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858B1 -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858B1
KR101289858B1 KR1020120080739A KR20120080739A KR101289858B1 KR 101289858 B1 KR101289858 B1 KR 101289858B1 KR 1020120080739 A KR1020120080739 A KR 1020120080739A KR 20120080739 A KR20120080739 A KR 20120080739A KR 101289858 B1 KR101289858 B1 KR 101289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led
divided
light emit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상
정순호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12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imulated using a light source, e.g. a barcode shown on a display or a laser beam with time-varying intensity prof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LED 정보코드에 의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이 발광형 LED발광구조로 형성됨으로서, 일시에 점등시켜서 QR코드 형태로 LED 발광시키기 때문에 자칫 온/오프 QR코드 발광표시 용도로만 인식되어 소비자관심을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점과, 복수개의 발광형 LED를 제어하기 위해 회로구조가 복잡하고, 항상 발광시킨 상태에 있으므로, 전력소비가 많이 발생되고, 발광형 LED자체에 열이 많이 발생되어 다른 전자기기를 오작동시키는 문제점을 개선시키고자, QR코드 분할점등모듈, QR코드 리더기가 구성됨으로서, 1/N의 영역별(1/2분할, 1/3분할, 1/4분할...등)로 분할점등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의 QR코드 인식율을 기존에 비해 60%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발광형 LED자체에 발생되는 열을 기존에 비해 70%로 떨어뜨릴 수 있고, LED 소자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회로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차지하는 점등영역을 작게 제작할 수 있고, QR코드 리더기를 통해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킨 후, 2차로 하나의 완성형 QR코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킬 수 있어, 기존의 QR코드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대중소형 간판이나 팜플렛과 호환되게 대,중,소의 1:1 맞춤식 분할점등형QR코드를 제작할 수 있는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COGNITION OF QUICK RESPONSE CODE WITH DOT LED LIGHTING}
본 발명은 발광형 LED로 이루어져 순차적으로 분할점등하면서 디스플레이시키는 QR코드 분할점등모듈과, QR코드 리더기로 구성되며, 분할점등형QR코드를 분할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분할된 분할점등형QR코드를 읽어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킬 수 있는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QR코드(Quick Response Code)는 일본의 덴소웨이브(DENSO WAVE)가 개발한 가로, 세로 두 방향의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태의 2차원 바코드이다.
상기 QR코드는 최대 7,089자의 문자수를 가지고 있고, 숫자, 한글, 영문, 한자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 최대 30%를 복원할 수 있고, 360°까지 읽기가 가능한 특성을 가진다.
현재에는 기존 바코드를 대체하는 개념뿐만 아니라 마케팅 매체로도 활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QR코드의 경우에 인쇄된 형태로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눈에 잘 띄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출원번호 제10-2010-0135209호에서 "LED 정보코드에 의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발광형 LED발광구조로 형성됨으로서, 일시에 점등시켜서 QR코드 형태로 LED 발광시키기 때문에 자칫 온/오프 QR코드 발광표시 용도로만 인식되어 소비자관심을 오히려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개의 발광형 LED를 제어하기 위해 회로구조가 복잡하고, 전력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10-0135209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1/N의 영역별(1/2분할, 1/3분할, 1/4분할...등)로 분할점등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의 QR코드 인식율을 기존에 비해 60%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발광형 LED자체에 발생되는 열을 기존에 비해 70%로 떨어뜨릴 수 있고, LED 소자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회로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차지하는 점등영역을 작게 제작할 수 있고, QR코드 리더기를 통해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킨 후, 2차로 하나의 완성형 QR코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킬 수 있어, 기존의 QR코드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대중소형 간판이나 팜플렛과 호환되게 대,중,소의 1:1 맞춤식 분할점등형QR코드를 제작할 수 있는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는
발광형 LED로 이루어져 1/N의 영역별로 분할점등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QR코드 분할점등모듈과,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킨 후, 2차로 하나의 완성형 QR코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키는 QR코드 리더기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방법은
QR코드 분할점등모듈을 통해 1/N의 영역별로 발광형 LED를 분할점등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와,
QR코드 리더기를 통해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킨 후, 2차로 하나의 완성형 QR코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들의 QR코드 인식율을 기존에 비해 60% 향상시킬 수 있고, 전력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발광형 LED자체에 발생되는 열을 기존에 비해 70%로 떨어뜨릴 수 있고, 기존의 QR코드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대중소형 간판이나 팜플렛과 호환되게 대,중,소의 1:1 맞춤식 분할점등형QR코드를 제작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중 QR코드 분할점등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중 QR코드 리더기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디밍 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분할점등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방향영역설정부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점등영역을 설정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좌우방향영역설정부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점등영역을 설정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계방향영역설정부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점등영역을 설정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분할점등모듈이 설치된 대형간판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리더기를 통해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순차적으로 읽어서 저장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QR코드 리더기를 통해 하나의 완성형 QR코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켜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QR코드 분할점등모듈(100), QR코드 리더기(2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분할점등모듈(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QR코드 분할점등모듈(100)은 발광형 LED로 이루어져 1/N의 영역별로 분할점등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형 LED(110), 영역설정부(120), LED 디밍 제어부(130), 마이컴부(14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발광형 LED(110)는 위치검출패턴, 타이밍패턴, 포맷정보, 버전정보, 얼라인먼트 패턴으로 이루어진 격자무늬 패턴을 이루는 QR코드를 RGB 색상을 갖는 LED를 통해 가로×세로의 매트릭스 형태로 1:1 배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빨강(Red), 녹색(Green), 파랑(Blue)의 3색 파워 LED로 구성되고, 색상별 독립 제어가 되도록 마이컴부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는 현재 QR코드의 셀버젼에 맞게 구성되어, 사용목적에 맞게 확장시킬 수가 있다.
즉, 현재 QR코드의 버젼 1이 21×21셀로 이루어진다면, 발광형 LED도 21×21로 형성되어 온/오프되어 음양의 격자무늬 패턴을 발광시키고, 현재 QR코드의 버젼 2이 25×25셀로 이루어진다면, 발광형 LED도 25×25로 형성되어 온/오프되어 음양의 격자무늬 패턴을 발광시키며, 현재 QR코드의 버젼 40이 177×177셀로 이루어진다면, 발광형 LED도 177×177로 형성되어 온/오프되어 음양의 격자무늬 패턴을 발광시키도록 구성된다. 현재, QR코드의 버젼은 상위버젼으로 갈수록 4개의 셀이 추가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온/오프되어 음양의 격자무늬 패턴을 발광시킨다는 것에서 음은 발광이 오프(Off)된 상태를 말하고, 양은 발광이 온(On)된 상태를 말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110)는 QR코드를 RGB 색상을 갖는 LED를 통해 가로×세로의 매트릭스 형태로 1:1 배열시켜 디스플레이부(110a)를 형성시킨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영역설정부(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영역설정부(120)는 발광형 LED를 1/N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을 설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이컴부의 내부 메모리에 미리 프로그램설정되거나, 또는 외부에서 직접 사용자 선택에 따라 키입력되어 발광형 LED를 1/N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이 설정된다.
상기 발광형 LED를 1/N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이 설정된다는 것에서 1/N의 영역이라 함은 1/2,1/3,1/4,1/5,1/6,1/7,1/8...1/16,1/17....등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마이컴부의 내부 메모리에서 미리 프로그램설정되는 영역설정부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영역설정부는 발광형 LED를 1/N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을 설정시키기 위해, 상하방향영역설정부(121), 좌우방향영역설정부(122), 시계방향영역설정부(123)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방향영역설정부(121)는 상하방향으로 점등영역을 설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하방향의 임의의 발광형 LED 중 수평기준선에 해당되는 발광형 LED를 제1 수평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이어서 또 다른 하방향의 임의의 발광형 LED 중 수평기준선에 해당되는 발광형 LED를 제2 수평기준점으로 설정한 후,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을 설정한다.
일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QR코드의 버젼 3인 29×29셀에 맞게 발광형 LED가 29×29로 구성되었다면, 10행에 위치한 발광형 LED를 제1 수평기준점(A1)으로 설정하고, 20행에 위치한 발광형 LED를 제2 수평기준점(A2)으로 설정해서, 1행~9행을 제1a 점등영역(121a)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고, 10행~19행을 제2a 점등영역(121b)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며, 20행~29행을 제3a 점등영역(121c)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설정된다.
즉,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이 설정된다.
상기 좌우방향영역설정부(122)는 좌우방향으로 점등영역을 설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우방향의 임의의 발광형 LED 중 수직기준선에 해당되는 발광형 LED를 제1 수직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이어서 또 다른 우방향의 임의의 발광형 LED 중 수직기준선에 해당되는 발광형 LED를 제2 수직기준점으로 설정한 후,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을 설정한다.
일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QR코드의 버젼 3인 29×29셀에 맞게 발광형 LED가 29×29로 구성되었다면, 10열에 위치한 발광형 LED를 제1 수직기준점(B1)으로 설정하고, 20열에 위치한 발광형 LED를 제2 수직기준점(B2)으로 설정해서, 1열~9열을 제1b 점등영역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고, 10열~19열을 제2b 점등영역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며, 20열~29열을 제3b 점등영역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설정된다.
즉,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이 설정된다.
상기 시계방향영역설정부(123)는 시계방향으로 점등영역을 설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정사각 구조의 임의의 발광형 LED 중 중심을 0점으로 설정하고, 0점을 기준으로 수평기준선에 해당되는 발광형 LED를 X좌표 수평기준점으로 설정하며, 이어서 임의의 발광형 LED 중 0점을 기준으로 수직기준선에 해당되는 발광형 LED를 Y좌표 수직기준점으로 설정한 후,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을 설정한다.
일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QR코드의 버젼 3인 29×29셀에 맞게 발광형 LED가 29×29로 구성되었다면, 정사각 구조의 임의의 발광형 LED 중 중심을 0점으로 설정하고, 0점을 기준으로 수평기준선에 해당되는 16행의 발광형 LED를 X좌표 수평기준점(C1)으로 설정하며, 0점을 기준으로 수직기준선에 해당하는 15열의 발광형 LED를 Y좌표 수직기준점(C2)으로 설정해서, 행,열(1,1~15,14)을 제1c 점등영역(123a)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고, 행,열(1,15~15,29)을 제2c 점등영역(123b)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며, 행,열(16,15~29,29)을 제3c 점등영역(123c)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며, 행,열(16,1~29,14)을 제4c 점등영역(123d)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설정된다.
즉,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이 설정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LED 디밍 제어부(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LED 디밍 제어부(130)는 발광형 LED의 후면 접지단자 일측에 마이컴부로부터 인가된 PWM신호를 통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LED 디밍 제어부(131), 제2 LED 디밍 제어부(132), 제3 LED 디밍 제어부(133), 제4 LED 디밍 제어부(13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LED 디밍 제어부(131)는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1a 점등영역,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1b 점등영역, 그리고,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1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과 1:1로 연결되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LED 디밍 제어부(132)는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2a 점등영역,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2b 점등영역, 그리고,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2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과 1:1로 연결되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LED 디밍 제어부(133)는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3a 점등영역,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3b 점등영역, 그리고,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3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과 1:1로 연결되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4 LED 디밍 제어부(134)는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4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과 1:1로 연결되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LED 디밍 제어부는 제1,2,3,4 LED 디밍 제어부 이외에도 1/N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점등영역의 개수에 따라 N개로 추가되어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부(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마이컴부(140)는 LED 디밍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병렬출력포트를 통해 1/N의 영역별로 설정된 발광형 LED가 제어되도록 LED 디밍 제어부로 PWM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이는 PIC16C711원칩마이컴으로 구성된다.
즉, 내부 메모리에 상하방향영역설정부, 좌우방향영역설정부, 시계방향영역설정부를 통해 점등영역이 미리 프로그램설정된다.
출력단자 일측에 제1 LED 디밍 제어부가 연결되어,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1a 점등영역,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1b 점등영역, 그리고,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1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제1 명령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2 LED 디밍 제어부가 연결되어,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2a 점등영역,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2b 점등영역, 그리고,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2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제2 명령신호를 출력시키며,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3 LED 디밍 제어부가 연결되어,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3a 점등영역,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3b 점등영역, 그리고,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3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제3 명령신호를 출력시키고, 또 다른 출력단자 일측에 제4 LED 디밍 제어부가 연결되어,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4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제4 명령신호를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리더기(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QR코드 리더기(200)는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킨 후, 2차로 하나의 완성형 QR코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켜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QR코드메모리부(210), QR코드스캐너 어플부(220), 사이트 링크연계부(230), 디스플레이 표출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QR코드메모리부(210)는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는다는 것은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현재 점등분할 상태 그대로를 캡쳐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 QR코드스캐너 어플부(220)는 QR코드메모리부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불러와, 스마트폰의 화면창에 완성형 QR코드를 형성시키고, 형성된 완성형 QR코드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스캔시키는 어플을 사용자인터페이스(UserInterface)로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리눅스(Linux) 커널 기반(JAVA)의 안드로이드 및 오브젝트-씨(Object-C)기반의 아이오에스 에스디케이(iOS SDK)로 구성된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화면창에 1차로 QR코드메모리부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불러와 순차적으로 결합시켜, 정사각구조를 갖는 완성형 QR코드를 형성시킨다.
이어서,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킨다.
상기 사이트 링크연계부(23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QR코드스캐너 어플부에서 스캔한 분할점등형QR코드를 읽어들여, 분할점등형QR코드에 설정된 식별ID와 동일한 ID를 갖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되도록 연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표출부(240)는 사이트 링크연계부를 통해 링크된 인터넷사이트의 내용을 스마트폰의 화면창에 표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방법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QR코드 분할점등모듈을 통해 1/N의 영역별로 발광형 LED를 분할점등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킨다(S100).
이는 시계방향영역설정부(123)를 통해 시계방향으로 점등영역을 설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현재 QR코드의 버젼 2인 25×25셀에 맞게 발광형 LED가 25×25로 구성되었다면, 정사각 구조의 임의의 발광형 LED 중 중심을 0점으로 설정하고, 0점을 기준으로 수평기준선에 해당되는 13행의 발광형 LED를 X좌표 수평기준점으로 설정하며, 0점을 기준으로 수직기준선에 해당하는 13열의 발광형 LED를 Y좌표 수직기준점으로 설정해서, 행:열(1:1~12:12)을 제1c 점등영역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고, 행:열(1:14~12:25)을 제2c 점등영역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며, 행:열(14:14~25:25)을 제3c 점등영역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하며, 행:열(14:1~25:12)을 제4c 점등영역으로 설정해서 분할 점등되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QR코드 리더기를 통해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킨다(S200).
다음으로, 2차로 하나의 완성형 QR코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킨다(S300).
이러한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방법을 통해, 기존의 QR코드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소형 간판이나 팜플렛과 호환되게 소,중,대의 1:1 맞춤식 분할점등형QR코드를 제작할 수가 있다.
100 : QR코드 분할점등모듈 110 : 발광형 LED
120 : 영역설정부 130 : LED 디밍 제어부
140 : 마이컴부 200 : QR코드 리더기
210 : QR코드메모리부 220 : QR코드스캐너 어플부
230 : 사이트 링크연계부 240 : 디스플레이 표출부

Claims (5)

  1. 발광형 LED로 이루어져 1/N의 영역별로 분할점등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QR코드 분할점등모듈(100)과,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킨 후, 2차로 하나의 완성형 QR코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키는 QR코드 리더기(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 분할점등모듈(100)은
    위치검출패턴, 타이밍패턴, 포맷정보, 버전정보, 얼라인먼트 패턴으로 이루어진 격자무늬 패턴을 이루는 QR코드를 RGB 색상을 갖는 LED를 통해 가로×세로의 매트릭스 형태로 1:1 배열시키는 발광형 LED(110)와,
    발광형 LED를 1/N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점등영역을 설정시키는 영역설정부(120)와,
    발광형 LED의 후면 접지단자 일측에 마이컴부로부터 인가된 PWM신호를 통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하는 LED 디밍 제어부(130)와,
    LED 디밍 제어부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병렬출력포트를 통해 1/N의 영역별로 설정된 발광형 LED가 제어되도록 LED 디밍 제어부로 PWM신호를 보내는 마이컴부(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디밍 제어부(130)는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1a 점등영역,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1b 점등영역, 그리고,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1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과 1:1로 연결되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제1 LED 디밍 제어부(131)와,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2a 점등영역,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2b 점등영역, 그리고,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2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과 1:1로 연결되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제2 LED 디밍 제어부(132)와,
    상하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3a 점등영역, 좌우방향의 1/3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3b 점등영역, 그리고,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3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과 1:1로 연결되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제3 LED 디밍 제어부(133)와,
    시계방향의 1/4의 영역별로 분할점등되도록 설정된 제4c 점등영역에 위치한 발광형 LED과 1:1로 연결되어 발광형 LED의 온/오프 동작 및 밝기를 조절시키는 제4 LED 디밍 제어부(1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 리더기(200)는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키는 QR코드메모리부(210)와,
    QR코드메모리부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불러와, 스마트폰의 화면창에 완성형 QR코드를 형성시키고, 형성된 완성형 QR코드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스캔시키는 어플을 사용자인터페이스(UserInterface)로 활성화시키는 QR코드스캐너 어플부(220)와,
    QR코드스캐너 어플부에서 스캔한 분할점등형QR코드를 읽어들여, 분할점등형QR코드에 설정된 식별ID와 동일한 ID를 갖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되도록 연계시키는 사이트 링크연계부(230)와,
    사이트 링크연계부를 통해 링크된 인터넷사이트의 내용을 스마트폰의 화면창에 표출시키는 디스플레이 표출부(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5. QR코드 분할점등모듈을 통해 1/N의 영역별로 발광형 LED를 분할점등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S100)와,
    QR코드 리더기를 통해 QR코드 분할점등모듈로부터 분할된 영역별 발광형 LED를 1차로 읽어서 저장시키는 단계(S200)와,
    QR코드 리더기를 통해 2차로 하나의 완성형 QR코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완성형 QR코드를 스캔시켜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인터넷사이트로 링크시키도록 유도시키는 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방법.
KR1020120080739A 2012-07-24 2012-07-24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 KR101289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739A KR101289858B1 (ko) 2012-07-24 2012-07-24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739A KR101289858B1 (ko) 2012-07-24 2012-07-24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858B1 true KR101289858B1 (ko) 2013-07-24

Family

ID=4899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739A KR101289858B1 (ko) 2012-07-24 2012-07-24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8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4173A (zh) * 2018-05-14 2018-11-23 章佳蕴 中文速录方案
CN109979338A (zh) * 2019-03-26 2019-07-05 李建胜 一种显示二维码的led组件
CN110519503A (zh) * 2018-05-22 2019-1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扫描图像的获取方法及移动终端
WO2021201593A1 (ko) * 2020-04-0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488A (ko) * 2004-06-09 2004-07-07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발광소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액티브 컬러 패턴 및 그생성 장치
KR20120087284A (ko) * 2010-12-27 2012-08-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정보코드에 의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488A (ko) * 2004-06-09 2004-07-07 학교법인 한국정보통신학원 발광소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액티브 컬러 패턴 및 그생성 장치
KR20120087284A (ko) * 2010-12-27 2012-08-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정보코드에 의한 데이터 제공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4173A (zh) * 2018-05-14 2018-11-23 章佳蕴 中文速录方案
CN110519503A (zh) * 2018-05-22 2019-1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扫描图像的获取方法及移动终端
CN110519503B (zh) * 2018-05-22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扫描图像的获取方法及移动终端
CN109979338A (zh) * 2019-03-26 2019-07-05 李建胜 一种显示二维码的led组件
WO2021201593A1 (ko) * 2020-04-01 202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8793B2 (en) Configur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cing-type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ntrol card
KR101289858B1 (ko) 발광형 led로 이루어진 분할점등형qr코드의 영역분할 인식장치 및 방법
US10756142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4789481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データ伝達システム
JP6501183B2 (ja) 看板装置および看板システム
CN109300431B (zh) 一种基于无线传输的全彩动态led显示屏
CN108596908B (zh) Led显示屏检测方法、装置及终端
JP5536951B1 (ja) 表示コードが付された物品、表示コード読取装置および情報伝達方法
JP2007510936A5 (ko)
JP2010165340A (ja) カラー画像と重畳した二次元コード生成方法
CN107392171A (zh) 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889083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image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electronic apparatus, and image system
JP2015170412A (ja) 演出システム、携帯発光装置、及び演出方法
KR20140134552A (ko) 피엘씨를 이용한 엘이디 표시장치
CN111028772B (zh) 灯光显示方法、装置、控制器及存储介质
US9373276B2 (en) LED block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educationa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38635A (ko) 전파 세기의 조절을 이용한 발광 제어 시스템
KR102239525B1 (ko) 휴대용 플렉서블 led 현수막
CN209928829U (zh) 一种电子货位标签系统
US11480863B2 (en) Projector that lowers visibility of base image,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KR20100013245A (ko) 광학인식펜을 이용한 엘이디 디스플레이
JP2009199608A (ja) 二次元コード,二次元コードリーダ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965780B1 (ko)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직렬 접속형 엘이디 모듈
JP2015231260A (ja) 電源タップ
CN117794020B (zh) 灯屏设备及灯效中继、驱动控制方法和相应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