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168B1 - 기능성 안경의 구조 - Google Patents

기능성 안경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168B1
KR101289168B1 KR1020110065410A KR20110065410A KR101289168B1 KR 101289168 B1 KR101289168 B1 KR 101289168B1 KR 1020110065410 A KR1020110065410 A KR 1020110065410A KR 20110065410 A KR20110065410 A KR 20110065410A KR 101289168 B1 KR101289168 B1 KR 101289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close contact
spring
adjusting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817A (ko
Inventor
김나은
김인재
Original Assignee
김인재
김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재, 김나은 filed Critical 김인재
Priority to KR1020110065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16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27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fixed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1)와 다리(2) 상에 코받침과 귀걸이부 없이도 착용 가능한 안경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와 다리(2) 상에 절첩 가능한 경첩(11)(15)을 구비하고, 상기 경첩(11)(15)의 일단으로 결합홈(11a)(15a)을 구비하여 결합홈(11a)(15a) 상에 코일스프링(12), 인장스프링(14), 판스프링(16)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다리(2)에 지속적인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가압부(10); 상기 다리(2) 상에 다수의 걸림홈(21a)을 개재하여 내부로 유동하는 조절대(21)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대(21)의 일단에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시켜 지지하게 밀착판(25) 또는 일면에 다수의 돌기(26a)가 개재되는 밀착판(26)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개재하는 밀착수단을 구비하되, 밀착판(25)(26)은 인체에 무해하고 착용감이 우수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EPDM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이루어지는 밀착부(20); 및 상기 다리(2)의 내부에 조절대(21)와 상호 연계하는 슬라이드홈(31)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홈(31)의 일면에 연통되는 조절홈(32)을 구비하고, 조절홈(32)으로 밀착부(20)의 조절대(21)와 맞물리는 판스프링(33) 또는 압축스프링(34)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조절판(35)을 통하여 밀착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 안경의 구조에서 탈피하도록 개선하여 코받침과 귀걸이부 없이도 착용 가능하여 착용감을 향상하는 동시에 심한 운동과 충격 등을 받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아 신뢰성, 안전성, 편의성을 추구하고, 필요에 따라 위치 및 길이를 손쉽게 신속하게 조절 가능하면서 전체적으로 기존 안경의 틀에서 과감하게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등 패션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안경의 구조{Functional structure of glasses}
본 발명은 기능성 안경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안경의 구조에서 탈피하도록 개선하여 코받침과 귀걸이부 없이도 착용 가능하여 착용감을 향상하는 동시에 심한 운동과 충격 등을 받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아 신뢰성, 안전성, 편의성을 추구하고, 필요에 따라 위치 및 길이를 손쉽게 신속하게 조절 가능하면서 전체적으로 기존 안경의 틀에서 과감하게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등 패션성이 뛰어난 기능성 안경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안경은 인간의 표정변화의 주요한 직접적인 원인을 이루는 곳인 두 눈에 착용하는 것으로, 착용한 사람의 용모 및 이미지에 큰 변화를 주는 점에서 인간이 공통적으로 갖는 변신에 대한 갈망을 충족하는 특성(변신성)을 보유한다. 안경의 이와 같은 "변신성"은 패션성을 존중하는 최근의 풍조 하에서 크게 존중되게 되어서 안경은 단지 "시력교정구"나 "눈부심 방지구"로서의 실용적인 도구뿐 아니라, 패션의 도구로서의 새로운 상품적 지위까지도 확립하기에 이른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은 사회가 풍요해짐과 더불어 점점 더 현저하게 되어서 보다 더 개성적인 것, 보다 더 패션성이 뛰어난 것을 요구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존의 안경은 안경테와 다리 사이에 장석을 개재하고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견실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을 지니고 있어 기본적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으나, 근래에는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채용한 안경이 등장하여 조립성의 향상이나 패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려는 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변화를 시도할 수 없는 한계성을 지니기도 한다.
더군다나, 안경은 안경다리의 길이가 일정 길이로 정해진 상태에서 출시되어 사용하고 있는 바, 이는 얼굴크기가 서로 다른 사람들이 정해진 길이의 안경다리를 갖는 안경을 사용하는 데는 많은 불편과 번거로움을 수반되었다. 즉, 사람은 눈의 크기, 눈의 위치, 미간 사이의 거리 등이 다름으로 인하여 사람마다 눈의 초점이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눈에 초점이 맞도록 안경의 초점을 조절하여 사용해야 하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5626호에 의하면 안경테(1)에 고정되는 연결체(11), 안경다리(2)의 단부에 고정되는 사각형 형상의 회전체(12), 상기 연결체(11)와 회전체(1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3)로 이루어져 조립 작업의 편리함과 조립시간 및 제조단가의 절감을 꾀하고 있다.
이는 다리를 교체하는 부분의 길이가 짧아 패션성을 강화하는 장점은 있으나 힌지로 연결하는 부분의 결합력이 취약하여 작은 충격에도 안경 착용자에게 상해를 유발할 우려가 크다.
다른 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9656호에 의하면, 안경다리(1)후단에 단차를 두고 형성한 조절(11)일측에 판스프링(2)을 설치하고, 내부일측에 상기 판스프링(2)이 끼워지는 안내홈(31)을 형성한 귀뿔(3)을 상기 조절부(11)에 끼워 설치한후 장식 고정구(4)를 상기 귀뿔(3)의 개방부에 부착 고정시켜 안경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안경다리의 길이조절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한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안경의 코받침 및 안경다리의 귀걸이를 이용하는 구조이므로, 코받침과 귀걸이부분을 통하여 길이를 조정하더라도 안경의 착용상태가 불안정하여 자주 신경을 써야 하고, 안경다리와 귀걸이부의 조립부분에 결합력이 취약하여 작은 충격에도 파손되거나 이탈되어 안경 착용자에게 상해를 유발할 우려가 큰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15626호 "안경용 안경다리 연결장치"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9656호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안경의 구조에서 탈피하도록 개선하여 코받침과 귀걸이부 없이도 착용 가능하여 착용감을 향상하는 동시에 심한 운동과 충격 등을 받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아 신뢰성, 안전성, 편의성을 추구하고, 필요에 따라 위치 및 길이를 손쉽게 신속하게 조절 가능하면서 전체적으로 기존 안경의 틀에서 과감하게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등 패션성이 뛰어난 기능성 안경의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경테와 다리 상에 코받침과 귀걸이부 없이도 착용 가능한 안경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와 다리 상에 절첩 가능한 경첩을 구비하고, 상기 경첩의 일단으로 결합홈을 구비하여 결합홈 상에 코일스프링, 인장스프링, 판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다리에 지속적인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가압부 상기 다리 상에 다수의 걸림홈을 개재하여 내부로 유동하는 조절대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대의 일단에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시켜 지지하게 밀착판 또는 일면에 다수의 돌기가 개재되는 밀착판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개재하는 밀착수단을 구비하되, 밀착판은 인체에 무해하고 착용감이 우수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EPDM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이루어지는 밀착부; 및 상기 다리의 내부에 조절대와 상호 연계하는 슬라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의 일면에 연통되는 조절홈 구비하고, 조절홈로 밀착부 조절대와 맞물리는 판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조절판을 통하여 밀착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안경은 기존 안경의 구조에서 탈피하도록 개선하여 코받침과 귀걸이부 없이도 착용 가능하여 착용감을 향상하는 동시에 심한 운동과 충격 등을 받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아 신뢰성, 안전성, 편의성을 추구하고, 필요에 따라 위치 및 길이를 손쉽게 신속하게 조절 가능하면서 전체적으로 기존 안경의 틀에서 과감하게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등 패션성이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안경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안경의 요부 중 가압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안경의 요부 중 밀착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안경의 요부 중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기능성 안경의 요부 중 조절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안경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경테(1)와 다리(2) 상에 코받침과 귀걸이부 없이도 착용 가능한 안경의 구조에 관련되며, 특히 안경테(1) 상에 다리(2) 만을 이용하여 착용감을 향상하는 동시에 신뢰성, 안전성, 편의성, 패션성이 뛰어나도록 개선하는 것이다. 여기서 안경테(1)는 렌즈를 지지하는 안경테로서 합성수지제가 바람직하나 금속제를 적용할 수도 있고, 다리만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제나 금속제로 적용할 수 있다. 기능성 안경이란 코받침과 귀걸이부에 의존하지 않고 착용 가능한 안경의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성 안경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부(10), 밀착부(20), 조절부(3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경테(1)와 다리(2) 상에 절첩 가능한 경첩(11)(15)을 구비하는 가압부(10)가 상기 경첩(11)(15)의 내부에 지속적인 가압력을 부가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가압부(10)는 안경테(1) 상에서 종전의 코받침 및 귀걸이부역할을 수행하는 데, 이는 착용자가 양쪽 관자놀이 부위에 지그시 눌러 안경테(1)가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압부(10)는 안경테(1)와 다리(2) 상에 절첩 가능한 경첩(11)(15)상에 구비되는데, 즉 경첩(11)(15)에 가압수단을 구비하여 지속적인 가압력을 부가한다. 이러한 가압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2를 통하여 도시되고, 제2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되고, 제3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하여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가압부(10)의 가압수단은 경첩(11)(15)의 일단으로 결합홈(11a)(15a)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11a)(15a) 상에 코일스프링(12), 인장스프링(14), 판스프링(16)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다리(2)에 지속적인 가압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가압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코일스프링(12)을 이용하고, 제2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인장스프링(14)을 이용하고, 제3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판스프링(16)을 이용한다. 상기 어느 경우에나 경첩(11)(15)은 안경테(1)상에 위치한 경첩(11)에 결합홈(11a)을, 다리(2)상에 위치한 경첩(15)에 결합홈(15a)을 별도로 형성한 다음 코일스프링(12), 인장스프링(14), 판스프링(16)을 결합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가압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2(a)처럼 경첩(11)의 결합홈(11a)과 경첩(15)의 결합홈(15a)에 코일스프링(12)을 결합함에 따라, 도 2(b)처럼 코일스프링(12)의 탄지력에 의해 항상 경첩(11)(15)이 절첩되려는 작동으로 인하여 다리(2)에 가압력이 부여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가압수단의 제2실시예는 도 3(a)처럼 경첩(11)의 결합홈(11a)과 경첩(15)의 결합홈(15a)에 인장스프링(14)을 결합함에 따라, 도 3(b)처럼 인장스프링(14)의 탄지력에 의해 항상 경첩(11)(15)이 절첩되려는 작동으로 인하여 다리(2)에 가압력이 부여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가압수단의 제2실시예는 도 4(a)처럼 경첩(11)의 결합홈(11a)과 경첩(15)의 결합홈(15a)에 판스프링(16)을 결합함에 따라, 도 4(b)처럼 판스프링(16)의 탄지력에 의해 항상 경첩(11)(15)이 절첩되려는 작동으로 인하여 다리(2)에 가압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가압부(10)의 가압수단은 경첩(11)(15)상에 코일스프링(12), 인장스프링(14), 판스프링(16) 중에서 택일하여 결합하여 착용자가 양쪽 관자놀이 부위에 지속적인 가압력이 부여되어 안경테(1)와 다리(2)가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2) 상에 다수의 걸림홈(21a)을 개재하여 내부로 유동하는 조절대(21)를 구비하는 밀착부(20)가 상기 조절대(21)의 일단에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되는 밀착수단을 구비한다. 밀착부(20)는 다리(2) 상에서 종전의 코받침 및 귀걸이역할을 수행하는 데, 이는 착용자가 양쪽 관자놀이 부위에 밀착되어 안경테(1)와 다리(2)가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밀착부(20)는 다리(2)상에 유동하는 조절대(21)에 구비되는데, 즉 조절대(21)에 밀착수단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지속적인 가압력을 부가한다. 여기서, 조절대(21)는 다수의 걸림홈(21a)을 개재하여 후술하는 조절부(30)의 조절수단을 통하여 밀착부(2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밀착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5를 통하여 도시되고, 제2실시예는 도 6에 도시하여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밀착부(20)의 밀착수단은 착용자의 피부를 밀착시켜 지지하는 밀착판(25) 또는 일면에 다수의 돌기(26a)가 개재되는 밀착판(26)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밀착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밀착판(25)을 이용하고, 제2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돌기(26a)가 개재된 밀착판(26)을 이용한다. 상기 어느 경우에나 밀착수단은 다리(2)상에 유동하는 조절대(2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밀착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5(a)처럼 조절대(21)의 일단에 하나의 밀착판(25)을 형성하고, 도 5(b)처럼 조절대(21)의 일단에 다수의 밀착판(25)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피부, 즉 양쪽 관자놀이 부위에 밀착되어 안경테(1)와 다리(2)가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밀착수단의 제2실시예는 도 6(a)처럼 조절대(21)의 일단에 돌기(26a)가 개재된 하나의 밀착판(26)을 형성하고, 도 6(b)처럼 조절대(21)의 일단에 돌기(26a)가 개재된 다수의 밀착판(26)을 형성하여 착용자의 피부, 즉 양쪽 관자놀이 부위에 밀착되어 안경테(1)와 다리(2)가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밀착부(20)의 밀착수단은 조절대(21)의 일단에 밀착판(25) 또는 일면에 다수의 돌기(26a)가 개재되는 밀착판(26) 중에서 택일하여 형성하여 착용자가 양쪽 관자놀이 부위에 밀착되어 안경테(1)와 다리(2)가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밀착부(20)의 밀착판(25)(26)은 인체에 무해하고 착용감이 우수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EPDM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이루어진다. 밀착부(20)의 밀착수단, 즉 밀착판(25)(26)을 인체에 무해하면서 친화력이 우수하고 밀착성이 뛰어난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해야 되는데, 이는 합성수지제 중에서 위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는 실리콘, 엘라스토머(Elastomer),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중에서 택일하여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리(2)의 내부에 조절대(21)와 상호 연계하는 슬라이드홈(31)을 구비하는 조절부(30)가 상기 슬라이드홈(31)의 일면에 밀착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조절부(30)는 다리(2), 즉 밀착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밀착부(20)의 위치 및 다리(2)의 길이를 손쉽게 신속하게 조절 가능하여 편의성을 추구한다. 이러한 조절부(30)는 다리(2) 상에 슬라이드홈(31)을 구비하는데, 이는 밀착부(20)의 조절대(21)가 슬라이드홈(31)으로 유동하여 밀착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즉 조절부(3)는 다리(2) 상에 슬라이드홈(31)을 개재하여 조절대(21)가 내부로 유동하여 길이를 조절하면서 조절수단에 의해 조절대(21)의 걸림홈(21a)에 맞물려 고정된다. 이러한 조절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7a와 도 7b를 통하여 도시되고, 제2실시예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하여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부(30)의 조절수단은 슬라이드홈(31)의 일면에 연통되는 조절홈(32)을 구비하고, 상기 조절홈(32)으로 밀착부(20)의 조절대(21)와 맞물리는 판스프링(33) 또는 압축스프링(34)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조절판(35)을 통하여 밀착부(20)의 길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조절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판스프링(33)을 이용하고, 제2실시예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압축스프링(34)을 이용한다. 상기 어느 경우에나 다리(2) 상에 슬라이드홈(31)을 개재하고, 슬라이드홈(31)의 일면에 조절홈(32)을 연통하여 형성한 다음 조절홈(32) 상에 판스프링(33) 또는 압축스프링(34)을 장착하여 조절판(35)으로 결합하여 밀착부(20)의 조절대(21)와 맞물리는 구조이다.
따라서 조절수단의 제1실시예는 도 7a처럼 다리(2) 상에 슬라이드홈(31)에 조절홈(32)을 연통하여 형성하고, 조절홈(32) 상에 판스프링(33)을 장착하여 조절판(35)으로 결합함에 따라, 도 7b처럼 밀착부(20)의 조절대(21)가 다리(2)의 슬라이드홈(31)으로 밀어 넣으면 판스프링(33)의 탄지력에 의해 압축/복원되어 조절대(21)의 걸림홈(21a)에 맞물려 고정되어 밀착부(2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조절수단의 제2실시예는 도 8a처럼 다리(2) 상에 슬라이드홈(31)에 조절홈(32)을 연통하여 형성하고, 조절홈(32) 상에 압축스프링(34)을 장착하여 조절판(35)으로 결합함에 따라, 도 8b처럼 밀착부(20)의 조절대(21)가 다리(2)의 슬라이드홈(31)으로 밀어 넣으면 압축스프링(34)의 탄지력에 의해 압축/복원되어 조절대(21)의 걸림홈(21a)에 맞물려 고정되어 밀착부(2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때, 미설명된 도면부호 34a는 압축스프링(34)의 선단에 장착되는 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돌기(34a)는 압축스프링(34)의 선단에 장착되어 탄지력에 의해 조절대(21)의 걸림홈(21a)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조절부(30)의 조절수단은 도 9(a)와 도 9(b)처럼 다리(2) 상에 슬라이드홈(31)에 조절홈(32)을 연통하여 형성한 다음 조절홈(32) 상에 판스프링(33) 또는 압축스프링(34)을 장착하여 조절판(35)으로 결합하면 조절대(21)를 밀어 넣으면 판스프링(33) 또는 압축스프링(34)이 걸림홈(21a)에 맞물려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밀착부(20)의 위치 및 다리(2)의 길이를 손쉽게 신속하게 조절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안경의 구조에서 탈피하도록 개선하여 코받침과 귀걸이부 없이도 착용 가능하여 착용감을 향상하는 동시에 심한 운동과 충격 등을 받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아 신뢰성, 안전성, 편의성을 추구하고, 필요에 따라 위치 및 길이를 손쉽게 신속하게 조절 가능하면서 전체적으로 기존 안경의 틀에서 과감하게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등 패션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안경 2: 다리
10: 가압부 11,15: 경첩
11a, 15a: 결합홈 12: 코일스프링
14: 인장스프링 16: 판스프링
20: 밀착부 21: 조절대
21a: 걸림홈 25,26: 밀착판
26a: 돌기 30: 조절부
31: 슬라이드홈 32: 조절홈
33: 판스프링 34: 압축스프링
34a: 돌기 35: 조절판

Claims (5)

  1. 안경테(1)와 다리(2) 상에 코받침과 귀걸이부 없이도 착용 가능한 안경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와 다리(2) 상에 절첩 가능한 경첩(11)(15)을 구비하고, 상기 경첩(11)(15)의 일단으로 결합홈(11a)(15a)을 구비하여 결합홈(11a)(15a) 상에 코일스프링(12), 인장스프링(14), 판스프링(16)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다리(2)에 지속적인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하는 가압부(10);
    상기 다리(2) 상에 다수의 걸림홈(21a)을 개재하여 내부로 유동하는 조절대(21)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대(21)의 일단에 착용자의 피부와 밀착시켜 지지하게 밀착판(25) 또는 일면에 다수의 돌기(26a)가 개재되는 밀착판(26)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개재하는 밀착수단을 구비하되, 밀착판(25)(26)은 인체에 무해하고 착용감이 우수한 실리콘, 엘라스토머, EPDM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이루어지는 밀착부(20); 및
    상기 다리(2)의 내부에 조절대(21)와 상호 연계하는 슬라이드홈(31)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홈(31)의 일면에 연통되는 조절홈(32)을 구비하고, 조절홈(32)으로 밀착부(20)의 조절대(21)와 맞물리는 판스프링(33) 또는 압축스프링(34) 중에서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조절판(35)을 통하여 밀착부(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안경의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65410A 2011-07-01 2011-07-01 기능성 안경의 구조 KR101289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410A KR101289168B1 (ko) 2011-07-01 2011-07-01 기능성 안경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410A KR101289168B1 (ko) 2011-07-01 2011-07-01 기능성 안경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17A KR20130003817A (ko) 2013-01-09
KR101289168B1 true KR101289168B1 (ko) 2013-07-26

Family

ID=4783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410A KR101289168B1 (ko) 2011-07-01 2011-07-01 기능성 안경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61B1 (ko) * 2015-05-26 2016-12-27 주식회사 이노 (Inno) 개량된 경첩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CN109856812A (zh) * 2019-04-10 2019-06-07 温州市冠豪眼镜有限公司 一种可伸缩调节眼镜脚
KR102131239B1 (ko) * 2019-12-12 2020-07-07 주식회사 만금엔지니어링 균열 정보의 계측이 용이한 시설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930Y1 (ko) * 2003-08-18 2004-05-03 김인재 코받침과 귀걸이가 없는 패션안경
KR20100037978A (ko) * 2008-10-02 2010-04-12 강성목 신축조절 가능한 안경다리
JP2010181446A (ja) * 2009-02-03 2010-08-19 Masunaga Optical Mfg Co Ltd セミテンプル眼鏡におけるテンプルフィッティング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930Y1 (ko) * 2003-08-18 2004-05-03 김인재 코받침과 귀걸이가 없는 패션안경
KR20100037978A (ko) * 2008-10-02 2010-04-12 강성목 신축조절 가능한 안경다리
JP2010181446A (ja) * 2009-02-03 2010-08-19 Masunaga Optical Mfg Co Ltd セミテンプル眼鏡におけるテンプルフィッティング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817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4412B2 (en) Off-nose eyewear
KR101289168B1 (ko) 기능성 안경의 구조
CN205539770U (zh) 一种眼镜铰链组件及眼镜
KR20080070211A (ko) 코받침이 없는 안경
CN103246079A (zh) 一种眼镜
KR101562750B1 (ko) 머리고정형 안경
GB2444807A (en) Spectacle side arm counterweight with optional brow pad.
CN210573048U (zh) 一种便于更换鼻托的眼镜
CN209879170U (zh) 一种多功能护目眼镜
KR101288086B1 (ko) 안경다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테
CN201804167U (zh) 眼镜
GB2444626A (en) Telescopic spectacles counter weight attached by tubular extrusion slide on connector
CN205992095U (zh) 可夹持的墨镜
CN220671758U (zh) 一种可调节的眼镜鼻托叶结构
KR200433694Y1 (ko)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CN215181255U (zh) 一种适于运动佩戴防脱落的眼镜
CN203981986U (zh) 骑行眼镜
CN214067514U (zh) 一种具有u型不锈钢弹片结构的眼镜框
CN217360468U (zh) 一种带有卡扣式鼻托的眼镜
CN201069489Y (zh) 三支点式镜架
KR102570372B1 (ko) 안경의 교환식 안경다리
CN221056771U (zh) 一种可上下调节带气囊的鼻托结构以及眼镜
CN215729126U (zh) 一种眼镜
CN208224642U (zh) 眼镜腿
CN213489771U (zh) 一种可悬挂口罩的医用护目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