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329B1 -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Google Patents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5329B1 KR101295329B1 KR1020110071529A KR20110071529A KR101295329B1 KR 101295329 B1 KR101295329 B1 KR 101295329B1 KR 1020110071529 A KR1020110071529 A KR 1020110071529A KR 20110071529 A KR20110071529 A KR 20110071529A KR 101295329 B1 KR101295329 B1 KR 1012953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display panel
- image display
- stereoscopic image
- le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테그럴포토그라피 렌즈를 이용한 다시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레이스(다중분할합성)된 평면화상 패턴의 배열을 변경하여 유효 화각을 확대하고 이미지점프 현상의 제거하여 화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단위 볼록렌즈(11)들이 교차배열된 렌즈어레이층(10)과, 상기 렌즈어레이층(10) 아래의 초점거리(t1)에 위치하는 인터레이스층(30)과, 상기 인터레이스층을 상기 렌즈어레이층의 초점거리에 위치시키는 초점거리확보층(20)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으로서, 상기 인터레이스층(30)은 다시점에서 촬영되어 직사각형으로 인터레이스된 화상을 단위화상(32)으로 하여 상기 단위화상의 중심이 단위 볼록렌즈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열된 이른바 벽돌쌓기 구조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위 볼록렌즈(11)들이 교차배열된 렌즈어레이층(10)과, 상기 렌즈어레이층(10) 아래의 초점거리(t1)에 위치하는 인터레이스층(30)과, 상기 인터레이스층을 상기 렌즈어레이층의 초점거리에 위치시키는 초점거리확보층(20)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으로서, 상기 인터레이스층(30)은 다시점에서 촬영되어 직사각형으로 인터레이스된 화상을 단위화상(32)으로 하여 상기 단위화상의 중심이 단위 볼록렌즈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열된 이른바 벽돌쌓기 구조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테그럴포토그라피 렌즈어레이를 이용한 다시점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터레이스(다중분할합성)된 평면화상 패턴의 배열을 변경하여 유효 화각(시야각)을 확대하고 이미지점프 현상을 제거하여 화상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무안경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는 렌티큘라 방식 또는 페럴렉스베리어방식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같은 방식은 대부분 좌우의 눈에 시차 영상을 제공하는 이안식이다. 이안식은 1인의 양안시점(2시점)에서 제공되는 입체영상이기 때문에 관찰자가 머리를 움직였을 때의 운동시차나 여러 사람이 동시에 볼 수 있는 다시점의 입체영상을 바르게 표시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렌티큘라 렌즈시트를 대각선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수평으로 인터레이스 하는 기법 등도 시도되었지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72590호, 발명자; 레벡큐 자비어, 발명의 명칭; "렌티큘라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및 방법, 그와 관련된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이미지합성 방법"), 인터레이스 처리가 복잡하고, 렌즈를 형성하는 렌즈시트의 기울기와 인터레이스된 화면을 이루는 최소 화소의 수직,수평 단위 피치를 정렬하기 어려워 현실화하기 어려운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레이스 화상이란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물체를 2개 이상의 시점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화상으로 압축시킨 이미지를 말한다. 이것은 사람의 두 눈이 각기 보는 각도가 조금씩 다르고 각도가 다른 두 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볼 때 입체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2개의 시점을 넘는 각도에서 본 다수의 이미지들이 압축되어 만들어지게 되면 1인의 시점을 넘어선 보다 넓은 화각의 다시점 입체이미지가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화상은 렌티큘라 렌즈시트 또는 배리어시트 등을 통해서도 입체적으로 재현되어 볼 수 있다.
도 1은 5개의 시점에서 보이는 이미지를 분할합성 및 재구성하여 압축(인터레이스)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렇게 만들어진 복합평면화상을 인터레이스 패턴 이미지라 부른다.(이하에서는 반복되는 패턴단위를 '단위화상'이라 하고, 단위화상을 구성하는 분할화상을 '단위화소'라 하며, 단위화상이 배열된 패턴 전체를 '인터레이스층'이라고 한다).
이러한 인터레이스 과정은 매우 복잡한 계산에 따라 처리되어야 하므로 현대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 일괄적으로 처리되고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만들어진 인터레이스 화상 즉, 상기 5개의 시점에서 촬영된 단위화상을 압축시킨 인터레이스층(30)을 종래의 렌티큘라 입체방식에서 적용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인데,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우선 렌티큘라의 필수적인 제작조건을 살펴보면,
첫째, 인터레이스된 압축화상은 보는 시점 1번부터 5번까지의 화상을 잘게 쪼개어 인터레이스하게 되는데,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화상은 일정한 피치간격으로 반복되는 수직라인의 패턴으로 만들어진다.
위 렌티큘라의 인터레이스층의 단위화상(35)에는 5개의 시점이 존재하며, 입체 재현 시점이 많을수록 훨씬 정교하고 우수한 입체물을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입체 재현시점이 많은 만큼 더 많은 용량의 데이터 관리와 인쇄 또는 화상표시방법 및 화각처리가 정교해져야 하는 어려움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렌티큘라 인터레이스층의 단위화상(35)이 반복되는 피치(b) 간격은 렌티큘라 렌즈시트에 형성된 반기둥 형태의 렌즈피치(a)와 동일해야 하며, 그 배열각도 역시 수직 라인으로 렌티큘라 렌즈시트와 일치하도록 정교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셋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록렌즈의 곡률에 따라 '렌티큘라의 입체투시 유효화각(16)'이 정해지므로, 그 범위 내에서 렌티큘라 렌즈(12)의 초점형성 거리에 인터레이스 단위화소(36 ; 1 ~ 5로 쪼개져 순차적으로 합성된 구성단위)를 나열하여 순차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결국 종래의 기본적인 입체투시원리에 부합하는 제작기법은 상기 3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이것은 시선 방향에 따른 화각 범위와 투시재현 방향에 따른 인터레이스 단위화소의 정렬에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같은 렌티큘라의 기법에는 크게 2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우선인터레이스 단위화상이 수직 라인이라는 점에서 화각이 좁아 다시점 인터레이스층을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 그 하나이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유효화각 이상의 측면 화각에서는 인접한 단위 화소가 겹쳐 어지럽게 보이는 현상(이미지 점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눈의 양안 교차화각(f, g)이 유효화각(16) 내에 있는 단위화소 1과 2, 2와 3, 3과 4, 4와 5를 동시에 볼 때만 각각의 시각에서 입체를 볼 수 있는데, 인접한 단위화소 5와 1이 동시에 투시(f, g-1)될 때는 서로 상충된 이미지 5와 1을 양안이 동시에 보게 되므로 어지럽게 느끼게 된다.
이밖에 렌티큘라 기법에서는 수직화각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수직화각은 도 4와 같이 원통형 볼록렌즈의 위치에 반구형 볼록렌즈로 대체하여 배열하면 달성된다.
그러나 수평 화각의 범위는 그대이며, 도 5 및 도 6과 같이 렌즈를 배열하게 되면 동일한 렌즈일 경우 인터레이스 단위화상은 렌즈에 내접하는 삼각형(34) 및 사각형(33)의 밑변의 크기로서 도 4의 그것보다 더욱 좁아져 다시점의 확보가 더욱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테크럴 포토그라피 렌즈어레이를 이용하여 렌즈어레이와 이에 적합한 인터레이스 단위화상의 배열구조를 창안하고 다양한 이미지점프 차단수단을 강구함으로써, 종래의 렌티큘라 기법 등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없음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종류의 평면 영상을 인테그럴포토그래피 렌즈어레이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으로 표시하되 유효화각을 최대한 넓힐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영상 표시패널에서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이미지점프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쇄된 피사체 또는 TV 등 기타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가능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선명한 화상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보완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면화상과 입체화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첫번째 과제는 청구항 1에서부터 8에 의해 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볼록렌즈(11)들이 교차배열된 렌즈어레이층(10)과, 상기 렌즈어레이층(10) 아래의 초점거리(t1)에 위치하는 인터레이스층(30)과, 상기 인터레이스층을 상기 렌즈어레이층의 초점거리에 위치시키는 초점거리확보층(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터레이스층(30)은 다시점에서 촬영되어 직사각형으로 인터레이스된 화상을 단위화상(32)으로 하여 상기 단위화상의 중심이 단위 볼록렌즈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열된 이른바 벽돌쌓기 구조로 달성된다.
상기 렌즈어레이층(10)의 볼록렌즈는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하되 인접하는 렌즈들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수직선에 대해 45도 또는 60도 기울기의 ×형으로 교차하여 이른바 벌집형태의 배열이다.
상기 인테리이스층(30)에 배열된 단위화상(32)의 가로 세로의 크기는, 기준 볼록렌즈에 인접하는 좌우 렌즈의 중심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2개의 수직선(v2,v3)이 기준 볼록렌즈의 중심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수평선(h1) 위에서 교차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가 가로 크기(A)이고, 세로의 크기(B)는 수직으로 배열된 인접렌즈의 중심을 잇는 거리(h2-h3)의 2분의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어레이층의 볼록렌즈는 핀홀로 대체될 수 있으며, 핀홀의 크기와 형태 그리고 미세한 위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록렌즈의 형상은 반구형(다각형)이 바람직하나 굴절이 다른 소재로 평판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며, 층 단면이 원형이 사용되지만, 가로 세로의 굴절율이 다른 것으로서 가로가 긴 타원형으로 하면 보다 넓은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볼록렌즈는 통상 볼록한 부분인 렌즈정점이 패널의 표면을 향하도록 배열하지만, 시트표면에 형성된 볼록렌즈의 정점이 인터레이스층을 향하도록 뒤집어서 배열하게 되면 보다 넓은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점거리확보층은 렌즈보다 굴절율이 낮은 투명매질 또는 중공상태로 하여야 한다.
상기 두번째 과제는 청구항 9부터 15 또는 17항에 의해 달성된다.
이미지 점프현상은, 우선 화각유도용 마스크(50)를 상기 렌즈어레이층(10)과 초점거리확보층(20) 사이에 형성하여 제거한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는 상기 화각유도용 마스크 대신에 전반사를 이용한 코팅층 또는 중공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수단 모두를 조합하면 더욱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하나의 방법으로는 초점거리확보층(20) 내에 상기 화각유도용 마스크 대신에 블라인드마스크(55a)를 설치하거나 렌즈어레이층(10) 위에 블라인드마스크(55)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세번째 목적은 청구항 8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인터레이스층에 표시되는 화상을 인쇄하게 되면 인쇄물에 의한 피사체가 표시되는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을 TV 등 기타 디스플레이 표면에 장착하고 인터레이스된 영상을 투영하면 여러 종류의 입체 영상을 일정간격으로 교체하거나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네번째 목적은 렌즈어레이층(10) 표면에 볼록렌즈보다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 수지코팅층(80)을 형성하거나(청구항 16), 볼록렌즈(11)들 사이의 여백 표면에 잔상제거용 마스크(110)를 형성(청구항 21)하여 불필요한 잔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화각유도용 마스크의 투시차단띠(52) 또는 핀홀(101)을 전기적 신호에 의해 홀의 크기·위치 또는 투명도가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청구항 11 또는 19).
마지막으로 평면화상과 입체화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수단은 청구항 21 및 22에 기재한 것처럼 초점거리확보층(20)을 렌즈어레이층(10)과 인터레이스층(30)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중공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이 경우 초점거리 확보층은 중공층 또는 볼록렌즈보다 저굴절 액상 물질로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8에 따르면, 모든 종류의 평면 영상을 입체영상으로 표시하되 유효화각을 최대한 넓힐 수 있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청구항 9부터 15 또는 17항에 따르면, '이미지점프 현상'이 제거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청구항 8에 따르면 인쇄물에 의한 피사체는 물론 여러 종류의 영상을 일정간격으로 교체하거나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청구항 11, 16, 20에 따르면 불필요한 잔상을 제거하고, 미세조정을 통해 보다 선명한 화상이 확보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청구항 21 및 22에 따르면, 인터레이스층의 화상을 비초점거리에 두어 평면(2D)으로 보거나 초점거리에 맞추어 입체화상(3D)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공된다.
도 1은 인터레이스 제작과정의 흐름도,
도 2는 렌티큘라의 구조도.
도 3은 렌티큘라의 원리도.
도 4, 도 5, 도 6의 (A)(B)는 다양한 렌즈배열과 단위화상의 폭의 관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념도
도 8은 60도 교차배열의 렌즈어레이 구조도
도 9는 45도 교차배열의 렌즈어레이의 구조도
도 10은 도 7의 단면도
도 11은 렌즈배열과 인터레이스층의 단위화상의 배열도
도 12는 원본화상과 인터레이스층의 사진
도 13부터 도 17은 렌즈형태 및 배열에 따른 단위화상 폭의 관계도
도 18은 화각유도용 마스크를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19는 렌즈배열과 화각유도용 마스크의 관계도
도 20은 도 18에서 인접화소들의 차단각을 나타낸 개념도
도 21, 도 22는 전반사유도층을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3은 화각유도용마스크와 전반사유도층을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4는 표면보호층을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5, 도26은 볼록렌즈를 하향 배열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7은 블라인드 마스크를 렌즈어레이층 위에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8은 블라인드 마스크의 사시도,
도 29는 블라인드 마스크를 초점거리확보층에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30은 핀홀로 렌즈어레이를 구성한 실시예의 개념도
도 31과 도 33은 잔상제거용 마스크를 형성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32는 도 31에 저굴절수지코팅층 및 표면보호층을 형성한 실시예,
도 34는 도 33에서 초점거리확보층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렌티큘라의 구조도.
도 3은 렌티큘라의 원리도.
도 4, 도 5, 도 6의 (A)(B)는 다양한 렌즈배열과 단위화상의 폭의 관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개념도
도 8은 60도 교차배열의 렌즈어레이 구조도
도 9는 45도 교차배열의 렌즈어레이의 구조도
도 10은 도 7의 단면도
도 11은 렌즈배열과 인터레이스층의 단위화상의 배열도
도 12는 원본화상과 인터레이스층의 사진
도 13부터 도 17은 렌즈형태 및 배열에 따른 단위화상 폭의 관계도
도 18은 화각유도용 마스크를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19는 렌즈배열과 화각유도용 마스크의 관계도
도 20은 도 18에서 인접화소들의 차단각을 나타낸 개념도
도 21, 도 22는 전반사유도층을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3은 화각유도용마스크와 전반사유도층을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4는 표면보호층을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5, 도26은 볼록렌즈를 하향 배열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7은 블라인드 마스크를 렌즈어레이층 위에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28은 블라인드 마스크의 사시도,
도 29는 블라인드 마스크를 초점거리확보층에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30은 핀홀로 렌즈어레이를 구성한 실시예의 개념도
도 31과 도 33은 잔상제거용 마스크를 형성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32는 도 31에 저굴절수지코팅층 및 표면보호층을 형성한 실시예,
도 34는 도 33에서 초점거리확보층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실시예의 개념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본구조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록렌즈(11)들이 일정한 각도로 서로 교차 배열된 렌즈어레이층(10)과, 렌즈어레이층 하면에 렌즈와 동일한 합성수지재가 연장되어 초점거리를 확보하는 초점거리확보층(20), 그리고 맨 아래에 직사각형의 인터레이스 단위화상이 서로 엇갈리게 적층(이른바 '벽돌쌓기 형태')되어 배열된 인터레이스층(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렌즈어레이층(10)은 도 8 및 도 9 같은 형태로 배열된다.
도 8은 연속되는 동일한 크기의 볼록렌즈(11)들이 수직선에 대해 60도 기울기로 교차배열된 렌즈어레이이며, 이 경우 볼록렌즈들이 접하여 연속되는 렌즈어레이의 수직 피치 값 p1과 렌즈어레이의 수평 피치 값 p2는 동일하다.
도 9는 45도 기울기로 연속되는 볼록렌즈들이 수직 수평으로 교차되어 각각 동일한 피치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볼록렌즈들의 연속되는 피치 값은 'p1', 수평 피치 값은 'p2' 이다.
상기 볼록렌즈(11)들의 형태는 수직 단면이 반구형이고 평면도상의 형태가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다각형에는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 및 원형을 포함한다)이다. 이것은 각각의 렌즈(11)들이 초점을 형성하게 하는 목적의 볼록렌즈로써 충족되는 구성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번호를 달리하였으나 핀홀(101)도 볼록렌즈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므로 특히 구별하지 않고 있는 경우 핀홀을 포함하여 볼록렌즈라고 칭한다.
도 10은 도 7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어레이층(10)의 하부에는 투명층이 인터레이스층(30)까지 연장되어 있는데 이 투명층(20)은 초점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다. 통상 렌티큘라의 최적두께(초점거리)(t1)는 볼록렌즈(11)의 정점에서 인터레이스층(30)까지의 거리이므로 투명층(20)만의 두께(t3)는 초점거리(t1)에서 볼록렌즈의 두께(t2)를 제외한 두께가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초점거리(t1)는 렌즈면 전체를 통과하는 입사광이 가장 조밀하게 집속되는 지점까지의 거리로서 화상이 가장 선명하게 보이는 최적두께의 의미로서 사용한다. 이같은 최적두께의 산출방법은 일반적인 렌티큘라 시트의 제작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초점거리확보층(20)은 이미지점프 차단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볼록렌즈어레이층과 일체로 제작되지만 후술하는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중공층(도 22의 60)을 포함하거나 분리되어 조립 또는 접착될 수도 있다.
인터레이스층(30)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초점거리확보층(20)의 하부에는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종래의 렌티큘라에서 사용되는 그것과는 배열구조가 다른 것으로서 렌즈의 곡률반경과 피치가 동일한 조건에서 렌티큘라 기법보다 더 넓은 유효화각(17)을 확보하기 위한 기법이다.
예컨대, 종래의 렌티큘라 기법이 6개의 시점 즉, 6개의 단위 화소를 인터레이스한 투시화각(16)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은 10개 이상의 초다시점으로 인터레이스된 단위화소 또는 모니터(RGB)화소를 볼 수 있는 투시화각(17)을 갖게 된다.(다만, 이 경우에도 이미지점프 현상은 발생하므로 이를 제거하는 수단은 후술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인터레이스층의 패턴구조로서 60도 배열의 렌즈어레이(10)에 적용된 인터레이스층(30)의 배열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레이스층(30)은 가로가 긴 직사각형의 단위화상(32)의 중심이 대응하는 각각의 볼록렌즈(11)의 중심과 일치된 상태로 마치 벽돌쌓기 구조처럼 지그재그로 반복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단위 볼록렌즈(11)가 보여 줄 수 있는 인터레이스의 기본화상(32)(수평화각)의 폭은 도 10에서 보는 것처럼 볼록렌즈의 직경(h)보다 훨씬 더 넓다. 이것은 종래의 렌티큘라(도 2 또는 도 4)보다 약 173% 많은 피치 값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만들 수 있음을 뜻한다.
특히 무안경식 디지털 입체디스플레이 영상에서는 디스플레이의 단위화소(RGB)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동일한 렌즈에 더 많은 단위화소를 담을 수 있다면 더 많은 시점을 확보할 수 있고, 반대로 시점 수를 줄이면 렌즈의 크기도 줄일 수 있으므로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인터레이스층(30)은 초점거리확보층(20)의 바깥표면에 인쇄된 이미지이거나, 초점거리확보층(20)의 바깥표면에 밀착된 TV 등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상이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한 독수리 원본그림(Original)과 위의 제작방법에 따라 제작된 인터레이스 패턴이미지인 인터레이스층(30)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 및 도 13에서부터 도 17은 다양한 볼록렌즈의 다양한 렌즈어레이에 따른 본 발명의 인터레이스 단위화상(32)의 크기를 예시한 도면이다.
위의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터레이스 단위화상(32)은 볼록렌즈의 크기 및 배열형태에 따라 단위화상(32)의 크기가 달라지는데, 이같은 렌즈어레이층(10)의 배열에 대응한 직사각형의 단위화상(32)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단위화상(32)의 가로 크기(d)는 기준 볼록렌즈(v1)에 인접하는 좌우 렌즈의 중심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2개의 수직선(v2,v3)이 기준 볼록렌즈의 중심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수평선(h1) 위에서 교차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평행하는 2개의 수직선 v2-v3 사이의 최단거리)가 되고, 단위화상의 세로의 크기(y)는 수직으로 배열된 인접렌즈의 중심을 잇는 거리(h2-h3)의 2분의 1이다.
상기 인터레이스 단위화상의 가로폭(d=p2)과 세로폭의 크기(y)는 다음의 수학식 1, 2에 의해서도 산출할 수 있다.
위 식에서 p2=수평피치값=단위화상의 가로 폭(d)이고, p1은 서로 연접한 렌즈피치 값이며 세로폭은 y이다. x, y, z는 도 13에 표시한 삼각형 각 변의 길이로서 수직으로 배열된 렌즈(11)의 교차 배열된 인접 렌즈들의 중심선이 만나 성립된 것이다.
도 15와 같이 필요에 따라 렌즈(11)의 평면도상의 렌즈형태가 다각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16 및 도 17과 같이 가로와 세로의 곡률이 서로 다른 다각형 또는 타원렌즈의 경우에도 단위화상의 크기는 위의 방식 또는 수학식으로 정한다.
특히 수학식은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의 화각을 의도적으로 더 늘리거나 줄이고자 할 때나, 화면을 구성하는 해상도(解像度) 또는 최소단위의 화소(RGB)크기가 정해져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렌즈어레이층(10)의 렌즈의 크기 및 배열구조를 정할 때 유용하다.
다음에는 이미지점프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부터 도 20까지는 본 발명에서 이미지 점프현상이 발생하는 화각(18)을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화각유도용 마스크(50)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각유도용 마스크(50)는 초점거리 확보층(20)의 중간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초점거리확보층(20)은 화각유도용 마스크(50)를 기준으로 상 투명층(21)과 하 투명층(22)으로 나뉘게 된다.
도 18 및 도 19를 보면, 화각유도용 마스크(50)는 인터레이스층(30)의 단위화상의 폭(d)에 투시화각의 범위(17)가 한정되도록 차단띠(52)로써 개구부(51)의 크기를 맞춘 것이다. 따라서 원하지 않는 화각(19)에서는 마스크의 차단띠(52)에 의해 투시가 차단되므로 이미지 점프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화각유도용 마스크(50)의 개구부(51)는 인터레이스층(30)과 마찬가지로 벽돌쌓기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개구부 둘레로 차단띠(52)가 형성되어 있다(도 19). 렌즈어레이층(10)과 화각유도용 마스크(50) 그리고 인터레이스층(30)의 배열은 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단띠(52)는 인쇄, 밀러증착, 감광소재 또는 불투명수지 등으로 제작할 수 있음는 물론이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차단띠의 위치와 폭을 조정하거나 차단띠 자체가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디지털방식의 액정소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마스크의 개구부(51)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면 제품이 조립된 상태에서도 시청 화각을 조절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기 때문이다.
화각유도용 마스크(50)는 일반적인 베리어 입체방식의 마스크(슬릿)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베리어 입체방식은 투시화각에 따른 피치 안에 인터레이스 단위화소를 많이 담을수록 마스크의 개구부(SLIT)가 점점 더 작아져 광량이 줄어드는 반면, 본 발명의 화각유도용 마스크(50)는 렌즈(11)의 광량을 제한하지 않는 요소이므로 밝고 선명한 입체화면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0은 화각유도용 마스크(50)을 설치한 상태에서의 투시화각 범위(17)와 투시 차단범위(53) 그리고 인접한 개구부(51-b)를 통해 보일 수 있는 인터레이스층(30)을 도시한 것인데, 이들 어느 영역에서도 이미지 점프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투시화각의 볼록렌즈로부터 인접한 단위화소는 차단띠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53)에 있고, 그 다음의 단위화상은 이미 초점거리를 벗어난 영역(54)에 있어서 오직 투시화각의 범위(17)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1은 또 다른 이미지점프차단 수단으로서 전반사를 이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렌즈어레이층(10)이 일정한 투시피치(c)를 가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그 하단에 상 투명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 투명층의 하면에 전반사를 유도할 수 있는 코팅층(61) 또는 중공층(60)이 인터레이스층(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렌즈어레이층(10)의 전방에서 바라보는 관찰자는 투시화각(17)을 넘는 화각(18)에서는 전반사 때문에 이미지 점프현상을 발견하지 못하고 투시화각(17)의 이미지만 볼 수 있는 것이다.
전반사는 일반적으로 굴절율이 높은 매질을 투과한 광선이 굴절율이 낮은 매질 속으로 빠져나갈 때 매질의 경계면에서 발생한다. 예컨대, 일정한 굴절율의 투명한 매질과 공기층의 경계면에서 전반사가 시작되는 각도를 θ라고 하면, 이 각이 임계각이며, 임계각 이상의 사선 각에서는 모두 반사가 일어난다.
따라서 전반사가 시작되는 전의 투시 화각 범위와 일치하는 위치에 인터레이스 단위화상이 존재하게 된다면 이미지 점프현상은 일어나지 않게 되어 선명하고 안정된 입체화상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전반사가 발생하는 임계각은 투명매질의 굴절률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볼록렌즈(11)와 투명층(21)을 구성하는 매질이 아크릴수지라고 가정한다면 아크릴수지의 굴절률은 1.49 이고 임계각(θ)은 42.1522도 이다.
따라서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고 입사광이 집속되는 각은 84.3044도가 되어 이 범위의 각이 투시화각(17)으로 만들어지므로, 양쪽 끝의 투시방향을 본 발명 인터레이스층의 단위화상의 피치(d)가 시작되는 단위 화소 1과 끝나는 지점의 단위 화소 10에 맞추면 되는 것이다.
다만, 여기서 임계각에 따르는 분사(빛의 방사)각도(radiants)가 0.7357도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이 오차범위로 작용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투시화각(17)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1은 투명층(20)의 두께를 t3으로 한 뒤 투명층의 하면에 전반사를 유도하는 코팅층(61)을 형성하고 코팅층 아래를 이격시켜 중공층(60)으로 하거나, 코팅층 없이 중공층(60)만으로 하되 공간을 t4 만큼 이격시키고 있는데, 이들 모두 볼록렌즈층(10)의 정점으로부터 인터레이스층(30)까지의 전체 두께는 초점거리(t1)이어야 함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중공층(60)을 전반사 유도수단으로 채택할 경우에는 아주 작은 공간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상 투명층(21)의 두께가 렌즈어레이층(10)의 하면부터 거의 초점거리 두께로 형성되고, 중공층(60)(t6)은 단지 상 투명층(21)과 인터레이스층(30)을 접착하지 않고 밀착시킬 때 발생하는 얇은 틈만으로도 충분하다.
이 방법은 이미지가 점프하는 투시화각(18)을 제거하면서도 화각유도마스크(50)를 사용할 때 초점이 벗어난 영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잔상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2는 렌즈어레이층(10)과 인터레이스층(30) 사이의 초점거리확보층(20)을 상 투명층(21)과 하 투명층(22)로 형성하고, 이들 사이를 중공층(60)또는 전반사 유도 코팅층(61)으로 형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 투명층(21)과 하 투명층(22) 또는 인터레이스층(30)을 단지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얇은 틈은 중공층(60)이 되므로 이 방법은 초점거리(t1)를 확보하는 데 매우 편리하다.
전반사유도코팅층(61)을 채택하는 경우에도 도 22에서의 상 투명층(21)과 하 투명층(22) 사이의 전반사 유도 코팅층(61)을 저굴절 수지 등으로 메우는 방법을 사용하면, 초점거리확보의 편리함과 저굴절 수지에 의한 점착 또는 접착 기능, 그리고 전반사 기능까지 확보하는 적층방법이 될 수 있다.
도 23은 화각유도용 마스크(50)와 전반사 유도 중공층(60) 또는 코팅층(61)을 조합하여 구성한 실시예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각유도용 마크스층(50) 위에 중공층(60) 또는 전반사 유도용 코팅층(61)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시점이 이동하는 각도에 따라 전반사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약간의 잔상을 화각유도용 마스크(50)로써 보완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전반사 유도층에서 일어나는 전반사는 볼록렌즈의 한쪽 면에서부터 시작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서서히 볼록렌즈(11)전체로 확산되므로 쉽게 확인할 수 없는 아주 미세한 각도에서 발생하는 문제이긴 하지만 이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현상을 화각유도용 마스크(50)가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화각유도용 마스크(50) 역시 미세하게 화상이 흐려지면서 투시방향을 차단하게 되는데 이같은 현상을 전반사 유도용 중공층(60) 또는 코팅층(61)이 막아주므로 이들 구성은 서로를 보완하는 구성이 된다.
도 23에서 중공층(60) 또는 전반사 유도용 코팅층(61)과 마크스층(50)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다음은 렌즈어레이층(10)의 표면을 보호하고 보다 선명하면서 입체감이 풍부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렌즈어레이층(10)의 표면에 저굴절 수지코팅층(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저굴절 수지 코팅층(40)의 표면에 표면보호층(80)으로서 보호용 필름 또는 유리가 부착되어 있다.
보통 보호필름 또는 유리 등의 표면보호층(80)은 제품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렌즈(11)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것을 접착 또는 점착하는 소재로서 저굴절 수지(40)를 사용하게 되면 볼록렌즈가 집광하는 역할을 유지하면서도 볼록렌즈(11) 표면에서 발생하는 난반사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저굴절 수지(40)가 도포된 렌즈어레이에서는 볼록렌즈(11)의 초점거리(t1)가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유효화각(17)이 좁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나 이것은 오히려 더 깊고 풍부한 입체감을 표현될 수 있는 장점이다.
도 25와 도 26은 볼록렌즈를 하향 배열하여 렌즈어레이층(10)을 구성함으로써 투시화각(17)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렌즈어레이층(10)의 표면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볼록렌즈(11)들이 하향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에서는 단위화소 1이 실재 위치보다 굴절각도(n)만큼 굴절된 위치(71)에서 보이므로 그만큼 투시화각(17)이 넓어지고 그만큼 단위화상(d)에 담을 수 있는 단위화소의 수도 많아진다.
다만, 이같은 구조에서 초점거리 확보층(20)은 볼록렌즈(11)보다 굴절율이 낮은 매질이어야 한다. 따라서 초점거리확보층(20)을 중공으로 하거나 저굴절수지 등으로 메우거나 저굴절 수지로 인터레이스층(3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화각유도용 마스크(50)가 구성된 구조에 볼록렌즈가 하향인 렌즈어레이층(10)을 적용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같은 구성에서는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굳이 전반사 유도용 중공층(60) 또는 코팅층(61)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도 26의 구조를 살펴보면, 볼록한 부분이 하향된 렌즈어레이층(10)과 상기 렌즈어레이층(10)의 하부에 저굴절 수지로 코팅(또는 점착/접착)된 저굴절수지 코팅층(40)과, 코팅층의 하면에 접착된 상 투명층(21)과 그 하부에 구성된 화각유도용 마스크(50) 그리고 하 투명층(22)과 인터레이스층(30)이 순차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저굴절 수지 코팅층(40) 및(또는) 상 투명층(21)이 중공층(60)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초점거리(t1)에 의한 적층이 각각의 유지된다면 본 발명의 효과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다음은 이미지점프 차단수단으로서 블라인드 마스크를 사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27은 블라인드마스크(55)를 렌즈어레이층(10)의 표면에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마스크(55)는 렌즈어레이층(10)의 저굴절 수지 코팅층(40) 위에 형성되어 있다.
블라인드 마스크(55)는 일정한 높이를 가진 얇은 판막형 격벽(56)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고 도 2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들 격벽 사이의 공간(57)은 투명 매질로 메워진다. 격벽(56)은 불투명재(잉크, 메탈 등의 증착재, 불투명 수지 등)로 이루어져 투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27의 부분확대도를 보면 격벽(56)의 높이와 간격이 투시화각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격벽(56)의 상단에서부터 인접 차단막(56)의 하단을 통과하는 대각선 투시각도가 블라인드마스크의 측면 최대화각(17b)이 되므로, 이 측면 최대화각(17b)이 인터레이스 단위화상의 양단(d)을 안정적으로 투시할 수 있는 측면 최대 유효화각(k2)이 되도록 제작하면 된다.
도 29는 블라인드마스크(55a)를 초점거리확보층(20) 안에 설치한 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터레이스층(30)과 렌즈어레이층(10) 사이에 블라인드 마스크(55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블라인드 마스크(55a)의 판막형 격벽(56)은 하단이 인터레이스 단위화상의 세로 방향의 경계선에 접하도록 세우고, 높이는 인접화소의 투시를 차단할 수 있는 화각(53)이면 되며, 격벽(56) 사이의 공간은 투명매질(57)로 메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볼록렌즈(11)를 핀홀(101)로 대체하여 렌즈어레이층(10)을 구성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렌즈어레이층(10)의 구성요소인 볼록렌즈(11)를 핀홀(101)로 대체하여, 인터레이스층(30)의 화상이 핀홀(101)을 통해 보이도록 구성하였다.
볼록렌즈의 배열과 마찬가지로 핀홀편(100)도 중심에 형성된 핀홀(101)이 인터레이스층(30)의 단위화상의 중심에 일치하도록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각유도용 마스크(50)를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핀홀편(100)이 배열된 렌즈어레이층(10)(렌즈 대신 핀홀이 사용되는 것이지만 편의상 '렌즈어레이층'이라고 한다)은 개구부인 핀홀(101)과 빛 차단부(102)로 이루어지며, 빛 차단부(10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투명재(합성수지잉크 또는 반사재 증착, 반사잉크 등)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빛 차단부(102)를 디지털 액정 또는 디지털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하여 전기신호에 의해 핀홀(101)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핀홀의 크기를 계속 크게 하여 핀홀이 사라지면서 전체가 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면 이같은 기능이 평면화상과 입체화상을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핀홀편(100)의 형태인 육각형을 흰색 선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들의 인접부를 통해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즉, 모든 핀홀편의 빛 차단부는 일체로 연결되고 핀홀만 정렬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육각형은 디지털신호에 의해 핀홀의 크기나 위치가 제어될 경우 제어 단위가 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인접부를 통해 빛이 투과되는 것은 아니다.
도 31은 입체영상의 잔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11)들의 사이에 형성된 골에 잔상제거용 마스크(110)가 형성한 실시예이다.
일반적으로 렌즈어레이층(10)은 각각의 볼록렌즈 사이에 렌즈로써 형성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공간을 통해 투시되는 화상이 볼록렌즈(11)에 의한 화상과 서로 간섭하면서 미미한 잔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공간을 통해 직진하는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미세한 마이크로렌즈 등을 형성시키거나 반사재의 증착 또는 불투명 물질 또는 액정 등을 사용한 잔상제거용 마스크(110)를 설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31은 잔상제거용 마스크(110)를 렌즈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에 형성한 실시예이며, 도 32는 잔상제거용 마스크(110) 위에 표면보호층(80)을 저굴절 수지(40)로 접착한 실시예이고, 도 33은 볼록렌즈를 하향 배열한 실시예에 잔상제거용 마스크(110)를 형성한 것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초점거리확보층(20)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실시예이다. 초점거리의 간격의 이동 수단으로는 여러 가지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인터레이스층(30)으로 형성한 경우에 유용하다. 예컨대 전송되어 인터레이스층(30)에 투영되는 영상이 평면영상인 경우에는 렌즈어레이층(10)을 이동시켜 초점거리를 벗어나게 함으로써 일반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4는 도 33의 실시예의 초점거리확보층(20)을 중공(또는 중공층을 투명한 액상물질로 채울 수도 있다)으로 하고 공기(또는 액상물질)의 흡입 배출 수단을 통해 초점거리와 비초점거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초점거리확보층(20)에 화각유도용 마스크(50)가 설치된 경우에도 상투명층(21)과 하 투명층(22)을 중공 구조로 하고, 렌즈어레이층(10)만 또는 렌즈어레이층(10)과 화각유도용 마스크(50)가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초점거리와 비초점거리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10 렌즈어레이층 11 볼록렌즈
17 투시화각 19 차단화각
20 초점거리확보층 21 상 투명층
22 하투명층 30 인터레이스층
32 단위화상 40 저굴절 수지코팅층
50 화각유도용 마스크 51 개구부
52 투시차단띠 55, 55a 블라인드마스크
56 격벽 57 저굴절 수지
60 중공층 61 전반사유도코팅층
80 표면보호층 100 핀홀편
101 핀홀 102 차단부
110 잔상제거용 마스크
d 단위화상 폭 p1 렌즈피치, p2 수평피치(단위화상 폭) y 단위화상의 높이 h1,h2,h3 수평축 v1 기준렌즈, v2,v3 수직축, t1 초점거리(최적두께)
17 투시화각 19 차단화각
20 초점거리확보층 21 상 투명층
22 하투명층 30 인터레이스층
32 단위화상 40 저굴절 수지코팅층
50 화각유도용 마스크 51 개구부
52 투시차단띠 55, 55a 블라인드마스크
56 격벽 57 저굴절 수지
60 중공층 61 전반사유도코팅층
80 표면보호층 100 핀홀편
101 핀홀 102 차단부
110 잔상제거용 마스크
d 단위화상 폭 p1 렌즈피치, p2 수평피치(단위화상 폭) y 단위화상의 높이 h1,h2,h3 수평축 v1 기준렌즈, v2,v3 수직축, t1 초점거리(최적두께)
Claims (22)
- 단위 볼록렌즈(11)들이 교차 배열된 렌즈어레이층(10)과, 상기 렌즈어레이층(10) 아래의 초점거리(t1)에 위치하는 인터레이스층(30)과, 상기 인터레이스층을 상기 렌즈어레이층의 초점거리에 위치시키는 초점거리확보층(20)으로 이루어지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로서,
상기 렌즈어레이층(10)의 볼록렌즈는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되 인접하는 렌즈들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이 수직선에 대해 일정한 기울기의 ×형으로 교차하여 이른바 벌집형태의 배열이며,
상기 인터레이스층(30)은 다시점에서 촬영되어 직사각형으로 인터레이스된 화상을 단위화상(32)으로 하여 상기 단위화상의 중심이 단위 볼록렌즈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열된 이른바 벽돌쌓기 구조로 적층되어 있되, 상기 인터레이스층(30)에 배열된 단위화상(32)의 가로 세로의 크기는, 기준 볼록렌즈에 인접하는 좌우 렌즈의 중심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2개의 수직선(v2,v3)이 기준 볼록렌즈의 중심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수평선(h1) 위에서 교차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평행하는 수직선 v1-v2 사이의 최단거리)가 가로 크기(d)이고, 세로의 크기(y)는 수직으로 배열된 인접렌즈의 중심을 잇는 거리(h1-h2)의 2분의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1항에서,
상기 볼록렌즈(11)는 수직단면이 반구형이면서 층단면이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1항에서,
상기 볼록렌즈(11)는 가로와 세로의 곡률 및 길이가 서로 다른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1항에서,
상기 볼록렌즈(11)는, 상기 초점거리확보층(20)의 매질보다 굴절율이 높은 렌즈로서 판에 형성된 렌즈의 볼록부가 인테레이스층(30)을 향하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1항에서,
상기 볼록렌즈(11)는, 핀홀(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1항에서부터 제5항까지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일정한 기울기는 45도 또는 6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삭제
- 제6항에서,
상기 단위화상(32)은 인쇄에 의하거나 전기적 신호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8항에서,
상기 초점거리확보층(20)은, 인접한 단위화상의 투시를 막도록 이미지점프 차단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9항에서,
상기 이미지점프 차단수단은 개구부(51) 둘레로 투시차단띠(52)를 구비한 화각유도용 마스크(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10항에서,
상기 투시차단띠(52)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위치 및 폭 조절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9항에서,
상기 이미지점프 차단수단은, 전반사유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12항에서,
상기 전반사유도층은 저굴절수지층(61) 또는 중공층(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9항에서,
상기 이미지점프 차단수단은, 화각유도용마스크(50) 및 전반사유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9항에서,
상기 이미지점프 차단수단은, 블라인드마스크(55a)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9항에서,
상기 렌즈어레이층(10)은, 표면에 볼록렌즈보다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 수지코팅층(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8항에서,
상기 렌즈어레이층(10) 표면에 저굴절 수지코팅층(40)과 이미지점프 차단용 블라인드마스크(55)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16항에서,
상기 저굴절 수지코팅층(40)은, 표면에 표면보호층(80)이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9항에서,
상기 핀홀(101)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홀의 크기 또는 위치가 제어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9항에서,
상기 렌즈어레이층(10)은, 볼록렌즈(11)들 사이의 여백 표면에 잔상제거용 마스크(1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9항에서,
상기 초점거리확보층(20)은, 렌즈어레이층(10)과 인터레이스층(30)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중공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제21항에서,
상기 중공층은 투명한 액상물질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1695 | 2010-07-24 | ||
KR20100071695 | 2010-07-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2560A KR20120022560A (ko) | 2012-03-12 |
KR101295329B1 true KR101295329B1 (ko) | 2013-08-16 |
Family
ID=4553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1529A KR101295329B1 (ko) | 2010-07-24 | 2011-07-19 |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82319A1 (ko) |
EP (1) | EP2597504A2 (ko) |
KR (1) | KR101295329B1 (ko) |
WO (2) | WO201201510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42250B2 (en) | 2016-10-28 | 2020-01-21 | Samsung Display Co., Ltd. | Light field display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64996A (ja) * | 2011-08-26 | 2013-04-11 | Nikon Corp | 三次元画像表示装置 |
KR101897964B1 (ko) * | 2012-04-20 | 2018-09-13 | (주)코텍 | 2차원과 3차원 전환이 가능한 3d디스플레이장치 |
AU2013101454B4 (en) * | 2013-05-16 | 2014-05-22 | Lumenco Llc | Improved printing of security devices |
KR20150101915A (ko) * | 2014-02-27 | 2015-09-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gui 화면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바이스 |
ES2955592T3 (es) | 2014-05-20 | 2023-12-04 | Lumenco Inc | Lentes inclinadas entrelazadas con conjuntos de lentes dispuestos linealmente |
KR101600507B1 (ko) * | 2014-11-14 | 2016-03-07 | 해성옵틱스(주) | 카메라유닛 |
CN105676464B (zh) * | 2014-12-08 | 2018-08-24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图像显示装置 |
TR201906187T4 (tr) * | 2014-12-24 | 2019-05-21 | Koninklijke Philips Nv | Otostereoskopik gösterim cihazı. |
JP6376714B2 (ja) * | 2014-12-24 | 2018-08-22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 自動立体視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
CN106297610B (zh) | 2015-06-05 | 2020-03-17 |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 显示控制方法和装置 |
CN106297611B (zh) * | 2015-06-05 | 2021-08-10 |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 显示控制方法和装置 |
CN106291953B (zh) | 2015-06-05 | 2019-01-08 |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 显示控制方法和装置 |
JP6422828B2 (ja) * | 2015-06-19 | 2018-11-14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レンズアレイ及び画像表示装置 |
JP6598362B2 (ja) * | 2015-09-24 | 2019-10-30 | 日本放送協会 | 立体画像表示装置 |
KR102486430B1 (ko) * | 2015-09-25 | 2023-01-1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영상 처리 장치 |
CN105607273B (zh) * | 2016-03-23 | 2018-03-09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立体显示器对位组立的方法及制造设备 |
CN107205127B (zh) * | 2017-07-10 | 2019-12-31 |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 一种叠进式摄像机阵列结构的光场成像装置 |
JP7424786B2 (ja) * | 2019-02-27 | 2024-01-30 | 三星電子株式会社 | 立体像表示装置、立体像表示方法及び立体像生成表示システム |
EP3911994A4 (en) * | 2019-02-27 | 2022-03-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3D IMAGE DISPLAY DEVICE, 3D IMAGE DISPLAY METHOD AND 3D IMAGE GENERATION AND DISPLAY SYSTEM |
CN112505938B (zh) * | 2019-08-26 | 2022-07-05 | 昇印光电(昆山)股份有限公司 | 立体成像膜 |
KR102455805B1 (ko) * | 2022-04-28 | 2022-10-18 | 정현인 | 펜타일 방식 입체표시장치 및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15364A (ja) | 2003-09-18 | 2005-04-28 | Toshiba Corp | 三次元画像表示装置 |
JP2006235415A (ja) | 2005-02-28 | 2006-09-07 | Hitachi Displays Ltd | レンズアレイ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83133A (en) * | 1986-08-26 | 1988-11-08 | Saginaw Valley State University |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hologram from incoherent light |
WO1999050702A1 (fr) * | 1998-03-27 | 1999-10-07 | Hideyoshi Horimai | Afficheur d'images tridimensionnelles |
DE19825950C1 (de) * | 1998-06-12 | 2000-02-17 | Armin Grasnick | Anordnung zur dreidimensionalen Darstellung |
EP1333687A1 (en) * | 2002-02-01 | 2003-08-06 | Thomson Licensing S.A. |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device |
JP3788974B2 (ja) * | 2003-02-25 | 2006-06-21 | 株式会社東芝 | 三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
KR200311905Y1 (ko) * | 2003-01-24 | 2003-05-09 | 정현인 | 방사형 볼록렌즈 입체인쇄시트 |
ES2883851T3 (es) * | 2003-11-21 | 2021-12-09 | Visual Physics Llc | Sistema de presentación de imágenes y de seguridad micro-óptico |
KR101255209B1 (ko) * | 2006-05-04 | 2013-04-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고해상도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KR200444099Y1 (ko) * | 2007-06-22 | 2009-04-10 | 서재희 | 입체인쇄시트 |
KR20100031579A (ko) * | 2007-07-11 | 2010-03-23 |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 부동하는 합성 영상이 있는 시팅 |
JP4404146B2 (ja) * | 2008-01-17 | 2010-01-2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投影型三次元画像再生装置 |
-
2010
- 2010-11-22 WO PCT/KR2010/008255 patent/WO201201510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
- 2011-07-19 KR KR1020110071529A patent/KR1012953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7-20 EP EP11812721.6A patent/EP2597504A2/en not_active Withdrawn
- 2011-07-20 WO PCT/KR2011/005329 patent/WO2012015191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7-20 US US13/812,115 patent/US20130182319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115364A (ja) | 2003-09-18 | 2005-04-28 | Toshiba Corp | 三次元画像表示装置 |
JP2006235415A (ja) | 2005-02-28 | 2006-09-07 | Hitachi Displays Ltd | レンズアレイ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42250B2 (en) | 2016-10-28 | 2020-01-21 | Samsung Display Co., Ltd. | Light field display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15191A2 (ko) | 2012-02-02 |
EP2597504A2 (en) | 2013-05-29 |
US20130182319A1 (en) | 2013-07-18 |
WO2012015106A1 (ko) | 2012-02-02 |
KR20120022560A (ko) | 2012-03-12 |
WO2012015191A3 (ko) | 2012-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5329B1 (ko) |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 |
KR101984701B1 (ko) | 전기습윤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3차원 영상 획득 장치 | |
JP4015090B2 (ja) | 立体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 |
KR100416548B1 (ko) | 3차원 영상 표시장치 | |
JP5301591B2 (ja) | 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 | |
EP2243300B1 (en) | Autostereoscopic image output device | |
TWI446007B (zh) | Three -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three - dimensional image display method | |
US20060291052A1 (en) |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increased sharpness for non-primary viewing zones | |
KR20010098308A (ko) |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 |
KR20100115876A (ko) | 입체영상 표시 장치 | |
TWI608254B (zh) | 影像顯示裝置 | |
JP2010518429A (ja) | 多重視点立体視ディスプレイ | |
CN105393162A (zh) | 具有条纹背光和两个双凸透镜状透镜阵列的自动立体显示设备 | |
JP6489711B2 (ja) | 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 |
JP2018136525A (ja) | 裸眼3d用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及び裸眼3d用液晶表示モジュール | |
EP2838266A2 (en) | Three-dimensional television display | |
US20100066654A1 (en) |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 |
JP2006098775A (ja) | 三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 | |
WO2013078266A1 (en) | Prism array to mitigate moiré effect in autostereoscopic displays | |
CN208766401U (zh) | 一种3d膜及3d显示装置 | |
CN212302118U (zh) | 裸眼3d显示装置及其光学透镜 | |
KR100416549B1 (ko) | 다안식 3차원 영상 표시장치 | |
JP2006030229A (ja) | 曲面レンズ及び表示装置 | |
JP2002107508A (ja) |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およ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を用いた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