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592B1 -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592B1
KR101295592B1 KR1020110063397A KR20110063397A KR101295592B1 KR 101295592 B1 KR101295592 B1 KR 101295592B1 KR 1020110063397 A KR1020110063397 A KR 1020110063397A KR 20110063397 A KR20110063397 A KR 20110063397A KR 101295592 B1 KR101295592 B1 KR 101295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oling
cooling rate
cool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441A (ko
Inventor
허승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5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2045/0212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gaseous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2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소재를 냉각시키는 냉각 방식을 확인하는 및 소재를 냉각시키는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와 측정된 소재의 온도를 기반으로 특정 공정 지점에서의 소재의 온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METHOD FOR PREDICTING TEMPERATURE OF ROLLING MATERIAL IN ROLLING PROCESS}
본 발명은 압연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연공정 중에 소재의 온도를 예측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상압연공정에서는, 조압연을 마치고 난 수십㎜ 두께, 약 1050℃의 온도를 갖는 소재를 일련의 연속압연을 행함으로써, 약 2∼20㎜의 목표 두께와 900℃ 내외의 목표 사상압연 종료온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관리항목이다.
이러한 사상압연공정에서는 매우 높은 온도에서 조업이 이루어지므로, 소재의 온도가 제품재질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제품두께를 조정하기 위한 적정 압연하중의 설정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열연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 소재의 온도를 측정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소재의 냉각 속도를 기반으로 소재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은 소재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소재를 냉각시키는 냉각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재를 냉각시키는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와 상기 측정된 소재의 온도를 기반으로 특정 공정 지점에서의 소재의 온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재의 특정 부위는 상기 소재의 상부 또는 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재의 온도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소재의 온도에서 상기 냉각 속도로 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감소한 냉각온도 감소량을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 방식의 냉각 속도는 설정된 제2기간 동안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를 산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 방식이 공냉식이면,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는 수학식 α1[i+1]=(1-wα11[i]+wα1×α1,m[i]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wα 1는 업데이트를 위한 가중치 파라미터(0≤wα1≤1)이며, α1[i+1]는 업데이트되는 공냉식 냉각 속도이고, α1[i]는 업데이트 이전의 공냉식의 냉각 속도이며, α1,m[i]는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라 측정된 실제 냉각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제 냉각 속도(α1,m[i])는 수학식
Figure 112011049528150-pat00001
에 의해 계산되고, 여기서, Ti 는 제1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소재의 온도이고, Ti +1 는 상기 제1온도 감지부 이후의 제2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상기 소재의 온도이며, ΔT' 는 상기 제1온도 감지부에서 상기 제2온도 감지부까지 상기 소재가 이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 방식이 수냉식이면,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는 수학식 α2[i+1]=(1-wα22[i]+wα2×α2,m[i]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wα2는 업데이트를 위한 가중치 파라미터(0≤wα2≤1)이며, α2[i+1]는 업데이트되는 수냉식 냉각 속도이고, α2[i]는 업데이트 이전의 수냉식의 냉각 속도이며, α2,m[i]는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라 측정된 실제 냉각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α2,m[i]는 수학식
Figure 112011049528150-pat00002
에 의해 계산되고, 여기서, Ti 는 제1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온도이며, Ti +1 은 제2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이며, ΔT' 는 상기 제1온도 감지부에서 상기 제2온도 감지부까지 상기 소재가 이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며, α1 은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이며, t2 는 수냉식 냉각 방식이 적용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는 공냉식 냉각방식에 따른 실제 온도감소량을 차감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연공정에서 소재의 상부와 하부 온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 상부와 하부의 온도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사상압연기의 공정조건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연공정에서 소재의 냉각 속도의 갱신을 통해 소재의 상부와 하부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상부 온도 예측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하부 온도 예측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냉각 속도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냉각 속도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장치는 온도 예측부(10), 제1온도 감지부(21), 제2온도 감지부(22), 및 제3온도 감지부(23)를 포함한다.
제1온도 감지부(21)는 가열로(30)에서 가열된 소재(40)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테이블(미도시)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소재(40)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제1온도 감지부(21)는 소재(40)의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를 각각 개별적으로 감지하는데, 이는 소재(40)의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가 압연 공정과 냉각 방식 등에 따라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제2온도 감지부(22)와 제3온도 감지부(23)는 압연기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압연 전과 후의 소재의 온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온도 감지부(21~23)는 일 예로, 소재(40)의 방사열을 측정하는 파이로미터(Pyrometer)가 이용될 수 있다.
파이로미터는 소재(40)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을 오목 거울, 또는 형석제(螢石製)인 렌즈로 검댕을 칠한 백금판(白金板) 등으로 형성된 수열판(受熱板)에 모으고, 복사열을 흡수한 수열판의 온도를 열전온도계로 측정하도록 한 형태로써, 흡수한 수열판의 온도를 통해 소재(40)의 온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파이로미터의 상세한 구조 및 작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소재(40)는 가열로(30)에서 배출된 후 이송 테이블에 의해 이송되면서, 사상압연에 적합한 온도로 제어되어야 한다. 이는 소재(40)의 온도가 사상압연의 적정하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송 테이블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소재(40)의 온도는 각 냉각 방식을 조합하여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특히, 수냉식 냉각 방식은 냉각수를 분사하는 디스케일러(Descaler)(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지며, 디스케일러는 가열로(30)의 출구 및 사상압연기(50)의 스탠드와 인접한 위치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예측부(10)는 제1온도 감지부(21)에 의해 감지된 소재(40)의 온도를 이용하여 냉각 방식별로 소재(40)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예측한다.
이 경우, 온도 예측부(10)는 제2온도 감지부(21)에서 감지된 소재(40)의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 각각에 대해 냉각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냉각 속도를 적용하여 소재(40)의 온도를 예측한다.
이와 같이, 온도 예측부(10)에 의해 예측된 소재(40)의 온도는 압연설비에 구비된 압연롤의 압연하중과 롤 속도, 냉각수량 등의 공정 조건의 설정에 사용되어 제품의 품질 확보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을 소재(40)의 상부 온도와 하부 온도로 구분하여 각각 설명하며, 냉각 방식에 따라 냉각 속도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상부 온도 예측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상부 온도 예측방법의 순서도이다.
온도 예측부(10)는 제1온도 감지부(21)를 제어하여 일정 위치에서의 소재(40)의 상부 온도를 감지한다(S110).
온도 예측부(10)는 제1온도 감지부(21)를 통해 소재(40)의 상부 온도가 감지되면, 기 설정된 예측 주기가 도래하는 지를 판단한다(S120).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예측은 일정한 주기마다 실행될 수 있다.
온도 예측부(10)는 예측 주기가 도래하면, 소재(40)의 냉각 방식을 확인한다(S130).
참고로, 소재(40)의 냉각 방식은 압연 공정의 공정 조건 등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디스케일러에 의한 냉각수 방출 여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소재(40)의 냉각 방식을 확인한 결과, 소재(40)의 냉각 방식이 공냉식이면, 공냉식 냉각 속도를 기반으로 소재(40)의 상부 온도를 계산한다(S140).
이 경우, 온도 예측부(10)는 감지된 소재(40)의 상부 온도에서 공냉식 냉각 속도로 소정 시간(ΔT) 동안 감소하는 냉각온도 감소량을 차감하여 소재(40)의 상부 온도를 예측한다.
여기서, 상기한 소정 시간(ΔT)은 소재(40)가 제1온도 감지부(21)의 감지 지점으로부터 예측하고자 하는 온도예측지점까지 이송되어 가는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상기한 소재(40)의 상부 온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다.
Figure 112011049528150-pat00003
여기서, Ttop[t+1]는 소재(40)의 상부 온도 감지 후, 이를 기반으로 온도를 예측하고자 하는 지점에서의 예측되는 소재(40)의 상부 온도이며, Ttop[t]는 제1온도 감지부(21)에서 감지된 소재(40)의 상부 온도이며, α1는 공냉식 냉각 속도이며, ΔT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소재(40)의 냉각 방식을 확인(S130)한 결과, 소재(40)의 냉각 방식이 수냉식이면, 수냉식 냉각 속도를 기반으로 소재(40)의 상부 온도를 계산한다(S150).
이 경우, 온도 예측부(10)는 감지된 소재(40)의 상부 온도에서 수냉식 냉각 속도로 소정 시간(ΔT) 동안 감소하는 냉각온도 감소량을 차감하여 소재(40)의 상부 온도를 예측한다.
상기한 소재(40)의 상부 온도는 하기의 수학식 2를 통해 계산된다.
Figure 112011049528150-pat00004
여기서, Ttop[t+1]는 소재(40)의 상부 온도 감지 후, 이를 기반으로 온도를 예측하고자 하는 지점에서의 예측되는 소재(40)의 상부 온도이며, Ttop[t]는 제1온도 감지부(21)에서 감지된 소재(40)의 상부 온도이며, α2는 수냉식 냉각 속도이며, ΔT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의 소재 하부온도 예측방법을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의 소재 하부온도 예측방법의 순서도이다.
온도 예측부(10)는 제1온도 감지부(21)를 제어하여 일정 위치에서의 소재(40)의 하부 온도를 감지한다(S210).
온도 예측부(10)는 제1온도 감지부(21)에서 소재(40)의 하부 온도가 감지되면, 기 설정된 예측 주기가 도래하는 지를 판단한다(S220).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온도 예측은 일정한 주기마다 실행될 수 있다.
온도 예측부(10)는 예측 주기가 도래하면, 소재(40)의 냉각 방식을 확인한다(S230).
확인 결과 소재(40)의 냉각 방식이 공냉식이면, 공냉식 냉각 속도를 기반으로 소재(40)의 하부 온도를 계산한다(S240).
이 경우, 온도 예측부(10)는 감지된 소재(40)의 하부 온도에서 공냉식 냉각 속도로 소정 시간(ΔT) 동안 감속하는 냉각온도 감소량을 차감한다.
상기한 소재(40)의 하부 온도는 하기의 수학식 3을 통해 계산된다.
Figure 112011049528150-pat00005
여기서, Tbot[t+1]는 소재(40)의 하부 온도 감지 후, 이를 기반으로 온도를 예측하고자 하는 지점에서의 예측되는 소재(40)의 하부 온도이며, Tbot[t]는 제1온도 감지부(21)에서 감지된 소재(40)의 하부 온도이며, β1는 공냉식 냉각 속도이며, ΔT는 상기한 상부 온도 예측시와 마찬가지로 소재가 제1온도 감지부(21)로부터 원하는 온도 에측 지점까지 이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한편, 소재(40)의 냉각 방식을 확인(S230)한 결과, 소재(40)의 냉각 방식이 수냉식이면, 수냉식 냉각 속도를 기반으로 소재(40)의 하부 온도를 계산한다(S250).
이 경우, 온도 예측부(10)는 감지된 소재(40)의 하부 온도에서 수냉식 냉각 속도로 소정 시간(ΔT) 동안 감속하는 냉각온도 감소량을 차감한다.
상기한 소재(40)의 하부 온도는 하기의 수학식 4를 통해 계산된다.
Figure 112011049528150-pat00006
여기서, Tbot[t+1]는 소재(40)의 하부 온도 감지 후, 이를 기반으로 원하는 지점에서 예측되는 소재(40)의 하부 온도이며, Tbot[t]는 제1온도 감지부(21)에서 감지된 소재(40)의 하부 온도이며, β2는 수냉식 냉각 속도이며, ΔT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한 복수의 냉각 속도는 소정의 주기 마다 업데이트되는 바, 이를 공냉식과 수냉식으로 구분하여 각각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냉각 속도 업데이트 방법을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냉식 냉각 속도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2온도 감지부(22)가 어떤 특정 소재(40)의 온도(Ti)를 감지한다(S310).
이어서, 제2온도 감지부(22)로부터 소정 구간이 지난 지점에 위치한 제3온도 감지부(23)가 온도(Ti +1)를 감지한다(S320).
따라서, 온도 예측부(10)는 2개의 온도 감지값을 획득하게 된다.
이후, 온도 예측부(10)는 2개의 온도 감지값을 이용하여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를 산출한다(S330).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는 하기의 수학식 5 를 통해 계산한다.
Figure 112011049528150-pat00007
여기서, α1,m 는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이며, Ti 는 제2온도 감지부(22)에서 감지된 온도이며, Ti +1 은 제3온도 감지부(23)에서 감지된 온도이며, ΔT' 는 제2온도 감지부(22)에서 제3온도 감지부(23)까지 소재(40)가 이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를 측정하면, 이 실제 냉각 속도를 기존의 공냉식 냉각 속도에 적용하여 공냉식 냉각 속도를 업데이트한다(S340).
이는 하기의 수학식 6 을 통해 계산한다.
Figure 112011049528150-pat00008
여기서, α1[i+1]는 Ti +1 번째 업데이트되는 공냉식 냉각 속도이며, wα 1는 업데이트를 위한 가중치 파라미터(0≤wα1≤1)이며, α1[i]는 Ti번째 업데이트된 공냉식 냉각 속도이며, α1,m[i]는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이다.
수학식 6에 따르면, 가중치 파라미터(wα1)를 조절함으로써, 측정된 실제 공냉식 냉각속도의 적용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냉각 속도 업데이트 방법을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냉각 속도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 여기서 제2온도 감지부(22)와 제3온도 감지부(23) 간에는 수냉구간과 공냉구간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제2온도 감지부(22)가 어떤 특정 소재(40)의 온도(Ti)를 감지한다(S410).
이어서, 제3온도 감지부(23)로부터 소정 구간이 지난 지점에 위치한 제3온도 감지부(23)가 온도(Ti +1)를 감지한다(S420).
따라서, 온도 예측부(10)는 2개의 온도 감지값을 획득하게 된다.
이후, 온도 예측부(10)는 상기한 2개의 온도 감지값을 이용하여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를 산출한다(S430).
한편, 수냉식 냉각 방식에 의한 냉각 과정에서는 공냉식 냉각이 함께 발생된다.
따라서,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는 수냉식 냉각 과정에서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온도감소량을 차감한다. 이는 하기의 수학식 7 을 통해 계산한다.
Figure 112011049528150-pat00009
여기서, α2,m 는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이고, Ti 는 제2온도 감지부(22)에서 감지되는 온도이며, Ti +1 은 제3온도 감지부(23)에서 감지된 온도이며, ΔT' 는 제2온도 감지부(22)에서 제3온도 감지부(23)까지 소재(40)가 이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며, α1 은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이며, t2 는 수냉식 냉각 방식을 이용한 수냉 시간이다. 따라서, t2<ΔT' 이다.
따라서,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온도감소량(ΔT'×α1)을 차감함으로써,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순수한 실제 냉각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를 측정하면, 이를 기존의 수냉식 냉각 속도에 적용하여 수냉식 냉각 속도를 업데이트한다(S440).
이는 하기의 수학식 8 을 통해 계산한다.
Figure 112011049528150-pat00010
여기서, α2[i+1]는 Ti +1 번째 업데이트되는 수냉식 냉각 속도이고, wα2는 업데이트를 위한 가중치 파라미터(0≤wα2≤1)이며, α2[i]는 Ti번째 업데이트된 수냉식 냉각 속도이며, α2,m[i]는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이다.
이때에도 가중치 파라미터(wα2)를 조절함으로써, 측정된 실제 수냉식 냉각 속도의 적용 비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공정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은 공냉식과 수냉식에서의 냉각 속도를 업데이트하여 소재(40)의 온도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온도 예측부 21: 제1온도 감지부
22: 제2온도 감지부 23: 제3온도 감지부
30: 가열로 40: 소재
50: 사상압연기

Claims (9)

  1. 소재의 특정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소재를 냉각시키는 냉각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소재를 냉각시키는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와 상기 측정된 소재의 온도를 기반으로 특정 공정 지점에서의 소재의 온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 방식의 냉각 속도는 설정된 제2기간 동안 냉각 방식에 따른 실제 냉각 속도를 산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의 특정 부위는 상기 소재의 상부 또는 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의 온도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소재의 온도에서 상기 냉각 속도로 설정된 제1기간 동안 감소한 냉각온도 감소량을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방식이 공냉식이면,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는
    수학식
    α1[i+1]=(1-wα11[i]+wα1×α1,m[i]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wα1는 업데이트를 위한 가중치 파라미터(0≤wα1≤1)이며, α1[i+1]sms 업데이트되는 공냉식 냉각 속도이고, α1[i]는 업데이트 이전의 공냉식의 냉각 속도이며, α1,m[i]는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라 측정된 실제 냉각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냉각 속도(α1,m[i])는
    수학식
    Figure 112011049528150-pat00011
    에 의해 계산되고,
    여기서, Ti 는 제1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소재의 온도이고, Ti +1 는 상기 제1온도 감지부 이후의 제2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상기 소재의 온도이며, ΔT' 는 상기 제1온도 감지부에서 상기 제2온도 감지부까지 상기 소재가 이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방식이 수냉식이면,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는
    수학식
    α2[i+1]=(1-wα22[i]+wα2×α2,m[i]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wα2는 업데이트를 위한 가중치 파라미터(0≤wα2≤1)이며, α2[i+1]는 업데이트되는 수냉식 냉각 속도이고, α2[i]는 업데이트 이전의 수냉식의 냉각 속도이며, α2,m[i]는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라 측정된 실제 냉각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α2,m[i]는
    수학식
    Figure 112011049528150-pat00012
    에 의해 계산되고,
    여기서, Ti 는 제1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온도이며, Ti +1 은 제2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이며, ΔT' 는 상기 제1온도 감지부에서 상기 제2온도 감지부까지 상기 소재가 이송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며, α1 은 공냉식 냉각 방식에 따른 냉각 속도이며, t2 는 수냉식 냉각 방식이 적용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냉식 냉각 방식에 따라 측정된 실제 냉각 속도는
    공냉식 냉각방식에 따른 실제 온도감소량을 차감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KR1020110063397A 2011-06-29 2011-06-29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KR101295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97A KR101295592B1 (ko) 2011-06-29 2011-06-29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397A KR101295592B1 (ko) 2011-06-29 2011-06-29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41A KR20130002441A (ko) 2013-01-08
KR101295592B1 true KR101295592B1 (ko) 2013-08-09

Family

ID=4783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397A KR101295592B1 (ko) 2011-06-29 2011-06-29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5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64B1 (ko) * 1995-12-30 2002-12-26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사상압연에서의 강판온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164B1 (ko) * 1995-12-30 2002-12-26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사상압연에서의 강판온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41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1131A (ko) 제어 장치
KR101298763B1 (ko) 슬라브 사이즈 측정 시스템
JP5565200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仕上温度制御装置
KR20170119699A (ko) 온도 계산 방법, 온도 계산 장치, 가열 제어 방법, 및 가열 제어 장치
JPH03281008A (ja) ヒートストリーク発生の予測方法及び温度センサーロール
JPH09145265A (ja) 電気炉の温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01295592B1 (ko) 압연공정에서의 소재 온도 예측방법
JP5493993B2 (ja) 厚鋼板の冷却制御装置、冷却制御方法、及び、製造方法
JP4349177B2 (ja) 連続式加熱炉の鋼材抽出温度予測方法
JP5712572B2 (ja) 薄鋼板用連続鋳造鋳片の欠陥検出方法および欠陥検出装置
JP2012030250A (ja) 連続鋳造鋳片の表面欠陥検出方法
JP2000271634A (ja) 押出急冷時の製品温度制御方法
JP2786760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鋼板の圧延温度予測方法
CN115896443A (zh) 一种加热辊底炉钢板的智能运行控制方法
JPH0671315A (ja) 熱間圧延における鋼板の圧延温度予測方法
KR101267588B1 (ko) 턴디쉬용 내화재 두께 변화 예측 장치 및 예측 방법
JP3537625B2 (ja) 連続鋳造における凝固シェル厚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2143913A (ja) 熱間圧延方法
KR101626604B1 (ko) 판재의 온도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0832974B1 (ko) 열연 강판의 피드 포워드 냉각 제어 방법
KR100992372B1 (ko) 바 쿨러를 사용하는 압연 공정을 위한 온도 계산 장치 및 방법
JP5824826B2 (ja) めっき浴内の温度分布推定装置、温度分布推定方法、及び連続溶融金属めっきプロセスの操業方法
JP2014079778A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11108773A (ja) 金属板の温度測定装置及び熱延鋼帯の圧延方法
CN104001736B (zh) 热连轧机带钢温度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