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886B1 -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 - Google Patents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886B1
KR101294886B1 KR1020120088878A KR20120088878A KR101294886B1 KR 101294886 B1 KR101294886 B1 KR 101294886B1 KR 1020120088878 A KR1020120088878 A KR 1020120088878A KR 20120088878 A KR20120088878 A KR 20120088878A KR 101294886 B1 KR101294886 B1 KR 10129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gas
gas hydrate
dissociation
fresh water
cargo 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낙원
강호근
고병욱
김동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사단법인 한국선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사단법인 한국선급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88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 F25B27/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particular sources of energy using waste heat, e.g. from 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초기 투자 및 운용비용이 적게 들고 유지보수가 쉬우면서도 빠른 시간 내 해리 및 하역이 가능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자체에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적재하는 화물창; 화물창에 공급하기 위한 청수를 저장하는 청수저장탱크; 청수저장탱크의 청수를 열교환기 및 화물창으로 순환시키는 온수순환펌프 및; 온수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되고 있는 청수를 열 교환 매체와 열 교환시켜 온도를 높이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청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청수를 온수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청수순환배관을 따라 열교환기와 화물창에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며 이 과정에서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청수(온수)를 화물창 내에 주입하여 적재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GH 수송선 자체에서 NGH를 해리시키므로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적으로 천연가스만 가스 소요처로 공급할 수 있으며, NGH의 해리를 위한 온수로 청수를 사용하므로 종래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화물창 및 배관의 수명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natural gas hydrate dissociation and unloa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natural gas hydrate, 이하 ‘NGH’라고 함)를 하역하는 방법으로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NGH를 NGH 수송선으로부터 육상의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육상에 저장탱크 및 관련 시설을 건설하는 비용이 상당히 크다. 아직 NGH 산업이 활성화되지 않고 검증되지 않은 시점에서 많은 초기 투자비용이 들어가는 시설을 건설하는 것은 상당히 꺼려지는 일이다. 그래서 그 전 단계로 NGH 수송선 자체에서 NGH를 해리시켜 곧바로 육상의 천연가스 사용처로 보내는 방법(이하, ‘해리 후 하역방법’이라고 함)이 초기 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해리 후 하역방법과 관련하여, 종래의 특허기술은 NGH를 해리시키기 위하여 NGH 수송선의 화물창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바, 그 첫 번째는 일본 특허출원 제2004-072090호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및 그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의 하역방법”(이하, ‘제 1 종래 기술’이라고 함)(도 2 참조)이며, 두 번째는 한국 특허출원 제2009-0060953호의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운송선”(이하, ‘제 2 종래 기술’이라고 함)(도 3 참조)이다.
제 1 종래 기술은 온수를 NGH 수송선의 화물창 안으로 주입하여 NGH를 해리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NGH가 해리되면 천연가스와 물이 발생하며, 발생된 물은 펌프를 통해 NGH 수송선 외부로 배출된다. 제 1 종래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관련 시스템이 비교적 단순하며, 온수의 주입량을 늘려 NGH의 해리 속도를 아주 쉽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제 1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제 1 종래 기술은 시스템 구성상 NGH를 해리시키기 위한 온수로서 해수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이처럼 해수를 온수로 사용할 경우 화물창 및 배관의 수명이 급격히 감소하는 치명적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화물창 내 영하 20도 정도의 낮은 온도로 인해 온수 노즐 및 배관이 쉽게 얼어 파손될 수 있다.
한편, 제 2 종래 기술은 NGH 수송선의 화물창 내 NGH로부터 해리된 물이 집수되면 그 집수된 물을 열전달용 배관으로 가열하고 그 가열된 물을 다시 NGH 수송선의 화물창 내로 분사하여 NGH를 해리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 2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NGH 해리시간을 합리적인 수준(약 7일)으로 줄이기 위해 화물창 내부와 외부에 열전달용 배관을 설치하기 위한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또한 NGH 수송선에 적재된 NGH를 모두 해리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열량을 열전달용 배관에 공급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상당히 많은 연료를 소모해야 한다. 즉, NGH를 해리시키기 위한 열전달용 배관의 초기 투자비용 및 운용비용이 상당히 많이 드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종래에 비해 초기 투자 및 운용비용이 적게 들고 유지보수가 쉬우면서도 빠른 시간 내 해리 및 하역이 가능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자체에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적재하는 화물창;
화물창에 공급하기 위한 청수를 저장하는 청수저장탱크;
청수저장탱크의 청수를 열교환기 및 화물창으로 순환시키는 온수순환펌프 및;
온수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되고 있는 청수를 열 교환 매체와 열 교환시켜 온도를 높이는 열교환기;
를 포함하며,
청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청수를 온수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청수순환배관을 따라 열교환기와 화물창에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며, 이 과정에서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청수(온수)를 화물창 내에 주입하여 적재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자체에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청수저장탱크가 화물창에 공급하기 위한 청수를 저장하는 단계;
온수순환펌프가 청수저장탱크에 저장된 청수를 청수순환배관을 따라 열교환기와 화물창에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열교환기가 온수순환펌프에 의해 순환되고 있는 청수를 열 교환 매체와 열 교환시켜 온도를 높이는 단계 및;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된 청수(온수)가 화물창 내에 주입되어 적재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GH 수송선 자체에서 NGH를 해리시키므로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적으로 천연가스만 가스 소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경우 NGH의 해리를 위한 각종 장치를 NGH 수송선에 설치하지 않고 하역부두에 설치한다면 NGH 수송선의 가격은 훨씬 더 낮아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NGH의 해리를 위한 온수로 청수를 사용하므로 종래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화물창 및 배관의 수명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등 유지보수 측면에서 상당히 많은 이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합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NGH 수송선의 실용화에 걸리는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구성.
도 2는 제 1 종래 기술의 시스템 구성.
도 3은 제 2 종래 기술의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구성을 보여준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념은 NGH 수송선 자체에서 NGH를 해리시키는 것으로, 청수저장탱크(1)에 저장된 청수를 온수순환펌프(2)를 이용하여 청수순환배관(10)을 따라 열교환기(3)와 화물창(4)에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며, 이 과정에서 열교환기(3)에 의해 가열된 청수(온수)를 화물창(4) 내에 주입하여 화물창(4) 내에 적재된 NGH를 해리시키는 것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NGH 수송선이 하역부두에 정박한 직후에는, 화물창(4) 내부에 저온의 NGH만 가득할 뿐 온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NGH의 해리가 시작되면, 청수저장탱크(1)에 저장된 일정량의 청수가 온수순환펌프(2)를 통하여 열교환기(3)로 이송된다.
청수저장탱크(1)는 NGH의 해리 초기에 화물창(4)에 공급하기 위한 청수를 저장하는데, 이러한 청수저장탱크(1)는 기본적으로 NGH 수송선에 설치되나, 하역부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만약 청수저장탱크(1)가 하역부두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청수저장탱크(1)와 NGH 수송선 간 청수의 수급을 위한 별도의 청수수급배관(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되어야 한다.
온수순환펌프(2)는 청수저장탱크(1)의 청수 또는 화물창(4) 내 NGH로부터 해리된 물(이하, ‘청수’라고 통칭함)을 청수순환배관(10)을 따라 열교환기(3) 및 화물창(4)으로 순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해리 시스템의 가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2대 이상의 온수순환펌프(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교환기(3)는 온수순환펌프(2)에 의해 순환되고 있는 청수를 열 교환 매체와 열 교환시켜 온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열교환기(3)는 화물창(4) 내 NGH의 해리에 부족함이 없도록 충분한 용량을 가져야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해리 시스템의 가용도(availability)를 높이기 위해 2대 이상의 열교환기(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교환기(3)의 열 교환 매체로는 기본적으로 해수의 열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해수의 열뿐만 아니라 NGH 수송선 내 폐열을 열 교환 매체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만약 NGH 수송선이 천연가스화력복합발전소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발전소에서 발생한 폐열을 열 교환 매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폐열을 열 교환 매체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수를 열교환 매체로 이용하는 경우보다 높은 온도로 인해 빠른 해리가 가능하다.
한편, 열교환기(3)와 온수순환펌프(2)의 위치는 NGH 수송선의 기관실 또는 펌프실과 같이 작업자가 접근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하기가 좋은 곳으로 정하여 정비의 용이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역작업이 빈번한 하역부두의 경우라면, 상술한 청수저장탱크(1)와 더불어 열교환기(3)와 온수순환펌프(2)를 하역부두에 설치할 수도 있는바, 이 경우에는 NGH 수송선의 건조 및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열교환기(3)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높아진 청수(온수)(11)는 화물창(4) 내로 주입되어 화물창(4) 하부에서부터 차오른다. 그리고 화물창(4) 하부의 청수는 NGH(12)와 직접 접촉하여 NGH를 해리시킨다. 이 과정에서 NGH(12)로부터 해리된 천연가스는 화물창(4) 상부로 배출되며, NGH(12)로부터 해리된 물은 화물창(4) 하부로 배출된다.
이 경우, NGH의 상태에 따라 해리된 천연가스가 화물창(4) 상부로 제대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통풍 배관(ventilation pipe)(5)을 설치하여 천연가스가 원활하게 화물창(4)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통풍 배관(5)에는 해리된 천연가스에 섞여 있는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기(gas drier)(6)와 천연가스 수요처에 적정한 압력(약 30bar)의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compressor)(7)를 설치한다. 이 경우, 건조기(6)와 압축기(7)는 NGH 수송선에 설치될 수도 있고 하역부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강화되는 국제배기가스 규정에 대응하기 위해 NGH 수송선은 해리된 천연가스를 엔진 또는 보일러의 보조연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화물창(4) 내 청수의 주입과 관련하여, 화물창(4) 내에는 충분한 양의 청수가 공급되어 저온의 NGH에 의해서도 얼지 않아야 하며, 청수는 항상 순환되고 또한 가열되어야 한다. 청수는 청수순환배관(10)을 따라 순환하며, 화물창(4) 내 청수의 순환은 상술한 온수순환펌프(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 때 화물창(4)을 빠져나온 청수는 버퍼 탱크(buffer tank)(8)를 지나게 된다. 버퍼 탱크(8)는 청수 속에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가스를 제거하여 온수순환펌프(2)가 맥동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해리작업이 끝난 뒤 화물창(4) 내 남은 다량의 청수(이는 청수저장탱크(1)의 청수와 화물창(4) 내 NGH로부터 해리된 물이 합쳐진 것이다) 중 일부는 청수저장탱크(1)에 저장되고, 나머지는 별도의 저장탱크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된다. 필요하다면 화물창(4) 내 남은 다량의 청수는 NGH 수송선의 평형수(ballast water)로 대신 이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추가적인 평형수 이송작업이 필요치 않아 효율적인 NGH 수송선 운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해리작업이 끝난 뒤 화물창(4)에 연결된 청수순환배관(10)에는 잔수가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청수순환배관(10)과 연결된 드레인 밸브(drain valve)(9)를 열어 남은 잔수를 모두 배출시킨다. 만약 잔수가 모두 배출되지 못할 경우, 청수순환배관(10) 내 잔수가 화물창(4)의 영하 20도의 저온으로 인해 얼어서 청수순환배관(10)이 파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NGH 수송선 자체에서 NGH를 해리시키므로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적으로 천연가스만 가스 소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경우 NGH의 해리를 위한 각종 장치를 NGH 수송선에 설치하지 않고 하역부두에 설치한다면 NGH 수송선의 가격은 훨씬 더 낮아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NGH의 해리를 위한 온수로 청수를 사용하므로 종래 해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화물창 및 배관의 수명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등 유지보수 측면에서 상당히 많은 이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합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NGH 수송선의 실용화에 걸리는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청수저장탱크 2 : 온수순환펌프
3 : 열교환기 4 : 화물창
5 : 통풍 배관 6 : 건조기
7 : 압축기 8 : 버퍼 탱크
9 : 드레인 밸브 10 : 청수순환배관
11 : 청수 12 :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NGH)

Claims (34)

  1.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자체에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적재하는 화물창(4);
    화물창(4)에 공급하기 위한 청수를 저장하는 청수저장탱크(1);
    청수저장탱크(1)의 청수를 열교환기(3) 및 화물창(4)으로 순환시키되, 화물창(4) 내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로부터 해리된 물을 청수저장탱크(1)의 청수와 함께 열교환기(3) 및 화물창(4)으로 순환시키는 온수순환펌프(2) 및;
    온수순환펌프(2)에 의해 순환되고 있는 청수를 열 교환 매체와 열 교환시켜 온도를 높이는 열교환기(3);
    를 포함하며,
    청수저장탱크(1)에 저장된 청수를 온수순환펌프(2)를 이용하여 청수순환배관(10)을 따라 열교환기(3)와 화물창(4)에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며, 이 과정에서 열교환기(3)에 의해 가열된 청수(온수)를 화물창(4) 내에 주입하여 적재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청수저장탱크(1)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또는 하역부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청수저장탱크(1)가 하역부두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청수저장탱크(1)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간 청수의 수급을 위한 별도의 청수수급배관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온수순환펌프(2)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또는 하역부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온수순환펌프(2)는 2대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3)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또는 하역부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3)는 2대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3)의 열 교환 매체로는 해수의 열 또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내 폐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이 천연가스화력복합발전소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열교환기(3)가 발전소에서 발생한 폐열을 열 교환 매체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3)에 의해 가열된 청수(온수)(11)는 화물창(4) 내로 주입되어 화물창(4) 하부에서부터 차오르면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12)와 직접 접촉하여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12)를 해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상태에 따라 해리된 천연가스가 화물창(4) 상부로 제대로 이동하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통풍 배관(5)을 설치하여 천연가스가 원활하게 화물창(4)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통풍 배관(5)에는 해리된 천연가스에 섞여 있는 수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기(6)를 더욱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건조기(6)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또는 하역부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통풍 배관(5)에는 천연가스 수요처에 소정의 압력의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7)를 더욱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압축기(7)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또는 하역부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은 해리된 천연가스를 엔진 또는 보일러의 보조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화물창(4)을 빠져나온 청수 속에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가스를 제거하여 온수순환펌프(2)가 맥동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는 버퍼 탱크(8)를 더욱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청수저장탱크(1)는 해리작업이 끝난 뒤 화물창(4) 내 남은 청수 중 일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20. 제 1 항에 있어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은 해리작업이 끝난 뒤 화물창(4) 내 남은 청수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평형수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21. 제 1 항에 있어서,
    해리작업이 끝난 뒤 화물창(4)에 연결된 청수순환배관(10)에 남아 있는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밸브(9)를 더욱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
  22.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자체에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청수저장탱크(1)가 화물창(4)에 공급하기 위한 청수를 저장하는 단계;
    온수순환펌프(2)가 청수저장탱크(1)에 저장된 청수를 청수순환배관(10)을 따라 열교환기(3)와 화물창(4)에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되, 화물창(4) 내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로부터 해리된 물을 청수저장탱크(1)의 청수와 함께 열교환기(3) 및 화물창(4)으로 순환시키는 단계;
    열교환기(3)가 온수순환펌프(2)에 의해 순환되고 있는 청수를 열 교환 매체와 열 교환시켜 온도를 높이는 단계 및;
    열교환기(3)에 의해 가열된 청수(온수)가 화물창(4) 내에 주입되어 적재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해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23. 삭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3)의 열 교환 매체로는 해수의 열 또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내 폐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이 천연가스화력복합발전소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열교환기(3)가 발전소에서 발생한 폐열을 열 교환 매체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3)에 의해 가열된 청수(온수)(11)는 화물창(4) 내로 주입되어 화물창(4) 하부에서부터 차오르면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12)와 직접 접촉하여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12)를 해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통풍 배관(5)을 이용하여 화물창(4) 내 해리된 천연가스가 원활하게 화물창(4)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욱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건조기(6)를 이용하여 통풍 배관(5)을 통해 배출되는 해리된 천연가스에 섞여 있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욱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압축기(7)를 이용하여 통풍 배관(5)을 통해 배출되는 해리된 천연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천연가스 수요처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욱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30. 제 22 항에 있어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은 해리된 천연가스를 엔진 또는 보일러의 보조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31. 제 22 항에 있어서,
    버퍼 탱크(8)를 이용하여 화물창(4)을 빠져나온 청수 속에 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가스를 제거하여 온수순환펌프(2)가 맥동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욱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32. 제 22 항에 있어서,
    청수저장탱크(1)는 해리작업이 끝난 뒤 화물창(4) 내 남은 청수 중 일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33. 제 22 항에 있어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은 해리작업이 끝난 뒤 화물창(4) 내 남은 청수 중 전부 또는 일부를 평형수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34. 제 22 항에 있어서,
    드레인 밸브(9)를 이용하여 해리작업이 끝난 뒤 화물창(4)에 연결된 청수순환배관(10)에 남아 있는 잔수를 배출하는 단계를 더욱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방법.
KR1020120088878A 2012-08-14 2012-08-14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29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78A KR101294886B1 (ko) 2012-08-14 2012-08-14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78A KR101294886B1 (ko) 2012-08-14 2012-08-14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886B1 true KR101294886B1 (ko) 2013-08-08

Family

ID=4922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878A KR101294886B1 (ko) 2012-08-14 2012-08-14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287A (ko) 2018-06-01 2019-12-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펠렛용 저장 탱크의 선적 및 하역 설비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084A (ja) 2002-03-01 2003-09-1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を用いる分散型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設備
JP2006283596A (ja) 2005-03-31 2006-10-1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発電所におけるガスハイドレート分解熱供給方法及び装置
JP4355596B2 (ja) 2004-03-15 2009-11-04 三井造船株式会社 ガスハイドレート輸送船及び該ガスハイドレート輸送船の荷役方法
KR101110318B1 (ko) 2008-12-08 2012-0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연료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4084A (ja) 2002-03-01 2003-09-1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を用いる分散型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設備
JP4355596B2 (ja) 2004-03-15 2009-11-04 三井造船株式会社 ガスハイドレート輸送船及び該ガスハイドレート輸送船の荷役方法
JP2006283596A (ja) 2005-03-31 2006-10-19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発電所におけるガスハイドレート分解熱供給方法及び装置
KR101110318B1 (ko) 2008-12-08 2012-0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연료 공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287A (ko) 2018-06-01 2019-12-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펠렛용 저장 탱크의 선적 및 하역 설비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235B1 (ko) 해수 가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시스템
EP2716542A2 (en) Cold heat recovery apparatus using an lng fuel, and liquefied gas carrier including same
JP2004284579A (ja) 液化ガス輸送船からガスターミナルへのエネルギー供給
KR101647462B1 (ko) 해수 순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0862A (ko) 선박의 액화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EP2290300A1 (en) Fuel cell cogeneration system
KR20130061798A (ko) 글리콜 열교환 방식을 이용한 엘엔지 운반선의 가스 공급장치
US10532795B2 (en) Flexible regasification and floating thermal energy storage
KR101294886B1 (ko)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해리 및 하역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40066348A (ko) 액화천연가스 재기화 장치
JP5738665B2 (ja) 原子炉の除熱システム
KR102537939B1 (ko) 암모니아를 연료로 이용하는 선박
KR20150019520A (ko) 선박의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2521169B1 (ko) 부유식 발전플랜트의 lng 재기화열을 이용한 육상 hvac 냉매 순환 시스템
KR20110003616A (ko)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운송선
KR101751858B1 (ko) 선박용 증발가스 처리 방법
KR102125869B1 (ko) 소각기 배기가스 열회수에 의한 가열 압축공기 공급장치
KR20190041859A (ko) Lng연료를 이용한 액화가스 재액화장치 및 이를 가지는 액화가스운반선
KR20150038847A (ko) 선박의 lng 재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8702A (ko) 배기가스 처리장치의 온도 제어 시스템
KR20190041869A (ko) 액화가스연료를 이용한 유증기 발생 감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113443117A (zh) 液货船及其液货加热系统
JP2005076640A (ja) 天然ガスハイドレートの貯蔵方法及び装置
Eum et al. Eco-friendly LNG SRV: Completion of the regas trial
JP2019056381A (ja) ボイルオフガス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