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054B1 -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054B1
KR101295054B1 KR1020110067048A KR20110067048A KR101295054B1 KR 101295054 B1 KR101295054 B1 KR 101295054B1 KR 1020110067048 A KR1020110067048 A KR 1020110067048A KR 20110067048 A KR20110067048 A KR 20110067048A KR 101295054 B1 KR101295054 B1 KR 10129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llow
state
stereoscopic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572A (ko
Inventor
박태웅
채규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054B1/ko
Priority to US13/483,760 priority patent/US9042015B2/en
Publication of KR20130005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71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viewers with different interocular distances; for tracking rotational head movements around the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안면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 영상 시청 취약자가 입체 영상 모드로 TV를 시청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본 발명은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표시 장치의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 표시 장치의 입체 영상을 평면 영상으로 전환하는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3D 영상(입체 영상)(Three Dimension Image 또는 STEREOSCOPIC) 방송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상기 입체 영상은 표시가능한 영상의 수에 따라 2시점 영상, 다시점 영상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입체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좌/우 눈에 해당하는 영상이 각기 대응하는 눈에 입사되도록 시역(viewing zone)을 형성해 주어야 한다. 상기 시역의 형성 방법에 따라 입체영상 방식은 크게 안경식과 무안경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3D TV가 각 가정에 많이 보급되고 있으나, 특정 시청자의 경우, 3D 영상 시청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의 경우, 정상 시력 발달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3D 영상 시청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3D TV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의 안면 정보에 근거하여, 필요한 경우에 입체 영상을 평면 영상으로 자동 전환하는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입력할 수 있는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자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입체 영상 표시가 제한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기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안면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는눈동자 간격 및 안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의 수행 결과, 입체영상 허용 여부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해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제1상태, 제한 시간 동안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제2상태, 및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한 제3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가 제2상태 또는 제3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입체 영상을 평면 영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가 제2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제한 시간 후에 입체 영상을 평면 영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눈동자 간격이 기설정된 제1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1상태로 판단하거나, 상기 눈동자 간격이 기설정된 제2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2상태로 판단하거나, 상기 눈동자 간격이 기설정된 제3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3상태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안면 이미지가 기저장된 제1이미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1상태로 판단하거나, 상기 안면 이미지가 기저장된 제2이미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2상태로 판단하거나, 상기 안면 이미지가 기저장된 제3이미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3상태로 판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사용자 DB에 안면 이미지, 입체 영상 허용 여부 및 제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눈동자 간격 기준 및 제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입체 영상 허용 여부에 대한 메시지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결과가 제2상태인 경우, 제한 시간, 영상 모드가 전환되기까지 남은 시간 및 시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안면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 DB에 안면 이미지, 입체 영상 허용 여부 및 제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눈동자 간격 기준 및 제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 영상 시청 취약자가 입체 영상 모드로 TV를 시청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 영상 시청 취약자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판별함에 따라, 그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양한 모드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영상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두 가지 기준을 고려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는, 입력부에 의하여 사용자 DB에 안면 이미지, 입체 영상 허용 여부, 제한 시간을 입력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입력부에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눈동자 간격 기준 및 제한 시간을 입력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2상태 또는 제3상태로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 표시 장치는 제어부(100), 센서부(200), 입력부(300), 저장부(400), 표시부(500), 통신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는 TV를 시청하고 있는 시청자의 안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200)는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복수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센서부(2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부(100)는 영상 표시 장치 내부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표시 장치 외부의 기기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제어부(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센서부(200), 상기 입력부(300), 상기 저장부(400), 상기 표시부(500), 상기 통신부(6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센서부(200)에서 인식한 안면 정보, 입력부(300)에서 입력받아 저장부(400)에 저장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기준, 사용자 DB 등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이 표시되어도 괜찮은 상태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0)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주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00)는 영상 표시 장치의 주제어부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3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 터치패드, 음성인식장치,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30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는 정보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입체 영상 시청에 대한 제한 시간,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눈동자 간격 기준, 상기 눈동자 간격이 시청 시간 제한 범위에 해당할 경우의 제한 시간 등이 있다.
상기 저장부(400)는 통신부(600), 입력부(300), 센서부(200), 제어부(100)로부터 정보를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400)는 제어부(100)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0)는 제어부(1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0)에서 표시할 수 있는 정보에는, 예를 들어, 입체 영상 허용 여부, 제한 시간, 시청 시간, 영상 모드가 전환되기까지 남은 시간 등이 있다.
상기 통신부(600)는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은 유무선망을 통한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일 수 있다. 상기 통신부(600)는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300)에서 입력받는 정보를 통신부(600)를 통하여 수신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영상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시청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안면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청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상기 센서부(20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면 정보에는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 시청자의 눈 간격, 시청자의 얼굴 크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청자의 눈 간격은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 양안 안쪽 끝의 간격, 양안 바깥쪽 끝의 간격 등을 기준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눈동자의 간격은 양안 홍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어떠한 안면 정보를 획득할 것인지 미리 설정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에서는 상기 안면 정보 중 기설정된 안면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안면 정보, 상기 저장부(4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시청자가 입체 영상 모드로 시청하는 것이 허용되는 상황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저장부(4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정보는 사용자 DB에 저장된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 그에 대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입체 영상 허용 여부가 제2상태로 판단된 경우의 제한 시간,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눈동자 간격 기준, 눈동자 간격에 의하여 제2상태로 판단될 경우의 제한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S200)에서, 대상 시청자가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것에 대하여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상태를 제1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대상 시청자가 기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것에 대하여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상태를 제2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또, 대상 시청자가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제한되어야 된다고 판단한 상태를 제3상태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안면 정보 중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근거로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눈동자 간격

입체 영상 허용 여부

제1범위

제1상태

제2범위

제2상태

제3범위

제3상태
상기 표 1은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맵핑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입체 영상 시청을 제한해야 하는 눈동자 간격의 범위를 제3범위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입체 영상 시청을 제한적으로 허용해야 하는 눈동자 간격의 범위를 제2범위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또, 입체 영상 시청을 허용하는 눈동자 간격의 범위를 제1범위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눈동자의 간격에 따라, 예컨대, 눈동자의 간격이 5Cm 이하인 시청자를 입체 영상 시청 제한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 눈동자의 간격이 5Cm 초과 5.5Cm 이하인 시청자를 입체 영상 시청 제한적 허용 대상으로 정할 수 있다. 그리고, 눈동자의 간격이 5.5Cm를 초과하는 시청자를 입체 영상 시청 허용 대상으로 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은 아기(5세 이하), 어린이, 성인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므로, 지역이나 인종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범위, 상기 제2범위, 상기 제3범위는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조작함으로써 변경되어질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제1범위에 해당하는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이 인식되었을 때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1상태로 판단하고, 제2범위에 해당하는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이 인식되었을 때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2상태로 판단하고, 제3범위에 해당하는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이 인식되었을 때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3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하여, 시청자의 눈동자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안면 이미지

허용 여부

제1DB

제1상태

제2DB

제2상태

제3DB

제3상태
공공장소를 제외하고, 특정 TV 단말을 이용하는 대상은 한정적이다. 예를 들어, 집 안에 설치되어 있는 TV는 주로, 가족 구성원들이 이용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이용하여 앞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가족 구성원의 안면 이미지를 저장해 놓고, 센서부에서 시청자의 안면 인식을 통하여, 시청 대상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제1DB는 입체 영상 시청이 허용되는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DB이다. 그리고, 상기 제2DB는 입체 영상 시청이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DB이다. 또, 상기 제3DB는 입체 영상 시청이 제한되는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DB이다.
제1DB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제1이미지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또, 제2DB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제2이미지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3DB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제3이미지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안면 정보 중 시청자의 안면이미지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우선, 센서부(200)에서 인식된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와 제 1 내지 제 3 이미지와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된 안면 이미지와 일치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는 DB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된 DB가 제1DB인 경우에, 입체 영상 시청 허용 여부는 제1상태로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검색된 DB가 제2DB인 경우에, 입체 영상 시청 허용 여부는 제2상태로 결정된다. 상기 검색된 DB가 제3DB인 경우에, 입체 영상 시청 허용 여부는 제3상태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며,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를 인식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 시청을 제한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판단의 정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안면 정보 중 눈동자의 간격과 안면 이미지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 이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기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는 범위라면, 상기 내용 이외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300)는, 입체 영상 모드를 평면 영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300)는, 평면 영상 모드를 입체 영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가 제2상태인 경우, 소정의 시간 후에 입체 영상 모드가 평면 영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입력부(3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가 제3상태인 경우,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한 즉시 입체 영상 모드가 평면 영상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두 가지 기준을 고려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앞에서는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 각각에 의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두 가지 기준을 사용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우선적으로 안면 이미지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는 순서도이다.
센서부(200)에 의하여 상기 안면 정보 중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이 동시에 획득되어 질 수 있다. 우선적으로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S200)는 센서부(200)에서 획득된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가 사용자 DB에 포함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S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단계(S210)에서,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가 사용자 DB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안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방법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12). 상기 안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검색 단계(S210)에서,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가 사용자 DB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눈동자의 간격을 이용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방법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14). 상기 눈동자의 간격을 이용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도 3(b)는, 우선적으로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순서도이다.
우선적으로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는 센서부에서 획득된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인식할 수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단계(S220)에서,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판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눈동자의 간격을 이용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방법에 의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22). 상기 눈동자의 간격을 이용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판별 단계(S220)에서, 시청자의 눈동자의 간격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방법에 의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224). 상기 안면 이미지를 이용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0)에서 필요로 하는 안면 정보를 안면 정보 획득 단계(S100)에서 정확하게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동자 간격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로 설정한 경우에, 센서부(200)의 이상 등에 의하여 눈동자의 간격이 정확하게 인식되지 못할 수 있다. 또,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로 설정한 경우에,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가 정확하게 찍히지 않아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두 가지 기준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로 한 경우에도, 상기 두 가지 문제점 등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에는 앞서 말한 문제가 똑같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에 대한 기본 상태(디폴트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상태는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의 상기 3가지 상태 중 한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디폴트 상태를 제1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안면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지 못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이 불가능하다면, 입체 영상 허용이 가능한 제1상태로 영상이 표시된다.
또, 상기 디폴트 상태를 제2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안면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지 못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이 불가능하다면, 제한적으로 입체 영상 시청이 가능한 제2상태로 영상이 표시된다.
또, 상기 디폴트 상태를 제3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안면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지 못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이 불가능하다면, 입체 영상 허용이 불가능한 제3상태로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디폴트 상태는 입력부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폴트 상태는 저장부에 저장되어질 수 있다.
도 4(a)는, 입력부에 의하여 사용자 DB에 안면 이미지, 입체 영상 허용 여부, 제한 시간을 입력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 가정이 네 명의 구성원(제1 내지 제4 사용자)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TV를 주로 이용하는 대상은 성인 두 명(제1사용자, 제2사용자), 어린이 한 명(제3사용자), 아기(5세 이하) 한 명(제4사용자)이다. 이 경우 제3사용자, 제4사용자의 올바른 시력 형성을 위하여 디폴트 상태를 입체 영상 표시가 불가능한 제3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각 구성원에 대한 정보를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하고, 사용자 DB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예컨대, 제1사용자의 경우, 안면 이미지를 입력하고,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는 제1상태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한 시간은 제2상태인 경우에만 입력이 필요하므로,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사용자의 경우, 안면 이미지를 입력하고, 입체 영상을 시청하는데 문제가 없으므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는 제1상태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한 시간은 제2상태인 경우에만 입력이 필요하므로,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제3사용자의 경우, 안면 이미지를 입력하고, 입체 영상 시청을 제한할 필요가 있으므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는 제2상태로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체 영상 모드로 하루에 시청 가능한 시간을 제한 시간 입력란에 입력할 수 있다. 제4사용자의 경우, 안면 이미지를 입력하고, 입체 영상 시청을 금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는 제3상태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안면 이미지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사용자 DB를 구축할 수 있다.
도 4(b)는, 입력부에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눈동자 간격 기준 및 제한 시간을 입력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눈동자의 간격이 5Cm 이하인 경우를 입체 영상 시청 제한 대상인 제3상태로 입력하였고, 눈동자의 간격이 5Cm 초과 5.5Cm 이하인 경우를 입체 영상 시청 제한적 허용 대상인 제2상태로 입력하였고, 눈동자의 간격이 5.5Cm를 초과하는 경우를 입체 영상 시청 허용 대상인 제1상태로 입력하였다. 그리고, 상기 입체 영상 시청 제한적 허용 대상이 하루에 시청 가능한 시간은 30분으로 입력하였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눈동자 간격 및 제한 시간을 입력부에서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기준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어, 입체 영상 시청 취약자를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 제2상태 또는 제3상태로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a)는 제2상태로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2상태로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입체 영상을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있다는 표시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상태에서는 입체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시간의 제한이 있으므로, 제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현재까지 입체 영상 모드로 시청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입체 영상 모드로 시청할 수 있는 잔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린 어린이가 스스로 상태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자가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표시를 보고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한 행동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시청자 및 보호자에게 상태를 정확하게 알리기 위하여, 시청 제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알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을 통하여, 시청자 또는 보호자는 시청 제한 시간이 경과하였음을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5(b)는 제3상태로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3상태로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입체 영상 표시가 불가한 상태라고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내용을 통하여, 시청자는 입체 영상 표시가 허용되지 않은 상태라고 손쉽게 인식할 수 있다. 만약에 입체 영상 시청에 제한이 없는 시청자라면, 상기와 같은 메시지를 통하여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입체 영상 시청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시청자의 눈동자 간격만을 기준으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로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3상태에 가장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었고, 제1상태에 가장 우선 순위가 낮게 설정된 상태이다.
도 6(a)는 시청자가 TV를 시청하고, 영상이 표시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c)는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눈동자 기준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시청자의 눈동자 간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0), 상기 눈동자 간격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30),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모드를 평면 영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포함된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눈동자 간격 정보 획득 단계(S130)에서는 시청자 각각의 눈동자 간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센서부(200)에서는 제1시청자 및 제2시청자의 얼굴을 이미지로 인식하고, 시청자들의 눈동자 간격을 획득할 수 있다.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S230)에서는 획득된 상기 제1시청자 및 제2시청자의 눈동자 간격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제어부(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는 입체 영상 허용 여부에 대한 눈동자 간격 기준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눈동자 간격 정보 획득 단계(S130)에서 측정된 제1시청자 및 제2시청자의 눈동자 간격이 상기 기준 테이블 중 어느 행에 해당하는지 제어부(400)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1시청자는 제1상태에 해당하고, 제2시청자는 제3상태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시청자가 복수로 인식되고, 입체 영상 허용 여부가 복수의 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의 처리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내지 제 3 상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최우선 순위의 상태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 표시 취약 대상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3상태에 가장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하고, 제1상태에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3상태에 가장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었고, 제1상태에 가장 우선 순위가 낮게 설정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제1상태와 제3상태가 인식되었으므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는 제3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전환 단계(S230)에서는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모드를 평면 영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앞선 단계에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는 제3상태로 판단되었으므로, 입체 영상이 표시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TV가 입체 영상 모드로 화면을 표시하고 있었던 경우, 바로 평면 모드로 전환되어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시청자의 눈동자 간격을 다음 기준으로 고려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로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3상태에 가장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었고, 제1상태에 가장 우선 순위가 낮게 설정된 상태이다.
도 7(a)는 사용자가 TV를 시청하고, 영상이 표시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c)는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눈동자 기준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d)는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사용자 DB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시청자의 눈동자 간격 정보 및 안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140), 상기 안면 이미지 정보 및 눈동자 간격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0),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모드를 평면 영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포함된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면 이미지 정보 및 눈동자 간격 정보 획득 단계(S140)에서는 시청자 각각의 안면 이미지 정보 및 눈동자 간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센서부(200)는 제1시청자 및 제2시청자의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고, 제1시청자 및 제2시청자의 눈동자 간격을 획득할 수 있다.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S240)에서는 획득된 상기 제1시청자 및 제2시청자의 안면 이미지 및 눈동자 간격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제어부(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DB, 입체 영상 허용 여부에 대한 눈동자 간격 기준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시청자의 경우, 안면 이미지가 전체적으로는 부정확하게 촬상되었으나, 눈동자 부위는 정확하게 촬상되었다. 따라서, 획득된 안면 이미지가 사용자 DB에 포함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S242)에서, 시청자의 안면 이미지가 사용자 DB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제1시청자의 데이터는 눈동자 간격으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1시청자는 눈동자 간격이 6.5Cm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도 7(c)의 테이블에 의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1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시청자의 경우, 안면 이미지가 정확하게 촬상되었다. 이 경우, 획득된 안면 이미지가 사용자 DB에 포함되어 있는지 검색하는 단계(S242)에서, 안면 이미지와 일치하는 저장된 안면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제3DB에 제2시청자의 안면 이미지와 일치하는 안면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검색 단계(S242)에서, 제2시청자는 제3DB에 포함된 사용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방식에 의하여 제2시청자의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3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1시청자는 제1상태에 해당하고, 제2시청자는 제3상태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3상태에 가장 우선 순위가 높게 설정되었고, 제1상태에 가장 우선 순위가 낮게 설정된 상태이므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는 제3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S248).
상기 전환 단계(S340)에서는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모드를 평면 영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앞선 단계에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는 제3상태로 판단되었으므로, 입체 영상이 표시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TV가 입체 영상 모드로 화면을 표시하고 있었던 경우에 바로 평면 모드로 전환되어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시청자의 안면 정보를 전혀 획득할 수 없는 경우이다. 그리고, 디폴트 상태는 제3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8(a)는 시청자가 TV를 시청하고, 영상이 표시되는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시청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50), 상기 눈동자 간격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 상기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포함된 단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면 획득 단계(S150)에서는 시청자의 안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센서부의 이상 등의 요소로 인하여 시청자의 안면 정보를 전혀 획득할 수 없다.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S250)에서는, 상기 획득 단계(S150)에서 아무런 정보도 획득하지 못하였으므로, 디폴트 상태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디폴트 상태가 제3상태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는 제3상태로 결정된다.
상기 영상 표시 단계(S350)에서는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모드를 평면 영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앞선 단계에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가 제3상태로 결정되었으므로, 입체 영상이 표시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TV가 입체 영상 모드로 화면을 표시하고 있었던 경우, 바로 평면 영상 모드로 전환되어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은, 서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할 수 있다. 또, 각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은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단계들과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에 의하면, 시력 형성 과정에 있는 대상 또는 입체 영상 시청이 부적절한 대상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상을 판단하는 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함으로써, 그 대상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제어부
200 : 센서부
300 : 입력부
400 : 저장부
500 : 표시부
600 : 통신부

Claims (15)

  1.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안면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의 수행 결과, 입체영상 허용 여부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해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제1상태, 제한 시간 동안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제2상태, 및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한 제3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면 정보는,
    눈동자 간격 및 안면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가 제2상태 또는 제3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입체 영상을 평면 영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가 제2상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제한 시간 후에 입체 영상을 평면 영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에서는,
    눈동자 간격이 기설정된 제1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1상태로 판단하거나, 상기 눈동자 간격이 기설정된 제2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2상태로 판단하거나, 상기 눈동자 간격이 기설정된 제3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3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단계에서는,
    안면 이미지가 기저장된 제1이미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1상태로 판단하거나, 상기 안면 이미지가 기저장된 제2이미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2상태로 판단하거나, 상기 안면 이미지가 기저장된 제3이미지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제3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DB에 안면 이미지, 입체 영상 허용 여부 및 제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눈동자 간격 기준 및 제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에 대한 메시지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결과가 제2상태인 경우, 제한 시간, 영상 모드가 전환되기까지 남은 시간 및 시청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방법.
  12. 사용자의 안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부;
    상기 안면 정보에 근거하여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입체 영상 허용 여부 판단 결과, 입체영상 허용 여부가,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위해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제1상태, 제한 시간 동안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제2상태, 및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한 제3상태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 DB에 안면 이미지, 입체 영상 허용 여부 및 제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눈동자 간격 기준 및 제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입체 영상 허용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장치.
KR1020110067048A 2011-07-06 2011-07-06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295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48A KR101295054B1 (ko) 2011-07-06 2011-07-06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US13/483,760 US9042015B2 (en) 2011-07-06 2012-05-30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48A KR101295054B1 (ko) 2011-07-06 2011-07-06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72A KR20130005572A (ko) 2013-01-16
KR101295054B1 true KR101295054B1 (ko) 2013-08-08

Family

ID=4743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048A KR101295054B1 (ko) 2011-07-06 2011-07-06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42015B2 (ko)
KR (1) KR1012950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1950A1 (zh) * 2015-05-29 2016-12-0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显示调节的方法及头戴式显示设备
CN109756723B (zh) * 2018-12-14 2021-06-11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获取影像的方法和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1481A (ja) * 2009-10-20 2011-05-0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124941A (ja) * 2009-12-14 2011-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3次元映像生成装置及び3次元映像生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3865B2 (en) * 2001-05-31 2006-05-30 Olympus Corporation 3-D display device
JP4215058B2 (ja) * 2006-01-19 2009-01-28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700595B1 (ko) * 2010-01-05 201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1481A (ja) * 2009-10-20 2011-05-0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124941A (ja) * 2009-12-14 2011-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3次元映像生成装置及び3次元映像生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42015B2 (en) 2015-05-26
KR20130005572A (ko) 2013-01-16
US20130010358A1 (en)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92343B (zh) 显示装置、显示方法与播放系统
US20110316881A1 (en) Display device
EP2395420B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110316987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JP5869558B2 (ja) 表示制御装置、集積回路、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48811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5025823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視用眼鏡
Bos et al. Cinerama sickness and postural instability
US201302861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no-vision in multi-view system
US2013018802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369220A (zh) 成像设备、成像设备的控制方法以及计算机程序
WO2012124150A1 (ja) 映像表示装置
JP5132804B1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KR101295054B1 (ko)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Macpherson Is virtual reality experience veridical, illusory or hallucinatory? A complex answer based on a new theory of illusion and hallucination and the nature of the technology used to create virtual reality
KR2014001067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433763B2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Sadeghian First-Person Parent: A Longitudinal Study Exploring the Role of Wearable Cameras in Parent-Child Interactions
JP5032694B1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JP5562452B2 (ja) 表示方法、表示プログラム
JP2013172388A (ja)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6063524A (ja) 映像表示装置、視聴制御装置及び視聴制御プログラム
JP2010147773A (ja) カメラ
JP2012244281A (ja) 3d映像視聴装置、3d映像視聴方法及び3d映像視聴プログラム
JP2013055641A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