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154B1 -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2154B1 KR101292154B1 KR1020120017550A KR20120017550A KR101292154B1 KR 101292154 B1 KR101292154 B1 KR 101292154B1 KR 1020120017550 A KR1020120017550 A KR 1020120017550A KR 20120017550 A KR20120017550 A KR 20120017550A KR 101292154 B1 KR101292154 B1 KR 101292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card
- coupled
- moving rod
- unit
- moun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15—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manual gripping too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회로카드 인출장치는, 홈을 구비하는 제1 바디와, 사용자가 파지시 상기 홈으로 적어도 일부가 후퇴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이동 로드 및 파지시 상기 제2 바디의 후퇴 동작과 연동하여 회로카드에 일단이 결합되는 집게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에 장착된 회로카드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더와 같은 탐색장비에 쓰이는 다수의 회로카드들은 후방에 배치된 마더보드(mother board)의 커넥터에 병렬로 정렬되어 연결된다. 즉, 후면에 다수의 커넥터들을 배치하고, 회로카드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커넥터에 체결되고, 커넥터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하우징이 구비되며, 이러한 하우징에 다수개의 회로카드들이 삽입되어 회로카드 조립체를 이룬다.
이러한 하우징에 각 회로카드는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인출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나, 일반적으로, 커넥터에는 다수의 핀이 형성되어 커넥터에 결합된 회로카드를 분리시키는데 많은 힘이 필요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된 회로카드의 전면부에는 일반적으로 회로카드를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가 없으며, 식별을 위한 명판 블록 등이 형성되어 있을 뿐이다.
때문에, 사용자는 이러한 명판 블록 등을 손가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회로카드를 인출하였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커넥터와 회로카드의 결합력으로 인하여 회로카드를 인출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특히, 작은 명판 블록 등은 손가락을 걸어 인출방향으로 구속력을 주기 힘들며, 인출에 필요한 충분한 인력을 가하기에도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회로카드를 인출할 수 있는 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파지(把持) 동작만으로 보다 용이하게 회로카드를 커넥터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회로카드 인출장치는, 홈을 구비하는 제1 바디와, 사용자가 파지시 상기 홈으로 적어도 일부가 후퇴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이동 로드 및 파지시 상기 제2 바디의 후퇴 동작과 연동하여 회로카드에 일단이 결합되는 집게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로드와 상기 집게 유닛은 상기 제2 바디의 양단에 근접하여 각각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로드는, 상기 제2 바디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바디를 구속하는 단턱부 및 중앙 영역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집게 유닛은, 상기 회로카드의 걸림 블록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슬롯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걸림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마주보는 상기 집게 유닛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수용부 및 상기 거치부와 상기 수용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파지 해제시 상기 제2 바디를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형성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일측면이 개구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병렬로 수납되는 회로카드들과, 상기 회로카드를 인출하도록 상기 회로카드에 결합되는 회로카드 인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카드 인출장치는, 파지된 상태에서 서로 대면하여 근접하게 배치되고, 파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대면하는 부분이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이동 로드 및 파지 상태 또는 파지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의 전진 또는 후퇴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회로카드에 일단이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집게 유닛을 포함하는 회로카드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는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와 마주보는 상기 집게 유닛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수용부 및 상기 거치부와 상기 수용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파지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를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형성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는, 사용자의 파지(把持) 동작에 연동하여, 회로카드 전면에 형성된 걸림블록에 걸리는 집게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적은 힘으로 회로카드를 커넥터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카드 인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카드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제1 바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이동 로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이동 로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집게 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9는 회로카드 인출 장치와 회로카드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는 회로카드 인출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카드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제1 바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이동 로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이동 로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집게 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9는 회로카드 인출 장치와 회로카드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는 회로카드 인출장치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카드 인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카드 인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발명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로카드 인출장치(100)는 사용자가 파지(把持)하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이동 로드(120)와, 상기 사용자의 파지(把持) 동작에 연동하여 후퇴 이동하는 제2 바디(130)와, 상기 제2 바디(130)의 후퇴 이동에 연동하여 회로카드를 인출방향으로 구속하는 한쌍의 집게 유닛(140)와, 상기 집게 유닛(14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체(1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지 상태에서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30)는 서로 근접하며, 파지 해제 상태에서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30)는 서로 대면하는 면이 이격된다.
탄성체(150)는 집게 유닛(140)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30)를 이격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카드 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로카드 조립체의 구성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회로카드 인출장치(100)는 하우징(H)에 병렬로 정렬되어 커넥터(미도시)에 연결된 회로카드(200)를 인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로카드 인출장치(100)는 휴대가 가능한 것으로, 인출이 필요한 회로카드(200) 전방에 대향시켜 사용한다.
한편, 회로카드 인출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회로카드(200)의 전면에는 걸림블록(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블록(210)은 회로카드(200)의 전면의 상하방향에 각각 이격되어 한쌍으로 결합되고, 후술될 회로카드 인출장치(100)의 집게 유닛(140)에 용이하게 걸리도록 그 형상이 결정된다.
이러한 걸림블록(210)의 형상 및 결합 위치는 회로카드 인출장치(100)의 집게 유닛(140)에 대응하며, 걸림블록(210)의 전면부는 명판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제1 바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제1 바디(11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1 바디(110)는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파지(把持)하는 곳으로, 도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에 결합된 회로카드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면(111)이 형성된다. 이 개방면(111)을 통해 후술될 제2 바디(130) 및 집게 유닛(140)등이 구비된다.
또한, 도 1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면(111)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2 바디(130)가 개방면(111) 밖으로 돌출 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제1 바디(110)를 잡은 상태에서 보다 편리하게 제2 바디(130)를 파지(把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 바디(110)는 회로카드(200)의 높이 및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편의 사용에 유리하며, 휴대성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고강도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동 로드(12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동 로드(120)는 전술한 제1 바디(110) 내부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제2 바디(130)의 직선이동 가이드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이동 로드(120)는 제1 바디(110)의 내부 상하에 각각 이격되어 한쌍이 결합하며, 회로카드와 대향하도록 수평하게 형성된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이동 로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이동 로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로드(120)는 단면이 둥근 봉재 형상으로 구성되며, 중앙 영역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슬롯(121)이 구비된다. 이 슬롯(121)에는 집게 유닛(140)의 연장부(141)가 삽입되어 거치되며, 연장부(141)가 슬롯(121)의 측벽(121a)에 걸림으로써, 집게 유닛(140)의 회동이 제한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동 로드(120)의 단부에는 단턱부(122)가 형성된다. 단턱부(122)는 제2 바디(130)가 탄성체(150)의 전진 이동력에 의해, 이동 로드(120)를 벗어나서 전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제2 바디(13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2 바디(130)는 전술한 제1 바디(110)내부에 형성된 홈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 로드(120)가 제2 바디(13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2 바디(130)는 한쌍의 이동 로드(120)에 끼워져 이동 로드(120)를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바디(130)는 사용자의 파지(把持) 동작에 대응하여 전진 또는 후퇴 이동할 수 있다.
제2 바디(130)는 이동 로드(120)가 관통하는 홀과 후술하는 집게 유닛(140)이 관통하는 홀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디(130)의 후방(도 1의 좌측방향)은 제1 바디(110) 내부에 포함되어 있으며, 전방(도 1의 우측방향)은 제1 바디(110) 밖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2 바디(130)의 전방을 누름으로써, 제2 바디(130)가 이동 로드(120)를 따라 후퇴하게 된다.
다음으로, 집게 유닛(140) 및 탄성체(15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한쌍의 집게 유닛(140)는 전술한 제2 바디(130)의 후퇴 이동에 연동하여 각각 상호 모아지도록 회동함으로써, 회로카드(200)의 상.하 걸림블록(210)에 각각 걸려, 회로카드(200)의 인출방향으로 구속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집게 유닛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작동 상태도 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 유닛(140)는 전방 단부에 하향하여 절곡 형성된 걸림부(143)가 구비되고, 후방 단부는 상향하여 절곡 형성된 연장부(141)가 구비된다. 절곡되는 지점에는 축결합부가 형성되고, 축결합부는 제2 바디에 결합된다. 축결합부는 회전축의 일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탄성체(150)가 거치되는 수용부(142)가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용부(142)는 탄성체(150)가 회전축(C)과 이격되어 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축(C)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집게 유닛(140)는 제2 바디(130) 내부 상하에 각각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한쌍의 집게 유닛(140)의 걸림부(143)가 상하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며, 제2 바디(130)가 후퇴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집게 유닛(140)도 후퇴 이동하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150)는 일단이 집게 유닛(140)의 수용부(142)에 거치되며, 타단은 제1 바디(110) 내부의 거치부(112)에 거치된다. 이러한 탄성체(150)는 집게 유닛(140)에 전진 이동력을 부여하고, 동시에 집게 유닛(140)와 결합된 제2 바디(130)에도 도 7의 우측방향으로 전진 하도록 이동력을 부여한다.
이때, 집게 유닛(140)의 회전축(C)과 탄성체(150)에 의한 전진 이동력이 편심되게 위치하기 때문에, 시계방향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집게 유닛(140)를 회동시킬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예(100)의 상부에 위치한 집게 유닛(140)를 표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100)의 하부에 위치한 집게 유닛(140)의 경우,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여 집게 유닛(140)를 회동시킬 것이다.
즉, 탄성체(150)는 제2 바디(130)를 전진 이동시킴과 동시에, 한쌍의 집게 유닛(140)가 모아지도록 한다.
도 7과 같은 상태는 사용자가 제2 바디(130)를 파지(把持)하지 않은 상태로, 탄성체(150)에 기인한 집게 유닛(140)의 회동은 집게 유닛(140)의 연장부(141)가 슬롯(121)의 측벽(121a)에 걸림으로써 제한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 바디(130)를 파지(把持)하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 유닛(140) 자체가 후퇴 이동하면서 탄성체(150)를 압축하고, 회전축(C)을 중심으로 집게 유닛(1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슬롯(121)의 측벽(121a)과 연장부(141)의 접촉에 여유가 생긴다.
집게 유닛(140)가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집게 유닛(140)의 걸림부(143)가 하향하며, 본 실시예(100)의 하부에 위치한 집게 유닛(140)의 경우, 집게 유닛(140)의 걸림부(143)가 상향할 것이다.
이러한 집게 유닛(140)의 움직임으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把持)하여 제2 바디(130)를 누르면, 한쌍의 집게 유닛(140)는 한쌍의 걸림블록(210)에 걸리게 각각 걸려 회로카드(200)의 인출방향으로 구속력을 부여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 바디(110)를 잡아 당기면, 회로카드(20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 제1 바디 111 : 개방면
112 : 거치부 120 : 이동 로드
121 : 슬롯 122 : 단턱부
130 : 제2 바디 140 : 집게 유닛
141 : 연장부 142 : 수용부
143 : 걸림부 150 : 탄성체
112 : 거치부 120 : 이동 로드
121 : 슬롯 122 : 단턱부
130 : 제2 바디 140 : 집게 유닛
141 : 연장부 142 : 수용부
143 : 걸림부 150 : 탄성체
Claims (7)
- 홈을 구비하는 제1 바디;
사용자가 파지시 상기 홈으로 적어도 일부가 후퇴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결합되는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이동 로드; 및
파지시 상기 제2 바디의 후퇴 동작과 연동하여 회로카드에 일단이 결합되는 집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로드는,
상기 제2 바디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바디를 구속하는 단턱부; 및
중앙 영역에 형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카드 인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로드와 상기 집게 유닛은 상기 제2 바디의 양단에 근접하여 각각 한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카드 인출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유닛은,
상기 회로카드의 걸림 블록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
상기 슬롯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걸림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에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카드 인출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마주보는 상기 집게 유닛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수용부; 및
상기 거치부와 상기 수용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파지 해제시 상기 제2 바디를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형성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카드 인출장치. - 일측면이 개구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병렬로 수납되는 회로카드들;
상기 회로카드를 인출하도록 상기 회로카드에 결합되는 회로카드 인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카드 인출장치는,
파지된 상태에서 서로 대면하여 근접하게 배치되고, 파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대면하는 부분이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바디와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1 바디에서 상기 제2 바디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이동 로드;
파지 상태 또는 파지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의 전진 또는 후퇴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회로카드에 일단이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집게 유닛;
상기 제1 바디에서 돌출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와 마주보는 상기 집게 유닛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수용부; 및
상기 거치부와 상기 수용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파지 해제 상태에서 상기 제2 바디를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형성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카드 조립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7550A KR101292154B1 (ko) | 2012-02-21 | 2012-02-21 |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7550A KR101292154B1 (ko) | 2012-02-21 | 2012-02-21 |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2154B1 true KR101292154B1 (ko) | 2013-08-09 |
Family
ID=4921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7550A KR101292154B1 (ko) | 2012-02-21 | 2012-02-21 |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215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9223B1 (ko) * | 2016-07-08 | 2017-02-22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회로카드용 결합해제 장치 |
KR20240010259A (ko) | 2022-07-15 | 2024-01-23 | 이재현 | 항공 전자장비 다중 진단분석 시험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2989A (ja) * | 1991-09-20 | 1993-04-02 | Nec Corp | 回路基板の着脱機構 |
JP2001038545A (ja) | 1999-07-28 | 2001-02-13 | Sony Corp | ボード抜き差し治具 |
KR100471013B1 (ko) | 2001-05-21 | 2005-03-08 | 닛폰 덴키 가부시끼 가이샤 | 인쇄회로 기판용 삽입/인출 지그 |
JP2010147050A (ja) | 2008-12-16 | 2010-07-01 | Nec Corp | 部材着脱用器具 |
-
2012
- 2012-02-21 KR KR1020120017550A patent/KR1012921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2989A (ja) * | 1991-09-20 | 1993-04-02 | Nec Corp | 回路基板の着脱機構 |
JP2001038545A (ja) | 1999-07-28 | 2001-02-13 | Sony Corp | ボード抜き差し治具 |
KR100471013B1 (ko) | 2001-05-21 | 2005-03-08 | 닛폰 덴키 가부시끼 가이샤 | 인쇄회로 기판용 삽입/인출 지그 |
JP2010147050A (ja) | 2008-12-16 | 2010-07-01 | Nec Corp | 部材着脱用器具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9223B1 (ko) * | 2016-07-08 | 2017-02-22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회로카드용 결합해제 장치 |
KR20240010259A (ko) | 2022-07-15 | 2024-01-23 | 이재현 | 항공 전자장비 다중 진단분석 시험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5942B1 (ko) |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 |
KR101292154B1 (ko) | 회로카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회로카드 조립체 | |
FR2457154B1 (ko) | ||
WO2009150649A1 (en) | Push-to-insert, push-to-eject and pull-to-extract card connector | |
CN206524414U (zh) | 一种可限位的接线端子 | |
CN104779478B (zh) | 电子卡连接器 | |
CN105739640B (zh) | 电子装置及数据存储器固定装置与面板 | |
CN109288588A (zh) | 手术机器人机械臂的解锁机构 | |
CN203388888U (zh) | 活检装置 | |
CN211409195U (zh) | 一种牵开固定器 | |
KR101564766B1 (ko) | 낚시용 물고기 집게 | |
CN113932840B (zh) | 一种用于信息技术的数据检测装置 | |
CN214758513U (zh) | 一种小鼠实验活物逮捕辅助装置 | |
US4377906A (en) | Tool for inserting and extracting printed circuit cards | |
CN209996447U (zh) | 用于腔镜手术的标本取出套件 | |
CN215937565U (zh) | 一种可伸缩的可视化胆道取石钳 | |
CN208601726U (zh) | 一种采矿用切石装置 | |
CN216433911U (zh) | 一种用于矿石成分分析的便携式拉曼光谱仪 | |
CN109276279A (zh) | 戳卡连接状态的检测装置 | |
CN214633927U (zh) | 一种多功能游戏手柄 | |
CN113632745B (zh) | 一种实验鼠耳标钳 | |
CN109124740A (zh) | 乳腺机及其穿刺装置 | |
CN216527264U (zh) | 一种手持指纹排查装置 | |
SU438149A1 (ru) | Ручка-съемник | |
CN109039470B (zh) | 一种量子接收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