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183B1 - Dc 개폐모듈 - Google Patents

Dc 개폐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183B1
KR101292183B1 KR1020110062136A KR20110062136A KR101292183B1 KR 101292183 B1 KR101292183 B1 KR 101292183B1 KR 1020110062136 A KR1020110062136 A KR 1020110062136A KR 20110062136 A KR20110062136 A KR 20110062136A KR 101292183 B1 KR101292183 B1 KR 10129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mparison
signal
current
circu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411A (ko
Inventor
선형 최
권식 조
근종 유
Original Assignee
고구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구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고구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1006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18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1/00Protective switches in which contacts are normally closed but are repeatedly opened and reclosed as long as a condition causing excess current persists, e.g. for current limiting
    • H01H81/04Protective switches in which contacts are normally closed but are repeatedly opened and reclosed as long as a condition causing excess current persists, e.g. for current limiting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01R19/1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4Thyristor-type devices, e.g. having four-zone regenerative action
    • H01L29/747Bidirectional devices, e.g. tria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64An operational amplifier based integrator or transistor based integrator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 개폐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은 전력선의 입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신호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신호의 전압을 증폭하는 입력신호증폭부와; 설정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와; 상기 입력신호증폭부의 증폭된 전압과 기준전압발생부의 기준전압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부와; 상기 차동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적분시간에 비례하는 적분전압을 출력하는 선형적분회로부와; 한시차단을 위한 비교전압을 발생하는 비교전압발생부와; 상기 선형적분회로부로부터 적분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비교전압발생부로부터 비교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적분전압이 비교전압보다 큰 경우 설정된 한시차단용 전압을 출력하는 적분전압 비교회로부와; 상기 적분전압 비교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한시차단용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차단신호를 출력유지하는 비교신호 유지회로부와;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구동부와; 상기 온오프구동부로부터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전류를 차단가능한 개폐소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DC 개폐모듈{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의 일종으로서, 전자식 회로를 구현하여 과전류를 한시적으로 또는 순시적으로 차단가능한 DC 개폐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회로 차단기(NFB; No Fuse Breaker), 전자접촉기(MS ; Magnet Switch), 계전기(Relay), 타이머(Timer) 등이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들은 근본적으로 회로를 개폐하는 기계적인 스위치로서, 기계적 접점에 따른 장애요소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보장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선의 기계적인 접점을 전자소자로 대체함으로써 장애요소를 줄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전력선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를 한시적 또는 순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DC 개폐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 모듈은, 전력선의 입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신호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신호의 전압을 증폭하는 입력신호증폭부와; 설정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와; 상기 입력신호증폭부의 증폭된 전압과 기준전압발생부의 기준전압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부와; 상기 차동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적분시간에 비례하는 적분전압을 출력하는 선형적분회로부와; 한시차단을 위한 비교전압을 발생하는 비교전압발생부와; 상기 선형적분회로부로부터 적분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비교전압발생부로부터 비교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적분전압이 비교전압보다 큰 경우 설정된 한시차단용 전압을 출력하는 적분전압 비교회로부와; 상기 적분전압 비교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한시차단용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차단신호를 출력유지하는 비교신호 유지회로부와;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구동부와; 상기 온오프구동부로부터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전류를 차단가능한 개폐소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전류검출부는 상기 전력선의 직류전류가 흐르는 1차 권선(coil)과 보조 교류 전원에 접속되는 교류 2차 권선(coil)으로 형성되어 교류 전원의 인덕턴스가 상기 직류전류에 의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직류전류를 검출가능한 직류 변류기(DC Transformer)와, 상기 교류 2차 권선에 보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발진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전압발생부는 순시차단을 위한 제2 비교전압을 더 발생하고, 상기 DC 개폐모듈은 상기 입력신호증폭부의 증폭된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비교전압발생부로부터 제2 비교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신호증폭부의 증폭된 전압이 제2 비교전압보다 큰 경우 설정된 순시차단용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전압 비교회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는 상기 신호전압 비교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순시차단용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차단신호를 출력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은,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에 연결되어 차단신호에 따른 온오프구동부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 또는 온오프구동부로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전송가능한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와 통신가능한 통신용드라이버부를 구비한 감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증폭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개폐소자부는 스위치 기능을 갖는 N-channel MOSFE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은, 상기 전력선의 입력단자와 상기 전류검출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부하가 단락되었을 때 발생하는 과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전류제한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전류제한소자는 폴리 스위치(Poly Switch) 또는 고정저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선의 기계적인 접점을 전자소자로 대체함으로써 장애요소를 줄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배선용 전력선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를 한시적 또는 순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C 개폐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력신호증폭부로부터 선형적분회로부까지의 과전류의 한시적 차단을 위한 적분과정을 나타내는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 모듈은, 전력선(L)의 입력단자(L1)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신호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10)와; 전류검출부(10)로부터 검출된 전류신호의 전압을 증폭하는 입력신호증폭부(20)와; 설정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30)와; 입력신호증폭부(20)의 증폭된 전압과 기준전압발생부(30)의 기준전압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부(40)와; 차동증폭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적분시간에 비례하는 적분전압을 출력하는 선형적분회로부(50)와; 한시차단을 위한 비교전압을 발생하는 비교전압발생부(60)와; 선형적분회로부(50)로부터 적분전압을 입력받고, 비교전압발생부(60)로부터 비교전압을 입력받아, 적분전압이 비교전압보다 큰 경우 설정된 한시차단용 전압을 출력하는 적분전압 비교회로부(70)와; 적분전압 비교회로부(70)로부터 출력되는 한시차단용 전압을 입력받아, 전력선(L)의 차단신호를 출력유지하는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와;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선(L)의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구동부(90)와; 온오프구동부(90)로부터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전력선(L)의 출력단자(L2)로 출력되는 전류를 차단가능한 개폐소자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전류검출부(10)는 전력선(L)의 직류전류가 흐르는 1차 권선(coil)과 보조 교류 전원에 접속되는 교류 2차 권선(coil)으로 형성되어 교류 전원의 인덕턴스가 직류전류에 의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직류전류를 검출가능한 직류 변류기(DC Transformer)와, 교류 2차 권선에 보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발진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전압발생부(60)는 순시차단을 위한 제2 비교전압을 더 발생하고,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은 입력신호증폭부(20)의 증폭된 전압을 입력받고, 비교전압발생부(60)로부터 제2 비교전압을 입력받아, 입력신호증폭부(20)의 증폭된 전압이 제2 비교전압보다 큰 경우 설정된 순시차단용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전압 비교회로부(75)를 더 포함하되,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는 신호전압 비교회로부(75)로부터 출력되는 순시차단용 전압을 입력받아, 전력선(L)의 차단신호를 출력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은,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에 연결되어 차단신호에 따른 온오프구동부(90)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 또는 온오프구동부(90)로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전송가능한 처리부(112)와, 처리부(112)에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와 통신가능한 통신용드라이버부(114)를 구비한 감시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신호증폭부(20)는 전류검출부(10)로부터 출력된 전류신호를 입력받아 정류하는 정류회로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개폐소자부(100)는 스위치 기능을 갖는 N-channel MOSFET 또는 대전력용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은, 전력선(L)의 입력단자(L1)와 전류검출부(10) 사이에 연결되어, 전력선(L)의 출력단자(L2)에 연결된 부하가 단락되었을 때 발생하는 과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전류제한소자(1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류제한소자(120)는 폴리 스위치(Poly Switch) 또는 고정저항(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에서, 전류검출부(10), 개폐소자부(100) 및 전류제한소자(120)는 전력선(L)의 입력단자(L1)와 출력단자(L2) 사이에 직접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전력선(L)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차단부라 할 수 있다.
상기 전류검출부(10)는 전력선(L)의 입력단자(L1)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직류 변류기(DCT)와 발진회로부를 구비한다. 이 때, 직류 변류기는 전력선(L)의 직류전류가 흐르는 1차 권선(coil)과 보조 교류 전원에 접속되는 교류 2차 권선(coil)으로 형성되어 교류 전원의 인덕턴스가 직류전류에 의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직류전류를 검출하게 된다. 또한, 발진회로부는 상기 교류 2차 권선에 보조 교류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개폐소자부(100)는 전력제어용 반도체로서, 온오프구동부(90)로부터 입력되는 개폐동작제어신호에 따라 전력선(L)의 출력단자(L2)로 출력되는 전류를 제어 즉 차단가능한 소자이다. 일예로써, N-channel MOSFET 또는 대전력용 트랜지스터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전류제한소자(120)는 전력선(L)의 입력단자(L1)와 전류검출부(1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류검출부(10) 및 개폐소자부(100) 보다 앞서 입력단자(L1)에 연결된다. 이런 전류제한소자(120)는 전류의 변화가 느리면 저항이 낮아 정상적으로 동작하나 전류의 변화가 급격하면 자체저항으로 인해 발열되고 이 발열에 의해 저항이 높아지면서 전류를 제한하는 특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출력단자에 연결된 부하가 단락되었을 때 전류가 급격히 증대하는 것을 억제하여 다른 소자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에서, 입력신호증폭부(20), 기준전압발생부(30), 차동증폭부(40), 선형적분회로부(50), 비교전압발생부(60), 적분전압 비교회로부(70), 신호전압 비교회로부(75),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 및 온도프구동부(90)는, 전류검출부(10)와 개폐소자부(100) 사이에서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전력선(L)에 흐르는 과전류를 판단하여 한시적으로 또는 순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제어회로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신호 증폭부(20)는 전류검출부(10)로부터 검출된 전류신호 즉, 전류검출부(10)의 직류 변류기의 2차 권선을 통해 검출된 전류를 입력받는다. 이어서, 입력된 전류를 정류하여 설정된 증폭도 만큼 정류된 전류의 전압을 증폭한다. 이를 위해, 입력신호 증폭부(20)는 입력된 전류를 정류하기 위한 정류회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준전압발생부(30)는 설정된 기준전압 즉, 과전류를 판단하기 위해 입력신호 증폭부(20)에서 증폭된 전압과 같은 크기의 일정한 DC 전압을 발생하는 회로이다.
또한, 상기 차동증폭부(40)는 입력신호증폭부(20)로부터 증폭된 전압을 입력받고, 기준전압발생부(30)로부터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두 전압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차동증폭부(40)가 입력신호증폭부(20)의 증폭된 전압을 양(+)의 값으로 입력받고, 기준전압발생부(30)의 기준전압을 음(-)의 값으로 입력받을 때, 평상시의 전력선(L)에 정격 전류나 그 미만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 차동증폭부(40)에서 두 전압의 전압차가 '0' 전압 또는 음(-)의 값이 된다. 그러나, 전력선(L)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차동증폭부(40)에서 두 전압의 전압차가 양(+)의 값이 된다. 이에 따라, 차동증폭부(40)가 전압차를 증폭하여 출력하게 되면 선형적분회로부(50)가 양(+)의 값을 판단하여 적분함으로써 전력선(L)에 흐르는 전류가 과전류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적분회로부(50)는 선형적분기(Linear Integrator)로서 입력값에 비례하는 특정한 값이 시간에 따라 커지는(누적되는) 전자회로이다. 즉, 차동증폭부(40)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입력받아, 적분시간에 비례하는 적분전압을 출력한다. 이 때, 평상시의 전력선(L)에 정격 전류나 그 미만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적분을 하지 않지만, 전력선(L)에 과전류 즉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적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비교전압발생부(60)는 한시차단을 위한 비교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비교전압은 시간에 따라 누적되는 과전류에 대한 한계치를 나타내는 설정값이다. 또한, 비교전압발생부(60)는 순시차단을 위한 제2 비교전압을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비교전압은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과전류에 대한 한계치를 나타내는 설정값이다. 예를 들어, 전력선(L)의 정격전류의 400% 미만인 과전류에 대해서는 시간에 따라 누적되는 과전류에 대한 한계치를 설정하여 순시차단을 하고, 전력선(L)의 정격전류의 400% 이상인 과전류에 대해서는 실시간으로 상승하는 과전류에 대한 한계치를 설정하여 순시차단을 한다. 여기서, 순시차단이라는 것은 순간적으로 혹은 즉시 전원을 차단한다는 의미이고, 한시차단이라는 것은 일정한 시간을 두고 전원을 차단한다는 의미이다. 이에 따라, 비교전압발생부(60)는 한시차단을 위한 비교전압은 적분전압 비교회로부(70)로 출력하고, 순시차단을 위한 제2 비교전압은 신호전압 비교회로부(75)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적분전압 비교회로부(70)는 비교전압발생부(60)로부터 비교전압을 입력받고, 선형적분회로부(50)로부터 적분전압을 입력받아 적분전압이 비교전압보다 큰 경우 설정된 한시차단용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한시차단용 전압은 비교전압과 적분전압의 전압차, 혹은 증폭된 전압차일 수 있으며, 또는 설정된 다른 신호전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전압 비교회로부(75)는 입력신호 증폭부(20)로부터 증폭된 전압을 입력받고, 비교전압발생부(60)로부터 제2 비교전압을 입력받아, 증폭된 전압이 제2 비교전압보다 큰 경우 설정된 순시차단용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순시차단용 전압은 입력받은 두 전압의 전압차, 혹은 증폭된 전압차일 수 있으며, 또는 설정된 다른 신호전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는 적분전압 비교회로부(70)로부터 출력되는 한시차단용 전압이나, 신호전압 비교회로부(75)로부터 출력되는 순시차단용 전압을 입력받아 전력선(L)의 차단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출력되는 차단신호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 이유는 차단신호에 의해 개폐소자부(100)가 전원을 차단하면 한시차단용 전압이나 순시차단용 전압이 없어지게 되므로, 차단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차단신호를 지속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한편,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는 처리부(112)에 연결되어 차단신호 정보를 처리부(112)로 전송할 수 있으며, 처리부(1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오프 구동부(90)는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로부터 차단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전력선(L)의 개폐동작제어신호를 개폐소자부(100)로 출력한다. 한편, 온오프 구동부(90)는 처리부(112)에 연결되어 처리부(112)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은 처리부(112)와 통신용 드라이버부(114)로 구성된 감시부(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예로써, 상기 처리부(11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서 비교신호 유지회로부(80)와 연결되어 차단신호를 통해 개폐소자부(100)로 인한 전력선(L)의 개폐상태 및 과전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용 드라이버부(114)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단말기로부터 제어명령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용 드라이버부(114)는 외부 단말기와 처리부(112)를 연결시켜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로써, RS-485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RS-485 드라이버 일 수 있다. 또는 유무선 통신을 위한 어느 통신용 드라이버를 사용하여도 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에서, 한시적 차단특성은 입력신호 증폭부(20), 기준전압발생부(30), 차동증폭부(40), 선형적분회로부(50), 비교전압발생부(60) 및 적분전압 비교회로부(70)을 통해 만들어지며, 순시적 차단특성은 입력신호증폭부(20), 비교전압발생부(60) 및 신호전압 비교회로부(75)를 통해 만들어진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신호증폭부(20)로부터 선형적분회로부(50)까지의 과전류의 한시적 차단을 위한 적분과정을 살펴보면, 전류검출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전압이 Vin(t)라 할 때, 입력신호증폭부(20)는 설정된 증폭도(Ai)만큼 증폭하여 Ai·Vin(t)만큼의 전압을 출력한다.(단, 상기 입력전압은 정류된 전압이다.) 한편, 기준전압 발생부(30)는 설정된 기준전압(Vr)을 출력한다. 이어서, 차동증폭부(40)는 입력신호 증폭부(20)의 출력값을 "No-Inverting 입력" 즉, 양의 값으로 입력받고, 기준전압 발생부(30)의 출력값을 "Inverting 입력" 즉, 음의 값으로 입력받아, 두 전압의 전압차를 증폭도(Ad)만큼 증폭하여 Ad·(Ai·Vin(t)-Vr) 만큼의 전압을 출력한다. 이어서, 선형적분 회로부(50)는 차동증폭부(40)의 출력값을 입력받아 시간에 비례하는 적분전압을 출력한다. 즉, 적분시정수인 콘덴서(C)와 저항(R)을 곱한 값 및 비례상수(K)에 비례하고 적분시간(tit)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누적)되는 K·C·R·tit·Ad·(Ai·Vin(t)-Vr) 만큼의 전압을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DC 개폐모듈은 내부에 전원회로를 구비하여,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선의 기계적인 접점을 전자소자로 대체함으로써 장애요소를 줄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배선용 전력선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를 한시적 또는 순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이해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10 : 전류검출부 20 : 입력신호증폭부
30 : 기준전압 발생부 40 : 차동증폭부
50 : 선형적분회로부 60 : 비교전압 발생부
70 : 적분전압 비교회로부 75: 신호전압 비교회로부
80 : 비교신호 유지회로부 90 : 온오프 구동부
100 : 개폐소자부 110 : 감시부
112 : 차단부 114 : 통신용 드라이버부
120 : 전류제한소자

Claims (7)

  1. 전력선의 입력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신호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신호의 전압을 증폭하는 입력신호증폭부;
    설정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압발생부;
    상기 입력신호증폭부의 증폭된 전압과 기준전압발생부의 기준전압의 전압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차동증폭부;
    상기 차동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받아, 적분시간에 비례하는 적분전압을 출력하는 선형적분회로부;
    한시차단을 위한 비교전압을 발생하는 비교전압발생부;
    상기 선형적분회로부로부터 적분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비교전압발생부로부터 비교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적분전압이 비교전압보다 큰 경우 설정된 한시차단용 전압을 출력하는 적분전압 비교회로부;
    상기 적분전압 비교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한시차단용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차단신호를 출력유지하는 비교신호 유지회로부;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로부터 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온오프구동부; 및,
    상기 온오프구동부로부터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전류를 차단가능한 개폐소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류검출부는 상기 전력선의 직류전류가 흐르는 1차 권선과 보조 교류 전원에 접속되는 교류 2차 권선으로 형성되어 교류 전원의 인덕턴스가 상기 직류전류에 의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직류전류를 검출가능한 직류 변류기와, 상기 교류 2차 권선에 보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발진회로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교전압발생부는 순시차단을 위한 제2 비교전압을 더 발생하고,
    상기 입력신호증폭부의 증폭된 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비교전압발생부로부터 제2 비교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신호증폭부의 증폭된 전압이 제2 비교전압보다 큰 경우 설정된 순시차단용 전압을 출력하는 신호전압 비교회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는 상기 신호전압 비교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순시차단용 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력선의 차단신호를 출력유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개폐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에 연결되어 차단신호에 따른 온오프구동부의 동작상태를 감시하고 외부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신호 유지회로부 또는 온오프구동부로 개폐동작제어신호를 전송가능한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와 통신가능한 통신용드라이버부를 구비한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개폐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증폭부는 상기 전류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개폐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소자부는 스위치 기능을 갖는 N-channel MOS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개폐모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의 입력단자와 상기 전류검출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전력선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부하가 단락되었을 때 발생하는 과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전류제한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개폐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제한소자는 폴리 스위치(Poly Switch) 또는 고정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개폐모듈.
KR1020110062136A 2011-06-27 2011-06-27 Dc 개폐모듈 KR10129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136A KR101292183B1 (ko) 2011-06-27 2011-06-27 Dc 개폐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136A KR101292183B1 (ko) 2011-06-27 2011-06-27 Dc 개폐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11A KR20130001411A (ko) 2013-01-04
KR101292183B1 true KR101292183B1 (ko) 2013-08-01

Family

ID=4783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136A KR101292183B1 (ko) 2011-06-27 2011-06-27 Dc 개폐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258B1 (ko) * 2018-11-22 2020-03-1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직류전원 차단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886B1 (ko) * 2000-08-22 2003-08-09 휴먼엘텍 주식회사 전자적인 트립이 가능한 회로 차단기 및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886B1 (ko) * 2000-08-22 2003-08-09 휴먼엘텍 주식회사 전자적인 트립이 가능한 회로 차단기 및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411A (ko)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5915B (zh) 用于断开交流电的电路
JP5998905B2 (ja)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US9866009B2 (en) Protection circuit
US11967916B2 (en) Load control apparatus, automation system, electrical load, busbar system and fuse housing
KR20100125808A (ko) 회로차단기용 이상전류 검출회로
US20150077154A1 (en) System for measuring soft starter curr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00254057A1 (en) Overload power cut-off device and method thereof
JP200822853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7159344A (ja) 電流制限回路、電源回路、及び電流制限方法
EP1367684A1 (en) Overload current protection device using magnetic impedance element
KR101292183B1 (ko) Dc 개폐모듈
KR101292182B1 (ko) Ac 개폐모듈
JP5259941B2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100781131B1 (ko) 과전류/단락 계전기를 겸한 전자식무접점릴레이
KR20090097038A (ko) 전자접촉기의 코일 구동회로
KR101782723B1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래치형 전자접촉기 회로 시스템 및 구동방법
CN201340826Y (zh) 带选择性的断路器
KR20180080888A (ko) 3상전원 부족전압 트립장치
JPH11289657A (ja) 突入電流抑止装置
KR20180134979A (ko) 차단기
TWI651607B (zh) 電壓控制之裝置及方法
JP3110462U (ja) 直流電源自動検出装置
KR20170135265A (ko) 과전류/과전압 보호 기능을 구비한 직류-직류 컨버터
JP5959010B2 (ja) 過電流検出装置
JPS6331418A (ja) 回路しや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