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699B1 -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699B1
KR101290699B1 KR1020130009481A KR20130009481A KR101290699B1 KR 101290699 B1 KR101290699 B1 KR 101290699B1 KR 1020130009481 A KR1020130009481 A KR 1020130009481A KR 20130009481 A KR20130009481 A KR 20130009481A KR 101290699 B1 KR101290699 B1 KR 10129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boom
solids
sediment
suction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곤
양병진
상진규
Original Assignee
미진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진정공(주) filed Critical 미진정공(주)
Priority to KR102013000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크레인붐; 일단이 상기 메인크레인붐의 일단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크레인붐; 일단이 상기 서브크레인붐의 타단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서브크레인붐의 타단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크레인붐; 및, 상기 회전크레인붐의 타단에 승강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고형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 흡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Pickup-device for solidity sludge}
본 발명은 침전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비와 같은 혼합물에서 발생하는 고형성 침전물을 수거하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환경오염 및 온난화의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공해물질에 대한 처리기술의 개발에 대한 요구 및 규제가 한층 더 강화되고 있다. 교토의정서와 같은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을 통해서는 메탄발생량에 대한 규제가 더욱 더 엄격해지고 있으며, 런던의정서를 통해서는 가축분뇨의 해양투기에 대한 규제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2011년 기준 해양투기 가축분뇨의 총량은 7만7천톤에 이른다.
국내의 경우, 가축분뇨의 발생량이 매년 증가하여 2008년 41,740톤이었던 것이 2011년에는 42,690톤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농림수산 식품부 통계). 전국에 산재한 가축분뇨의 저장고는 7,000여개에 달한다.
상기와 같은 가축분뇨 발생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축분뇨 저장조의 경우 처리가 어려운 난점이 존재한다. 즉, 가축분뇨가 발효하면서 액상의 유기물은 위쪽으로 이동하고 분해되지 않은 고형의 유기물은 침전되며, 이러한 가축분뇨의 침전물은 저장조의 바닥에 매년 20~30cm 정도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침전물이 수년간 쌓이게 되면 침전물이 차지하는 부피가 전체 저장조 부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 저장 용적이 감소되고, 저장조의 이용도 또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액비저장조에 침전물이 쌓이면, 몇 년에 한 번씩 상부에 떠있는 액비를 퍼낸 다음, 작업자가 직접 액비저장조에 들어가서 액비저장조 밑의 침전물을 버케츠 등의 운반용기에 담아 외부로 반출해야만 한다. 그러나, 가축분뇨 액비저장조에 쌓인 침전물이 다량인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어려워져 현재 대부분 농가에서는 액비저장조의 침전물을 남겨놓은 채로 사용하고 있고, 이로 인해 액비저장조의 저장용적이 작아져서 투자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액비의 농경지로 배출시기가 재배 시에는 불가능한 관계로 연중 3~4개월로 한정된다.
또한, 현재와 같이 작업자가 액비저장조에 직접 들어가 침전물을 직접 제거하는 경우, 가축분뇨에서 발생하는 유독성가스의 중독으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고, 액비저장조 내의 악취로 인해 작업이 어렵다.
이런 문제점으로 액비저장조 내에 액비가 충진 된 상태에서도 고형성 침전물을 회수하는 방법이 절실하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753802호는 '오폐수조내의 침전물 슬러지 제거장치'를 공개하고 있다. 이는 수직한 회동관 내에 설치되 스크류날을 이용하여 바닥의 침전물을 회수하는 장치로서, 이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을 높일 수는 있으나, 회동관과 스크류 및 회동관 하단에 결합된 굴삭용기 등이 결합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 증가하여 보수 및 핸들링에 어려움이 있고, 침전물을 회수할 때 바닥의 침전물을 균일하기 회수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가축분뇨 저장조의 경우 상부가 항상 덮개로 밀폐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장치의 경우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접근하더라도 저장조 전체 바닥면에 대하여 침전물 회수작업을 진행하기가 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침전물을 회수하는 침전물 흡입장치를 저장조의 내부에서 회전 및 길이방향의 이동을 하면서 저장조 전체의 침전물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전물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인크레인붐; 일단이 상기 메인크레인붐의 일단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크레인붐; 일단이 상기 서브크레인붐의 타단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크레인붐; 및, 상기 회전크레인붐의 타단에 승강가능하고, 상기 회전크레인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형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 흡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크레인붐은, 상기 서브크레인붐의 타단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크레인붐이 회전하는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 및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의 길이방향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회전크레인붐의 회전각도 및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크레인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를 승강시키는 호이스트; 상기 회전크레인붐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도르레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트레이를 이동하는 회전체인; 및 상기 회전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는, 상기 고형물의 흡입을 위한 흡입펌프; 상기 흡입펌프에서 상기 고형물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형물을 파쇄하기 위한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는, 상기 흡입펌프의 일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흡입된 고형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고형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호스가 연결되는 흡입브라켓; 상기 흡입브라켓의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일단에 상기 분사노즐이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노즐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에서 물이 분사되는 일단은 상기 고형물을 향하되 상기 고형물의 흡입의 중심이 되는 부분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로 흡입되어 전달되는 상기 고형물과 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크레인붐에는 상기 고형물을 배출하는 배출호스 및 상기 고형물의 파쇄를 위한 물이 이송되는 공급호스를 지지하는 호스지지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크레인붐이 서브크레인붐에서 회전하고, 침전물 흡입장치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가 회전 및 이동을 하면서, 저장조 내부의 침전물을 수거하고, 이와 같은 동작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저장조 바닥 전체의 범위를 아우르며 침전물을 수거할 수 있어, 침전물 수거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전물에 물을 분사하여 침전물을 파쇄하기 때문에 침전물이 수거되기 전에 흡입이 용이한 상태로 되어 침전물의 수거작업이 보다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침전물 흡입장치의 일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침전물 흡입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크레인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침전물 흡입장치의 일부구성을 보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침전물 흡입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크레인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100)는 차량(C)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차량(C)이 아닌 별도의 구조물로써 지상에 설치되거나 이동이가능한 트렉터와 같은 장치 등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100)는 메인크레인붐(110), 서브크레인붐(120), 회전크레인붐(130)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메인크레인붐(110); 일단이 상기 메인크레인붐(110)의 일단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크레인붐(120); 일단이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의 타단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크레인붐(130); 및,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타단에 승강가능하고,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형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크레인붐(110)은 타단이 지지타워(14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단에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타워(140)는 차량(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지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은 상기 메인크레인붐(110)에 상하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의 타단에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이 결합된다.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은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에 상하 또는 좌우 회동 중 적어도 1 이상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은 상기 서브크레인붐(120)과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저장조(T) 내부의 침전물을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100)는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130a); 상기 트레이(130a)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승강시키는 호이스트(133);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도르레(230b, 230a)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트레이(130a)를 이동하는 회전체인(135); 및 상기 회전체인(135)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구동모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30a)는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을 따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트레이(130a)에는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130a)의 이동과 함께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트레이(130a)는 회전체인(135)의 회전에 의해 함께 이동한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체인(135)은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양단에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 제 1 도르레(230b) 및 제 2 도르레(230a)에 감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르레(230b)와 상기 제 2 도르레(230a) 사이의 거리만큼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이동가능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체인(135)의 일부가 상기 트레이(130a)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이동구동모터(230)가 작동함에 의해 상기 회전체인(135)이 회전함에 의해 상기 트레이(130a)가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트레이(130a)의 하단에는 호이스트(133)가 구비된다. 상기 호이스트(133)는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승강시키는 구조로 상기 호이스트(133)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의 지면상에서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은 회전축(131a)에 의해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131a)은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중심이 되는 것으로, 도 5에서 보듯이 회전구동모터(131)에 연결체인(131b)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은,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의 타단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이 회전하는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 및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의 길이방향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각도 및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각도를 설정하게 되면, 설정된 각도만큼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이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의 타단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도 1의 화살표 A 참조)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은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355°회전가능하다. 즉,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좌우로 각각 177.5°씩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에 연결된 후술할 공급호스(210) 및 배출호스(220)가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각도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각도에 해당하면 상기 제 1 센서부가 인식하게 되고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이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은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에 구비된 회전구동모터(131)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5 참조)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은 연결된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의 타단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도 1의 화살표 B 참조)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에 연결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의 타단과 멀어지거나 가깝도록 이동된다.
상기 제 2 센서부는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감지한다. 사용자가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의 길이방향 이동거리를 설정하면 상기 제 2 센서부에서 감지하여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의 길이방향 이동은 이동구동모터(23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제 2 센서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타단에는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는 저장조(T) 내부의 고형물을 흡입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호이스트(133)에 의해서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타단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승강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침전물을 흡입할 수 있는 위치로 승강시킨 후에 작업이 진행되고, 상기 호이스트(133)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수행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는, 상기 고형물의 흡입을 위한 흡입펌프(310); 상기 흡입펌프(310)에서 상기 고형물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형물을 파쇄하기 위한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는, 상기 흡입펌프(310)의 일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흡입된 고형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고형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호스(220)가 연결되는 흡입브라켓(330); 상기 흡입브라켓(330)의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340); 일단에 상기 분사노즐(320)이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340)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노즐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펌프(310)는 상기 고형물의 흡입을 위한 흡입압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상기 흡입펌프(310)에 의해 상기 고형물 및 고형물과 분리된 일부의 물이 함께 흡입된다. 상기 흡입펌프(310)에 의해 흡입된 상기 고형물 및 상기 물은 상기 흡입브라켓(3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브라켓(330)은 상기 흡입펌프(3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프레임(350)을 지지하고, 상기 고형물 및 상기 물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브라켓(330)의 일측에는 흡입공(335)이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흡입브라켓(33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공(335)과 연통되게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펌프(310)를 흡입압력을 통해 유입된 상기 고형물 및 상기 물이 상기 이동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흡입공(335)을 통해 배출호스(220)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320)을 통해 상기 고형물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고형물을 파쇄하는 물이 상기 고형물에 분사된다. 상기 고형물은 장시간 상기 저장조(T)에 저장되면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로 흡입할 수 없을 만큼 굳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고형물을 상기 분사노즐(320)로 물을 분사하여 파쇄함으로써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분사노즐(320)은 지지프레임(360), 고정프레임(340) 및 노즐프레임(350)에 의해 상기 흡입브라켓(33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60)은 상기 고정프레임(340)을 상기 흡입브라켓(33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프레임(340)은 상기 분사노즐(320)이 직접 설치되는 노즐프레임(350)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링 형상 외에 다각형상을 가진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프레임(350)은 상기 고정프레임(340)에 일정간격을 두고 4개가 설치되었는데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더 설치되거나, 2개 또는 하나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간격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사노즐(320)은 상기 노즐프레임(350)에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필요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320)에서 상기 고형물을 파쇄하기 위한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사노즐(320)에서 물이 분사되는 일단은 상기 고형물을 향하되 상기 고형물의 흡입의 중심이 되는 부분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먼저 상기 고형물을 파쇄하여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통해 상기 고형물이 흡입되는 것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분사노즐(320)을 통해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고형물이 파쇄됨과 동시에 상기 고형물이 흡입되어 보다 원활하게 상기 고형물을 수거하는 과정이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노즐(320)은 도 3에 도시되었듯이, 물공급호스(37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호스(370)는 다수개의 상기 분사노즐(320)에 각각 연결되고, 일측에 구비된 물공급배관(37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분사노즐(320)에 분배되어 공급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분사노즐(320)에 공급되는 물은 외부의 물공급원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고액분리기(400)의 분리과정을 거친 상등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상등수를 사용할 경우 별도의 물공급 없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에 구비되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물공급펌프에 의해 공급될 수 있고, 공급되는 물의 압력 및 시간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설정가능하다. 상기 물공급배관(375)은 공급호스(21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통해 흡입된 상기 고형물 및 물은 상기 배출호스(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고액분리기를 통해 고형물과 물로 분리된다.
상기 고액분리기는 고형물과 물을 분리하는 장치로 분리된 물은 다시 별도로 구비된 정수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화되어 상기 분사노즐(320)로 유입될 수도 있고, 필요없는 경우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 정수장치에 의해 정화된 물은 상기 공급호스(210)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320)로 유입되어 다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에는 상기 고형물을 배출하는 상기 배출호스(220) 및 상기 고형물의 파쇄를 위한 물이 이송되는 상기 공급호스(210)를 지지하는 호스지지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이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호스(220) 및 공급호스(210)는 그 일부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늘어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크레인붐(130) 하부에 'U'자 형상의 상기 호스지지가이드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배출호스(220) 및 공급호스(210)가 상기 호스지지가이드의 'U'자 형상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배출호스(220) 및 공급호스(21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100)를 이용하여 저수조 내의 침전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100)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수거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회전크레인붐(130)을 저장조(T)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중심이 되는 서브크레인붐(120)의 일단이 상기 저장조(T)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절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상기 저장조(T)의 내벽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이동시킨다.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이동시킨 후, 사용자는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상기 저장조(T) 내부의 침전물이 흡입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하강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각도, 회전속도, 이동길이 등을 제어부를 통해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를 통해 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은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며,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상기 저장조(T) 내부의 침전물을 흡입하게 된다. 상기 침전물의 흡입은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이동과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이 최대각까지 이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중심이되는 상기 서브크레인붐(12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송시킨다. 상기 서브크레인붐(120)이 길이방향으로 설정된 이동길이만큼 이동되면,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이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침전물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이 반대쪽 회전 최대각까지 이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다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를 설정된 길이만큼 이동시키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작업이 반복적으로 수행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설정된 길이만큼 최대한 이동한 후에 작업이 완료된다. 도 6의 선L은 상기 회전크레인붐(130)의 회전 및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른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의 이동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에 구비된 분사노즐(320)에 의해 물이 고형물을 향해 분사되는 바, 상기 분사노즐(320)에 의해 상기 고형물이 파쇄된 상태가 되고, 파쇄된 상기 고형물이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로 유입되는 바, 상기 고형물이 보다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어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조(T)의 내부에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300)가 회전 및 이동되면서, 상기 저장조(T)의 내부를 조밀하게 이동하며 흡입이 이루어져 작업효율이 좋아지고, 제어부에 의해 위와 같은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이 원활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110 : 메인크레인붐
120 : 서브크레인붐 130 : 회전크레인붐
140 : 지지타워 210 : 공급호스
220 : 배출호스 300 : 흡입장치
310 : 흡입펌프 320 : 분사노즐
330 : 흡입브라켓 340 : 고정프레임
350 : 노즐프레임 360 : 지지프레임
370 : 물공급호스 375 : 물공급배관
400 : 고액분리기

Claims (8)

  1. 메인크레인붐;
    일측이 저장조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타측은 상기 메인크레인붐의 일측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크레인붐;
    상기 서브크레인붐의 일측과 결합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크레인붐;
    상기 회전크레인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크레인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형물을 흡입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전물 흡입장치; 및
    상기 회전크레인붐을 설정된 반경으로 반복해서 왕복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크레인붐의 길이방향을 따라 침전물 흡입장치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저장조 바닥면에 형성된 고형물을 흡입해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크레인붐은,
    상기 서브크레인붐의 타단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크레인붐이 회전하는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부; 및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의 길이방향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회전크레인붐의 회전각도 및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크레인붐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를 승강시키는 호이스트;
    상기 회전크레인붐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및 제 2 도르레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트레이를 이동하는 회전체인; 및
    상기 회전체인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는,
    상기 고형물의 흡입을 위한 흡입펌프; 및
    상기 흡입펌프에서 상기 고형물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형물을 파쇄하기 위한 물을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는,
    상기 흡입펌프의 일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흡입된 고형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고형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호스가 연결되는 흡입브라켓;
    상기 흡입브라켓의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결합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일단에 상기 분사노즐이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노즐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에서 물이 분사되는 일단은 상기 고형물을 향하되 상기 고형물의 흡입의 중심이 되는 부분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흡입장치로 흡입되어 전달되는 상기 고형물과 물을 분리하는 고액분리기를 더 포함하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크레인붐에는 상기 고형물을 배출하는 배출호스 및 상기 고형물의 파쇄를 위한 물이 이송되는 공급호스를 지지하는 호스지지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KR1020130009481A 2013-01-28 2013-01-28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KR10129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481A KR101290699B1 (ko) 2013-01-28 2013-01-28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481A KR101290699B1 (ko) 2013-01-28 2013-01-28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699B1 true KR101290699B1 (ko) 2013-07-31

Family

ID=4899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481A KR101290699B1 (ko) 2013-01-28 2013-01-28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6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448B1 (ko) * 2006-11-10 2007-11-30 대한민국 가축분뇨 액비저장조의 침전물제거장치
KR101086846B1 (ko) * 2010-01-07 2011-11-24 펌프텍코리아(주) 침전물 제거용 수중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448B1 (ko) * 2006-11-10 2007-11-30 대한민국 가축분뇨 액비저장조의 침전물제거장치
KR101086846B1 (ko) * 2010-01-07 2011-11-24 펌프텍코리아(주) 침전물 제거용 수중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1188B (zh) 多功能河道治理船体机器人
JP7285323B2 (ja) 固体廃棄物処理システム
CN202169999U (zh) 一种垃圾打捞船
CN111764361A (zh) 泵站前池综合清污方法
KR101367303B1 (ko) 스윙 가능한 천일염 이송장치
CN105951908B (zh) 码头前沿疏深装置
CN108750027B (zh) 河道清理装置及方法
CN203090540U (zh) 一种分层排泥的辐流式沉淀池
KR20180078731A (ko) 채염기
KR101290699B1 (ko) 고형성 침전물 수거장치
CN206068847U (zh) 一种带脱水功能的餐厨垃圾自动上料系统
CN110593948B (zh) 一种水仓煤水分离智能清理系统
CN102587935B (zh) 隧道喷锚车
CN205345973U (zh) 一种圆形料场
CN209760199U (zh) 一种蓝藻处理船
CN106759831A (zh) 智能抓斗式格栅拦渣清渣一体装置
CN106621492A (zh) 一种桁车式挖泥机
CN203639969U (zh) 一种可拆卸式水上清淤设备
CN103526825A (zh) 新型吸粪车
CN204897427U (zh) 螺旋挖斗采盐机上料机构
CN205676945U (zh) 一种水渠排淤装置
KR20120081837A (ko)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CN206700869U (zh) 沉淀池滤水装置
CN205995093U (zh) 一种桁车式挖泥机
CN111764362A (zh) 泵站前池综合清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