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381B1 -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381B1
KR101289381B1 KR1020120022392A KR20120022392A KR101289381B1 KR 101289381 B1 KR101289381 B1 KR 101289381B1 KR 1020120022392 A KR1020120022392 A KR 1020120022392A KR 20120022392 A KR20120022392 A KR 20120022392A KR 101289381 B1 KR101289381 B1 KR 101289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uter housing
high voltage
locking protrusion
coupling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철
한승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20022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3Means for limiting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01H19/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씩의 피메일터미널을 내부에 상하측으로 개방되게 구비하고 둘레면에 나선홈을 형성한 결합노브를 포함하는 인렛, 한 쌍씩의 피메일터미널에 전류 흐름을 단속하도록 메일터미널을 구비하며 결합노브에 원주 방향으로 고정되게 결속되는 아우터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러그부, 이 플러그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나선홈을 따라 이동하는 죄임안내돌부를 구비하여 결합노브에 죄여지며 메일터미널과 피메일터미널을 접속시키는 캡, 및 이 결합노브에 완전히 결합된 캡을 아우터하우징에 결속시켜 회전 방지하기 위한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캡의 회전 동작으로 피메일터미널(female terminal)에 메일터미널(male terminal)을 쉽게 접속 및 접속해지할 수 있어 플러그의 접속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레버를 제거함으로써 레버의 회동 궤적만큼의 공간이 불필요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캡을 간단한 구조로 하우징에 로킹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ROTARY TYPE HIGH VOLTAGE SHUT DOWN SWITCH}
본 발명은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의 회전 동작으로 피메일터미널(female terminal)에 메일터미널(male terminal)을 쉽게 접속 및 접속해지할 수 있어 플러그의 접속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레버를 제거함으로써 레버의 회동 궤적만큼의 공간이 불필요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캡을 간단한 구조로 하우징에 로킹할 수 있는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로 자동차를 구동시키므로, 통상의 자동차에 비해 높은 전압 및 높은 전류가 인가되는 회로가 많이 사용된다.
이때,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차량용 전원 차단 안전 장치가 장착된다.
이러한, 차량용 전원 차단 안전 장치는 정비자가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정비하거나 수리할 시에, 정비자의 인체에 높은 전압 및 높은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비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2716호(2010. 10. 20.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차량용 전원 차단 안전 장치는 레버 상에 로커와 스프링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부품 수 상승에 따른 원가 및 중량 상승을 가져오며 조립 공수도 추가되어 어셈블리 제작시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차량용 전원 차단 안전 장치의 스프링은 탄성체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성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체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피메일터미널(female terminal)에 메일터미널(male terminal)을 쉽게 접속 및 접속 해지할 수 있어 플러그의 접속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식으로 통전 또는 통전 해제 구조를 통해 레버를 제거함으로써 레버의 회동 궤적만큼의 공간이 불필요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캡을 간단한 구조로 하우징에 로킹할 수 있어 별도의 로킹장치가 불필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는: 한 쌍씩의 피메일터미널을 내부에 상하측으로 개방되게 구비하고 둘레면에 나선홈을 형성한 결합노브를 포함하는 인렛, 상기 한 쌍씩의 피메일터미널에 전류 흐름을 단속하도록 메일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노브에 원주 방향으로 고정되게 결속되는 아우터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러그부, 상기 플러그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나선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측면에 죄임안내돌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노브에 죄여지며 상기 메일터미널과 상기 피메일터미널을 접속시키는 캡, 및 상기 결합노브에 완전히 결합된 상기 캡을 상기 아우터하우징에 결속시켜 회전 방지하기 위한 결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결합노브 상측 테두리를 따라 지지되도록 걸림부재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노브는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돌부를 복수 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가이드돌부를 일대일로 수용함으로써 회전 방지되도록 외측 둘레면에 가이드홈부를 함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캡의 내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캡의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진 제 1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제 1경사면의 단부에 제 1수직면을 갖는 제 1로킹돌부, 및 상기 제 1로킹돌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아우터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 1경사면과 대칭되는 제 2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제 1수직면과 접하도록 제 2수직면을 갖는 제 2로킹돌부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제 1로킹돌부의 허용치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은 상기 제 1로킹돌부에 대응되는 둘레면이 탄성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절개된 로킹해제레버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캡을 회전시킴으로써 피메일터미널(female terminal)에 메일터미널(male terminal)을 쉽게 접속 및 접속 해지할 수 있어 플러그의 접속과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식으로 통전 또는 통전 해제 구조를 통해 레버를 제거함으로써 레버의 회동 궤적만큼의 공간이 불필요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캡을 간단한 구조로 하우징에 로킹할 수 있어 별도의 로킹장치가 불필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로킹 해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의 로킹 해제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100)는 인렛(110), 플러그부(120), 캡(130) 및 결속부(150)를 포함한다.
인렛(110)은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차체(2)에 연결된다. 특히, 인렛(110)은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차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체(2)는 차량의 프레임이나 배터리모듈 등을 의미한다.
아울러, 인렛(110)은 한 쌍씩의 피메일터미널(female terminal,10)을 내부에 상하측으로 개방되게 구비한다. 즉, 피메일터미널(10)은 인렛(110)의 하측과 상측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인렛(110)에 장착된다. 편의상, 피메일터미널(10)은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특히, 인렛(110)은 플레이트(112), 리브(114) 및 결합노브(116)를 포함한다.
플레이트(112)는 직접적으로 차체(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플레이트(112)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레이트(112)의 방향성을 부여하지 않음으로써 레이아웃에 따른 방향성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플레이트(112)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리브(114)는 플레이트(112)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피메일터미널(10)을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일대일 대응되게 삽입한다. 리브(114)는 플레이트(112)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리브(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피메일터미널(10)과 동일 개수로 구비되고, 상측과 하측으로 개방되는 관(pip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노브(116)는 리브(114)를 에워싸서 피메일터미널(10)을 보호하도록 일정한 궤적을 따라 플레이트(112)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리브(114)는 결합노브(116)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결합노브(116)는 둘레면에 나선홈(117)을 형성한다. 나선홈(117)은, 후술할, 캡(130)의 죄임안내돌부(137)과 나사 결합된다. 그래서, 캡(130)은 인렛(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결합노브(116)는 원 궤적을 따라 플레이트(112)의 상측에 형성되고, 플레이트(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캡(130)은 나선홈(117)을 따라 이동하도록 내측면에 죄임안내돌부(137)을 형성한다. 아울러, 캡(130)은 플러그부(120)의 플러그블록(122)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캡(130)과 결합노브(116)는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부(120)는 인렛(110)의 상측에 구비되고, 한 쌍씩의 피메일터미널(10)에 전류 흐름을 단속하도록 메일터미널(male terminal,20)을 가압하여 피메일터미널(10)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메일터미널(20)은 한 쌍의 피메일터미널(10)을 통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일터미널(20)은 피메일터미널(10)을 브릿지(bridge)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하나의 메일터미널(20)은 한 쌍의 피메일터미널(10)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편의상, 메일터미널(20)은 한 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피메일터미널(10)은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여기서, 플러그부(120)는 아우터하우징(124)을 포함한다.
또한, 아우터하우징(124)은 일부가 인렛(110)의 결합노브(116) 내측에 장착되고, 나머지가 결합노브(116)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특히, 아우터하우징(124)은 결합노브(116)의 내측에 삽입되는 정도가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우터하우징(124)이 상하 양측으로 개방된 결합노브(116)의 하측으로 자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아우터하우징(124)은 결합노브(116) 상측 테두리를 따라 지지되도록 걸림부재(125)를 형성한다. 걸림부재(125)는 아우터하우징(124)의 상측 둘레면에 돌출되어 결합노브(116)의 상측 테두리에 접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걸림부재(125)는 아우터하우징(124)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캡(130)이 결합노브(116)에 결합시, 플러그블록(122)은 회전 방지되도록 결합노브(116) 내측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러그블록(122)에 삽입된 피메일터미널(20)의 장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예로서, 결합노브(116)는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돌부(172)를 복수 개 돌출 형성하고, 아우터하우징(124)은 가이드돌부(172)를 일대일로 수용함으로써 회전 방지되도록 외측 둘레면에 가이드홈부(174)를 함몰 형성한다.
즉, 가이드돌부(172) 각각이 대응되는 가이드홈부(174)에 수용됨으로써, 캡(130)이 결합노브(116)에 나사 결합되더라도, 아우터하우징(124)은 원주 방향으로 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도 6에서처럼, 아우터하우징(124)은 상측 가장자리에 실링부재(140)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140)는 방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실링부재(1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캡(130)이 결합노브(116)에 나사 결합된 후 임의적으로 풀리지 않도록 로킹(locking)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우터하우징(124)이 메일터미널(20)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메일터미널(20)이 피메일터미널(10)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결합노브(116)에 완전히 결합된 캡(130)을 아우터하우징(124)에 결속시켜 회전 방지하기 위한 결속부(150)가 구비된다.
예로서, 결속부(150)는 제 1로킹돌부(152) 및 제 2로킹돌부(154)를 포함한다.
제 1로킹돌부(152)는 캡(130)에 구비되고, 제 2로킹돌부(154)는 아우터하우징(124)에 구비된다. 그래서, 제 1로킹돌부(152)가 제 2로킹돌부(154)에 걸림으로써, 캡(130)은 아우터하우징(124)에 결속된다.
더욱 상세히, 제 1로킹돌부(152)는 캡(130)의 내측면 특히, 내부 상측면에서 아우터하우징(124)의 대응되는 상측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 1로킹돌부(152)는 결합노브(116)에 결합되는 캡(1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진 제 1경사면(151)을 형성하며, 제 1경사면(151)의 단부에서 캡(130)의 접선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 1수직면(153)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1로킹돌부(152)는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제 1로킹돌부(152)는 캡(13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캡(13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로킹돌부(154)는 제 1로킹돌부(152)에 대응되는 아우터하우징(124) 둘레면 특히, 상측면에서 캡(130)의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 2로킹돌부(154)는 제 1경사면(151)에 대칭되도록 경사진 제 2경사면(155)을 형성하며, 제 2경사면(155)의 단부에서 제 1수직면(153)과 나란한 제 2수직면(157)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2로킹돌부(154)는 제 1로킹돌부(152)와 대칭되는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제 2로킹돌부(154)는 아우터하우징(124)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아우터하우징(124)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캡(130)이 결합노브(116)에 결합되면, 제 1로킹돌부(152)는 점차적으로 제 2로킹돌부(154)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제 1수직면(153)이 제 2수직면(157)에 접함으로써, 제 1로킹돌부(152)는 제 2로킹돌부(154)에 걸리게 된다.
특히, 제 1수직면(153)이 제 2수직면(157)에 접함으로써, 캡(130)은 로킹해제되는(풀리는)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회전 방지되지만 로킹되는(죄이는) 방향으로 더 회전될 경우 파손될 수 있다.
그래서, 제 1수직면(153)이 제 2수직면(157)에 접한 후, 캡(130)은 더 이상 회전 방지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아우터하우징(124)은 제 1로킹돌부(152)의 허용치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159)를 구비한다. 캡(130)이 결합노브(116)에 완전히 죄여진 상태에서, 스토퍼(159)는 제 1로킹돌부(152)가 더 이상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캡(130)이 결합노브(116)에 완전히 죄여질 때까지, 스토퍼(159)는 제 1로킹돌부(152)에 간섭을 주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물론, 스토퍼(159)는 캡(130)에 구비되어 제 2로킹돌부(154)에 걸리게 할 수도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제 1수직면(153)이 제 2수직면(157)에 접하기 때문에, 캡(130)이 결합노브(116)에 완전히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필요에 의해 결합노브(116)로부터 분리가 어렵게 된다.
그래서, 캡(130)은 제 1로킹돌부(152)에 대응되는 둘레면이 탄성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절개된 로킹해제레버(160)를 형성한다.
즉, 로킹해제레버(160)는 캡(130)의 상측 둘레면 일부가 절개됨으로써 탄성적으로 젖혀지도록 구비되고, 내측면에 제 1로킹돌부(15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젖혀짐'은 로킹해제레버(160)가 캡(130)의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거나 또는 캡(130)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됨을 의미한다. 편의상, 로킹해제레버(160)는 초기 상태에서 캡(130)의 내측면으로 밀려들어가도록 탄성적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로킹해제레버(160)를 캡(130)의 내측으로 밀게 되면, 제 1로킹돌부(152)는 제 2로킹돌부(154)로부터 유격된다. 그래서, 캡(130)은 아우터하우징(124)로부터 로킹 해제되고, 이로 인해, 캡(130)은 결합노브(116)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처럼, 먼저, 사용자가 캡(130)의 하측을 결합노브(116)의 상측에 접하게 하고 나서 캡(130)을 일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면, 캡(130)의 죄임안내돌부(137)는 결합노브(116)의 나선홈(117)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캡(130)은 결합노브(116)를 따라 하강함으로써, 아우터하우징(124)은 메일터미널(20)을 피메일터미널(10) 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래서, 메일터미널(20)은 견고하게 피메일터미널(10)에 접속된다. 이때, 제 1로킹돌부(152)는 제 2로킹돌부(154)에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특히, 죄임안내돌부(137)이 나선홈(117)에 완전히 결합되기 직전에, 캡(152)의 제 1로킹돌부(152)는 아우터하우징(124)의 제 2로킹돌부(154)와 접하면서 제 2로킹돌부(154)에 걸리게 된다.
즉, 제 1로킹돌부(152)가 제 2로킹돌부(154)에 접한 후, 캡(130)이 더 회전되면, 제 1경사면(151)은 제 2경사면(15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로킹해제레버(160)는 캡(130)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 후, 로킹해제레버(160)가 원위치로 탄성 복귀하면서 제 1수직면(153)이 제 2수직면(157)에 면접되고, 제 1로킹돌부(152)는 스토퍼(159)에 접하게 된다.
그래서, 캡(130)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으며 결합노브(116)에 완전히 결합된다.
한편, 도 8에서처럼, 사용자가 로킹해제레버(160)를 캡(130)의 내측 방향으로 밀게 되면, 제 1로킹돌부(152)는 평면상에서 제 2로킹돌부(154)와 유격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캡(130)을 타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면, 캡(130)은 결합노브(116)를 따라 상승하면서 인렛(110)과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 후, 작업자가 아우터하우징(124)을 들어올리게 되면, 메일터미널(20)은 피메일터미널(10)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한 쌍의 피메일터미널(10)은 통전 해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차체 10: 피메일터미널(female terminal)
20: 메일터미널(male erminal) 22: 플랜지
100: 고전압차단스위치 110: 인렛
112: 플레이트 114: 리브
116: 결합노브 117: 나선홈
120: 플러그부 124: 아우터하우징
125: 걸림부재 130: 캡
137: 죄임안내돌부 140: 실링부재
150: 결속부 152,154: 제 1,2로킹돌부
159: 스토퍼 160: 로킹해제레버
172: 가이드돌부 174: 가이드홈부

Claims (6)

  1. 한 쌍씩의 피메일터미널을 내부에 상하측으로 개방되게 구비하고, 둘레면에 나선홈을 형성한 결합노브를 포함하는 인렛;
    상기 한 쌍씩의 피메일터미널에 전류 흐름을 단속하도록 메일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노브에 원주 방향으로 고정되게 결속되는 아우터하우징을 포함하는 플러그부;
    상기 플러그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나선홈을 따라 이동하는 죄임안내돌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노브에 죄여지며 상기 메일터미널과 상기 피메일터미널을 접속시키는 캡; 및
    상기 결합노브에 완전히 결합된 상기 캡을 상기 아우터하우징에 결속시켜 회전 방지하기 위한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캡의 내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캡의 회전 방향을 따라 경사진 제 1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제 1경사면의 단부에 제 1수직면을 갖는 제 1로킹돌부; 및
    상기 제 1로킹돌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아우터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제 1경사면과 대칭되는 제 2경사면을 갖으며, 상기 제 1수직면과 접하도록 제 2수직면을 갖는 제 2로킹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결합노브 상측 테두리를 따라 지지되도록 걸림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노브는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돌부를 복수 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가이드돌부를 일대일로 수용함으로써 회전 방지되도록 외측 둘레면에 가이드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하우징은 상기 제 1로킹돌부의 허용치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제 1로킹돌부에 대응되는 둘레면이 탄성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절개된 로킹해제레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KR1020120022392A 2012-03-05 2012-03-05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KR101289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92A KR101289381B1 (ko) 2012-03-05 2012-03-05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392A KR101289381B1 (ko) 2012-03-05 2012-03-05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381B1 true KR101289381B1 (ko) 2013-07-29

Family

ID=4899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392A KR101289381B1 (ko) 2012-03-05 2012-03-05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76385A (zh) * 2023-12-27 2024-01-30 泉州市拓辉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的旋钮式开关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057A (ko) * 2009-12-01 2011-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전원차단 안전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057A (ko) * 2009-12-01 2011-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전원차단 안전플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76385A (zh) * 2023-12-27 2024-01-30 泉州市拓辉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的旋钮式开关组件
CN117476385B (zh) * 2023-12-27 2024-03-05 泉州市拓辉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的旋钮式开关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0368B2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を用いた電気機器
US9397459B2 (en) Manual service disconnect with screw cover
JP3820354B2 (ja)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JP4812353B2 (ja) 遮断回路組立体
KR10107177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고전압 전원차단 안전플러그
US10003157B2 (en) Service plug unit, device unit, and power cutting-off system for electric car comprising same
JP6130113B2 (ja) 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428254B1 (ko) 고전압 배터리의 안전플러그 장치
CN113224590B (zh) 电源电路切断装置
CN1242587A (zh) 带有改进接触臂机架的电气开关装置
JP3798280B2 (ja)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289381B1 (ko)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CN110600939B (zh) 供电电路断路装置
JP2012186074A (ja) 電源回路遮断装置
KR200489703Y1 (ko) 배터리 차단 유닛의 케이스 분리 장치
JP2002133979A (ja) 安全プラグボックス
JP2021057193A (ja) 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248210B1 (ko) 회전식 고전압차단스위치
JP2010246321A (ja) 高圧ユニットケース
CN204458459U (zh) 台地扇
US10036567B2 (en) Ventilator having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CN205428818U (zh) 灭弧罩
JP6245673B1 (ja) 電源線接続装置
KR10158586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480029B1 (ko) 푸시 리턴 타입 퓨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