제2 베이스의 제1 모듈(Ex2)로 전달한다.(15) 만약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은 제1 베이스의 제2 모듈(Ext1')로 데이터를 전달한다.(18) 제1 베이스의 제2 모듈(Ext1')은 제2 베이스의 제2 모듈(Ext2')과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19) 연결되어 있으면, 제1 베이스의 제2 모듈(Ext1')은 제2 베이스의 제2 모듈(Ext2')로 데이터를 전달한다.(20)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에러를 발생시킨다.(22)
한편, 동작제어권을 넘겨받은 연산장치(CPU B)는 제1 베이스의 제1 모 듈(Ext1')과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17) 연결되어 있으면, 연산장치(CPU B)는 데이터를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로 전달한다.(18) 연결되어 있지 않다면, 에러를 발생시킨다.(21)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은 증설된 베이스간에 한가지 연결경로만 존재하면, 연산장치(CPU A)가 데이터를 증설 베이스 3까지 전달할 수 있다. 즉, 증설베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2개의 연결경로 중 하나만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연산장치(CPU A)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의 차이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6의 상단에 있는 종래기술에 의한 PLC 시스템은 연산장치(CPU B)와 제1 베이스 사이에 있는 데이터 연결부에 에러가 생겼을 때에, 연산장치(CPU B)를 포함하는 제2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연산장치(CPU A)를 포함하는 제1 시스템을 구동해야만 한다. 따라서 제2 베이스의 제1 모듈(Ext2)의 교환을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교환을 할 수 없다.
도6의 하단에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은 PLC 시스템은 연산장치(CPU B)와 제1 베이스 사이에 있는 데이터 연결부에 에러로 인해, 연산장치(CPU A)를 포함하는 제1 시스템을 구동하고 있다. 그러나,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 과 제2 베이스의 제2 모듈(Ext2') 사이에 우회 데이터 전달부(D3)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을 우회하여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PLC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구동시키는 동안에도 제2 베이스의 제1 모듈(Ext2)을 교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베이스의 제1 모듈(Ext1)과 제2 베이스의 제2 모듈(Ext2') 사이에 우회 데이터 전달부(D3)를 배치시켜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PLC 시스템은 베이스 내에 DPRAM(Daul Port RAM)을 장착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증설 베이스에 장착된 모듈간의 연결방법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고, 모듈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한 PLC 시스템은 베이스 내의 모듈 고장 또는 수정으로 인해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로, 즉 PLC의 구동 운전경로를 엄격하게 확인할 필요가 없어졌다. 종래에는 PLC 시스템의 전체 데이터 전송경로를 파악한 후 데이터 전송경로가 아닌 곳의 모듈만이 교체가능하였다.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교체하고자 하는 모듈과 연결된 모듈과 우회 경로만 확인한 후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이중화된 증설 베이스가 연속으로 3개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중간에 있는 베이스의 모듈은 데이터 전송경로와 관계없이 교환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1은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2는 도1과 같은 PLC 시스템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6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모듈 이중화된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의 차이를 나타내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 연산처리부 300,400: 이중화된 베이스

Claims (10)

  1. 이중화를 위해 제1 및 제2 모듈을 구비한 제1 베이스와 제3 및 제4 모듈을 구비한 제2 베이스에서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이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듈과 제4 모듈이 직렬연결되며, 상기 각 베이스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내지 4 모듈은 각각 데이터 수신회로와 데이터 송신회로를 구비하는 PLC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데이터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연결부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PLC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이더넷 기반의 통 신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구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 베이스에 구비된 모듈간에 데이터 전송은 베이스 내에 구비되는 DPRAM(Daul Port RAM)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구동방법.
  4. 이중화를 위해, 각각 데이터 송신회로와 데이터 수신회로를 구비하는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구비하는 제1 베이스;
    이중화를 위해, 각각 데이터 송신회로와 데이터 수신회로를 구비하는 제3 모듈과 제4 모듈을 구비하는 제2 베이스;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연결하는 제1 데이터 연결부;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와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연결부;
    상기 제1 데이터 연결부에 에러가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제1 데이터 우회 연결부; 및
    상기 제1 데이터 우회 연결부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와 상기 제4 모듈의 데이터 송신회로를 연결하는 제2 데이터 우회 연결부
    를 구비하는 PLC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연산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제1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로 제공하기 위한 제1 연산장치와, 연산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제2 모듈의 데이터 수신회로로 제공하기 위한 제2 연산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이더넷 기반의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 베이스에 구비된 모듈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각 베이스 내에 DPRAM(Daul Port R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시스템.
  8. 이중화를 위해 제1 모듈과 제2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제1 베이스;
    이중화를 위해 제3 모듈과 제4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제2 베이스;
    이중화를 위해 제5 모듈과 제6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제3 베이스;
    상기 제2 베이스의 제3 모듈이 제거될 때에도 상기 제1 모듈에서 상기 제5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4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우회 연결부;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제3 모듈이 제거될 때에도 상기 제1 모듈에서 상기 제5 모듈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4 모듈과 상기 제5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제2 데이터 우회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3, 5 모듈과 상기 제2, 4, 6 모듈은 실질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PLC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내지 상기 제3 베이스의 데이터 전송방법은 이더넷 기반의 통신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 베이스에 구비된 모듈간에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각 베이스 내에 DPRAM(Daul Port R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C 시스템.
KR1020090020468A 2009-03-10 2009-03-10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29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68A KR101295964B1 (ko) 2009-03-10 2009-03-10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468A KR101295964B1 (ko) 2009-03-10 2009-03-10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992A KR20100101992A (ko) 2010-09-20
KR101295964B1 true KR101295964B1 (ko) 2013-08-13

Family

ID=4300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468A KR101295964B1 (ko) 2009-03-10 2009-03-10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81B1 (ko) * 2023-07-18 2024-03-07 (주)엠에스테크이앤지 안전계통 통신망 인터페이스와 이를 이용한 원전 사이버 보안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77961B (zh) * 2012-06-26 2015-03-21 Silicon Touch Tech Inc 應用於序列傳輸系統之晶片及相關的故障處理方法
CN103529808A (zh) * 2013-10-28 2014-01-22 国家电网公司 一种远程电参数测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123A (ko) * 1999-09-17 2001-04-06 서평원 광전송 시스템의 이중화 감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5880A (ko) * 2003-12-26 2005-06-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임베디드 리눅스를 이용한 유/무선 통신용 논리 연산 장치
KR100625677B1 (ko) * 2006-03-31 2006-09-20 윤종철 공연시설의 무대 기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123A (ko) * 1999-09-17 2001-04-06 서평원 광전송 시스템의 이중화 감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5880A (ko) * 2003-12-26 2005-06-30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임베디드 리눅스를 이용한 유/무선 통신용 논리 연산 장치
KR100625677B1 (ko) * 2006-03-31 2006-09-20 윤종철 공연시설의 무대 기계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81B1 (ko) * 2023-07-18 2024-03-07 (주)엠에스테크이앤지 안전계통 통신망 인터페이스와 이를 이용한 원전 사이버 보안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1992A (ko) 2010-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3814B2 (en) Safety module and automation system
CN201740999U (zh) 用于自动化设备的输入和/或输出安全模块
EP2085839B1 (en) Apparatus for unidirectionally interconnecting modules
CN201837860U (zh) 用于控制多个安全关键及非安全关键进程的控制系统
CN110376876B (zh) 一种双系同步的安全计算机平台
EP27740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r transition
US8780702B2 (en) Adaptive multi-redundant ring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detour
US10173321B2 (en) Robot system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rollers which operate a plurality of industrial robots
CN110799912B (zh) 安全关键和非安全关键的过程的控制系统
US20170212490A1 (en) Control and data-transfer system, gateway module, i/o module, and method for process control
CN112714725B (zh) 车辆控制系统
US10386832B2 (en) Redundant control system for an actuator and method for redundant control thereof
KR101295964B1 (ko) Plc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5706347B2 (ja) 二重化制御システム
US20130019040A1 (en) Field communication system
KR100240959B1 (ko) 입출력 다중화 피엘씨 시스템
US9241043B2 (en) Method of connecting a hardware module to a fieldbus
KR100724495B1 (ko) 피엘씨 이중화 시스템 및 운전 방법
KR100865286B1 (ko) 고장 입출력 모듈 교체 시스템 및 그 방법
EP2413208B1 (en) Processor connectivity
KR101122796B1 (ko) Plc 시스템
CN114488769B (zh) 防护模块、具有防护模块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US9503312B2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CN111884896B (zh) 基于通信总线的数字安全链系统及其监测方法
JP2023004453A (ja) 冗長化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