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231B1 -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 Google Patents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1231B1 KR101291231B1 KR1020120063923A KR20120063923A KR101291231B1 KR 101291231 B1 KR101291231 B1 KR 101291231B1 KR 1020120063923 A KR1020120063923 A KR 1020120063923A KR 20120063923 A KR20120063923 A KR 20120063923A KR 101291231 B1 KR101291231 B1 KR 1012912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spring
- nut
- spiral coil
- bolt
- upstrea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0369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15 non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locknu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2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means of steel wire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애자류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삽입된 풀림방지너트의 비나사가공부에 코일스프링이 고정수단에 의해 확경된 상태가 유지되게 내장되었다가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고정수단이 해제되어 코일스프링이 축경되어 너트와 체결된 볼트의 나선부와 접촉하게 하는 구조를 풀림방지너트에 제공함으로써, 지지애자류에 결합되는 결합대상물[비전도체(외함) 또는 전도체(전력모선, 분기모선, 외함내부 취부 기자재)]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와 풀림방지너트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와 풀림방지너트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풀림방지너트를 푸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한 손만으로 볼트와 풀림방지너트를 서로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고소작업시에 그리고 협소작업시에 작업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작업으로 취급하게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상태에서 볼트에 체결될 수 있고, 체결이 확정된 후에 의도적으로 신뢰성을 가지고서 풀림이 가능하지 않은 조임 상태로 만들 수 있고, 볼트에 의해 결합된 대상물의 해체 시에 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볼트로부터 체결해제될 수 있는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에 관한 것이다.
풀림방지너트가 볼트로부터 풀림이 방지되지 위해서는 볼트와 너트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개재한 방안들과, 조임시에 나사선의 국소부를 파손시키는 방안과, 볼트의 나사선 일부와 너트의 나사선 국소부 사이에 삽입물을 개재하는 방안이 있다.
나사선의 일부를 파손시키는 방안과 삽입물을 개재하는 방안은 국소부에서만 풀림방향의 스톱퍼부 역활을 하게 되어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상기 스톱퍼부가 파괴되면 용이하게 너트가 볼트에 대해서 풀리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송전선이나 전기기기의 나선(裸線) 부분을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연체인 지지애자류 등의 고정장치에 적용될 수가 없다.
하지만 코일스프링을 개재한 방안은 너트에 고정된 상기 코일스프링의 전체 내주면이 조임상태로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 안정성이 최우선되는 지지애자류 등의 고정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볼트와 너트 사이에 나선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종래의 풀림방지너트는 한국등록특허 제10-701782호 및 제10-70164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풀림방지너트는 체결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너트의 내주면에 볼트와 체결되는 나사가공부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나사가공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서 나선 코일 스프링이 일정 간격을 두고서 내접되게 되는 비나사가공부를 체결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림방지너트의 상기 비나사가공부는 상기 비나사가공부에 내접된 나선 코일 스프링이 상기 풀림방지너트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방향에서의 상류단 단차부와 하류단 단차부를 축경시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있어서, 볼트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노출된 하류단 단차부의 면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단에서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하류절곡부에 삽입고정되게 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은 상기 비나사가공부에 내접되어 상기 상류단 단차부에서 볼트의 중심축선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은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체결될 수 있는 내주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풀림방지너트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볼트를 상기 풀림방지너트에 삽입하여 조임방향으로 돌리면, 먼저 상기 나사가공부와 체결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볼트를 조임방향으로 계속 돌리게 되면, 볼트의 나선부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서로 체결되면서,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면접촉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을 조임방향으로 비틀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상기 요부에 고정된 관계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확경되게 되어, 상기 볼트의 나선부의 선단이 원활하게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을 관통하게 되며, 그리고 상기 볼트의 조임방향으로의 돌림을 멈추게 되면, 상기 확경된 나선 코일 스프링이 축경되어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탄성적으로 외접되어 체결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탄성적으로 상기 볼트의 나선부를 조이고 있어서, 어떠한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풀림방지너트가 상기 볼트에서 풀어지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풀림방지너트는, 예를 들면 유지보수를 위해 너트를 볼트에서 풀어야 할 경우에 상기 너트를 비조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상기 요부에 고정된 관계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축경되게 되어 상기 너트를 비조임방향으로 돌리는 것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풀림방지너트를 큰 힘으로 비조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절단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과 분리되게 되며, 상기 하류절곡부가 떨어져 나간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은 아무리 너트를 비조임 방향으로 돌려도 상기 비나사가공부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잔류하게 되어 결국, 축경되어 상기 볼트의 나선부와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풀림방지너트를 파손시키지 않고서는 상기 풀림방지너트는 볼트로부터 풀려 질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부를 상기 하류단부와 같이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하여 상류절곡부로 만들고, 상기 상류절곡부에 마주하는 비나사가공부에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류절곡부가 상기 장공 내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풀림방지너트를 비조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상기 요부에 고정된 관계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축경되면서 상기 상류절곡부가 상기 비나사가공부의 내주면을 따라 비조임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장공의 측벽에 걸음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확경되게 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제안은 상기 상류절곡부가 상기 비나사가공부의 내주면을 따라 비조임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장공의 측벽에 걸음될 시에, 결국,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양단이 상류절곡부와 하류절곡부 모두 고정되어 있어서, 상류절곡부측은 확경될 수 있지만, 하류절곡부 측은 여전히 축경되어 있어서, 풀림방지너트를 볼트에서 풀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 측만을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을 크게 하여, 풀림방지너트가 비조임 방향으로 돌려질 시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이 축경되어서 볼트의 나선부를 조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지제안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상류단 측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다른 부위보다 직경이 큰 관계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다른 부위가 결국 비나사가공부에서 종래보다 많이 방사상 안쪽으로 이격되게 되어, 풀림방지너트의 전체적인 크기를 종래보다 비대하게 하여 재료비를 증가시켜, 제조단가를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며,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굵기를 얇게 하면 그 만큼 탄성적으로 볼트의 나선부를 조이는 힘이 종래보다 작아져 신뢰성 있는 풀림방지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풀림방지너트의 조임시에 확경되었다가 축경되고, 그리고 풀림방지너트의 체결해제시에 확경되었가 축경되어 이를 반복하게 되면, 기계적 안정성이 최우선되는 지지애자류 등의 고정장치에 적용되게 될 때, 안전사고(열화에 의한 화재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풀림방지너트가 본 출원인에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10-2012-0006449호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에 제안된 풀림방지너트는 너트의 조임시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의 하류절곡부가 걸음지점이 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확경되게 하고, 너트의 조임해제시에 하류절곡부가 걸음지점이 해제되면서 상류절곡부가 걸음지점이 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이 전체적으로 확경되게 되는 구성을 가지고서, 탄성적인 조임력을 해치지 않고서도, 너트의 조임을 용이하게 하면서,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조임 해제되지 않게 하고, 의도적인 외력에 의해서만 너트가 용이하게 조임 해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작용을 제조단가를 증대시킴 없이 가능하게 하고, 너트를 일회용으로 만들어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결합대상물을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시킬 때에는 결합대상물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와 너트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와 너트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수많은 풀림방지너트를 사용하지도 못하고 버려야만 하여서 자원낭비가 심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너트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공구에 의해 코일 스프링의 상류절곡부를 가압하여 코일스프링을 확경시키는 방안이 제안될 수 있지만, 작업자로 하여금 한 손으로 상기 공구를 잡고서 상기 상류절곡부를 가압함과 동시에 다른 한 손으로 볼트나 너트를 체결하여야 하는 작업환경을 요구하여 고소작업시에 작업자에게 위험하고 성가신 작업으로 취급된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지지애자류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삽입된 풀림방지너트의 비나사가공부에 코일스프링이 고정수단에 의해 확경된 상태가 유지되게 내장되었다가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수동으로 고정수단이 해제되어 코일스프링이 축경되어 너트와 체결된 볼트의 나선부와 접촉하게 하는 구조를 풀림방지너트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지지애자류에 결합되는 결합대상물[비전도체(외함) 또는 전도체(전력모선, 분기모선, 외함내부 취부 기자재)]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와 풀림방지너트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와 풀림방지너트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풀림방지너트를 푸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한 손만으로 볼트와 풀림방지너트를 서로 체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고소작업시에 그리고 협소작업시에 작업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작업으로 취급하게 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나선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조임상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나선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조임해제상태의 개념도,
도 3은 도 1의 나선 코일 스프링이 지지애자류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삽입된 너트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나선 코일 스프링이 너트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스톱퍼핀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및
도 7은 변경 실시예의 나선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나선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조임해제상태의 개념도,
도 3은 도 1의 나선 코일 스프링이 지지애자류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삽입된 너트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나선 코일 스프링이 너트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스톱퍼핀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사시도, 및
도 7은 변경 실시예의 나선 코일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풀림방지 너트(100)가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삽입고정된 지지애자류가 부호 1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풀림방지너트(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애자류(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하류단 절곡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은 상기 하류단 절곡부(11)와 직경방향에서 마주하는 곳 위치되어 있다.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볼트(50)의 나선부(51)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에서 하류단을 관통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다.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이후에 설명되는 너트(20)에 형성된 요부(21)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볼트(50)를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에 접촉시켜서 조임방향(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볼트(50)의 나선부(51)와 마찰적으로 접촉하여서, 확경되어 용이하게 볼트(50)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으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너트(20)에 형성된 요부(21)에 삽입고정되고 볼트(50)가 삽입관통된 상태에서 볼트(50)를 조임해제방향(도 2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볼트(50)의 나선부(51)와 마찰적으로 접촉하여서, 축경되어 용이하게 볼트(50)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너트(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50)와의 체결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너트의 내주면에 볼트(50)와 체결되는 나사가공부(22)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나사가공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내접되게 수용되는 비나사가공부(23)를 체결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20)의 상기 비나사가공부(23)는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 내접된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상기 너트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방향에서의 상류단 단차부(23a)와 하류단 단차부(23b)를 축경시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너트(20)에 있어서, 볼트(5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노출된 하류단 단차부(23b)의 면에는 요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2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에 고정적으로 삽입되게 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은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 내접되어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인접한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바로 위의 지지애자류의 벽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비나사가공부(23)로 관통된 관통구멍(1a)과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바로 위의 너트(20)의 벽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비나사가공부(23) 내부로 관통된 관통구멍(24a)을 통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뻗은 스톱퍼핀(24)이 구비되어 있다. 이 스톱퍼핀(24)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자유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보다 상기 볼트(50)의 조임방향으로 일정 간격 앞서 위치결정되어 있어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기 상류단(12)이 상기 스토퍼핀(24)에 걸음되어 있으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요부(2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확경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 스톱퍼핀(24)의 기단측에는 플랜지부(2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5)는 상기 스톱퍼핀(24)이 상기 관통구멍(24a)과 유통하여 지지애자류의 벽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a) 및 상기 관통구멍(24a)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비나사가공부(23)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스톱퍼핀(24)의 선단이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의 영역을 넘어 상기 볼트(50)의 나선부(51)의 진행방향에 장애를 주지 않게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위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풀림방지너트(100)를 구비한 지지애자류(1)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풀림방지너트(100)의 나사가공부(22)에 볼트(50)의 나선부(51)를 삽입하면서 볼트(50)를 조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50)의 나선부(51)가 상기 나사가공부(22)를 관통하면서 상기 나사가공부(22)와 체결되게 되고, 상기 볼트(50)를 조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볼트(50)의 나선부(51)가 상기 스톱퍼핀(24)에 의해 걸음되어 확경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에 장애를 받지 않고, 상기 볼트(50)의 나선부(51)가 용이하게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관통하게 되어, 상기 풀림방지너트(100)는 볼트(50)와 체결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결합대상물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50)와 풀림방지너트(100)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50)와 풀림방지너트(100)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면, 통상의 볼트와 너트와 같이 조임해제방향으로 볼트(50)를 돌려서 볼트(50)와 로트너트(100) 간의 체결을 해제한다.
그리고 재차 상기 볼트(50)와 풀림방지너트(100)를 체결하고 그 체결상태가 아무 이상이 없는 경우에, 작업자가 상기 스톱퍼핀(24)을 잡아 외부로 빼내어내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축경되면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볼트(50)의 풀림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볼트(50)의 나선부(51)의 골부에 안착되어 상기 나선부(51)를 방사방향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되어서, 어떠한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풀림방지너트(100)와 상기 볼트(50) 간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풀림방지너트(100)를 볼트(50)에서 풀어야 할 경우에는, 상기 풀림방지너트(100)를 파손시키지 않고서는 상기 풀림방지너트(100)와 볼트(50) 간의 체결을 해제할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상기 풀림방지너트(100)를 파손시켜야 한다.
상기와 같은 풀림방지너트(100)의 작용에 의해, 결합대상물(3)[비전도체(외함) 또는 전도체(전력모선, 분기모선, 외함내부 취부 기자재)]이 위치설정이 잘못되거나, 볼트와 풀림방지너트의 체결순서가 잘못되거나, 결합대상물에 이물이 유입되는 등의 경우에 체결된 볼트와 풀림방지너트를 풀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어도, 풀림방지너트를 푸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나선 코일스프링을 축경시키는 작업과 볼트와 풀림방지너트를 서로 체결하는 작업은 한 손만으로 가능하게 하여 고소작업시에 작업자에게 편안하고 안전한 작업으로 취급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변경 실시예로서, 상기 요부(21)에,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고정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 대신에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되게 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에 너트의 조임해제방향으로 외력이 부가되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요부(21)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인접한 상기 비나사가공부(23)의 내주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된 스톱퍼(2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톱퍼(27)는 상기 스톱퍼핀(24)에서 상기 볼트(50)의 조임해제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결정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27)는 일단이 상기 너트(20)에 붙어 있고 타단이 상기 너트의 안쪽을 돌출되게 너트(20)의 외부에서 펀치가공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부(21)를 구획형성하는 벽부들 중에서 상기 하류단 절곡부(11)의 내절곡부위와 마주하는 벽부의 모서리(21a)에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에 조임해제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예각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변경 실시예를 통하여, 풀림방지너트(100)를 구비한 지지애자류(1)는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너트(20)를 볼트(50)에서 풀어야 할 경우에는 상기 너트(20)나 볼트(50)를 비조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볼트(50)의 나선부(51)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과 마찰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비조임방향으로 가압하여 축경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에 일정 이상의 비조임방향 외력이 부가되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요부(21)에서 이탈되거나, 또는 상기 하류단 절곡부(11)의 절곡부위가 상기 요부(21)의 모서리(21a)에 집중적으로 가압을 받아 절단되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으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상류단(12)과 하류단(11)이 조임 및 조임해제방향에서 자유단이 되어 상기 너트(20)의 비나사가공부(23)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너트(2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너트(20)을 일정 각도 조임해제방향으로 더 선회시키면, 상기 스톱퍼(27)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스톱퍼(27)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을 가압하게 되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확경되어 상기 볼트(50)가 조임해제방향으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장애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너트(20)의 비나사가공부(23)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변형되어 상기 요부(21)에서 이탈되거나 절단되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재사용되지 못하고 버리게 되어, 재사용을 방지하여 한번 풀어진 풀림방지너트가 의도적으로 재사용되지 못하게 하여, 분리시에 변형되는 기존 풀림방지너트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열화에 의한 화재사고)에 대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변경 실시예의 설명에서, 스톱퍼(27)는 비나사가공부(23)의 내주면에서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또 다른 별도 실시예로서,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서 상기 하류단 단차부(23b)쪽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0; 나선 코일 스프링, 20; 너트, 50; 볼트
Claims (5)
-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너트(20) 내에 수용하여 포함하고 있는 풀림방지너트(100)가 일측과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지지애자류로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하류단 절곡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볼트(50)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에서 하류단을 관통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너트(20)는 볼트(50)와의 체결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너트의 내주면에 볼트(50)와 체결되는 나사가공부(22)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나사가공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내접되게 수용되는 비나사가공부(23)를 체결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포함하고,
상기 너트(20)의 상기 비나사가공부(23)는 체결방향에서의 상류단 단차부(23a)와 하류단 단차부(23b)를 축경시켜 포함하고,
볼트(5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노출된 하류단 단차부(23b)의 면에는 요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21)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고정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은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 내접되어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인접한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는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바로 위의 지지애자류의 벽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비나사가공부(23)로 관통된 관통구멍(1a)과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바로 위의 너트(20)의 벽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비나사가공부(23) 내부로 관통된 관통구멍(24a)을 통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뻗은 스톱퍼핀(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핀(24)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자유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보다 상기 볼트(50)의 조임방향으로 일정 간격 앞서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핀(24)의 기단측에는 플랜지부(2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5)는 상기 스톱퍼핀(24)이 상기 관통구멍(24a)과 유통하여 지지애자류의 벽부에 형성된 관통구멍(1a) 및 상기 관통구멍(24a)을 통하여 외부에서 상기 비나사가공부(23)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스톱퍼핀(24)의 선단이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의 영역을 넘어 상기 볼트(50)의 나선부(51)의 진행방향에 장애를 주지 않게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위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너트(20) 내에 수용하여 포함하고 있는 풀림방지너트(100)가 일측면과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지지애자류로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하류단 절곡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볼트(50)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에서 하류단을 관통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너트(20)는 볼트(50)와의 체결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너트의 내주면에 볼트(50)와 체결되는 나사가공부(22)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나사가공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내접되게 수용되는 비나사가공부(23)를 체결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포함하고,
상기 너트(20)의 상기 비나사가공부(23)는 체결방향에서의 상류단 단차부(23a)와 하류단 단차부(23b)를 축경시켜 포함하고 있고,
볼트(5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노출된 하류단 단차부(23b)의 면에는 요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21)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일정 외력에 의해 결합 해제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은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 내접되어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인접한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는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바로 위의 지지애자류의 벽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비나사가공부(23)로 관통된 관통구멍(1a)과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바로 위의 너트(20)의 벽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비나사가공부(23) 내부로 관통된 관통구멍(24a)을 통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뻗은 스톱퍼핀(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핀(24)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자유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보다 상기 볼트(50)의 조임방향으로 일정 간격 앞서 위치결정되어 있고,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인접한 상기 비나사가공부(23)의 내주면에는 방사상 안쪽으로 돌출된 스톱퍼(2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27)는 상기 스톱퍼핀(24)에서 상기 볼트(50)의 조임해제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 나선 코일 스프링(10)을 너트(20) 내에 수용하여 포함하고 있는 풀림방지너트(100)가 일측과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삽입고정되어 있는 지지애자류로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직경바깥방향으로 절곡된 하류단 절곡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은 볼트(50)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에서 하류단을 관통하여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과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형상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너트(20)는 볼트(50)와의 체결방향에서의 상류측의 너트의 내주면에 볼트(50)와 체결되는 나사가공부(22)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나사가공부(2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이 방사상 안쪽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내접되게 수용되는 비나사가공부(23)를 체결방향에서의 하류측에 포함하고,
상기 너트(20)의 상기 비나사가공부(23)는 체결방향에서의 상류단 단차부(23a)와 하류단 단차부(23b)를 축경시켜 포함하고 있고,
볼트(50)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노출된 하류단 단차부(23b)의 면에는 요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21)에는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하류단 절곡부(11)가 일정 외력에 의해 결합해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은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 내접되어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고,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 인접한 상기 비나사가공부(23)에는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바로 위의 지지애자류의 벽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비나사가공부(23)로 관통된 관통구멍(1a)과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 바로 위의 너트(20)의 벽부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비나사가공부(23) 내부로 관통된 관통구멍(24a)을 통하여 방사상 안쪽으로 뻗은 스톱퍼핀(24)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핀(24)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의 상류단(12)이 자유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보다 상기 볼트(50)의 조임방향으로 일정 간격 앞서 위치결정되어 있고,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는 상기 상류단 단차부(23a)에서 상기 하류단 단차부(23b)쪽으로 돌출된 스톱퍼(2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톱퍼(27)는 상기 스톱퍼핀(24)에서 상기 볼트(50)의 조임해제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21)를 구획형성하는 벽부들 중에서 상기 하류단 절곡부(11)의 내절곡부위와 마주하는 벽부의 모서리(21a)에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에 조임해제방향으로 작용하면, 상기 하류단 절곡부(11)가 상기 나선 코일 스프링(10)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예각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923A KR101291231B1 (ko) | 2012-06-14 | 2012-06-14 |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3923A KR101291231B1 (ko) | 2012-06-14 | 2012-06-14 |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1231B1 true KR101291231B1 (ko) | 2013-07-31 |
Family
ID=4899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3923A KR101291231B1 (ko) | 2012-06-14 | 2012-06-14 |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1231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3085Y1 (ko) | 1996-11-08 | 1999-06-01 | 김중형 | 풀림방지 장치를 구비한 너트 |
KR100398934B1 (ko) | 2000-09-26 | 2003-09-29 | 김영덕 | 풀림방지 스프링을 구비한 너트 |
KR100701782B1 (ko) | 2006-12-07 | 2007-03-29 | (주)성실기계 | 풀림방지너트 |
-
2012
- 2012-06-14 KR KR1020120063923A patent/KR1012912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43085Y1 (ko) | 1996-11-08 | 1999-06-01 | 김중형 | 풀림방지 장치를 구비한 너트 |
KR100398934B1 (ko) | 2000-09-26 | 2003-09-29 | 김영덕 | 풀림방지 스프링을 구비한 너트 |
KR100701782B1 (ko) | 2006-12-07 | 2007-03-29 | (주)성실기계 | 풀림방지너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8129B1 (ko) | 일회용 로크너트 | |
US10060465B2 (en) | Anti-loosening bolt | |
RU2654185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репления двух деталей между собой | |
KR101421971B1 (ko) | 로크너트 | |
CA2797176C (en) |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 |
KR101954491B1 (ko) | 플랜지의 결합부재용 풀림 확인 장치 | |
KR20150108741A (ko) | 프로파일 클램프 | |
KR101214106B1 (ko) |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자동제어반 | |
EP2493040B1 (en) | Cable gland | |
EP2816244A1 (en) | Anti-theft locking device for vehicle wheels | |
GB2527073A (en) | A locking device for a threaded fastener | |
KR101291231B1 (ko) |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지지애자류 | |
KR101373190B1 (ko) |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수배전설비 | |
KR20140093501A (ko) | 체결부재 | |
KR101214105B1 (ko) | 풀림방지너트를 이용한 내진기능 수배전반 | |
KR101151721B1 (ko) | 일회용 로크너트 | |
EP2278170A1 (en) | Safety locking element, particularly for couplings of the screw-and-nut type | |
JP2012251648A (ja) | ねじ締結体 | |
JP6779568B2 (ja) | 締付トルク管理具、締付トルク管理具付ナット及びボルト、並びに取付物の取付方法 | |
EP2385260A1 (en) | Capitive fixing system | |
KR20170010436A (ko) | 고정안정성 증대용 결합면을 갖는 고정구 | |
JP2010077693A (ja) | 折板屋根用取付具 | |
KR102283353B1 (ko) | 풀림방지너트 | |
KR102040001B1 (ko) | 다중 체결장치 | |
JP4925997B2 (ja) | ナ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