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239B1 - 식재용 경계블록 - Google Patents

식재용 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239B1
KR101291239B1 KR1020120089337A KR20120089337A KR101291239B1 KR 101291239 B1 KR101291239 B1 KR 101291239B1 KR 1020120089337 A KR1020120089337 A KR 1020120089337A KR 20120089337 A KR20120089337 A KR 20120089337A KR 101291239 B1 KR101291239 B1 KR 10129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nting
delete delete
boundary blo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서현
Original Assignee
현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수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2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식물이나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제1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결합구가 형성된 본체; 내부에 제2 식재공간이 형성된 식생대; 및 상기 결합구에 끼워 설치하는 방호 펜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와 식생대를 통해 구획되는 두 개의 식재공간에 다른 종류의 화초나 식물을 간편하게 구분해서 식재할 수 있는 식재용 경계 블록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식재용 경계블록{Boundary block for planting}
본 발명은 차도와 인도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식물이나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용 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보행자와 주행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면서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초기에는 차도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경계석이나 가드레일이 제공되었으나, 최근에는 이들을 대체하여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면서 각종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용 경계블록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식재용 경계블록의 종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 측에 설치하되, 내부에 식물이나 화초를 심을 수 있도록 식재공간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차도 측 본체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고로 인해 차량이 인도로 돌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 펜스(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식재용 경계블록은 다음과 같은 여러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래 식재용 경계블록은 보통 본체에 하나의 식재공간만 제공되므로 다양한 식물이나 화초를 식재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하고 있으며, 식재공간을 구획한다 해도 변형이나 선택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식재용 경계블록은 시공시 터다지기 과정에서 수평을 맞추지 않을 경우 식재용 경계블록이 기울게 되고, 이렇게 기운 식재용 경계블록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서는 임의로 흙을 채워 넣거나 작은 돌을 쌓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식재용 경계블록은 방호 돌기가 본체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거나 방호 펜스의 포스트가 본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분리 교체가 어렵고, 그로 인해 방호 돌기나 방호 펜스이 파손된 경우 식재용 경계블록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종류가 다른 둘 이상의 식물이나 화초를 선택적으로 식재할 수 있도록 공간을 구획 설치하는 한편, 구획된 공간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식재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시 수평 조절이 간편하고 안정적인 식재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호 펜스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식재용 경계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재용 경계블록은 전후좌우면이 닫힌 상태로 내부에 제1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요입된 결합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식재공간 내부에 수용되어 안착하도록 하되, 전후좌우면이 닫힌 상태로 내부에 제2 식재공간이 형성된 식생대; 및 상기 본체의 결합구에 끼워 설치하도록 형성된 방호 펜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전후 방향으로 연결설치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구; 및 상기 연결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좌우면 사이를 연결하여 그 상단에 상기 식생대가 안착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식재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분리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좌우면에는 슬롯 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대는 상기 슬롯 홈에 끼워져 안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분리대의 상단에는 상기 식생대의 좌우 위치를 고정하면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착 홈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전후면은 상기 식생대가 안착된 분리대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네 모서리부분에 높이와 수평을 맞추도록 형성된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네 모서리부분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부와 하부 지름이 넓게 형성된 조절구; 상기 조절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단이 지름이 좁은 조절구의 하단부에 걸려 본체를 받치도록 형성된 받침 너트; 및 상기 받침 너트에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조절구를 관통하여 설치하되, 상단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조절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조절볼트 하단에 형성되는 캡; 상기 캡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캡과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생대는 하단에 상기 분리대가 끼워져 전후 위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 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호 펜스는 상기 결합구에 끼워져 수직으로 세우도록 형성된 한 쌍의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가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호 펜스는 상기 포스트 하단에 결합되는 완충 패드; 및 상기 포스트의 외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도록 하되, 외면에 톱니 형태의 걸림 리브가 형성된 결합 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식재용 경계블록에 의하면 본체 위에 식생대를 올려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와 식생대를 통해 구획되는 제1,2 식재공간에 다른 종류의 화초나 식물을 간편하게 구분해서 식재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식생대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식재용 경계블록에 의하면 네 모서리에 높이조절을 위한 조절수단을 통해 수평 조절이 간편하고 안정됨으로써, 시공이 설치가 더욱 편리해지고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식재용 경계블록에 의하면 방호 펜스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해짐으로써, 파손된 방호 펜스의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식재용 경계블록을 도시한 시공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식재용 경계블록을 도시한 시공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식재용 경계블록을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식재용 경계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식재용 경계블록의 높이조절다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식재용 경계블록의 높이조절다리를 도시한 요부 절개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식재용 경계블록의 본체 연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식재용 경계블록의 식생대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식재용 경계블록의 방호 펜스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식재용 경계블록은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 식재공간(110)이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 결합구(120)가 형성된 본체(100), 내부에 제2 식재공간(210)이 형성된 식생대(200) 및 상기 결합구에 끼워 설치하는 방호 펜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면이 닫힌 상태로 내부에 제1 식재공간(110)이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요입된 결합구(1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콘크리트로 양생되면서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결합구(120)는 차도측에 위치하는 일측 상단에 전후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결설치하도록 전후면을 관통하는 연결구(130)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13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너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재용 경계블록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를 전후로 연결하면서 연결된 본체(100)가 서로 어긋나거나 밀려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면 사이를 연결하여 그 상단에 상기 식생대(200)가 안착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식재공간(110)을 전후로 구획하는 분리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리대(150)는 전후로 하나 이상 형성하되, 상기 본체(100)의 좌우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좌우면에는 슬롯 홈(160)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대(150)는 상기 슬롯 홈(160)에 끼워져 안착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대(150)의 상단에는 상기 식생대(200)의 좌우 위치를 고정하면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착 홈(17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대(150) 위에 안착된 상기 식생대(200)는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의 전후면은 상기 식생대(200)가 안착된 분리대(15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식재공간 내부뿐만 아니라, 전후로 연결되는 본체(100) 사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0)는 네 모서리부분에 높이와 수평을 맞추도록 형성된 조절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조절수단(180)은 터다지기한 지반의 수평이 맞지 않은 경우 전후로 연결되는 본체의 높이와 수평을 간편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조절수단(180)은 실시 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네 모서리부분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부와 하부 지름이 넓은 조절구(181)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구(181)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상단이 지름이 좁은 조절구(181)의 하단부에 걸려 본체(100)를 받치도록 하는 받침 너트(182) 및 상기 받침 너트(182)에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조절구(181)를 관통하여 설치하되, 상단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조절 볼트(18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 볼트(183)의 머리를 스패너 등의 공구로 돌리면 상기 받침 너트(182)로부터 상하로 이동하면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 너트(182)는 본체(100)의 하중이 실리기 때문에 상기 조절 볼트(183)를 돌리더라도 받침 너트(182)는 쉽게 회전하기 않으므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83) 하단에 형성되는 캡(184)와 상기 캡(184)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판(185) 및 상기 캡(184)과 지지판(185)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18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받침 너트(182)가 본체(100)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판(185)이 지반에 밀착된 상태에서 조절 볼트(183)를 회전시키면 조절볼트(183)의 하단에 형성된 캡(184)과 지지판(185) 사이에 베어링(18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 볼트(183)를 더욱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생대(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제1 식재공간(110) 내부에 수용되어 안착하도록 하면서, 전후좌우면이 닫힌 상태로 내부에 제2 식재공간(2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식생대(200)는 콘크리트로 양생되면서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식생대(200)는 상단의 높이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단보다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생대(2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상기 분리대(150)가 끼워지도록 고정 홈(220)을 형성함으로써, 전후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방호 펜스(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결합구(120)에 끼워 설치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차도 측에 설치하여 차량이 사고나 운전 부주의로 인해 인도로 돌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호 펜스(300)는 실시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120)에 끼워져 수직으로 세우도록 형성된 한 쌍의 포스트(310) 및 상기 포스트(310)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가드레일(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호 펜스(300)가 파손될 경우 상기 포스트(310)를 결합구(12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방호 펜스(300)의 포스트(310)가 상기 결합구(120)에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포스트(310) 하단에는 완충 패드(330)를 결합하고, 상기 포스트(310)의 외면에는 톱니 형태의 걸림 리브가 형성된 결합 링(340)을 결합하여 상기 결합구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100) 위에 식생대(200)를 올려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와 식생대(200)를 통해 구획되는 제1,2 식재공간(110, 210)에 다른 종류의 화초나 식물을 간편하게 구분해서 식재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식생대(20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네 모서리부분에 높이조절을 위한 조절수단을 통해 수평 조절이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이 설치가 더욱 편리해지고 안정적이다.
또한, 상기 방호 펜스(300)의 설치 및 교체가 간편해짐으로써, 파손된 방호 펜스의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00: 본체 110: 제1 식재공간
120: 결합구 130: 연결구
140: 볼트/너트 150: 분리대
160: 슬롯 홈 170: 안착 홈
180: 조절수단 181: 조절구
182: 받침 너트 183: 조절 볼트
184: 캡 185: 지지판
186: 베어링
200: 식생대 210: 제2 식재공간
220: 고정 홈
300: 방호 펜스 310: 포스트
320: 가드레일 330: 완충 패드
340: 걸림 링

Claims (12)

  1. 전후좌우면이 닫힌 상태로 내부에 제1 식재공간(110)이 형성되고, 일측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요입된 결합구(120)가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결합구(120)에 끼워 설치하도록 형성된 방호 펜스(300)와; 상기 본체(100)의 네 모서리부분에 높이와 수평을 맞추도록 형성된 조절수단(180);을 더 포함하는 식제용 경계블록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제1 식재공간(110) 내부에 수용되어 안착하도록 하되, 전후좌우면이 닫힌 상태로 내부에 제2 식재공간(210)이 형성된 식생대(200);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본체(100)의 좌우면 사이를 연결하여 그 상단에 상기 식생대(200)가 안착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식재공간(110)을 전후로 구획하는 분리대(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의 좌우면에 슬롯 홈(160)을 형성하여 상기 분리대(150)가 상기 슬롯 홈(160)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분리대(150)의 상단에 상기 식생대(200)의 좌우 위치를 고정하면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착 홈(170)을 마련하며,
    상기 조절수단(180)을 상기 본체(100)의 네 모서리부분을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부와 하부 지름이 넓게 형성된 조절구(181)와; 상기 조절구(181)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단이 지름이 좁은 조절구(181)의 하단부에 걸려 본체(100)를 받치도록 형성된 받침 너트(182); 및 상기 받침 너트(182)에 체결되는 상태로 상기 조절구(181)를 관통하여 설치하되, 상단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지지부가 형성된 조절 볼트(183);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지지부는, 조절 볼트(183)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캡(184); 상기 캡(184)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지판(185); 및 상기 캡(184)과 지지판(185)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186);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용 경계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89337A 2012-08-16 2012-08-16 식재용 경계블록 KR10129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337A KR101291239B1 (ko) 2012-08-16 2012-08-16 식재용 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337A KR101291239B1 (ko) 2012-08-16 2012-08-16 식재용 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239B1 true KR101291239B1 (ko) 2013-07-29

Family

ID=4899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337A KR101291239B1 (ko) 2012-08-16 2012-08-16 식재용 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2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375B1 (ko) * 2005-04-18 2005-07-26 황주연 조립식 보차도 경계블럭
KR20090024973A (ko) * 2007-09-05 2009-03-10 김형욱 도로 경계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375B1 (ko) * 2005-04-18 2005-07-26 황주연 조립식 보차도 경계블럭
KR20090024973A (ko) * 2007-09-05 2009-03-10 김형욱 도로 경계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188652B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유닛 및 그 장치
KR101291239B1 (ko) 식재용 경계블록
KR100907303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구조
RU2629266C2 (ru) Сборное дорожное заграждение, устанавливаемое поверх системы подпорной стенки
KR101203083B1 (ko) 조립식 펜스
KR20190042153A (ko) 차도 및 보도를 위한 블럭격자틀
KR1014758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펜스 지주
CN209457151U (zh) 集装箱房屋
KR102280517B1 (ko) 규제봉
KR20120026710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난간
KR100629163B1 (ko) 식물 식생이 용이한 가로수 및 전주 보호대
KR200313921Y1 (ko) 잔디보호 블록
KR101129586B1 (ko) 조립형 가로수 보호장치
KR101697191B1 (ko) 레벨링 조절이 용이한 수목 보호판 받침틀
KR102414111B1 (ko) 조립식 파크렛
KR102036903B1 (ko) 지지력이 좋은 토사유출 방지구
KR102417875B1 (ko) 자동 급수조절 기능이 있는 화단을 구비하는 가로휀스
KR102500334B1 (ko) 미세먼지저감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판조립체
KR20040069913A (ko) 잔디보호 블록
KR102377509B1 (ko) 높이조절 플라스틱맨홀 인상용 함체
CN219690556U (zh) 一种防止市政边坡倒塌用加固结构
KR20090035142A (ko) 잔디보호 블록
KR20130010631A (ko) 직선 및 곡선 설치가 가능한 경계석
CN211395232U (zh) 新型公路工程路肩修筑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