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901B1 -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901B1
KR101293901B1 KR1020080069133A KR20080069133A KR101293901B1 KR 101293901 B1 KR101293901 B1 KR 101293901B1 KR 1020080069133 A KR1020080069133 A KR 1020080069133A KR 20080069133 A KR20080069133 A KR 20080069133A KR 101293901 B1 KR101293901 B1 KR 10129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eth
acrylates
acrylate
curabl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580A (ko
Inventor
김장순
임동훈
송민석
장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069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9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9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및 기재 필름의 사이에 형성되고,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사이에 특정의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로 되는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하여, 가소제 이행으로 인한 박리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점착 물성 및 꺾임 시공성 등이 우수한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점착 필름, 기재 필름, 가소제, 가소제 이행 방지층,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 유리전이온도

Description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 필름은 광고재, 실내외 인테리어 필름, 벽지 및 창호재 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 필름의 기재 필름으로는 PVC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필름이 자주 사용되며,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는 유연성 및 탄력성 등의 부여를 위하여 가소제가 첨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점착 필름의 제조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상기 기재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가 점착층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점착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점착 필름이 제조된 후 단기간 내에 유통되어 피착물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점착 필름은 제조 후 유통기한이 긴 것이 일반적이고, 이에 따라 현재 가소제의 이행에 의한 점착물성의 저하가 통상 30% 이상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소제 이행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점착 필름의 부착력이 낮아져 시공 후 탈착되는 불량이 발생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필름에 걸리는 전단 응력이 높은 꺾임 시공 등의 경우에 더욱 크게 부각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2-30156호는 점착층에 미리 피착체인 수지 성형물이 함유하는 것과 동일한 가소제를 함유시켜 평형 농도를 맞춤으로써, 수지 성형물로부터 점착층으로의 가소제 이행을 방지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 개시하고 있는 점착 제품은 가소제 첨가로 인해 점착제 자체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높은 전단응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6-108017호는 소수성 화합물인 이소부틸렌 단위를 점착 중합체 중에 함유시켜 소수성인 가소제의 이행을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기술 역시 점착제의 응집력 저하 및 첨가제의 표면 이행에 의한 접착력 상실 등으로 높은 접착성 및 전단 응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4-143431호는 수지 내부에 흡습성 분체를 함유시켜, 상기 성분의 친수성기에 의해 도막에 흡습성을 부여하고, 도막 중에 수분을 함유하는 친수층을 형성하여, 소수성인 가소제의 이행을 방지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박리력 및 초기 택(tack) 특성의 개선은 가능하나, 저분자량 친수성 첨가제에 의한 응집력 저하로 인해, 다양한 용도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점착 필름의 점착 물성 및 꺽임 시공성 등은 우수하게 유지하면서도, 가소제의 이행으로 인한 점착력 저하 문제를 해결한 기술은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점착 필름의 점착 물성 및 꺾임 시공성 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도, 가소제 이행으로 인한 박리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과 기재 필름의 사이에 형성되고,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을 개시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기재 필름은, PE 필름, PP 필름, EVA 필름, PVC 필름, PVDC 필름, PS 필름, PC 필름, PA 필름, PET 필름, PVAC 필름, PU 필름, PTFE 필름 또는 아크릴 수지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은 두께가 0.1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포함되는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가 30℃ 이상이고, 2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은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에 추가로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기재 필름 상에 용제형 또는 비용제형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층을 형성시키는 제 1 단계;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층을 경화시켜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형성된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제 3 단계는 (1) 지지 필름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지지 필름 상의 점착층을 기재 필름 상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사이에 특정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하여, 가소제 이행으로 인한 박리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점착 물성 및 꺾임 시공성 등이 우수한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과 기재 필름의 사이에 형성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포함하는 점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사이에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시켜, 기재 필름에 포함되는 가소제가 점착층으로 이행함으로써 발생하는 박리력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소제 이행 방지층의 두께 등을 최적화함으로써 꺽임 시공성과 같은 점착 필름에 요구되는 물성도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 포함되는 기재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연성 및 탄력성의 확보 등의 목적으로 가소제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가소제 이행에 의한 문제가 예상되는 기재 필름은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재 필름의 예로는, PE 필름 (polyethylene film), PP 필름 (polypropylene film), EVA 필름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ilm), PVC 필름 (polyvinylchloride film), PVDC 필름 (polyvinyliolene chloride film), PS 필름 (polystyrene film), PC 필름 (polycarbonate film), PA 필름 (polyamide film), PET 필름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PVAC 필름 (polyvinylalcohol film), PU 필름 (polyurethane film), PTFE 필름 (polytetrafluoroethylene film) 및 아크릴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 PVC 필름은 사용 빈도가 높고, 가소제 이행에 의한 문제가 크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재 필름의 두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점착 필름이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재 필름과 점착층의 사이에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로 되는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삽입함으로 해서, 기재 필름에 포함된 가소제가 점착층으로 이행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 시에도 점착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소제 이행 방지층은 그 두께가 0.1 내지 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 이행 방지층의 두께가 0.1 ㎛보다 작으면, 목적하는 가소제 이행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고, 10 ㎛를 초과하면, 꺽임 시공성과 같은 점착 필름의 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가소제 이행 방지층은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리전이온도가 30℃ 이상이고, 20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30℃ 미만이면, 상온 점착성 (tacky property)이 커져, 기재 필름만을 가공하여 롤로 감아 높은 경우 풀림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200℃ 이상이면,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롤 공정 및 꺽임 시공 등에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로는,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 아크릴레 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대두유 (메타)아크릴레이트 (epoxidized soy bean oil (meth)acrylate); 스티렌이 혼합된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epoxy (meth)acrylate blended with styrene); 프로폭실화 (propoxylated)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알콕시화 시클로헥실 디메탄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콕시화 알코올 함유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디메탄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코올 함유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 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킬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디(알킬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트리(알킬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지방족 디(메타)아크릴레이트(alkoxylated aliphatic di(meth)acrylate); 에톡시화 (ethoxylated) 비스페놀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콕시화 방향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지방족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트리알킬롤알킬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트리메틸롤 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콕시화 트리알킬롤알킬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코올 함유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코올 함유 테 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알코올 함유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3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및 알콕시화 3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은 또한, 전술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에 추가로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광개시제의 예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 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시드, α,α-메톡시-α-히드록시 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 [4-(4-몰포닐)페닐]-1-부타논 및 2,2-디메톡시 2-페닐 아세토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개시제는 본 발명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0.05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이 0.05 중량부보다 작으면, 자외선 조사에 의한 경화 반응이 충분하게 진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소제 이행 방지층이 지나치게 딱딱해져 조금만 구부려도 부러지는 등 가공성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 필름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은 전술한 성분 외에도,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안료, 산화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가소제, 점착 부여 수지, 유기 및 무기 충전제, 열경화제 및 커플링제(ex.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적 절히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점착 필름에서 점착층을 구성하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릴계 점착제와 같은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소재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 필름 상에 용제형 또는 비용제형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층을 형성시키는 제 1 단계;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층을 경화시켜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형성된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는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은 용제형 또는 비용제형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 때 용제형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제 2 단계의 경화 공정 전에 사용된 용제를 휘발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비용제형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별도의 휘발 공정 없이 제 2 단계의 경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또한 상기 화합물층의 형성 시에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합물층의 형성 시에 단량체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분자 량이 낮아 점도가 떨어지고, 이에 따라 목적하는 두께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얻기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으므로, 단량체 및 올리고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불과하며, 통상의 증점제 등을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에 지장이 없다면 단량체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올리고머만을 사용하여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때 올리고머만을 사용하여 점도가 높아지는 경우, 용제를 사용하여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층의 형성 후, 자외선 경화 전에 건조 공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건조 조건은 기재 필름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단계에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그대로 또는 적절한 용제에 용해하여 콤마 코터(comma coater), 그라비어(gravure) 코터, 다이(die) 코터 및 리버스(reverse) 코터와 같은 공지의 수단을 사용하여 기재 필름 상에 도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단계는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화합물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자외선 경화 공정의 구체적인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 및/또는 광개시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서 이 분야의 통상의 조건을 채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단계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가소제 이행 방지층 상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제 3 단계는,
(1) 지지 필름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지지 필름 상의 점착층을 기재 필름 상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서 단계 (1)은 가소제 이행 방지층 상에 적층될 점착층을 지지 필름 상에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 때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점착 수지 조성물을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지지 필름에 도포하고, 가열 등의 수단으로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외선 경화 등의 수단으로 점착층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점착층의 제조에 사용되는 지지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로 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종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에서는 점착층 형성 전에 지지 필름의 표면에 이형 처리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이형제의 예에는 알키드계, 실리콘계, 불소계, 불포화 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및 왁스계를 들 수 있 으며, 우수한 내열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알키드계, 실리콘계 및 불소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지지 필름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0 내지 500 ㎛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이나, 이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지지 필름 상에 점착층을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커튼 코트법, 콤마 코트법 또는 립 코트법과 같은 통상의 수단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도포되는 점착층의 두께는 통상 1 내지 100 ㎛이나, 상기 두께는 점착 필름이 적용될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단계 (1)에서 형성된 지지 필름 상의 점착층을 가소제 이행 방지층 상에 적층하는 단계이며, 이 때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층을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롤 라미네이트로 합판하거나 프레스하는 방법으로 적층할 수 있으며, 연속 제조 가능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롤 라미네이트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각 단계를 거쳐 기재 필름의 일면에 점착층을 형성한 후, 그 이면에도 동일한 공정을 수행하여, 양면 점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로서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유리전이온도: 45℃, 비용제형)를 PVC 필름 상에 1 ㎛의 두께로 도포하고, 할로겐화 금속 램프(metal halide lamp)를 10초 동안 조사하였다. 또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시킨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량평균분자량: 80만, 유리전이온도: -40℃)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5 중량부를 혼합한 점착 수지 조성물을 이형 PET 위에 30㎛의 두께로 도포하고, 열풍 건조시켜 점착제를 준비하였다. 상기 점착제를 가소제 이행 방지층이 형성된 PVC 필름 상에 합판시켜 PVC 점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70℃이고 비용제형인 에폭시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100℃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의 도포 두께를 5 ㎛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110℃이고 용제형인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용제형 올리고머를 PVC 필름 상에 도포한 후, 80℃의 온도에서 용제를 3 분 동안 휘발시킨 후, 자외선 경화시켜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시켰다.
비교예 1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로 되는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로 되는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하지 않고, 점착층 의 두께를 50 ㎛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체적인 성분을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 가소제 이행 방지층 두께(㎛) 점착층 두께
(㎛)
구분 유리전이온도(℃) 종류
실시예 1 비용제형 45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1 30
실시예 2 비용제형 70 에폭시 메타크릴레이트 1 30
실시예 3 비용제형 100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 30
실시예 4 비용제형 45 우레탄 메타크릴레이트 5 30
실시예 5 용제형 110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 1 30
비교예 1 - - - - 30
비교예 2 - - - - 50
상기와 같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하기 제시된 방법으로 박리력 및 그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1. 박리력 평가 방법 (g/ in )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 필름을 1인치 너비의 샘플로 준비하여, SUS 304 피착체에 2kg 롤러로 2회 왕복하여 부착시켰다. 부착 후 30분이 경과한 후 인장 시험기(texture analyzer)를 사용하여 박리력 (180° 박리, 박리속도: 300mm/min)을 측정하였다. 박리력은 3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 것이다.
2. 박리력 감소율 평가 방법(%)
박리력 평가 시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샘플을 70℃의 오븐에 3일 동안 보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박리력을 측정하여, 박리력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측정된 박리력 및 그 감소율을 정리하면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2]

박리력(g/in) 감소율(%)
초기 박리력 70℃에서 3일간 유지 후의 박리력
실시예 1 1501 1450 3.4
실시예 2 1610 1590 1.2
실시예 3 1720 1680 2.3
실시예 4 1550 1540 0.6
실시예 5 1780 1700 4.5
비교예 1 1404 930 33.8
비교예 2 1650 1070 35.2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가소제 이행으로 인한 박리력 감소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및 2의 경우는 가소제 이행으로 인해 30% 이상의 박리력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상기 박리력 감소 경향은 비교예 2와 같이 점착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에도 전혀 감소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4)

  1.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과 기재 필름의 사이에 형성되고,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가 30℃ 이상이고, 200℃ 미만인 점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이, PE(polyethylene) 필름, PP(polypropylene) 필름,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필름, PVC(polyvinylchloride) 필름, PVDC(polyvinyliolene chloride) 필름, PS(polystyrene) 필름, PC(polycarbonate) 필름, PA(polyamide) 필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PVAC(polyvinylalcohol) 필름, PU(polyurethane) 필름,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필름 또는 아크릴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가소제 이행 방지층은 두께가 0.1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이 스테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메타)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대두유 (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이 혼합된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알코올 함유 디(메타)아크릴 레이트; 알코올 함유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알킬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알킬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지방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방향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지방족 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 트리알킬롤알킬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화 트리알킬롤알킬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코올 함유 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코올 함유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메타)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3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및 알콕시화 3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소제 이행 방지층은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 포스핀 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 포스핀 옥시드, α,α-메톡시-α- 히드록시 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몰포닐) 페닐]-1-부타논 및 2,2-디메톡시 2-페닐 아세토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필름.
  8. 삭제
  9. 기재 필름 상에 용제형 또는 비용제형이며, 유리전이온도가 30℃ 이상이고, 200℃ 미만인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을 사용하여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제 1 단계에서 형성된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층을 경화시켜 가소제 이행 방지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에서 형성된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 후에 용제형 자외선 경화형 화합물층이 포함하는 용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1) 지지 필름 상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상기 지지 필름 상의 점착층을 기재 필름 상의 가소제 이행 방지층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지지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점착층 형성 전에 지지 필름의 표면을 알키드계, 실리콘 계, 불소계, 불포화 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및 왁스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형제로 이형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단계 (2)의 적층은 롤 라미네이트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80069133A 2008-07-16 2008-07-16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29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33A KR101293901B1 (ko) 2008-07-16 2008-07-16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133A KR101293901B1 (ko) 2008-07-16 2008-07-16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80A KR20100008580A (ko) 2010-01-26
KR101293901B1 true KR101293901B1 (ko) 2013-08-06

Family

ID=4181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133A KR101293901B1 (ko) 2008-07-16 2008-07-16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9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78B1 (ko) * 2010-11-22 2014-05-13 (주)엘지하우시스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표시장치
KR101647156B1 (ko) * 2010-11-24 2016-08-09 (주)엘지하우시스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KR101309815B1 (ko) * 2010-12-15 2013-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다이싱 다이 본딩 필름
KR101722762B1 (ko) * 2013-03-25 2017-04-05 (주)에버텍엔터프라이즈 바이오매스로부터 합성된 친환경수지로 제조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KR101478747B1 (ko) * 2013-03-25 2015-01-05 (주)에버텍엔터프라이즈 인장 및 흡습특성이 강화된 잉곳 마운팅 2액형 접착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210A (ja) * 1992-04-30 1994-04-0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耐汚染性保護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H11263946A (ja) * 1998-03-17 1999-09-28 Toyo Chem Co Ltd 粘着シート
JP2003014935A (ja) 2001-02-23 2003-01-15 Nippon Kayaku Co Ltd 配向膜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液晶性化合物を有する高分子フィルムからなる位相差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210A (ja) * 1992-04-30 1994-04-05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耐汚染性保護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H11263946A (ja) * 1998-03-17 1999-09-28 Toyo Chem Co Ltd 粘着シート
JP2003014935A (ja) 2001-02-23 2003-01-15 Nippon Kayaku Co Ltd 配向膜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液晶性化合物を有する高分子フィルムからなる位相差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580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833B1 (ko)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아크릴계 점착제, 점착 시트, 양면 점착 시트, 투명 전극용 점착제, 터치 패널 및 화상 표시장치, 및 점착제층 함유 적층체의 제조 방법
EP1571191B1 (en) Thermosetting adhesive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EP341274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temperature-resistant polyvinyl-chloride adhesive tape
KR101393860B1 (ko) 자동차용 점착테이프
JP5008870B2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粘着シート
KR101206591B1 (ko) 수성 점착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점착 필름
KR101293901B1 (ko)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84125A (ko) 보호용 필름 접착제
CN106459316B (zh) 光固化性树脂组合物
KR101099602B1 (ko) 아크릴폼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911082A (zh) 片状粘合剂、粘合层叠体和挠性构件的制造方法
EP2082004B1 (en) Antistatic protective hot melt adhesives
US20100104853A1 (en) Foam tape
KR101651718B1 (ko) 점착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647156B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JP2003049128A (ja) 光学部材用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の製造法および光学部材用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
KR20170014090A (ko) 장식 시트용 접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장식용 패널
KR20120005681A (ko) 장식 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시트 및 장식 패널
KR100949411B1 (ko) 내가소제성 감압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제 물품
JP7400572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剥離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剥離型粘着シート
KR102037457B1 (ko) 장식 패널용 접착제 조성물, 장식 패널용 점착 시트, 장식 패널 및 장식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50589B1 (ko) 광중합에 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KR101804598B1 (ko) 광중합에 의한 용제형 점착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967486B1 (ko) 긴 측쇄 알킬기를 가지는 이타콘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이형필름용 수지 조성물
EP2557133B1 (en) Method for providing PVC structures for adhesiv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