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926B1 - 발마우스 - Google Patents

발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926B1
KR101289926B1 KR1020120054703A KR20120054703A KR101289926B1 KR 101289926 B1 KR101289926 B1 KR 101289926B1 KR 1020120054703 A KR1020120054703 A KR 1020120054703A KR 20120054703 A KR20120054703 A KR 20120054703A KR 101289926 B1 KR101289926 B1 KR 10128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main body
button
mouse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덕
Original Assignee
고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한덕 filed Critical 고한덕
Priority to KR102012005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4Foot operated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마우스 기능을 한 발을 사용해서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발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방법이 손마우스의 동작과 유사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발 크기가 다르거나 왼발, 오른발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마우스는, 발마우스 본체에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밴드, 본체 배면에서 반사된 빛을 입력하는 광센서, 본체 앞 부분의 제1버튼, 발판면에 노출되는 탄성누름판을 들어 올려 클릭하는 제2버튼, 본체 전면 하부의 스크롤휠과, 본체 내부의 위치연산부, 송수신부, 회전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는 발볼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탄성누름판과 제2버튼의 위치를 대신하여 본체 후면 하부에 형성된 제2버튼이 패드바닥에 닿아서 클릭되어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시선을 모니터 화면에 고정시키고 양손은 키보드에서 타이핑 전용으로 사용하여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집중력 상승, 피로도 경감, 시간단축, 작업능률 향상 등의 효과를 갖게 되어 편의성이 대폭 증대되는 발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마우스{FOOT MOUSE}
본 발명은 발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마우스 기능을 발로 구동시켜서 작업을 수행하는 발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PC본체,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로 구성되어 사용되는 종래의 컴퓨터는, 입력과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한 손은 키보드와 마우스를 번갈아 가며 사용해야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시선을 모니터 화면에 고정시키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손의 위치를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시선이 분산되고 양손을 타이핑 작업에만 사용할 수 없어서 집중력이 떨어지고 작업속도가 늦어지는 원인이 되어 눈과 손, 손목, 팔, 어깨에 이르기까지 피로도가 증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발로 구동시키는 발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지만, 종래의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에 불과할 뿐 작동법이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등 불편함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한 발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사용중인 손마우스의 기능을 한 발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좌우버튼과 스크롤휠의 위치배열과 회로구성을 발의 움직임에 맞게 형성하여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것이다.
발마우스 본체에 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밴드, 본체 배면으로 반사된 빛을 입력하는 광센서, 본체 앞 부분의 제1버튼, 발판면에 노출되는 탄성누름판을 들어올려 클릭하는 제2버튼, 본체 전면 하부의 스크롤휠, 본체 내부의 위치연산부, 송수신부, 회전엔코더를 포함하여 발로 구동시키는 발마우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제2버튼은 본체 후면 하부에 형성되어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발의 이탈방지와 본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 양측면에 부착된 탄성밴드에 발을 끼워서 발판에 발이 놓여지는 본체와, 본체의 배면으로 포토다이오드 빛을 노출시켜 반사된 빛을 입력하는 광센서와, 본체 발판면 앞 부분에 단차를 주어 엄지발가락으로 눌러서 클릭하는 제1버튼과, 본체 발판면에 노출되어 탄성누름판을 밟고 있는 발볼을 들어올릴 때 버튼에서 분리되며 클릭되는 제2버튼과, 발볼로 본체 앞 부분을 누름과 동시에 발뒤꿈치를 들어올려서 전면 하부의 경사진 부분에 형성된 휠이 패드바닥에 닿으면 발을 앞뒤로 밀어서 스크롤휠을 회전시켜 화면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제2버튼을 본체 후면 하부에 형성하여 발뒤꿈치로 발판면 뒷부분을 누름과 동시에 발 앞 부분을 들어올릴 때, 본체가 뒤로 기울어지며 버튼이 패드바닥에 닿아서 클릭되는 것이다.
종래의 컴퓨터 작업은 키보드와 마우스 사용을 위해 손을 반복적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시선이 항상 손의 위치를 확인해야하기 때문에, 모니터 화면에 시선을 고정시킬 수 없어서 작업흐름이 끊기고 집중력이 떨어지는 등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마우스는, 손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마우스 기능을 한 발을 사용해서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방법이 손마우스의 동작과 유사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발 크기가 다르거나 왼발, 오른발에 관계없이 사용 가능한 것이다.
시선을 모니터 화면에 고정시키고 양손은 키보드에서 타이핑 전용으로 사용하여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집중력 상승, 피로도 경감, 시간단축, 작업능률 향상 등의 효과를 갖게 되어 편의성이 대폭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사용상태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정면도이다.
도 1의 발마우스는 본체(1), 제1버튼(10), 제2버튼(20), 탄성누름판(30), 스크롤휠(40), 광센서(50), 요철(60), 탄성밴드(70)를 표시한 것으로 작동에 필요한 기능 중에서 마우스에 내장된 부분은 별도의 표시를 생략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의 발마우스는 본체(1)에 발을 올려놓고 사용할 때 발의 이탈방지와 본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 양측면에 탄성밴드(70)를 부착하여 발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엄지발가락으로 눌러서 사용하는 제1버튼(10)과, 탄성누름판(30)을 밟고 있는 발볼을 들어올릴 때 탄성누름판(30)이 하부에 위치한 제2버튼(20)에서 떨어지며 클릭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결부하여 설명하면, 본체(1)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움직일 때 이동하는 발마우스는 손마우스를 움직일 때 커서가 이동하는 기능을 담당하고(도3), 발판면 앞 부분에 단차를 주어 발판면 하부에 위치하여 엄지발가락으로 눌러서 클릭하는 제1버튼(10)은 손마우스 왼쪽버튼의 선택실행 기능을 담당하고(도4), 발판면에 노출되는 탄성누름판(30)을 밟고 있는 발볼을 들어올릴 때 탄성누름판(30)이 하부의 버튼에서 분리되며 클릭되는 제2버튼(20)은 손마우스 오른쪽버튼의 메뉴펼침 기능을 담당하고(도5), 발볼에 대응하는 발판 앞 부분은 발볼로 누름과 동시에 발뒤꿈치를 들어올려서 전면 하부의 경사진 부분에 형성된 휠이 패드바닥에 닿으면 발로 본체를 앞뒤로 밀어서 회전시키는 스크롤휠(40)은 손마우스의 스크롤휠을 중지손가락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담당(도6)하는 것이다.
탄성누름판(30)과 밀착된 제2버튼(20)은 회로구성시 탄성누름판(30)이 버튼에서 분리될 때 클릭되고, 밀착될 때 해제되도록 설계하여 다음 동작들이 가능한 것이다.
손마우스와 본 발명에 따른 발마우스의 동작기능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왼쪽버튼의 선택실행 기능은 손마우스를 움직여서 커서를 선택 할 위치에 놓고 왼쪽버튼을 클릭하여 선택메뉴가 나타나면 손마우스를 상하로 움직여서 메뉴를 선택하고 왼쪽버튼을 다시 클릭하여 실행시키는 동작은,
발을 올려놓은 본체(1)를 움직여서 커서를 선택 할 위치에 놓고 발가락을 오므려서 엄지발가락으로 제1버튼(10)을 눌러서 클릭하여 메뉴가 나타나면 엄지발가락을 제1버튼(10)에서 떼고 발로 본체(1)를 앞뒤로 밀어서 메뉴를 선택한 후 엄지발가락으로 제1버튼(10)을 다시 눌러서 클릭하여 실행시키는 것이다.
오른쪽버튼의 메뉴펼침 기능은 손마우스를 움직여서 커서를 선택 할 위치에 놓고 오른쪽버튼을 클릭하여 펼침메뉴가 나타나면 손마우스를 상하로 움직여서 메뉴를 선택하고 왼쪽버튼을 클릭하여 실행시키는 동작은,
발을 올려놓은 본체(1)를 움직여서 커서를 선택할 위치에 놓고 발판면에 노출되는 탄성누름판(30)을 밟고 있는 발볼을 들어올릴 때 탄성누름판(30)이 하부의 제2버튼(20)에서 떨어지며 클릭되어 펼침메뉴가 나타나면 발볼로 탄성누름판(30)을 다시 밟아 해제시킨 후 발로 본체(1)를 앞뒤로 밀어서 메뉴를 선택하고 엄지발가락으로 제1버튼(10)을 눌러서 클릭하여 실행시키는 것이다.
화면이동 기능은 중지손가락으로 손마우스의 중앙에 위치한 휠을 회전시켜서 화면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롤 동작은,
본체(1)에 올려놓은 발의 발볼로 대응하는 발판면을 누름과 동시에 발뒤꿈치를 들어올려서 전면 하부의 경사진 부분에 형성된 휠이 패드바닥에 닿으면 발로 본체(1)를 앞뒤로 밀어서 스크롤휠(40) 회전하여 화면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드래그 기능은 손마우스를 움직여서 커서를 드래그 할 위치에 놓고 왼쪽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필요한 부분까지 손마우스를 이동시켜서 선택하는 드래그 동작은,
발을 올려놓은 본체(1)를 움직여서 커서를 드래그 할 위치에 놓고 제1버튼(10)을 엄지발가락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필요한 부분까지 본체(1)를 이동시켜서 선택하는 것이다.
화면닫기 기능은 손마우스를 움직여서 커서를 삭제표시 위치로 이동시키고 왼쪽버튼을 클릭하여 화면을 닫는 동작은,
발을 올려놓은 본체(1)를 움직여서 커서를 삭제표시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버튼(10)을 엄지발가락으로 눌러서 클릭하여 화면을 종료시키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정면도이다.
도 7의 발마우스는 본체(1), 제1버튼(10), 제2버튼(20), 스크롤휠(40), 광센서(50), 요철(60), 탄성밴드(70)를 표시한 것으로 작동에 필요한 기능 중에서 마우스에 내장된 부분은 별도의 표시를 생략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의 발마우스는 본체(1)에 발을 올려놓고 사용할 때 발의 이탈방지와 본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 양측면에 탄성밴드(70)를 부착하여 발에 끼워서 사용하는 것으로 엄지발가락으로 눌러서 사용하는 제1버튼(10)과, 발뒤꿈치로 본체 뒷부분을 눌러서 제2버튼(20)이 바닥에 닿아서 클릭되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발마우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결부하여 설명하면, 본체(1)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움직일 때 이동하는 발마우스는 손마우스를 움직일 때 커서가 이동하는 기능을 담당하고(도9), 발판면 앞 부분에 단차를 주어 발판면 하부에 위치하여 엄지발가락으로 눌러서 클릭하는 제1버튼(10)은 손마우스 왼쪽버튼의 선택실행 기능을 담당하고(도10), 발뒤꿈치로 본체 뒷부분을 누름과 동시에 발 앞 부분을 들어올려서 클릭하는 제2버튼(20)은 손마우스 오른쪽버튼의 메뉴펼침 기능을 담당하고(도11), 발볼에 대응하는 발판 앞 부분은 발볼로 누름과 동시에 발뒤꿈치를 들어올려서 전면 하부의 경사진 부분에 형성된 휠이 바닥에 닿으면 발로 본체(1)를 앞뒤로 밀어서 회전시키는 스크롤휠(40)은 손마우스의 스크롤휠을 중지손가락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담당(도12)하는 것이다.
손마우스와 본 발명에 따른 발마우스의 동작기능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왼쪽버튼의 선택실행 기능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오른쪽버튼의 메뉴펼침 기능은 손마우스를 움직여서 커서를 선택 할 위치에 놓고 오른쪽버튼을 클릭하여 펼침메뉴가 나타나면 손마우스를 상하로 움직여서 메뉴를 선택하고 왼쪽버튼을 클릭하여 실행시키는 동작은,
발을 올려놓은 본체(1)를 움직여서 커서를 선택 할 위치에 놓고 발뒤꿈치로 본체 뒷부분을 누름과 동시에 발 앞 부분을 들어올려서 본체 후면 하부의 경사진 부분에 형성된 제2버튼(20)이 바닥에 닿으며 클릭되어 펼침메뉴가 나타나면 발을 다시 내려놓고 발로 본체를 앞뒤로 밀어서 메뉴를 선택하고 엄지발가락으로 제1버튼(10)을 눌러서 클릭하여 실행시키는 것이다.
화면이동 기능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드래그 기능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화면닫기 기능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1 : 본체
10 : 제1 버튼
20 : 제2 버튼
30 : 탄성누름판
40 : 스크롤휠
50 : 광센서
60 : 요철
70 : 탄성밴드

Claims (2)

  1. 본체 양측면에 부착된 탄성밴드에 발을 끼워서 발판에 발을 올려놓는 본체와
    상기 본체 발판에 올려놓은 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요철과
    상기 본체 발판면 앞 부분에 단차를 주어 발판면 하부에 위치하여 엄지발가락으로 눌러서 클릭하는 제1버튼과
    상기 본체 발판에 노출되는 탄성누름판을 밟고 있는 발을 들어올릴 때 탄성누름판이 버튼에서 분리되며 클릭되도록 본체 내부에 위치하는 제2버튼과
    상기 본체 전면 하부의 경사진 부분에 위치하여 화면을 이동시켜주는 스크롤휠과
    본체 배면으로 포토다이오드 빛을 노출시켜 반사된 빛을 입력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 입력된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연산부와
    상기 산출된 좌표신호를 컴퓨터로 송출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스크롤휠의 회전수와 회전각을 측정하는 회전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발로 구동하는 발마우스.
  2. 본체 양측면에 부착된 탄성밴드에 발을 끼워서 발판에 발을 올려놓는 본체와
    상기 본체 발판에 올려놓은 발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형성되는 요철과
    상기 본체 발판면 앞 부분에 단차를 주어 발판면 하부에 위치하여 엄지발가락으로 눌러서 클릭하는 제1버튼과
    상기 본체 후면 하부의 경사진 부분에 위치하여 발뒤꿈치로 눌러서 클릭하는 제2버튼과
    상기 본체 전면 하부의 경사진 부분에 위치하여 화면을 이동시켜주는 스크롤휠과
    본체 배면으로 포토다이오드 빛을 노출시켜 반사된 빛을 입력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 입력된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연산부와
    상기 산출된 좌표신호를 컴퓨터로 송출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여 스크롤휠의 회전수와 회전각을 측정하는 회전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발로 구동하는 발마우스.
KR1020120054703A 2012-05-23 2012-05-23 발마우스 KR101289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703A KR101289926B1 (ko) 2012-05-23 2012-05-23 발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703A KR101289926B1 (ko) 2012-05-23 2012-05-23 발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926B1 true KR101289926B1 (ko) 2013-07-25

Family

ID=4899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703A KR101289926B1 (ko) 2012-05-23 2012-05-23 발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9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878A (ko) 2021-11-19 2023-05-26 이청명 조작 장치
KR102593211B1 (ko) * 2023-03-21 2023-10-24 조성호 게임용 발 마우스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8887A (ja) * 1996-03-22 1997-10-03 Nec Corp ハンドフリーマウス
JP2006127437A (ja) 2004-10-29 2006-05-18 成生 ▲高▼岡 足操作式マウス
KR20100064534A (ko) * 2008-12-05 2010-06-15 (주) 리버스 풋트 마우스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8887A (ja) * 1996-03-22 1997-10-03 Nec Corp ハンドフリーマウス
JP2006127437A (ja) 2004-10-29 2006-05-18 成生 ▲高▼岡 足操作式マウス
KR20100064534A (ko) * 2008-12-05 2010-06-15 (주) 리버스 풋트 마우스 입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3878A (ko) 2021-11-19 2023-05-26 이청명 조작 장치
KR102593211B1 (ko) * 2023-03-21 2023-10-24 조성호 게임용 발 마우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1820B1 (ko) 사용이 편리한 발마우스
US7061468B2 (en) Hybrid presentation controller and computer input device
JP4099450B2 (ja) 手袋コンピュータマウス
US201001031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 Of Information Using Visible Touch Sensors
US20140253453A1 (en) Computer Display Object Controller
KR101289926B1 (ko) 발마우스
KR20090030697A (ko) 다기능 마우스
KR200189861Y1 (ko) 컴퓨터용 마우스
US20150268741A1 (en) Ergonomic Computer Mouse
KR100655719B1 (ko) 발 마우스
KR20100064534A (ko) 풋트 마우스 입력장치
KR200369111Y1 (ko) 상하좌우 스크롤링이 가능한 마우스
JP4012162B2 (ja) 足操作型入力装置
KR20170130989A (ko) 아이 볼 마우스
CN205121495U (zh) 一种手柄式鼠标
KR200274062Y1 (ko) 마우스
JP3041368U (ja) 足で操作する座標位置指示装置
JP2006259796A (ja) マウス
CN206931061U (zh) 带有防脱落脚垫的转轴键盘
KR101361123B1 (ko) 기울기 조절형 노핸드 드래그 기능 마우스 장치
KR200434003Y1 (ko) 지압 기능을 갖는 발 마우스
KR100960674B1 (ko) 컴퓨터용 마우스
CN201097326Y (zh) 置于台式电脑键盘上的机电式鼠标
KR20050035974A (ko) 마우스용 신발
KR200181255Y1 (ko) 발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